KR102147598B1 -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 Google Patents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98B1
KR102147598B1 KR1020190042065A KR20190042065A KR102147598B1 KR 102147598 B1 KR102147598 B1 KR 102147598B1 KR 1020190042065 A KR1020190042065 A KR 1020190042065A KR 20190042065 A KR20190042065 A KR 20190042065A KR 102147598 B1 KR102147598 B1 KR 10214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fastening
stopper
unit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명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명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명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55/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28Brakes with only one rotating dis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5/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substantially 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7Pins holding the bra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76Connection inner circum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축과 결합하는 허브부 및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허브부의 양단에 체결되어 축 디스크 캘리퍼에 의해 제동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동디스크로서, 상기 허브부 및 디스크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일측이 헤드부를 형성하여 중공되며, 상기 허브부의 림부 방향에서 림부와 디스크부의 각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너트홀더; 상기 너트홀더 단부에 밀착되는 스토퍼 헤드를 포함하는 와셔스토퍼; 중심부가 상기 와셔스토퍼에 밀착되며 양단부가 디스크부의 체결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변형도를 형성하는 스프링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부 방향에서 상기 와셔스토퍼 및 스프링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너트홀더와 결속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Brake disk with fre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축에 결합되는 제동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디스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방향으로의 힘에 대하여 프리마운팅 구조를 형성하여 열 크랙 방지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열차나 차량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는 주행 중인 열차 또는 차량을 감속시키거나, 정지 및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일반적으로 휠에 구비되는 휠 디스크를 가압하여 제동을 수행하여 왔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662149호 '철도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와 한국등록특허 제10-0368610호 '철도차량용 브레이크디스크'가 있다.
그러나, 열차나 차량이 고속화 되었고 특히 열차의 경우에는 최근에 KTX, SRT와 같은 300km이상의 속도를 내는 고속열차로 발전되었으며, 열차나 차량의 속도가 빠름에 따라 제동거리가 길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제동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종래의 브레이크디스크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허브 등을 통해 차축에 디스크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축 디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축 디스크는 허브와 디스크의 체결 시 허브의 체결공에 스프링이 감싸진 너트를 맞춘 후, 볼트에 와셔를 끼워 너트까지 관통하는 식으로 체결되었다.
이는 조립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너트 끝부분에 스프링이 감싸져 있어 볼트 풀림이 방지되며 체결력이 강한 장점이 있으나, 볼트 조립 시 너트를 손으로 맞추어 고정하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볼트가 디스크에 직 체결되는 구조로서 디스크의 열변형으로 인한 응력 반복 발생 시 열 크랙으로 발생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기대수명이 낮아 유지비용이 많이 발생되었으며, 심할 경우 안전상 문제도 수반하는 큰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되는 것으로, 제동디스크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방향으로의 힘에 대하여 프리마운팅 구조를 형성하여 열 크랙 방지 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는, 차축과 결합하는 허브부 및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허브부의 양단에 체결되어 축 디스크 캘리퍼에 의해 제동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동디스크로서, 상기 허브부 및 디스크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일측이 헤드부를 형성하여 중공되며, 상기 허브부의 림부 방향에서 림부와 디스크부의 각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너트홀더; 상기 너트홀더 단부에 밀착되는 스토퍼 헤드를 포함하는 와셔스토퍼; 중심부가 상기 와셔스토퍼에 밀착되며 양단부가 디스크부의 체결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변형도를 형성하는 스프링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부 방향에서 상기 와셔스토퍼 및 스프링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너트홀더와 결속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홀은, 디스크부의 원심 방향이 개방된 슬롯(slot)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헤드에서 벤딩 연장되는 스토퍼 테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테일은 상기 슬롯형태의 디스크부 체결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헤드가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는, 상기 너트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크부의 열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부는, 상기 허브부의 림부 내주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의 외측방향으로 위치되어 허브부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ㅌ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는 너트홀더와 고정볼트가 허브부 및 디스크부를 양측에서 2중으로 결속하고 있으므로 회전토크에도 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와셔스토퍼의 스토퍼 헤드가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강한 마찰력으로 스프링 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스토퍼 헤드로부터 벤딩 연장되는 스토퍼 테일이 슬롯형태의 체결부 체결홀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토크 발생 시 체결부의 체결홀에 집중되는 응력을 보완할 수 있고, 스프링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강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크부가 걸림편의 외측방향에서 결속되므로, 제동 시에 발생되는 원심방향으로의 열 변형 즉, 팽창에 대해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디스크부의 체결홀이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의 팽창력에 대해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열 크랙 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플레이트에 의해 제동 시 열변형으로 인한 축방향으로의 디스크 팽창 및 비틀림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에도 구속상태를 유지하며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냉각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너트홀더의 길이 변형으로 열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축 방향으로의 열 변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 크랙 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부의 조립 시에 너트홀더가 미리 삽입되어 있어 디스크부의 조립이 간편하며, 디스크부의 조립 후에는 너트홀더로 인해 림부와 체결부가 맞춰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고정볼트 결속까지의 작업이 매우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를 수직으로 세워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를 수직으로 세워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A-A'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는 열차 또는 차량의 차축에 결합되어 축 디스크 캘리퍼에 의해 제동되는 제동디스크로서, 차축과 결합하는 허브부(100) 및 체결부재(300)에 의해 허브부(100)의 양단에 체결되어 축 디스크 캘리퍼에 의해 제동되는 디스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브부(100)는 차축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된 드럼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허브부(100)의 양단에는 디스크부(200)와 체결을 위한 림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허브부의 림부(110)에는 복수의 체결홀(115)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허브부(100)에는 오일 등의 유입을 하기 위한 리타이어 플러그(Retrie plug)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120)에서 허브부(100)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오일유동로(125)가 연장될 수 있다.
즉, 삽입홀(120)에 리타이어 플러그를 삽입 후, 오일을 유입하게 되면 오일유동로(125)를 따라 오일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유입되는 오일은 디스크부(200)의 교체 시에 디스크부(200)의 해체를 원활하게 하도록 작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부(200)의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일은 균형적으로 유입됨이 바람직하므로 삽입홀(120)은 허브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형태일 뿐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또한, 허브부(100)는 SCM435의 합금강 재질을 단조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고, 리타이어 플러그는 SUS304의 스테인리스강 재질을 프레스 가공할 수 있으나, 상기 허브부(100) 및 리타이어 플러그의 재질과 제조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부(200)는 단조 가공을 통해 일 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허브부(100)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10)는 체결부재(300)가 디스크부(200)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디스크 폭보다 작은 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절단한 단면으로 보았을 시 캘리퍼가 작용되는 디스크 표면의 폭보다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10)에는 체결부재(300)의 체결을 위해 복수의 체결홀(215)을 형성할 수 있으며, 체결부(210)의 체결홀(215)은 허브부의 림부(110)에 형성된 체결홀(115)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림부(110)의 체결홀(115)과 체결부(210)의 체결홀(215)을 맞추어 체결부재(300)를 체결함으로써 허브부(100)와 디스크부(200)가 결속될 수 있다.
체결홀(115, 215)은 그 형태가 어느 특정한 형태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슬롯(slot) 형태로 형성되되 디스크부(200)의 원심 방향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디스크부(200)의 원주 방향으로 작용되는 팽창력에 대해 자유도를 형성하며, 후술하는 와셔스토퍼(320)의 스토퍼 테일(324) 삽입을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디스크부(200)는 몰리브덴이 다량 함유된 하이몰리브덴강으로 형성되어 내부식성과 강도가 좋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술한 디스크부(200)의 재질과 가공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달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프리마운팅 구조를 위해 허브부(100)와 디스크부(200)의 체결 시 허브부(100)의 림부 내주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편(130)을 형성하고, 걸림편(130)의 외측방향으로 체결부(210)를 위치하도록 하여 허브부(100)와 디스크부(200)를 체결할 수 있는데, 이는 제동 시에 디스크 열 팽창에 따른 구속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위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프리마운팅 구조로 인한 효과를 설명할 때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재(300)는 너트홀더(310), 와셔스토퍼(320), 스프링 플레이트(330) 및 고정볼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너트홀더(310)는 일측이 헤드부(312)를 형성하며 중공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더로서, 허브부(100)의 림부(110) 방향에서 림부(110)와 체결부(210)의 각 체결홀(115, 215)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너트홀더(310)의 헤드부(312)는 몸체(314)보다 직경이 넓게 형성되어 삽입 시에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며, 삽입 후에는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너트홀더(3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10) 상단면과 일치를 이루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나,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디스크부(200)의 열 변형량 조절에 따라 길이를 달리 할 수 있다. 이는, 너트홀더(310)의 단부에 와셔스토퍼(320)가 밀착 고정되어 체결부(210)와 와셔스토퍼(320) 사이의 유격을 발생시키기 때문으로, 발생되는 유격만큼 열 변형량이 결정될 수 있어 너트홀더(31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열 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너트홀더(310)는 SCM435의 합금강 또는 SUS304의 스테인리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와셔스토퍼(320)는 림부(110)와 체결부(210)를 관통하여 돌출된 너트홀더(310) 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셔스토퍼(320)는 스토퍼 헤드(32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헤드(322)는 후술할 스프링 플레이트(330)가 축방향으로의 자유변형도를 갖도록 스프링 플레이트(330)와 체결부(210) 사이에 갭(gap)을 형성하며, 스프링 플레이트(330)의 회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작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헤드(322)는 스프링 플레이트(330)의 조립 시 또는 조립 후에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면이 많은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프링 플레이트(330)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와셔스토퍼(320)는 스토퍼 헤드(322)에서 벤딩 연장되는 스토퍼 테일(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 테일(324)은 슬롯형태의 디스크부 체결홀(215)에 삽입되어 스토퍼 헤드(322)의 회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부(200) 제동 시 발생되는 회전토크의 응력 집중을 보강할 수 있다.
스프링 플레이트(330)는 중심부가 와셔스토퍼(320)에 밀착되며 양단부(334)가 디스크부(200)의 체결부(210)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변형도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스프링 플레이트(330)는 중심부(332)가 갭(gap)을 형성하는 와셔스토퍼(320)에 의해 디스크부(200)와 이격되되 양단부(334)가 스프링 플레이트(33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데, 경사진 양단을 통해 탄성력이 제공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프링 플레이트(330)는 일 예로서 중심부(332)가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334)가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양단부(334)가 축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는 구조면 충분하다.
또한, 스프링 플레이트(330)는 SK5 등의 탄소공구강 재질로서 프레스 가공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재질과 가공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달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340)는 디스크부(200)의 체결부(210) 방향에서 와셔스토퍼(320) 및 스프링 플레이트(330)를 관통하여 너트홀더(310)와 결속될 수 있다. 즉, 고정볼트(340)는 너트홀더(310)와 함께 와셔스토퍼(320) 및 스프링 플레이트(330)를 고정시키면서 허브부(100)와 디스크부(200)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이러한 너트홀더(310)와 고정볼트(340)의 양측 이중 결속 구조를 통해 제동 시 발생되는 회전토크에도 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조립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허브부의 림부(110)에 형성된 체결홀(115)에 너트홀더(310)를 외측방향 즉, 디스크부(200)가 위치될 방향을 향해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디스크부의 체결부(210)에 형성된 체결홀(215)을 너트홀더(310)에 맞추어 삽입함으로써 림부(110)의 체결홀(115)과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너트홀더(310)가 림부(110)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디스크부(200)를 결합하는 것이 수월할 수 있다.
디스크부(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후, 와셔스토퍼(320)와 스프링 플레이트(330)를 너트홀더(310)의 위치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적재 후, 고정볼트(340)를 스프링 플레이트(330) 및 와셔스토퍼(320)를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너트홀더(310)와 결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너트홀더(310)에 의해 허브부(100)와 디스크부(20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340) 결속까지의 작업이 매우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조립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의 각 구성으로부터 발생되는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강도적인 측면에서는 너트홀더(310)와 고정볼트(340)가 허브부(100) 및 디스크부(200)를 양측에서 2중으로 결속하고 있으므로 회전토크에도 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와셔스토퍼(320)의 스토퍼 헤드(322)가 사각형태로 형성되어 강한 마찰력으로 스프링 플레이트(33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스토퍼 헤드(322)로부터 벤딩 연장되는 스토퍼 테일(324)이 슬롯형태의 체결부 체결홀(215)에 삽입됨에 따라 회전토크 발생 시 체결부의 체결홀(215)에 집중되는 응력을 보완할 수 있고, 스프링 플레이트(330)에 대한 지지력이 보다 강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프리마운팅적인 측면에서는 디스크부(200)가 걸림편(130)의 외측방향에서 결속되므로, 제동 시에 발생되는 원심방향으로의 열 변형 즉, 팽창에 대해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디스크부(200)의 체결홀(215)이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어 원주 방향으로의 팽창력에 대해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열 크랙 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플레이트(330)에 의해 제동 시 열변형으로 인한 축방향으로의 디스크 팽창 및 비틀림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에도 구속상태를 유지하며 마운팅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냉각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너트홀더(310)의 길이 변형으로 열변형량을 조절할 수 있어 축 방향으로의 열 변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열 크랙 방지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립 편의적인 측면에서는 디스크부(200)의 조립 시에 너트홀더(310)가 미리 삽입되어 있어 디스크부(200)의 조립이 간편하며, 디스크부(200)의 조립 후에는 너트홀더(310)로 인해 림부(110)와 체결부(210)가 맞춰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고정볼트(340) 결속까지의 작업이 매우 빠르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허브부
110 : 림부
115 : 체결홀
120 : 삽입홀
125 : 오일유동로
130 : 걸림편
200 : 디스크부
210 : 체결부
215 : 체결홀
300 : 체결부재
310 : 너트홀더
312 : 헤드부
314 : 몸체
320 : 와셔스토퍼
322 : 스토퍼 헤드
324 : 스토퍼 테일
330 : 스프링 플레이트
332 : 중심부
334 : 양단부
340 : 고정볼트

Claims (7)

  1. 차축과 결합하는 허브부 및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허브부의 양단에 체결되어 축 디스크 캘리퍼에 의해 제동되는 디스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동디스크로서,
    상기 허브부 및 디스크부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는,
    일측이 헤드부를 형성하여 중공되며, 상기 허브부의 림부 방향에서 림부와 디스크부의 각 체결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는 너트홀더;
    상기 너트홀더 단부에 밀착되는 스토퍼 헤드를 포함하는 와셔스토퍼;
    중심부가 상기 와셔스토퍼에 밀착되며 양단부가 디스크부의 체결부와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축방향으로 자유변형도를 형성하는 스프링 플레이트 및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부 방향에서 상기 와셔스토퍼 및 스프링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너트홀더와 결속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홀더의 길이를 조절하여 디스크부의 열 변형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홀은, 디스크부의 원심 방향이 개방된 슬롯(slot)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헤드에서 벤딩 연장되는 스토퍼 테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테일은 상기 슬롯형태의 디스크부 체결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헤드가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의 체결부는,
    상기 허브부의 림부 내주면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되 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의 외측방향으로 위치되어 허브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플레이트는,
    중심부가 판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v'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KR1020190042065A 2019-04-10 2019-04-10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KR10214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065A KR102147598B1 (ko) 2019-04-10 2019-04-10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065A KR102147598B1 (ko) 2019-04-10 2019-04-10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98B1 true KR102147598B1 (ko) 2020-08-25

Family

ID=7224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065A KR102147598B1 (ko) 2019-04-10 2019-04-10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532B1 (ko) * 2020-10-08 2021-07-13 주식회사 세명테크 스퍼 마운팅 구조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583A (ja) * 2006-09-19 2010-02-04 スカニア シーブイ アクチボラグ(パブル) 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ハブ装置、ブレーキ・ディスク、および車両
KR20120002148U (ko)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프릭사 경량 브레이크 디스크구조
JP2018091468A (ja) * 2016-12-07 2018-06-14 有限会社上原製作所 ディスクローター用ハウジングおよびディスクローター
KR20180105808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용 고신뢰성 경량형 프리마운팅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03583A (ja) * 2006-09-19 2010-02-04 スカニア シーブイ アクチボラグ(パブル) 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ハブ装置、ブレーキ・ディスク、および車両
KR20120002148U (ko) * 2010-09-15 2012-03-23 주식회사 프릭사 경량 브레이크 디스크구조
JP2018091468A (ja) * 2016-12-07 2018-06-14 有限会社上原製作所 ディスクローター用ハウジングおよびディスクローター
KR20180105808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세명테크 상용차용 고신뢰성 경량형 프리마운팅 브레이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532B1 (ko) * 2020-10-08 2021-07-13 주식회사 세명테크 스퍼 마운팅 구조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4077A (en) Floating-caliper spot-type disc brake for high-powered vehicles
JP5566916B2 (ja) 機外側ハブバレル取付けロータ
US8684144B2 (en) Shaft brake disc,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CA2780899C (en) Railway vehicle brake disc
US6296085B1 (en) Disk brake
US7980367B2 (en) Disc brake assembly with tone ring
US8517152B2 (en) Disk brake and brake pad arrangement therefor
US20070272502A1 (en) Opposed piston type disc brake
WO2003100281A1 (fr) Disque de frein de type flottant
KR102147598B1 (ko) 프리마운팅 구조의 제동디스크
US20090038895A1 (en) Multi-disc brake hub assembly with disc slide pins
US20160131211A1 (en) Brake Pad Retainer for a Disc Brake
JP48969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摩擦材組立体
US8602179B2 (en) Disc rotor unit for vehicle
US20080309152A1 (en) Wheel including a rim, a hub, and a device for coupling the rim to the hub
EP3855040B1 (en) Pad spring for disc brake and disc brake device
US20060113153A1 (en) Brake disc assembly
US10941822B2 (en) Disc brake for a utility vehicle and brake pad for a disc brake
US20210048078A1 (en) Guide assembly for a disc brake
JP2014181028A (ja) 駆動輪のハブと動力伝達継手の椀形状体とのアセンブリ
EP3851699B1 (en) Disc brake pad and disc brake device
KR101524423B1 (ko) 클러치 마찰 디스크
JP6649204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ブレーキディスク
KR102276532B1 (ko) 스퍼 마운팅 구조의 브레이크 디스크 어셈블리
JP453229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