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454B1 - 스트랩 발광기 - Google Patents

스트랩 발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454B1
KR102147454B1 KR1020190158189A KR20190158189A KR102147454B1 KR 102147454 B1 KR102147454 B1 KR 102147454B1 KR 1020190158189 A KR1020190158189 A KR 1020190158189A KR 20190158189 A KR20190158189 A KR 20190158189A KR 102147454 B1 KR102147454 B1 KR 10214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trap
light
use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인
오주영
Original Assignee
박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인 filed Critical 박종인
Priority to KR102019015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454B1/ko
Priority to PCT/KR2019/016876 priority patent/WO20201757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21S4/24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of ribbon or tape form, e.g. LED t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랩 본체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광원부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광원부들 중 제1 광원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광원부들 중 제2 광원부에 형성되며 속도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본체에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제1 광원부가 점등되고, 속도변화가 감지되면 제2센서에 의해 제2 광원부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랩 발광기{Strap lighter}
본 발명은 스트랩 발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를 적용하여 발광하는 스트랩 발광기에 관한 것이다.
스트랩 발광기는 엘이디 스트랩이라고 하며, 손목과 같이 인체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나 띠 형상이다. 이러한 스트랩 발광기는 운동 중이나 외출 시에 사용하며, 발광에 의해 잘 보이게 함으로써 사람들 간에 식별력을 높이면서 외모에 미감을 더할 수 있다.
스트랩 발광기는 인체에 착용하도록 만든 띠 형상의 본체, 본체에 고정된 엘이디, 엘이디의 광을 받는 도광부재,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된 기존의 스트랩 발광기는 인체에 착용하여 발광에 의한 식별이나 미감을 제공하나, 이동 중 외부에 대해 방향성을 나타내기는 쉽지 않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43708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이동 중에 어느 한쪽을 점등하여 방향성을 나타내며, 점멸과 같은 비상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스트랩 발광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트랩 본체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광원부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광원부들 중 제1 광원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광원부들 중 제2 광원부에 형성되며 속도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본체에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제1 광원부가 점등되고, 속도변화가 감지되면 제2센서에 의해 제2 광원부가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도난 방지 신호 수신을 위한 무선 수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랩 본체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연장 형성되고, 스트랩 본체의 타측에는 제2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가 제2연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스트랩 본체의 전원버튼을 눌러서 작동을 시작하는 시작 모드와, 상기 시작 모드에서 제2 광원부가 발광하는 상태인 주행 모드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진행되는 감속 또는 제동 모드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회전을 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회전 모드 및 전원버튼을 다시 눌러서 작동을 정지시키는 종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비상 상황을 전달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비상 점등 모드와, 도난 방지를 위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도난 방지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모드는 제1 광원부가 광을 3번 정도 점멸하고, 제2 광원부가 광을 상기 감속 또는 제동 모드에서의 광보다 약하게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감속 또는 제동 모드는 상기 스트랩 본체의 속도가 감소되거나 정지하면 상기 제2센서가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2 광원부의 광이 주행 모드의 광보다 강하게 발광하거나 강하게 점멸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모드는 상기 스트랩 본체가 진동할 때 제1센서가 제1 광원부의 광을 점멸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비상 점등 모드는 2개의 스트랩 본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2개의 스트랩 본체 각각에 위치된 제1센서가 진동을 감지하여 2개의 스트랩 본체 각각에 장착된 제1 광원부가 광을 점멸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도난 방지 모드는 상기 제어부에서 도난 방지 신호를 전송받고 제1 광원부가 광을 점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이동 중에 어느 한쪽을 점등하여 방향성을 나타내며, 점멸과 같은 비상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스트랩 발광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도난 방지 모드를 통하여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자전거의 위치 및 상황을 파악하게 되어 도난 방지 효과가 발생된다.
도 1a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주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감속 또는 제동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오른쪽 회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왼쪽 회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비상 점등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의 도난 방지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자전거의 도난 방지킷과 스트랩 발광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양팔목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양어깨 뒷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헬멧 뒤의 양측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도면 복합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들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면들의 조합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 또는 임의 구조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이 포함되거나 포함 가능한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이나 세부 구조로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인 내용으로 그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에 내재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관용적인 사항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실질적인 구현성이 높으며, 산업적 이용 가능성이 높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발광기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발광기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유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나 합성 섬유로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스트랩 본체(210)와, 상기 스트랩 본체(210)에 형성되는 띠 형태의 2개의 광원부(230, 240)와, 상기 스트랩 본체(210)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230, 240)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상기 제어부(250)와 연결되는 충전 포트(270)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랩 본체(210)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212)가 연장 형성되고, 스트랩 본체(210)의 타측에는 제2연결부(21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212)가 제2연결부(214)에 체결되면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의 개략적인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의 팔(201) 상부(202)에 착용되어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212)와 제2연결부(214)는 벨크로를 이용한 접착부(212a, 214a)로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제1연결부(212)와 제2연결부(214)를 대신해서 스트랩 본체(210)의 양측 사이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밴드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트랩 본체(210)에는 전원버튼(216)이 형성되어 2개의 광원부(230, 240)를 온오프(On/Off)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트랩 본체(210)에는 스피커부(218)가 추가로 형성되어 구동음이나 정지음 등의 사운드를 발생한다.
상기 2개의 광원부(230, 240)는 상기 스트랩 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나란히 형성되며, 2개의 광원부(230, 240) 중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광원부(230)는 주황색 광을 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LED)가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되고, 2개의 광원부(230, 240) 중 하부에 위치되는 제2 광원부(240)는 빨간색 광을 발하는 복수개의 엘이디가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주황색 광이나 빨간색 광을 다른 색 광으로 변경가능하고, 엘이디가 아닌 전구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제1 광원부(230)와 제2 광원부(240)에 연결되어 제1 광원부(230)와 제2 광원부(240)의 발광과 소광을 제어하는 작용을 하며,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인 피씨비(PCB)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스피커부(218)와도 연결되어 스피커부(218)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무선 수신부(301)가 형성되어 자전거(204)에 장착된 도난 방지 키트(262)와 통신한다.
상기 제어부(250)에는 전원부(252)가 추가되며, 상기 전원부(252)에는 충전을 통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되어 6시간 내외로 구동시간을 유지한다. 상기 전원부(252)는 상기 제어부(250) 뿐만아니라, 제1 광원부(230)와 제2 광원부(240)에도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52)는 충전 포트(270)에 연결되며, 상기 충전 포트(270)는 마이크로 유에스비(MicroUSB) 또는 씨타입 유에스비(C-type USB)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와 전원부(252) 등의 전류가 흐르는 부분에는 방수 처리가 된다.
상기 제1 광원부(230)에는 진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232)가 추가되어 진동이 감지되면 주황색 광이 점등되고, 제2 광원부(240)에는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242)가 추가되어 퍼스널 모빌리티인 도 2와 같은 자전거(204)를 타고 가는 상황에서 속도를 감속하는 경우에 빨간색 광이 점등된다.
상기 제1센서(232)는 진동센서(Vibration Sensor) 등 일반적으로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이며, 제2센서(242)는 가속도 센서 또는 감속 센서 등의 속도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를 팔(201) 상부(202)에 착용하면, 도 3과 같이 사용자의 후방에서 사용자의 뒷 부분을 볼 때,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주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감속 또는 제동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의 작동은 전원버튼(216)을 눌러서 작동을 시작하는 시작 모드(S100)와, 상기 시작 모드(S100)에서 제2 광원부(240)의 빨간색 광이 발광하는 상태인 주행 모드(S200)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진행되는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우회전을 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오른쪽 회전 모드(S400)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좌회전을 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왼쪽 회전 모드(S500)와, 사용자가 비상 상황을 전달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비상 점등 모드(S600)와, 도난 방지를 위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도난 방지 모드(S700) 및 전원버튼(216)을 다시 눌러서 작동을 정지시키는 종료 모드(S80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 모드(S200)와,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와, 오른쪽 회전 모드(S400)와, 왼쪽 회전 모드(S500)와, 비상 점등 모드(S600), 및 도난 방지 모드(S700) 사이에는 선후관계가 없기 때문에 상기 주행 모드(S200)와,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와, 오른쪽 회전 모드(S400)와, 왼쪽 회전 모드(S500)와, 비상 점등 모드(S600), 및 도난 방지 모드(S700)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시작 모드(S1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를 신체의 2지점인 양팔(201a, 201b) 상부(202a, 202b)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버튼(216)을 한번 눌러 켜면 진행되며, 상기 스피커부(218)에서 구동음이 울리고, 제1 광원부(230)가 주황색 광을 3번 정도 점멸하고, 제2 광원부(240)가 빨간색 광을 상기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 보다 약하게 발광한다.
상기 주행 모드(S200)에서는 주행 중에 도 5와 같이 제2 광원부(240a, 240b)가 빨간색 광을 상기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 보다 약하게 발광하면서 상시켜짐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는 주행 중에 사용자가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진행되며, 사용자가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하면 상기 제2센서(242)가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도 6과 같이 제2 광원부(240a, 240b)의 빨간색 광이 상기 주행 모드(S200) 보다 강하게 발광하거나 강하게 점멸하면서 후방에 있는 다른 운전자에게 감속 중이거나 제동 중인 것을 알린다.
다시, 사용자가 운행을 시작하거나 속도를 증가시키면 제2센서(242)가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2 광원부(240a, 240b)의 빨간색 광이 다시 약하게 발광하면서 상시켜짐 상태로 유지되면서 감속 또는 제동 모드(S300)에서 주행 모드(S200)로 전환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오른쪽 회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왼쪽 회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비상 점등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자전거를 탄 사용자의 개략 배면도이다.
상기 오른쪽 회전 모드(S400)는 주행 중에 사용자가 우회전을 하고자 할 때 진행되며, 이때 오른팔(201a)을 살짝 흔들면 오른팔(201a)에 위치된 스트랩 발광기(200)의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도 7과 같이 사용자의 오른팔(201a)에 장착된 스트랩 발광기(200)의 제1 우측 광원부(230a)가 주황색 광을 15초 동안 점멸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15초 동안 점멸하는 것의 시간은 임의로 변경가능하며, 사용자가 오른팔(201a)을 다시 살짝 흔드는 경우에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원부(240a, 240b)의 빨간색 광은 주행 모드(S200)에서와 같이 약하게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왼쪽 회전 모드(S500)는 주행 중에 사용자가 좌회전을 하고자 할 때 진행되며, 이때 왼팔(201b)을 살짝 흔들면 왼팔(201b)에 위치된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왼팔(201b)에 장착된 제1 좌측 광원부(230b)가 주황색 광을 15초 동안 점멸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15초 동안 점멸하는 것의 시간은 임의로 변경가능하며, 사용자가 왼팔(201b)을 다시 살짝 흔드는 경우에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원부(240)의 빨간색 광은 주행 모드(S200)에서와 같이 약하게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비상 점등 모드(S600)는 주행 중에 급정거를 하거나 사고 등을 후방에 알리고자 할 때 사용되며, 양쪽팔(201a, 201b)을 살짝 흔들면 오른팔(201a)과 왼팔(201b)에 각각 위치된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도 9와 같이 사용자의 오른팔(201a)에 장착된 제1 우측 광원부(230a)와 왼팔(201b)에 장착된 제1 좌측 광원부(230b)가 주황색 광을 15초 동안 점멸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15초 동안 점멸하는 것의 시간은 임의로 변경가능하며, 사용자가 양쪽팔(201a, 201b)을 다시 살짝 흔드는 경우에 소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광원부(240a, 240b)의 빨간색 광은 주행 모드(S200)에서와 같이 약하게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자전거(204)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인 이동수단에 고정하여 이동 중에 어느 한쪽을 점등하여 방향성을 나타내며, 점멸과 같은 비상 상황이나 현재 상태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스트랩 발광기(200)를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0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의 도난 방지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자전거의 도난 방지킷과 스트랩 발광기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도난 방지 모드(S700)는 퍼스널 모빌리티인 자전거(204)에 도난 방지 키트(262)가 장착되고, 상기 도난 방지 키트(262)와 스트랩 발광기(200) 사이에 무선 송수신되도록 스트랩 발광기(200)의 제어부(250)에 수신부(301)가 형성된 경우이다.
상기 도난 방지 키트(262)에는 무선 송신부(262a)가 형성되고, 상기 송신부(262a)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250)의 무선 수신부(301)에서 수신한다.
상기 도난 방지 모드(S700)는 퍼스널 모빌리티인 자전거(204)에 도난 방지 키트(262)가 장착되고, 사용자가 상기 도난 방지 키트(262)의 클락션 스위치(262b)를 온(On)시킨 상태에서 자전거(204)를 정차시키고 일정 거리 멀어진 경우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자전거(204)를 주차하고 근처 편의점에서 물건을 사거나 하는 등의 용무를 보는 경우에 타인이 무단으로 자전거(204)에 접근해서 자전거(204)를 만지거나 이동시킬려고 할 때, 상기 도난 방지 키트(262)에서 경보음이 발생됨과 동시에 도난 방지 키트(262)의 송신부(262a)에서 상기 제어부(250)에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도난 방지 모드(S700) 상태를 진행하여 스피커부(218)에서 경보음을 울리고, 제1 우측 광원부(230a)와 제1 좌측 광원부(230b)가 주황색 광을 점멸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즉각적으로 자전거(204)의 위치 및 상황을 파악하게 되어 도난 방지 효과가 발생된다.
도 11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양팔목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양어깨 뒷면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가 사용자의 헬멧 뒤의 양측에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 후면도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는 사용자의 팔(201) 상부(202)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도 11과 같이 사용자의 양팔목(204a, 204b)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양팔목(204a, 204b)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그 구조와 작용은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양팔(201a, 201b) 상부(202a, 202b)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토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장착된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나머지 구조와 작용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는 도 12와 같이 사용자의 양어깨 뒷면(206a, 206b)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양어깨 뒷면(206a, 206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트랩 본체(210a, 210b)가 원형으로 감싸는 형태가 아니고 어깨에 부착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양어깨 뒷면(206a, 206b)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그 구조와 작용은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양팔(201a, 201b) 상부(202a, 202b)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토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장착된 위치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나머지 구조와 작용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는 도 13과 같이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208a, 208b)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208a, 208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트랩 본체(210a, 210b)가 원형으로 감싸는 형태가 아니고 허리 뒷면 양측(208a, 208b)에 부착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208a, 208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양팔(201a, 201b) 상부(202a, 202b)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토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가 사용자의 허리 뒷면 양측(208a, 208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른쪽 회전 모드(S400), 왼쪽 회전 모드(S500) 및 비상 점등 모드(S600)에서 적용과정이 스트랩 발광기(200)를 사용자의 팔(201) 상부(202)에 장착할 때와 상이하다.
즉, 오른쪽 회전 모드(S400)를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오른팔(201a)을 이용하여 허리 뒷면 오른쪽에 장착된 우측 스트랩 발광기(200a)를 흔들어야 한다.
그리고 왼쪽 회전 모드(S500)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왼팔(201b)을 이용해서 허리 뒷면 왼쪽에 장착된 좌측 스트랩 발광기(200b)를 흔들어야 한다.
상기 비상 점등 모드(S600)를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허리를 흔들거나 팔을 이용해서 우측 스트랩 발광기(200a)와 좌측 스트랩 발광기(200b)에 모두 진동을 전달한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도 14와 같이 사용자의 헬멧 뒤의 양측(209a, 209b)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헬멧 뒷면 양측(209a, 209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트랩 본체(210a, 210b)가 원형으로 감싸는 형태가 아니고 헬멧 뒷면 양측(209a, 209b)에 서로 이격되어 부착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헬멧 뒷면 양측(209a, 209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양팔(201a, 201b) 상부(202a, 202b)에 장착된 경우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0을 토대로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이 있어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인 스트랩 발광기(200a, 200b)가 사용자의 헬멧 뒷면 양측(209a, 209b)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른쪽 회전 모드(S400), 왼쪽 회전 모드(S500) 및 비상 점등 모드(S600)에서 적용과정이 스트랩 발광기(200a, 200b)를 사용자의 팔(201) 상부(202)에 장착할 때와 상이하다.
즉, 오른쪽 회전 모드(S400)를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머리를 오른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이거나 돌리면 상기 우측 스트랩 발광기(200a)의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오른쪽 회전 모드(S400)가 진행된다.
그리고 왼쪽 회전 모드(S500)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머리를 왼쪽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이거나 돌리면 상기 좌측 스트랩 발광기(200b)의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왼쪽 회전 모드(S500)가 진행된다.
상기 비상 점등 모드(S600)를 적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머리를 좌우로 흐들면 제1센서(232)가 진동을 감지하여 비상 점등 모드(S600)가 진행된다.
주행을 마친 사용자가 상기 전원버튼(216)을 다시 한번 눌러 끄면 종료 모드(S800)가 작동되어 스피커부(218)에서 작동 정지음이 울리고 제2 광원부(240)의 빨간색 광이 소등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200: 스트랩 발광기 210: 스트랩 본체
212: 제1연결부 214: 제2연결부
216: 전원버튼 218: 스피커부
230: 제1 광원부 232: 제1센서
240: 제2 광원부 250: 제어부
262: 도난 방지 키트 270: 충전 포트

Claims (6)

  1. 스트랩 본체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광원부와,
    상기 스트랩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광원부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광원부들 중 제1 광원부에 형성되며 진동을 감지하는 제1센서 및
    상기 광원부들 중 제2 광원부에 형성되며 속도변화를 감지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본체에 진동이 감지되면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제1 광원부가 점등되고, 속도변화가 감지되면 제2센서에 의해 제2 광원부가 점등되며,
    상기 스트랩 본체를 오른팔과 왼팔에 각각 착용한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눌러서 작동을 시작하는 시작 모드와,
    사용자가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중에 제2 광원부가 상시켜짐 상태로 발광하는 상태인 주행 모드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상기 제2센서가 속도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2 광원부가 상기 주행 모드 보다 강하게 발광하거나 강하게 점멸하는 감속 또는 제동 모드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우회전을 하고자 할 때 오른팔을 흔들면 오른팔에 위치된 제1센서가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오른팔에 장착된 제1 광원부가 점멸하고, 상기 제2 광원부의 광은 주행 모드에서와 같이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오른쪽 회전 모드와,
    주행 중에 사용자가 좌회전을 하고자 할 때 왼팔을 흔들면 왼팔에 위치된 제1센서가 진동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왼팔에 장착된 제1 광원부가 점멸하고, 상기 제2 광원부의 광은 주행 모드에서와 같이 발광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왼쪽 회전 모드와,
    전원버튼을 다시 눌러서 작동을 정지시키는 종료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와 제2 광원부는 서로 상이한 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도난 방지 신호 수신을 위한 무선 수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본체의 일측에는 제1연결부가 연장 형성되고, 스트랩 본체의 타측에는 제2연결부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가 제2연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가 비상 상황을 전달하고자 할 때 진행되는 비상 점등 모드와,
    도난 방지를 위한 상황에서 진행되는 도난 방지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발광기.
KR1020190158189A 2019-02-26 2019-12-02 스트랩 발광기 KR10214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89A KR102147454B1 (ko) 2019-12-02 2019-12-02 스트랩 발광기
PCT/KR2019/016876 WO2020175770A1 (ko) 2019-02-26 2019-12-02 스트랩 발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189A KR102147454B1 (ko) 2019-12-02 2019-12-02 스트랩 발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454B1 true KR102147454B1 (ko) 2020-08-25

Family

ID=7224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189A KR102147454B1 (ko) 2019-02-26 2019-12-02 스트랩 발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4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6215A1 (en) * 2003-02-04 2004-08-12 William Wooldridge Instrumented garment
US20080089056A1 (en) * 2006-10-06 2008-04-17 Ronald Grosjean Illuminated Apparel
JP3149542U (ja) * 2009-01-19 2009-04-02 楊梨瑩 自転車走行補助装置
KR20130048875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엠엔에스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
KR20180043708A (ko) 2016-10-20 2018-04-30 박우영 스마트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6215A1 (en) * 2003-02-04 2004-08-12 William Wooldridge Instrumented garment
US20080089056A1 (en) * 2006-10-06 2008-04-17 Ronald Grosjean Illuminated Apparel
JP3149542U (ja) * 2009-01-19 2009-04-02 楊梨瑩 自転車走行補助装置
KR20130048875A (ko) * 2011-11-03 2013-05-13 주식회사 엠엔에스 착용형 자전거용 안전장치
KR20180043708A (ko) 2016-10-20 2018-04-30 박우영 스마트 방향 지시등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396B2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interactive illuminated apparel and accessories
US20030213045A1 (en) High visibility safety garment
US20080089056A1 (en) Illuminated Apparel
US10039336B2 (en) Helmet lighting system
US9096174B1 (en) Motorcycle jacket with turn signals
US9781958B2 (en) Brake and turn signal gear
JP6531299B2 (ja) 多機能スマートバックパック
US8629766B2 (en) Portabl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O2006096595A2 (en) Illuminated headwear
US20160185280A1 (en) Hands free bicycle signaling system
US20060109645A1 (en) Hand worn illuminated framework
US20150366275A1 (en) Wearable Signaling Device
US20150374061A1 (en) Auto-powered safety equipment
US11717045B2 (en) Helmet lighting system
GB2550318A (en) Cyclist accessory system
KR102147454B1 (ko) 스트랩 발광기
US20040070256A1 (en) Safety belt guarding sleeve equipped with a luminous apparatus
WO2020175770A1 (ko) 스트랩 발광기
US20020118532A1 (en) Illuminated helmet with swiveling head lamp
JP2006134345A (ja) 交通信号棒(Trafficlightstick)
US11879625B1 (en) Versatile arm-wearable illumination device with wireless control and glittering effect
US20160341417A1 (en) Illuminating Safety Glove
US11927763B1 (en) Headsets for mobile device
KR200493944Y1 (ko) 스트랩 발광기
US11320137B2 (en) Neck supported chest and back mobile ligh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