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50B1 -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50B1
KR102147350B1 KR1020200074821A KR20200074821A KR102147350B1 KR 102147350 B1 KR102147350 B1 KR 102147350B1 KR 1020200074821 A KR1020200074821 A KR 1020200074821A KR 20200074821 A KR20200074821 A KR 20200074821A KR 102147350 B1 KR102147350 B1 KR 10214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nnection
support
pai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영
Original Assignee
김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영 filed Critical 김문영
Priority to KR102020007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10
"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연결구의 제1연결관에 연결되어 중심연결봉을 중심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한 쌍의 지지대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11
" 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구의 제2연결홈에 결합된 제2연결관에 끼워져 지지대 쪽으로 접어지고, 지지대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상부건조틀을 구비하고, 양측지지대 사이에 중간건조틀을 구비하며, 상부건조틀과 양측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인데 상부건조틀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12
" 테두리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개의 걸이봉을 배치하여 각 걸이봉의 양단부는 테두리 연결공에 끼워져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에 의거 긴장되게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고, 상측건조틀과 지지대 사이에 접이형으로 되는 버팀대를 설치하여 상부건조틀을 펼칠 때, 일정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중간건조틀은 양측지지대 사이에 개입되어 접어지고 펼쳐지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지지대와 같이 접어지고 펼쳐지며, 견고성이 유지되게 제작이 됨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아져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되게 한 빨래 건조대이다.

Description

빨래 건조대{Dry hanger for laundry}
본 발명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01
"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연결구의 제1연결관에 연결되어 중심연결봉을 중심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한 쌍의 지지대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02
" 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구의 제2연결홈에 결합된 제2연결관에 끼워져 지지대 쪽으로 접어지고, 지지대 바깥쪽으로 펼쳐지는 상부건조틀을 구비하고, 양측지지대 사이에 중간건조틀을 구비하며, 상부건조틀과 양측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대가 설치되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인데 상부건조틀은 "
Figure 112020063239065-pat00003
" 테두리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개의 걸이봉을 배치하여 각 걸이봉의 양단부는 테두리 연결공에 끼워져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에 의거 긴장되게 결합되어 이탈이 방지되게 고정되고, 상측건조틀과 지지대 사이에 접이형으로 되는 버팀대를 설치하여 상부건조틀을 펼칠 때, 일정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중간건조틀은 양측지지대 사이에 개입되어 접어지고 펼쳐지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지지대와 같이 접어지고 펼쳐지며, 견고성이 유지되게 제작이 됨으로써, 조립이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아져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빨래 건조대는 양측지지대 상단을 중심지지대 양측 연결구에 연결하고, 양측지지대 상단연결구 내측에 별도의 연결구를 끼워서 상부건조틀의 연결부를 연결하여 상부건조틀이 절첩되게 하므로 두개의 연결구 중심지지봉에 끼워야 하는 불편이 있고,(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0-0008285) 지지대와 상부건조틀 사이에 착탈형 버팀대를 설치하므로, 제작이 복잡하고 조작이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실용신안등록 제20-0201899)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축 양단에 힌지형 연결구(10)를 끼워 제1연결홈에 결합된 제1연결관에 양측지지대의 상단을 연결하고, 제2연결홈에 결합된 제2연결관에 상부건조틀의 내측단을 연결하여 접고 펼칠 수 있게 하며, 양측지지대 중간부에 접고펼 수 있는 중간건조틀을 설치하고, 상부건조틀과 양측지지대 사이에 버팀대를 설치하는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며,
상부건조틀은 테두리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수개의 걸이봉을 배치하여, 각 걸이봉의 양단부는 상부건조틀의 테두리에 형성한 연결공에 끼워서 제1체결구와 제2체결구를 사용하여 연결공에서 확장되어 분리되지 않게 고정하고, 중간건조틀은 양측지지대에서 착탈되면서 중간부가 접히고, 펴지도록 양측에 합성수지제 지지구를 개입하여 결합하고, 양측지지대와 상부건조틀 사이에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중간부 지지축을 중심으로 접히고 펼쳐지며, 상하단이 양측지지대의 연결봉과 상부건조틀의 걸이봉 사이에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상부건조틀과 함께 접고 펴지면서 상부건조틀과 지지대의 버팀대는 펼칠 때, 버팀작용이 확고하게 조립형으로 구성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사용과 관리가 편리하여 경쟁력 있는 제품이 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부건조틀의 테두리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걸이봉을 파이프 부재로 선택하여 양단부가 상부건조틀의 테두리에 형성한 연결공에 끼워지면 걸이봉의 관체 중심으로 제1체결구를 끼워 확장시킴으로써, 걸이봉의 외주가 테두리 연결공에 긴장되게 결합되고, 제1체결구 중심으로 제2체결구가 강제 투입되어 제1체결구의 확장된 외주를 지지하게 되므로, 걸이봉의 양단부를 건조틀 테두리에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나사를 내거나 용접을 하는 수단을 동원하지 않고, 건조틀과 걸이봉을 결합시킬 수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능률적인 작업이 되므로 생산비를 절감시켜 경쟁력이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중간건조틀은 양측지지구를 합성수지제로 성형하여 중간연결부가 지지봉에 결합되는 접이형으로 구성하고, 중간연결부에서 바깥쪽으로 수개의 연결봉을 배치하고, 양단부에 연결공을 형성하되, 연결공의 하단을 개방하여 양측지지대의 연결봉에 결합할 수 있게 개방부 내경을 연결공 하단이 연결공 내경 보다 작게 함으로써, 연결공을 지지대의 연결봉에 강제 결합할 수 있고, 분리할 수 있으며, 결합후에는 양측지지대가 접어질 때는 중간건조틀의 지지부가 중간지지봉을 중심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므로, 양측지지대가 펼쳐질 때는 양측지지대의 펼침거리를 제한하여 건조틀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고, 상부건조틀과 지지대 사이에는 합성수지제로 되어 중간연결부에 연결봉이 결합된 접이형 버팀대가 구성되어 양단연결부에 장방형 연결공이 구성되고, 저면에 개방부를 가지게 되므로, 버팀대를 지지대와 상부건조틀 사이에 개입시켜 상부건조틀이 접어질 때는 같이 접어지고, 상부조건틀이 펼질 때 같이 펼쳐서 버팀대를 직선화시키면 상부건조틀과 지지대 사이를 받치게 되므로 상부 건조틀의 펼침을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 버팀대는 상측연결봉이 상향으로 휘어져 있어서 접을 때 걸이봉에 간섭되지 않아 완전하게 접어지는 이점이 있고, 지지대 상단연결구는 제1연결관과 제2연결관이 하나의 연결구에 배치되어 지지대와 상부건조틀이 결합되는 이점이 있으며,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작이 편리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제작비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므로, 경쟁력 있는 제품공급이 달성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가'선단면도
도 3은 버팀대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을 접은 상태 예시도
도 5는 상단연결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상단연결부 제2연결홈에서 연결관을 분리한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조립도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
도 10은 상부건조틀과 걸이봉의 결합부 분해도
도 11은 도 10의 제1체결구 결합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제2체결구 결합단면도
도 13은 중간건조틀 지지구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4는 버팀간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27
"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연결봉(11) 양단부에 결합된 힌지형 연결구(10)의 제1연결관(10a)에 각각 결합하여 내측으로 접어지고, 외측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지지대(1)(1a)와,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28
" 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단이 상기 힌지형 연결구(10)의 제2연결홈(12)에 결합된 제2연결관(12a)에 각각 끼워져서 상하방향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한 쌍의 상부건조틀(3)(3a)과,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a)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건조틀(3)(3a)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중간건조틀(4)과 상기 상부건조틀(3)(3a)과 지지대(1)(1a)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대(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건조틀(3)(3a)은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29
" 형으로 형성된 테두리(3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주보게 연결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31) 간에 관체로 된 걸이봉(32)의 양단부를 끼워 나란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테두리(30)의 상기 연결공(31)으로 노출된 상기 걸이봉(32)의 중심구멍에, 내측 내경은 상기 연결공(31)의 외경보다 작고, 바깥쪽 외경은 상기 연결공(31)의 내경보다 크며, 중심부에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결합공(3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3a)의 외측 벽에 분할홈(33b)이 형성된 제1체결구(33)를 강제 박음하여 상기 걸이봉(32)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체결구(33)의 중심부결합공(33a)에 상기 결합공(33a)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2체결구(34)를 강제 박음하여 상기 걸이봉(32)의 양단을 확장시켜 상기 테두리(30)의 상기 연결공(31)에 긴장되게 고정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중간건조틀(4)은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내측단부에 연결부(40a)를 형성하여 연결부 중심공을 중심연결봉(41) 양단에 끼워 접히고 펴지게한 한 쌍의 지지구(40)를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a)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구(40)에 수 개의 연결봉(42)을 배치하며, 상기 지지구(40) 외측단에 연결공(40c)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40c) 외주가 하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대(1)(1a)의 연결봉(1b)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결합부(40d)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1b)에 강제 결합하는 구성이며, 받침대(5)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내측단부에 연결부(50a)(50b)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 (50a)(50b) 중심공이 중심연결봉(51) 양단이 끼워져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의 버팀간(50)(50')이 형성되고, 상기 버팀간(50)(50') 외측단에 장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에 개방부(52a)가 형성된 연결공(52)이 상기 상부건조틀(3)(3a)의 상기 걸이봉(32)과 상기 지지대(1)(1a)의 연결봉(1c) 사이에 착탈가능케 결합하고, 상측버팀간(50')은 상기 연결공(52) 쪽이 상향으로 휘어지게 한 구성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힌지형 연결구(10)는 제2결합홈(12)에 축돌기(12')가 형성되어 제2연결관(12a)의 연결공(12b)이 결합하고, 연결공(12b)을 양측에 안내홈(12c)이 형성되어 축돌기구멍(12")에서 연결공(12b)으로 볼트(12d)가 결합되어 너트(12e)가 나사조임된다.
1,1a : 지지대 1b : 연결봉
1c : 연결봉 3,3a : 상부건조틀
4 : 중간건조틀 5 : 받침대
5' : 상측버팀간 10 : 힌지형 연결구
10a : 제1연결관 11 : 연결봉
12 : 제2연결홈 12' : 축돌기
12" : 축돌기구멍 12a : 제2연결관
12b : 연결공 12c : 안내홈
12d : 볼트 12e : 너트
30 : 테두리 31 : 연결공
32 : 걸이봉 33 : 제1체결구
33a : 결합공 33b : 분할홈
34 : 제2체결구 40 : 지지구
40a : 연결부 40b : 결합부
40c : 연결공 40d : 결합부
41 : 중심연결봉 42 : 연결봉
50 : 버팀간 50a,50b : 연결부
51 : 중심연결봉 52 : 연결공
52a : 개방부

Claims (1)

  1.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07
    " 형으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연결봉(11) 양단부에 결합된 힌지형 연결구(10)의 제1연결관(10a)에 각각 결합하여 내측으로 접어지고, 외측으로 펼쳐지는 한 쌍의 지지대(1)(1a)와,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08
    " 형으로 형성되어 내측단이 상기 힌지형 연결구(10)의 제2연결홈(12)에 결합된 제2연결관(12a)에 각각 끼워져서 상하방향으로 접어지고 펼쳐지는 한 쌍의 상부건조틀(3)(3a)과,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a)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건조틀(3)(3a)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중간건조틀(4)과 상기 상부건조틀(3)(3a)과 지지대(1)(1a) 사이에 배치되는 받침대(5)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건조틀(3)(3a)은 "
    Figure 112020083528529-pat00009
    " 형으로 형성된 테두리(30)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마주보게 연결공(31)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공(31) 간에 관체로 된 걸이봉(32)의 양단부를 끼워 나란하게 유지시키고, 상기 테두리(30)의 상기 연결공(31)으로 노출된 상기 걸이봉(32)의 중심구멍에, 내측 내경은 상기 연결공(31)의 외경보다 작고, 바깥쪽 외경은 상기 연결공(31)의 내경보다 크며, 중심부에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결합공(33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3a)의 외측 벽에 분할홈(33b)이 형성된 제1체결구(33)를 강제 박음하여 상기 걸이봉(32)의 양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제1체결구(33)의 중심부결합공(33a)에 상기 결합공(33a)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2체결구(34)를 강제 박음하여 상기 걸이봉(32)의 양단을 확장시켜 상기 테두리(30)의 상기 연결공(31)에 긴장되게 고정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중간건조틀(4)은 합성수지제로 성형되어 내측단부에 연결부(40a)를 형성하여 연결부 중심공을 중심연결봉(41) 양단에 끼워 접히고 펴지게한 한 쌍의 지지구(40)를 상기 한 쌍의 지지대(1)(1a)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지지구(40)에 수 개의 연결봉(42)을 배치하며, 상기 지지구(40) 외측단에 연결공(40c)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공(40c) 외주가 하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지지대(1)(1a)의 연결봉(1b)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진 결합부(40d)를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1b)에 강제 결합하는 구성이며, 받침대(5)는 합성수지제로 형성되어 내측단부에 연결부(50a)(50b)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 (50a)(50b) 중심공이 중심연결봉(51) 양단이 끼워져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의 버팀간(50)(50')이 형성되고, 상기 버팀간(50)(50') 외측단에 장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에 개방부(52a)가 형성된 연결공(52)이 상기 상부건조틀(3)(3a)의 상기 걸이봉(32)과 상기 지지대(1)(1a)의 연결봉(1c) 사이에 착탈가능케 결합하고, 상측버팀간(50')은 상기 연결공(52) 쪽이 상향으로 휘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래 건조대.
KR1020200074821A 2020-06-19 2020-06-19 빨래 건조대 KR10214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21A KR102147350B1 (ko) 2020-06-19 2020-06-19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821A KR102147350B1 (ko) 2020-06-19 2020-06-19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350B1 true KR102147350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821A KR102147350B1 (ko) 2020-06-19 2020-06-19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59B1 (ko) * 2020-09-10 2021-08-25 이안제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419U (ko) * 1997-02-19 1998-10-26 신태현 세탁물 건조대
KR200164233Y1 (ko) * 1999-07-31 2000-02-15 이판생 절첩식빨래건조대의절첩연결구이탈방지구조
KR200254941Y1 (ko) * 2001-08-27 2001-11-27 전영숙 빨래건조대의 빨래걸이봉 결합구조
KR101183349B1 (ko) * 2011-08-19 2012-09-14 박진상 접이식 빨래건조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419U (ko) * 1997-02-19 1998-10-26 신태현 세탁물 건조대
KR200164233Y1 (ko) * 1999-07-31 2000-02-15 이판생 절첩식빨래건조대의절첩연결구이탈방지구조
KR200254941Y1 (ko) * 2001-08-27 2001-11-27 전영숙 빨래건조대의 빨래걸이봉 결합구조
KR101183349B1 (ko) * 2011-08-19 2012-09-14 박진상 접이식 빨래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59B1 (ko) * 2020-09-10 2021-08-25 이안제 조립식 빨래 건조대 및 그 연결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4073A1 (en) Clothes hanging stand device
CA2743173C (en) Canopy tent
US9565932B2 (en) Portable garment hanging system for a portable wardrobe bag
KR102147350B1 (ko) 빨래 건조대
KR20130000511U (ko) 텐트
KR100813705B1 (ko) 지주 결합구 및 이를 이용한 다용도 선반장치
US8296879B2 (en) Foldable bed
WO2021012536A1 (zh) 连接件、扣接件及应用该连接件、扣接件的休闲床
CN207295272U (zh) 一种伸缩吊衣杆
KR20130058330A (ko) 텐트 지지폴의 지지용 허브장치
CN104862934A (zh) 一种便携式折叠晾衣架
KR102600707B1 (ko) 콤비형 대형텐트 프레임
CN201687258U (zh) 按钮式折叠篷
KR101976072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JPH0537781Y2 (ko)
JP3667309B2 (ja) 折り畳み支持脚及びこれを用いたテーブル
KR102100218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JPS602833Y2 (ja) コ−ナ−用組立棚
KR20200002820U (ko) 접이식 건조대
CN202971458U (zh) 连接件及具有该连接件的床架
CN211380595U (zh) 可折叠展架
CN218304318U (zh) 一种尺寸可调节的人体模型
KR200396802Y1 (ko) 행거용 수평봉의 고정구
CN216514711U (zh) 一种可伸缩折叠晾衣架
KR100567084B1 (ko) 폴대형 세탁물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