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302B1 -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302B1
KR102147302B1 KR1020130123192A KR20130123192A KR102147302B1 KR 102147302 B1 KR102147302 B1 KR 102147302B1 KR 1020130123192 A KR1020130123192 A KR 1020130123192A KR 20130123192 A KR20130123192 A KR 20130123192A KR 102147302 B1 KR102147302 B1 KR 10214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al
display device
video display
mod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167A (ko
Inventor
김소연
이아름
남지완
이삼수
이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3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 되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컨텐츠에 해당하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기분 또는 감정을 반영하여 그에 대응하는 감성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디지털 TV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에서 감성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감성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감성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때, 영상 표시 기기의 전력 소모가 기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때와 같거나 그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 되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컨텐츠에 해당하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 되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컨텐츠에 해당하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감성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 감성 모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기기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의 Live 버튼을 통해 영상 표시 기기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성 모드의 진입 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감성 모드 진입 시 디스플레이 되는 감성 컨텐츠의 예를 보여준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메모리를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감성 USB 메모리가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된 경우, 외부 입력 목록 창에 감성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감성 UI를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한 감성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점 선택 입력을 통해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 표시 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 표시 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 표시 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 표시 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 표시 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 표시 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전원 버튼(291), 채널 버튼(293), 감성 모드 버튼(295) 및 LIVE 버튼(297)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291)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버튼(293)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감성 모드 버튼(295)은 후술할 감성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버튼일 수 있다.
LIVE 버튼(297)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모드는 전원 온(ON) 모드, 전원 오프(OFF) 모드 및 감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온(ON) 모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전부 활성화되어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즉, 전원 온 모드는 도 1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구성 요소가 활성화 상태에 있어 동작 가능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전원 오프(OFF) 모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전부 비활성화되어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즉, 전원 오프 모드는 도 1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구성 요소가 비활성화 상태에 있어 동작 불가능한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감성 모드는 전원 온 모드와 같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전부 ON 되거나, 전원 오프 모드와 같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전부 OFF 되어 있지 않고, 일부 기능들만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즉, 감성 모드는 도 1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일부 구성 요소만이 활성화되어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 모드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 중 일부 프로세서만이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감성 모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복수의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모든 백라이트를 다 켜지 않고, 일부 백라이트만이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감성 모드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거나,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한 입력 신호만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의 모드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모드는 전원 온 모드에서와 같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구성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실시간 방송을 수신하여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지 않는 모드일 수 있다.
감성 모드는 위의 예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구성 요소 및 동작이 활성화될 수 있는 범위보다 작은 범위에서 동작하는 모드일 수 있다.
감성 모드는 전원 온 모드에 비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구성이 동작하지 않아 전력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서 동작하는 경우, 저 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감성 모드는 대기 모드(stand-by mode), 홈 갤러리 모드(Home Gallery mode) 등 다양한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다(S101).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을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291)에 사용자의 푸쉬 동작이 수행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 경우 및 전원이 오프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을 푸쉬함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등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를 벗어나 전원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온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3번째 푸쉬),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온 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3번째 푸쉬), 영상 표시 기기(100)는 다시 감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4번째 푸쉬),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온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온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재차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면(3번째 푸쉬),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291)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2초 또는 3초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온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전원 버튼(291)의 푸쉬시간 보다 길게 누르는(Long Press)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Live 버튼(297)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은 2초 또는 3초 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100)에서 실시간 방송프로그램이 디스플레이 되기 위한 Live 버튼(297)의 푸쉬 보다 길게 누르는(Long Press)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Live 버튼(297)을 길게 눌러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진입하는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의 Live 버튼을 통해 영상 표시 기기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Life+는 감성모드의 서비스명일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오프 모드에 있는 경우,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Live 버튼(297)을 길게 누르면(long press),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진입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 각각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온 모드 또는 방송 프로그램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 등,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Live 버튼(297)을 길게 누르면(long press),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고, 진입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 중 하나의 감성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선택한 감성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컨텐츠가 표시된 상태에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전 키(Back key) 입력을 수신하면,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시 도 4를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공중파 방송 시간이 아닌 경우, 전원 버튼(291)을 푸쉬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등과 같이 서비스를 다른 기기로부터 제공받고 있거나, 컨텐츠의 전송과 같이 다른 기기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방송 시청에 제한이 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별도로 감성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입력 없이 자동으로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채널 버튼을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 또는 채널 버튼이 아닌 원격제어장치(200)에 별도로 구비된 감성 모드 버튼을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 또는 모션 인식을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별도의 로컬 키(local key)를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컬 키는 감성 모드 버튼(295)일 수 있고,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의 감성 모드 버튼(295)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바로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별도의 로컬 키(local key)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로컬 키 입력이 수신되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영상 표시 기기(100)에 구비된 별도의 로컬 키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 및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 각각 디스플레이되는 감성 컨텐츠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에 구비된 별도의 로컬 키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한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디폴트된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100)의 채널 버튼을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100)의 채널 버튼(293)이 도시되어 있다. 특히, 0번 채널 버튼(293)은 방송 채널에 할당되지 않은 버튼일 수 있고, 사용자가 0번 채널 버튼(293)을 푸쉬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채널 버튼(293)의 예시로 0번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방송 채널이 할당되지 않는 번호이면 어느 번호이든 상관없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을 인식하여 감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모션을 인식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을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전원 버튼의 푸쉬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 또는 사용자의 모션 인식에 대응될 수 있고, 전원 버튼의 재차 푸쉬는 사용자의 음성 재차 인식 또는 사용자의 모션 재차 인식에 대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또는 모션이 아닌 다른 음성 또는 모션을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별도의 음성 또는 모션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해당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해당 모션을 취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이를 인식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및 모션의 조합을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동그라미를 그리며, 동시에 ?갤????라고 발화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이를 인식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사용자의 동그라미 모션과 ?갤???? 음성은 예시에 불과하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아닌 별도의 입력 장치를 통해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입력 장치는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타블렛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입력 장치에는 원격제어장치(200)와 같이 원격으로 영상 표시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입력 장치에 설치된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영상 표시 기기(100)를 감성 모드에 진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원격제어장치(200)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일 수 있고, 사용자는 원격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원격제어장치(200)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어 영상 표시 기기(100)를 감성 모드에 진입시킬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 한다(S103).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의 진입에 따라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다(S105). 영상 표시 기기(100)의 감성 모드는 복수의 감성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감성 모드는 복수의 감성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진입하면,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감성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의 구획된 일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감성 모드 진입 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컨텐츠로,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사용자에게 감성적인 느낌을 줄 수 있는 음악, 사진(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형태의 컨텐츠 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진입하면, 단계 S105 과정 이전에 감성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감성 모드의 진입 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에는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181_1~9)가 표시될 수 있다. 각 감성 오브젝트(181)는 감성 컨텐츠를 나타내는 섬네일(Thumnail)을 표시할 수 있고, 각 감성 오브젝트(181)하단에는 감성 컨텐츠의 제목(Contents Title)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감성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선택한 감성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또다른 예의 감성 모드 초기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즉,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에는 복수의 대표 카테고리(183_1~3)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각 대표 카테고리(183)는 서로 관련 있는 감성 컨텐츠를 묶어 놓은 카테고리로 사용자가 해당 대표 카테고리(183)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대표 카테고리에 포함된 하위의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은 2-depth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재 진입 했을 경우,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보여준다.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온 모드 또는 전원 오프 모드에 있다가 감성 모드에 재 진입 했을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이전에 재생된 감성 컨텐츠를 이어볼 수 있는 기능을 팝업 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팝업 창을 통해 이전에 재생된 감성 컨텐츠를 이어볼 수 있거나, 이어 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팝업 창의 확인 버튼을 선택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이전에 재생 중이던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고, 팝업 창의 닫기 버튼을 선택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할 시 표시되는 감성 컨텐츠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감성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디폴트로 설정된 감성 컨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에 진입할 때마다 서로 다른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 진입 시 마다 다른 감성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하나의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른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가 표시되는 순서 및 감성 컨텐츠의 표시가 유지되는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복수의 시간대 각각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시간대가 출근 시간대, 퇴근 시간대, 취침 시간대를 포함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한 시간을 확인하여 각 시간대 별로 다른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감성 컨텐츠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감성 컨텐츠 이용 패턴에 따라 감성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컨텐츠의 이용 횟수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감성 컨텐츠의 이용 횟수를 분석하여 가장 많이 이용된 감성 컨텐츠를 감성 모드의 진입 시 제일 먼저 표시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예에 대해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의 감성 모드 진입 시 디스플레이 되는 감성 컨텐츠의 예를 보여준다.
도 9는 감성 컨텐츠가 수족관 형태의 동영상으로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수족관 내의 물고기가 계속 돌아다니는 영상을 표시하여 가정 내에 큰 어항을 설치해 놓은 효과를 줄 수 있다. 수족관 내의 물고기는 항상 같은 경로가 아닌 랜덤한 경로로 움직이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에는 단순히 수족관 형태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동작 인식 또는 모션 리모콘의 활용을 통해 물고기에게 밥주기, 어항 때리기, 수초 심기, 물고기 추가, 낚시 등의 액션에 대응하는 동작이 디스플레이부(180)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물고기에게 밥주기, 어항 두드리기 등과 같은 동작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동작과 그에 대응하는 액션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터치했을 때, 표시된 물고기가 달아나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모션 리모콘을 이용한 경우, 사용자가 모션 리모콘의 커서를통해 수족관 형태의 감성 컨텐츠의 특정 영역을 클릭하면, 물고기 밥 주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모션 리모컨의 방향 인식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수족관을 치는 듯한 동작이 인식되면, 어항 두드리기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1은 감성 컨텐츠가 명화 형태의 사진으로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의 진입 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명화만이 계속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다양한 명화가 슬라이드 쇼 형태로 계속 변경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0의 감성 컨텐츠를 계속 표시할 수도 있고, 도 11의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11의 감성 컨텐츠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가지의 명화만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의 진입 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복수의 명화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명화 카테고리는 화가별로 정리된 명화 카테고리, 특정 미술관에 안치된 명화 카테고리, 특정 화풍에 해당하는 명화 카테고리, 특정 시대(고전미술, 현대미술)에 해당하는 명화 카테고리 및 특정 장르 별(예를 들어, 수채화, 수묵화, 유화)로 정리된 명화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명화가 디스플레이 되는 도중 디스플레이부(180)는 화면의 하단에 가상 아이콘을 더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가상 아이콘이 선택되면, 표시되고 있는 명화가 안치된 미술관의 내부 전경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미술관을 가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명화가 디스플레이 되는 도중 해당 명화에 대한 큐레이션(curat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감성 컨텐츠가 홈 케어링(home caring)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 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집 내부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집 내부 영상을 통해 아이들이나, 애완동물을 모니터링하고 케어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오프되어 있으나,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면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집 밖에 있는 스마트 기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집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영상 표시 기기(100)는 아이들이 시청하기 유익한 프로그램 목록, 프로그램 가이드,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고, 애완동물을 케어링하기 위해 애완동물의 주인(사용자)의 목소리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감성 컨텐츠가 날씨 위젯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위젯은 창(window), 컨트롤 버튼, 메뉴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GUI일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 할 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날씨 위젯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날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날씨 위젯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실시간 교통 정보, 실시간 주식 정보, 실시간 신문 기사의 헤드라인 정보, 실시간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등에 대한 위젯 일 수 있다.
또한, 날씨 위젯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정 영역에만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정 영역만이 사용됨에 따라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실시간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날씨 위젯은 특정 시간 예를 들어, 출근 시간대에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날씨 위젯은 사용자의 ?????라는 음성이 인식된 경우, 표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감성 컨텐츠가 음악의 재생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예를 보여준다.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 할 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음악의 재생 정보인 해당 오디오 파일의 제목, 재생 상황, 해당 오디오 파일이 수록된 앨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오디오 파일에 대응하는 음악이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는 재생되고 있는 오디오 파일과 관련한 뮤직 비디오를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스피커가 스마트 기기에 블루투스, 무선 도킹(wireless docking)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에 있는 음악을 웅장한 사운드로 감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에 있는 음악뿐 아니라, 영상 표시 기기(100)에 있는 음악,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접속된 외장 하드, 메모리 카드 등에 저장된 음악 들도 감상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4의 감성 컨텐츠 실시 예외에도 영상 표시 기기(100)는 다양한 감성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는 밤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의 정지 영상으로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통해 특정 영역 선택을 수신하면, 별자리 찾기 등의 액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성 컨텐츠는 시간대마다 다른 하늘의 전경을 보여줄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일출, 아침, 오후, 일몰, 저녁, 밤에 해당하는 시간대 마다 다른 하늘의 전경을 표시할 수 있고, 이 경우, 맑음, 흐림, 비, 눈 등과 같이 실제 날씨가 반영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계절마다 변하는 별자리 영상을 표시하여 감성 컨텐츠가 아이들에게 별자리의 교육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는 가족 사진 또는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가 액자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집안 내부의 인테리어를 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사진,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는 화초 키우기를 지원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화초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수신하여 화초에 물을 줄고, 햇빛을 쬐어 주는 등의 액션이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는 캠프 파이어를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모닥불이 타는 모습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할 시 장작에 불이 붙기 시작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이 세졌다가 점차 꺼지는 모습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 때, 장작이 타는 소리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는 명상과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명상과 관련된 잔잔하고 안정적인 모습에 대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잔잔한 음악 및 명상에 관련된 멘트도 함께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영상 표시 기기(100)는 특정 시간대, 예를 들어, 취침시간대에 숙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진 또는 영상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백라이트를 통해 명상에 적합한 분위기를 내도록 은은한 빛을 출력 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영상 표시 기기(100) 주변에 배치된 조명의 조도를 인식하여 인식한 조명의 조도에 대응되도록 백라이트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는 자연과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산, 강, 바다, 숲 등의 아름다운 경치와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 및 세계 유명 국립공원, 유명한 여행지, 유명 건출물과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표시 기기(100)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스마트 기기 등의 입력 장치의 입력을 통해 물수제비 띄우기, 눈사람 만들기, 떨어지는 낙엽잡기, 습기찬 유리창에 글쓰기 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는 우주와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다양한 행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스마트 기기 등의 입력 장치의 입력을 통해 줌인, 줌아웃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는 파티와 관련된 사진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파티의 분위기에 적절한 음악 또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는 메모 창을 제공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일정 영역에 메모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메모 창을 통해 메시지를 남겨 놓고, 제2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100)를 감성 모드로 진입시키면, 해당 메모 창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고, 제2 사용자는 제1 사용자가 남겨놓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설명한다.
그 후,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된 감성 컨텐츠의 변경을 요청하는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하고(S107),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이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다(S109).
일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은 원격제어장치(200)의 감성 모드 버튼 또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감성 모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진입하여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 후,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다른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거나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으로 돌아가 사용자로 하여금 감성 컨텐트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트 변경 요청은 사용자의 '감성 모드 변경' 이라는 음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에 진입하여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한 후,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기기(100)가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200)는 다른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거나 USB와 같은 외부 입력 포트를 사용한 외부 입력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감성 컨텐츠는 USB와 같은 외부 입력 포트를 사용한 외부 입력 저장 장치에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다.
그 후,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111).
만약,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를 종료한다(S113).
일 실시 예에서 감성 모드 종료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전원 버튼 또는 감성 모드 종료를 위한 로컬 키를 통해 종료될 수 있다. 감성 모드 종료를 위한 로컬 키는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로컬 키와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감성 모드는 감성 모드 진입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감성 모드의 진입 시 별도의 메뉴 창을 통해 감성 모드의 유지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감성 모드가 종료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 종료 전의 모드로 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 종료 전 전원 온 모드에 있는 경우, 감성 모드가 종료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반대로,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 종료 전 전원 오프 모드에 있는 경우, 감성 모드가 종료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전원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감성 모드의 종료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동작 또는 음성을 통해 감성 모드가 종료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15는 감성 모드 진입 입력 전송한 주체에 따라 다른 감성 컨텐츠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구체화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4의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다(S201).
영상 표시 기기(100)는 수신한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이 감성 모드 진입을 위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로컬 키로부터 수신되었는지 원격제어장치(200)의 감성 모드 버튼으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03).
만약,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이 영상 표시 기기(100)의 로컬 키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1 감성 컨텐츠를 표시하고(S205),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이 영상 표시 기기(100)이외의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제2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다(S207). 일 실시 예에서 제1 감성 컨텐츠와 제2 감성 컨텐츠는 서로 다른 컨텐츠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구비된 로컬 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감성 모드에 진입할 시 표시되는 감성 컨텐츠 일 수 있고, 제2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아닌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감성 모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외부 입력 장치에 구비된 감성 모드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받아 감성 모드에 진입할 시 표시되는 감성 컨텐츠 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오프 모드에 진입하기 전, 전원 온 모드에서 사용자가 시청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과 관련 있는 감성 컨텐츠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 표시 기기(100)가 전원 오프 모드에 진입하기 전, 전원 온 모드에서 사용자가 시청한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미술작품에 관한 프로그램이었고, 영상 표시 기기(100)의 로컬 키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을 입력 받은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0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화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2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감성 컨텐츠는 특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시청했던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의 내역이 반영된 결과의 컨텐츠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는 일주일 동안 사용자가 시청했던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을 확인할 수 있고, 음악 채널의 프로그램의 시청 횟수가 가장 많은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1 감성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감성 컨텐츠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시 디폴트로 설정된 감성 컨텐츠 일 수 있다. 즉, 제2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 이외의 장치를 통해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 표시되는 컨텐츠로 감성 모드의 진입 시 디폴트로 설정된 컨텐츠 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로부터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표시되는 컨텐츠이고, 제2 감성 컨텐츠는 영상 표시 기기(100) 이외의 장치로부터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표시되는 컨텐츠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반대로 제2 감성 컨텐츠가 영상 표시 기기(100)로부터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표시되는 컨텐츠이고, 제1 감성 컨텐츠가 영상 표시 기기(100) 이외의 장치로부터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한 경우에 표시되는 컨텐츠 일 수 있다.
그 후, 영상 표시 기기(100)는 표시된 감성 컨텐츠의 변경을 요청하는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을 수신하는지 확인하고(S209),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이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컨텐츠 변경 요청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를 표시한다(S211).
그 후,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213).
만약,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를 종료한다(S215).
다음으로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5의 내용에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감성 모드 진입 입력을 수신하여(S301), 수신된 감성 모드 진입 입력에 따라 감성 모드로 진입한다(S303).
일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는 USB 메모리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USB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편의상,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파일들을 포함하는 USB 메모리를 감성 USB 메모리라 명명한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기기(100)가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전원 온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감성 USB 메모리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접속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동작 모드를 전원 온 모드에서 감성 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모든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전원 오프 모드에서 감성 USB 메모리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켜지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영상 표시 기기(100)의 동작 모드가 전원 오프 모드에 있고, 감성 USB 메모리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켜지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감성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SB 메모리를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하여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7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기기(100)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감성 USB 메모리(300)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감성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문의하는 문의 메시지 창(40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문의 메시지 창(400)의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감성 USB 메모리(300)가 연결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문의 메시지 창(400)을 표시하지 않고, 바로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6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감성 컨텐츠를 저장한 USB 메모리가 연결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에는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감성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감성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를 위해, USB 메모리에는 감성 컨텐츠 및 감성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프로그램 파일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감성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성 USB 메모리가 영상 표시 기기(100)에 연결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 가능한 외부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알려주는 외부 입력 목록 창에 감성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감성 UI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감성 USB 메모리가 영상 표시 기기에 연결된 경우, 외부 입력 목록 창에 감성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감성 UI를 표시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감성 USB 메모리(300)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되는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외부 입력 목록 창(500)을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목록 창(500)은 복수의 외부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입력 박스 각각은 영상 표시 기기(100)와 연결 가능한 복수의 외부 입력 기기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박스 각각은 해당 외부 입력 기기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박스 중 USB 메모리에 대한 외부 입력을 나타내는 USB 외부 입력 박스(510)는 감성 UI(511)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도 18에서와 같이, 외부 입력 목록 창(500)에 표시된 USB 외부 입력 박스(510)에는 감성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감성 UI(510)가 표시될 수 있다. 감성 UI(511)는 영상 표시 기기(100)에 연결된 USB 메모리가 감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감성 USB 메모리임을 Life+라는 명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성 UI(511)에는 감성 USB 메모리(30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감성 UI(511)에 감성 USB 메모리(300)에 저장된 감성 컨텐츠 1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즉, 감성 컨텐츠 1이 이미지인 경우, 감성 UI(511)에는 감성 컨텐츠 1의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감성 컨텐츠 1이 동영상인 경우, 동영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USB 외부 입력 박스(5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스크롤 버튼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 버튼은 감성 USB 메모리(300)에 저장된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제공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USB 외부 입력 박스(510)의 일측과 타측에 스크롤 버튼(513,515)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크롤 버튼(513,515)을 선택하여 감성 USB 메모리(300)에 저장된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 UI(511)가 감성 컨텐츠 1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스크롤 버튼(513)이 선택되는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성 UI(511)는 감성 컨텐츠 2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감성 UI(511)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입력 목록 창(500)의 표시는 사라지고, 디스플레이부(18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감성 USB 메모리(300)를 영상 표시 기기(100)에 연결하는 과정만으로 감성 USB 메모리(300)에 저장된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감성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에 더하여 원격제어장치(200)는 감성 모드에서 사용되도록 그 동작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200)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위치한다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본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원격제어장치(200)가 좌 또는 우로 90도 회전하여 가로로 위치한다면, 영상표시기기(100)의 감성 모드를 조작하도록 그 동작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진입 버튼, 감성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버튼 등 감성 모드를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가로로 위치하여 감성 모드에 사용될 수 있는 버튼을 통해 감성 모드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재생될 감성 컨텐츠를 선택하고(S305), 선택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한다(S307). 일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감성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저장부(140)에 기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감성 컨텐츠는 감성 USB 메모리(300)가 영상표시기기(100)에 연결된 경우, 감성 USB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특정한 기준에 기초하여 재생될 감성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이전 감성 모드의 진입 시 재생 했던 감성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이전 감성 모드의 진입 시 재생 했던 감성 컨텐츠의 종료 시점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감성 모드의 재 진입 시 저장된 감성 컨텐츠의 종료 시점을 이용하여 이전의 감성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과거에 재생했던 감성 컨텐츠의 재생 내역에 기초하여 재생될 감성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재생된 횟수를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을 수 있고, 영상표시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재생된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을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70)는 감성 컨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통해 재생될 감성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 시 감성 모드의 초기화면은 복수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감성 오브젝트(181_1~9)가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감성 오브젝트가 선택되면, 선택된 감성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감성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20 내지 도 2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목록 창(500)의 USB 외부 입력 박스(510)의 감성 UI(51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감성 컨텐츠가 선택되어 재생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표기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할 시 표시되는 초기화면일 수 있다.
영상 표시 기기(100)가 감성 모드로 진입하면, 디스플레이부(180)는 감성 컨텐츠의 명칭(610), 감성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620), 감성 컨텐츠의 기본 정보(630), 감성 컨텐츠의 상세 정보(640) 및 다운로드 아이콘(650)을 표시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의 명칭(610)은 해당 감성 컨텐츠를 식별하는 이름일 수 있다.
감성 컨텐츠의 썸네일 이미지(620)는 해당 감성 컨텐츠의 미리보기 이미지일 수 있다.
감성 컨텐츠의 기본 정보(630)는 감성 컨텐츠가 나타내는 저작물의 작가, 작가의 국적, 제작년도, 재생시간, 해상도, 크기, 파일 사이즈 등에 대한 설명을 포함할 수 있다.
감성 컨텐츠의 상세 정보(640)는 감성 컨텐츠가 나타내는 저작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저작물의 촬영 장소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운로드 아이콘(650)은 해당 감성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영상 표시 기기(100)에 저장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운로드 아이콘(650)이 선택되면,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해당 감성 컨텐츠를 다운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성 컨텐츠 썸네일 이미지(620)가 선택되면, 해당 감성 컨텐츠는 재생될 수 있다. 해당 감성 컨텐츠가 명화 그림에 대한 컨텐츠인 경우, 도 23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감성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는 도중, 감성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재생 컨트롤 영역(660)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재생 컨트롤 영역(660)은 프로그래스 바(661), 이전 파일 재생 버튼(662), 화면 일시 정지 버튼(663), 다음 파일 재생 버튼(664), 상세 정보 이동 버튼(665), 사운드 옵션 선택 버튼(666), 반복 재생 버튼(667), 전원 오프 설정 타이머 버튼(66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스 바(661)은 해당 감성 컨텐츠의 재생에 대한 추이를 나타내는 바일 수 있다.
이전 컨텐츠 재생 버튼(662)은 이전에 재생되었던 감성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키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화면 일시 정지 버튼(663)은 해당 감성 컨텐츠를 일시적으로 정지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화면 일시 정지 버튼(663)은 감성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미도시)와 토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컨텐츠 재생 버튼(664)은 다음 순서의 감성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상세 정보 이동 버튼(665)은 재생되고 있는 감성 컨텐츠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사운드 옵션 선택 버튼(666)은 해당 감성 컨텐츠의 재생 중 특정한 음악, 또는 BGM을 같이 재생시키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반복 재생 버튼(667)은 해당 감성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재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반복 재생 버튼(667)은 전체 감성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전체 컨텐츠 반복 버튼(미도시) 및 복수의 감성 컨텐츠 중 하나의 감성 컨텐츠를 랜덤하게 재생할 수 있는 랜덤 재생 버튼(미도시)과 토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전원 오프 설정 타이머 버튼(668)은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 버튼일 수 있다. 전원 오프 설정 타이머 버튼(668)은 선택된 경우, 바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전원이 꺼질 수 있으며, 30분 버튼(미도시), 60분 버튼(미도시), 120분 버튼(미도시) 및 180분 버튼(미도시) 등과 토글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도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른 감성 컨텐츠의 재생이 요청된 경우, 프로그래스 바(661)의 길이는 재생이 요청된 다른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만큼 연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3에서 재생되고 있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이 3분임을 가정하고, 새롭게 재생이 요청된 다른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이 5분임을 가정하고, 현재 재생 중인 감성 컨텐츠가 처음부터 1분까지 재생될 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다른 감성 컨텐츠의 재생을 요청 받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기존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3분에 대응하는 프로그래스 바(661)의 길이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생 요청된 다른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 5분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연장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된 프로그래스 바(661)를 통해 감성 컨텐츠를 시청한 총 시간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재생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하나 이상의 특징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09).
일 실시 예에서 특징점은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 중에서 스케일링의 기준이 되는 지점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징점은 감성 컨텐츠의 영상 복수의 사람 얼굴을 포함하는 경우, 각 사람 얼굴 상의 한 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감성 컨텐츠의 영상에 포함된 객체 상의 한 지점의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감성 컨텐츠의 영상에서 특징점의 존재 여부는 감성 컨텐츠의 제작 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하나 이상의 특징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각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스케일링 하여 순차적으로 재생한다(S311). 일 실시 예에서 선택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복수의 특징점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복수의 특징점 각각의 위치를 중심으로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줌인 또는 줌 아웃 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복수의 특징점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특징점 각각에 대응하는 영상의 재생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5 내지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특징점의 위치에 기초한 감성 컨텐츠의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5를 참조하면, 하나의 감성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재생되고 있고, 해당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은 3개의 특징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감성 컨텐츠는 명화 이미지임을 가정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은 제1 특징점(A), 제2 특징점(B) 및 제3 특징점(C)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특징점은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나타난 객체 상의 한 지점일 수 있다.
제1 특징점(A), 제2 특징점(B) 및 제3 특징점(C)은 각기 다른 재생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 우선 순위는 제1 특징점(A), 제2 특징점(B) 및 제3 특징점(C) 순일 수 있다. 이 경우, 초기에 표시된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은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5초)의 경과 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특징점(A)의 위치를 중심으로 화면이 이동되어, 제1 특징점(A)을 중심으로 해당 감성 컨텐츠의 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다시 5초가 경과하면, 제2 특징점(B)의 위치를 중심으로 화면이 이동되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특징점(B)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감성 컨텐츠의 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다시 5초가 경과하면, 제3 특징점(C)의 위치를 중심으로 화면이 이동되어,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특징점(C)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당 감성 컨텐츠의 영상이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설명한다.
한편, 선택된 감성 컨텐츠의 영상에 특징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제어부(170)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한다(S307).
감성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재생되는 영상의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지점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S313), 제어부(170)는 지점 선택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제어한다(S315). 일 실시 예에서 지점 선택 입력은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감성 컨텐츠의 영상 중 특정 지점에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입력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지점 선택 입력은 감성 컨텐츠의 영상 중 특정 지점에 포인터를 위치시킨 후, 원격제어장치(200)의 선택 버튼을 통해 포인터가 위치한 곳을 선택하는 입력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감성 컨텐츠의 영상 중 특정 지점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지점에 영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지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특정 지점의 위치에 지점 선택 입력에 대응하는 영상 효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점 선택 입력을 통해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감성 컨텐츠의 영상 중 특정 지점에 포인터(700)가 위치하고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포인터(700)를 특정 지점(D)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포인터(700)가 특정 지점(D)에 위치하면,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지점(D)을 중심으로 불꽃놀이의 영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점 선택 입력을 통한 영상 효과는 감성 컨텐츠의 속성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 컨텐츠가 야경에 관한 이미지인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지점 선택 입력을 통해 불꽃놀이의 영상 효과를 감성 컨텐츠의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감성 컨텐츠가 겨울 풍경에 대한 이미지 인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지점 선택 입력을 통해 눈이 내리는 영상 효과를 감성 컨텐츠의 영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6을 설명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영상 표시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도 25에 도시된 감성 컨텐츠의 영상 중 제2 특징점(B)을 선택하는 지점 선택 입력을 수신하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특징점(B)의 위치를 중심으로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하는지 확인한다(S317).
만약, 외부로부터 감성 모드의 종료를 위한 감성 모드 종료 입력을 수신된 경우, 영상 표시 기기(100)는 감성 모드를 종료한다(S31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5)

  1.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 되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컨텐츠에 해당하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 각각은 재생 우선 순위를 가지고,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는
    각 특징점이 갖는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특징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특징점이 갖는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특징점의 위치를 이동하여 각 특징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감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USB 메모리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하여 상기 감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모든 구성 요소가 활성화 상태에 있는 전원 온 모드에 서 동작하는 단계 및
    상기 USB 메모리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전원 온 모드에서 상기 감성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USB 메모리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영상 표시 기기와 연결 가능한 외부 입력 기기들의 목록을 나타내는 외부 입력 목록 창에 상기 감성 모드를 식별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USB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슬라이드 형식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UI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스크롤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추이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는 단계; 및
    다른 감성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만큼 상기 프로그래스 바의 길이를 연장시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표시 기기의 동작 방법.
  11. 영상 표시 기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표시 기기의 일부 기능만이 활성화 되는 감성 모드의 진입을 위한 외부 입력을 방송 채널의 프로그램이 아닌 컨텐츠에 해당하는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영상에 존재하는 하나의 이상의 특징점을 확인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특징점 각각은 재생 우선 순위를 가지고,
    상기 제어부는
    각 특징점이 갖는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특징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특징점이 갖는 재생 우선 순위에 따라 특징점의 위치를 이동하여 각 특징점의 위치를 중심으로 상기 감성 컨텐츠의 영상을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감성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USB 메모리를 상기 영상표시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USB 메모리가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모드를 전원 온 모드에서 상기 감성 모드로 변경시키는
    영상 표시 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에 대한 추이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를 표시하며, 다른 감성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감성 컨텐츠의 전체 재생 시간만큼 상기 프로그래스 바의 길이를 연장시켜 표시하는
    영상 표시 기기.
KR1020130123192A 2013-10-16 2013-10-16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4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92A KR102147302B1 (ko) 2013-10-16 2013-10-16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92A KR102147302B1 (ko) 2013-10-16 2013-10-16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67A KR20150044167A (ko) 2015-04-24
KR102147302B1 true KR102147302B1 (ko) 2020-08-24

Family

ID=53036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192A KR102147302B1 (ko) 2013-10-16 2013-10-16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344B1 (ko) 2019-01-02 202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여러 타입의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88B1 (ko) * 2004-02-13 2007-04-03 이규용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자액자장치 및 전자액자 수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882B1 (ko) * 2006-10-27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임머신 기능을 가지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50555B1 (ko) * 2008-12-18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에 인물 사진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69961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이미지 표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88B1 (ko) * 2004-02-13 2007-04-03 이규용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자액자장치 및 전자액자 수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167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72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direction-specific media assets
EP3096514A1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US9380282B2 (en) Providing item information during video playing
US8494346B2 (en) Identifying a performer during a playing of a video
US9798464B2 (en) Computing device
JP2019194904A (ja) 画像のグループについてのテキスト色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9124950B2 (en) Providing item information notification during video playing
JP5968337B2 (ja) メディア推薦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20249575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related digital images
CN101523392A (zh) 个人化幻灯片放映生成
WO2021103398A1 (zh) 一种智能电视以及服务器
US20120102431A1 (en) Digital media frame providing customized content
US20140298215A1 (en) Method for generating media collections
CN108200464A (zh) 智能电视以及便于选择教育课程内容的方法
CN104427376A (zh) 信息显示装置、信息显示方法以及计算机程序
CN108307222A (zh) 智能电视以及基于显示设备中访问主页应用上内容的方法
CN108235091A (zh) 智能电视以及基于显示设备中访问主页应用上内容的方法
US20180356945A1 (en) Counter-top device and services for displaying, navigating, and sharing collections of media
US20150178955A1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CN108307221A (zh) 智能电视以及便于选择教育课程内容的方法
US9715336B2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KR102104350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47302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50178315A1 (en) Digital art systems and methods
US20150199835A1 (en) Tools for creating digital 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