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47B1 - 귀마개 - Google Patents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47B1
KR102147147B1 KR1020180059087A KR20180059087A KR102147147B1 KR 102147147 B1 KR102147147 B1 KR 102147147B1 KR 1020180059087 A KR1020180059087 A KR 1020180059087A KR 20180059087 A KR20180059087 A KR 20180059087A KR 102147147 B1 KR102147147 B1 KR 10214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lugs
thrust
thin film
disposed
ear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993A (ko
Inventor
곽현욱
Original Assignee
곽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현욱 filed Critical 곽현욱
Priority to KR102018005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47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Abstract

귀마개가 도시된다. 귀마개는 누름 동작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 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 동작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추력부, 외이도의 깊이 방향의 일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추력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박막부, 상기 추력부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외이도의 상기 깊이 방향의 타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귀마개 {EARPLUG}
본 발명은 청력 보호를 위한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귀 부위에 착용 가능한 귀마개에 대한 것이다.
귀마개는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귀마개는 소음 차단용, 방한용, 방수용이 있다.
일 예로, 귀마개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다. 소음 차단용 귀마개는 건설 현장, 공장, 공항 등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소음 차단용 귀마개는 실리콘, 스펀지, 솜, 면화, 수지 등 사람의 피부에 밀착이 용이한 소재를 채택하고 있다.
소음 차단용 귀마개는 사람의 귀에 용이하게 착용 가능하도록 인체공학에 기초하여 설계되고 있다. 특히, 실생활뿐만 아니라, 특수 환경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발명은 주변 상황에 따라 소음 허용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가 용이한 귀마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는, 누름 동작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 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 동작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추력부, 외이도의 깊이 방향의 일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추력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박막부, 상기 추력부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외이도의 상기 깊이 방향의 타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귀마개를 용이하게 개폐함으로써 소음 허용치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부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발명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된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 및 이에 상응한 기능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10)는 박막부(101), 제1 추력부(103), 지지부(105), 몸체부(107) 및 버튼부(109)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귀마개(10)는 소음을 저감/차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귀마개(10)는 단축된 상태이다. 일 예로, 단축된 상태란, 후술할 박막부(101)가 직선 이동하여 박막부(101) 및 삽입부(105) 간의 거리가 가장 짧은 경우일 수 있다.
박막부(101)는 귀의 외이도에 밀착된다. 이를 위해, 박막부(101)는 소프트 재질일 수 있다. 일 예로, 박막부(101)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 합성수지 등 외이도의 피부에 밀착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박막부(101)는 제1 추력부(103)의 일 단에 배치되어,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의해 외이도의 깊이 방행의 일 단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박막부(101)는 외이도의 깊이 방향의 일 단에 밀착 가능하다.
제1 추력부(103)은 직선 왕복 이동한다. 제1 추력부(103)는 버튼부(109)의 일 단에 배치되어,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추력부(103)는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따른 스프링의 직선 힘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추력부(103)는 버튼부(109)의 제1 누름 동작으로 삽입부(105)의 외측 방향(버튼부(109)의 반대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추력부(103)는 상기 제1 누름 동작에 연속되는 버튼부(109)의 제2 누름 동작으로 삽입부(105)의 내측 방향(버튼부(109)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축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1 추력부(103)의 일 단에는 박막부(101)가 배치된다. 제1 추력부(103)의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박막부(101)가 외에도에 밀착되거나 밀착 해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추력부(103)의 일 단은 외이도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추력부(103)는 제1 추력부(103)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는 소음 가이드공(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추력부(103)의 소음 가이드공에 연결되는 복수의 홀이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복수의 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가 소음 안내공을 통해 외이도 내부로 전파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105) 및 몸체부(107)에는 복수의 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삽입부(105)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삽입부(105)는 외이도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삽입부(105)는 외이도의 일 부분에 밀착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05)는 외이도의 깊이 방향의 타 단에 밀착 가능하다.
삽입부(105)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홀은 외부의 소리가 삽입부(105) 내측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일 예로, 박막부(101)가 단축된 상태인 경우, 삽입부(105)의 복수의 홀을 통해 들어온 소리가 외이도를 통해 귀의 내부를 자극할 수 있다.
몸체부(109)는 제1 추력부(103), 삽입부(105) 및 버튼부(109)를 지지한다. 몸체부(109)는 귀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일 수 있다.
몸체부(109)는 제1 추력부(103)가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109)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09)의 일 단은, 삽입부(105)에 형성된 복수의 홀과 연접되는 복수의 홀이 몸체부(109)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귀마개(10)는 연장된 상태이다. 여기서, 연장된 상태란, 상술한 박막부(101)가 직선 이동하여 박막부(101) 및 삽입부(105) 간의 거리가 멀어진 경우일 수 있다. 일 예로,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의해, 박막부(101)는 삽입부(105)의 외측 방향(버튼부(109)의 반대로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10')는 박막부(101'), 제1 추력부(103'), 삽입부(105'), 몸체부(107'), 버튼부(109'), 제2 추력부(111) 및 스프링(1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추력부(103') 및 제2 추력부(111)를 통칭하여 또는 별개로 추력부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의 상술한 구성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추력부(111)는 직선 왕복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 추력부(111)는 버튼부(109')의 직선 운동에 기초하여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추력부(111)의 일 단은 버튼부(109')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추력부(111)는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제2 추력부(111)의 타 단은 제1 추력부(103')의 일 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추력부(111)는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따른 힘을 제1 추력부(103')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추력부(111)의 타 단 및 제1 추력부(103')의 일 단 사이에 지지부(11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15)는 제1 추력부(103') 및 제2 추력부(111)의 직선 운동시 몸체부(107')의 내벽에 의해 가이드 될 수 있다.
스프링부(113)는 귀마개(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스프링부(113)는 귀마개(10')의 단축된 상태에서 연장된 상태이고, 귀마개(10')의 연장된 상태에서 단축된 상태이다.
스프링부(113)의 일 단은 버튼부(109')의 일 단에 배치되고, 스프링부(113)의 타 단은 몸체부(107')의 제1 돌출부(107'-1) 배치된다.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따라, 스프링부(113)는 버튼부(109')의 일 단 및 몸체부(107')의 제1 돌출부(107'-1)에 지지되어 압축될 수 있다.
몸체부(107')는 제2 돌출부(10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출부(105'-1)는 삽입부(105')가 걸림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105')는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과 같은 소프트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7')는 상기 삽입부(105')의 복수의 홀과 연결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05')의 복수의 홀 및 몸체부(107')의 복수의 홀을 통해 소리가 유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귀마개(10')는 연장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귀마개(10')는 버튼부(109')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추력부(103'')는 일 방향으로 휘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추력부(103'')가 휘어져 형성됨에 따라, 박막부(101'')는 굴곡진 외이도의 형상에 더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삽입부(105,105') 및 박막부(101, 101', 101'')는 외이도에 밀착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박막부(101''') 및 제1 추력부(103''')는 몸체부(107'')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박막부(101''') 및 제1 추력부(103''')는 버튼부(109'')의 눌림 동작에 의해 몸체부(107'')의 내부를 직선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된 상태에서, 박막부(101''')는 몸체부(101''')의 내부에 밀착되어 소리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단축된 상태에서, 박막부(101''')는 몸체부(101''')의 내부에서 유격되어 소리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박막부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추력부(103'''')는 돌기(103''''-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03''''-1)는 박막부(101'''')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박막부(101'''')는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마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귀마개(10''')는 걸림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림부(115)는 귓바퀴 외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걸림부(115)는 귓바퀴 내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귀마개(10''')를 귀에 지지하기 위한 방안은 상술한 실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헬멧은 귀마개(10''')가 결합가능한 결합부가 배치되고, 귀마개(10''')는 상기 결합부에 결착되어 헬멧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버튼부(109, 109', 109'')의 누름 동작을 통해 박막부(101, 101', 101'', 101''', 101'''')가 외이도에 쉽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09, 109', 109'')의 재 누름 동작에 의해 박막부(101, 101', 101'', 101''', 101'''')는 외이도로부터 소정 거리 유격될 수 있다. 즉, 귀마개(10, 10', 10'', 10''')의 누름 조작을 통해, 귀마개(10, 10', 10'', 10''') 사용자는 외부의 소리를 쉽게 저감/차단하거나 들을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예에서, 버튼부(109, 109', 109'')의 누름 동작시, 귀마개(10, 10', 10'', 10''')의 단축 상태 및 연장된 상태의 동작 및 고정은 개시된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귀마개(10, 10', 10'', 10''')의 단축 상태 및 연장된 상태의 동작 및 고정은 clicky ballpen의 구동에 관한 US 특허 공보 3,205,863 및 3,819,282가 참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귀마개: 10, 10', 10'', 10'''
박막부: 101, 101', 101'', 101''', 101''''
제1 추력부: 103, 103', 103'', 103''', 103''''
삽입부: 105, 105' 몸체부: 107, 107', 107''
버튼부: 109, 109' 제2 추력부: 111
스프링: 113
걸림부: 115

Claims (6)

  1. 소음 저감을 위한 귀마개에 있어서,
    누름 동작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일 단에 배치되어, 상기 누름 동작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는 추력부;
    외이도의 깊이 방향의 일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추력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박막부;
    상기 추력부의 직선 왕복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외이도의 상기 깊이 방향의 타 단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단에 배치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막부는,
    상기 추력부의 상기 직선 왕복 이동에 따라 직선 왕복 이동하여 상기 삽입부와 유격 가능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부의 외측 소음이 상기 삽입부의 내측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상기 외측에서 상기 삽입부의 상기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의 홀은,
    상기 삽입부의 상기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의 일 단을 관통하는 제2 복수의 홀과 연결되는, 귀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부의 상기 일 단은,
    상기 박막부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귀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부는,
    상기 제1 복수의 홀 및 상기 제2 복수의 홀을 따라 전달되는 상기 삽입부의 상기 외측 소음을 상기 외이도의 내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버튼부의 상기 누름 동작에 의해 단축되는, 귀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 단은,
    상기 삽입부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된, 귀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력부의 일 단은,
    상기 외이도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일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 귀마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타 단은,
    귓바퀴의 내측에 밀착되거나 귓바퀴의 외측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부가 배치된, 귀마개.

KR1020180059087A 2018-05-24 2018-05-24 귀마개 KR102147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087A KR102147147B1 (ko) 2018-05-24 2018-05-24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087A KR102147147B1 (ko) 2018-05-24 2018-05-24 귀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93A KR20190133993A (ko) 2019-12-04
KR102147147B1 true KR102147147B1 (ko) 2020-08-24

Family

ID=6900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087A KR102147147B1 (ko) 2018-05-24 2018-05-24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066B2 (ja) * 1997-09-11 2001-03-12 株式会社海産物のきむらや 乾燥・消臭・殺菌機能付き調理用具収納箱及びこの収納箱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構造
JP5552187B2 (ja) * 2007-10-31 2014-07-16 ティ エイチ エックス リミテッド イヤホン装置
KR101716323B1 (ko) 2015-03-19 2017-03-14 이봉혜 소음차단용 귀마개
KR101831575B1 (ko) 2015-01-19 2018-02-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회선형 음향 혼을 가진 청력 보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066U (ja) * 2008-07-14 2008-09-25 克彦 廣井 遮音用耳栓
EP3091953A1 (en) * 2014-01-10 2016-11-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lded foam push-to-fit earplug, method and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066B2 (ja) * 1997-09-11 2001-03-12 株式会社海産物のきむらや 乾燥・消臭・殺菌機能付き調理用具収納箱及びこの収納箱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構造
JP5552187B2 (ja) * 2007-10-31 2014-07-16 ティ エイチ エックス リミテッド イヤホン装置
KR101831575B1 (ko) 2015-01-19 2018-02-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회선형 음향 혼을 가진 청력 보호 장치
KR101716323B1 (ko) 2015-03-19 2017-03-14 이봉혜 소음차단용 귀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993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3761B2 (en) Direct tympanic drive via a floating filament assembly
JP5934358B2 (ja) イヤーピースパッシブノイズ減衰
KR102441833B1 (ko) 피부미용 마스크
KR102114921B1 (ko) 선택적 감쇠 귀마개
JP5262702B2 (ja) イヤホン構造体及びイヤホン
US8573353B2 (en) Long-wearing deep-insertion ear tip
EP3280158B1 (en) Hearing aid
EP2739065A1 (en) Bone transmission earphone
CA2661990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WO2009083842A2 (en) A device for use with an eye protector
US11146878B2 (en) Hearing device
ATE298550T1 (de) Ohrenschützer mit kopfhörer
US11381897B2 (en) Variable eartip for earphone
US8811644B2 (e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sound of a loud-speaker to the ear and equipment fitted with such member
KR102147147B1 (ko) 귀마개
KR101827535B1 (ko) 스마트폰으로 제어되는 안경 탈부착식 골도 보청기 및 안경다리 모듈형 골도 및 기도 보청기
US20080170734A1 (en) Sound transmitting device
KR101866783B1 (ko) 강제통풍기능을 가지는 이어폰
US20210321187A1 (en) Earphone
KR102115271B1 (ko) 듀얼 마이크를 구비한 골 전도용 헤드셋
US20080170714A1 (en) Sound transmitting device
US20110088964A1 (en) Stethoscope Having An Elliptical Headpiece And Amplified Earpieces
KR102147150B1 (ko) 귀마개
JP2019146275A (ja) イヤホン
JP2016158131A (ja) 骨伝導イヤホンおよ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