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09B1 -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 Google Patents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09B1
KR102147109B1 KR1020190061975A KR20190061975A KR102147109B1 KR 102147109 B1 KR102147109 B1 KR 102147109B1 KR 1020190061975 A KR1020190061975 A KR 1020190061975A KR 20190061975 A KR20190061975 A KR 20190061975A KR 102147109 B1 KR102147109 B1 KR 102147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elements
outlet
separation plate
contac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최성훈
강동균
임인섭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1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characterised by grooves, e.g. their pitch or dep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5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the reactant or coolant channels having varying cross s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판에 구비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이 위치에 따라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분리판 입구로부터 분리판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분리판의 후류측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물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이 위치에 따라 접촉 각도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분리판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접촉 각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반응 기체가 기체 확산층의 표면에 보다 집중될 수 있으므로, 분리판의 출구측에서 반응 기체의 농도가 감소하더라도 반응 기체 확산이 잘 이루어져 성능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Bipolar pla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본 발명은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채널 요소들의 위치에 따라 각 채널 요소의 폭과 접촉 각도를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연료전지 후단에서도 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연료의 산화에 의해서 생기는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장치이다. 상기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및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수소 이온을 투과시킬 수 있는 고분자를 전해질막으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이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 스택은,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애노드와 캐소드가 구비된 전극층을 구비하는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반응 기체들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가스 확산층(Gas Diffusion Layer, GDL), 반응 기체들을 가스 확산층으로 공급하고 발생된 물을 배출시키는 분리판(Bipolar plate)을 포함한다.
종래의 분리판은 반응기체와 물의 흐름이 2차원 형상의 유로를 통해 흐르도록 구성되나, 입구 영역에서 출구 영역으로 살수록 달라지는 반응물과 생성물의 유동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연료전지의 출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366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판의 입, 출구에서 달라지는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채널 요소들의 설계 파라미터를 변화시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분리판 입구와,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반응기체나 반응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의 접촉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배치되고, 전,후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분리판 출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입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보다 단면적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각도는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분리판 입구와,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반응기체나 반응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기체 확산층의 표면에 소정의 접촉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전,후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 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채널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입구로부터 상기 분리판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각 채널 요소의 폭은 감소하고, 상기 접촉각도는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폭과 상기 접촉각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한다.
본 발명은, 분리판에 구비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이 위치에 따라 폭이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분리판 입구로부터 분리판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여 분리판의 후류측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물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이 위치에 따라 접촉 각도가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분리판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접촉 각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반응 기체가 기체 확산층의 표면에 보다 집중될 수 있으므로, 분리판의 출구측에서 반응 기체의 농도가 감소하더라도 반응 기체 확산이 잘 이루어져 성능 감소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서 영역별로 채널 요소들의 폭과 접촉각도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1영역의 채널 요소의 폭과 접촉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6영역의 채널 요소의 폭과 접촉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51영역의 채널 요소의 폭과 접촉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56영역의 채널 요소의 폭과 접촉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채널 요소의 접촉각도에 따른 유체의 유동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서 영역별로 채널 요소들의 폭과 접촉각도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100)은, 외부로부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분리판 입구(Inlet)(101)와,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반응기체나 반응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출구(Outlet)(102)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판 입구(101)로부터 유입된 반응기체를 연료전지의 기체 확산층(미도시)으로 전달하는 패널이다.
여기서, 상기 반응기체는 연료나 공기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물은 물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반응기체와 상기 생성물을 모두 유체라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분리판 입구(101)와 상기 분리판 출구(102)는, 상기 분리판(100)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가 최대가 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판(100)은, 상기 유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채널 요소들(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베이스(110)의 표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기체 확산층(미도시)인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체 확산층(미도시)과 접하도록 별도로 마련된 패널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채널 요소들(10)은, 각각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접촉각도(θ)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전,후면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하도록 채널 유로(10a)를 형성한다.
상기 채널 요소(10)의 개구된 전면은 채널 입구(10b)를 형성하고, 개구된 후면은 채널 출구(10c)를 형성한다.
상기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채널 유로의 길이 방향(Y)으로 인접하는 2개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 요소의 채널 출구와 다른 하나의 채널 요소의 채널 입구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분리판(100)에서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설계 파라미터로 형성된다.
상기 설계 파라미터는, 상기 채널 유로(10a)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동 속도와 유동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해 설정된 파라미터이며, 상기 채널 유로(10a)의 단면적과 상기 채널 유로(10a)의 접촉각도(θ)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채널 유로(10a)의 단면적을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채널 요소(10)의 길이(L)는 동일하게 고정하고, 상기 채널 요소(10)의 폭(W)만을 변화시키므로, 상기 설계 파라미터는 상기 단면적 대신 상기 채널 요소(10)의 폭(W)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서 상기 분리판 출구(102)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채널 요소(10)의 폭(W)과 상기 접촉각도(θ)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이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보다 폭(W)이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각도(θ)는 크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리판(100)은 30개의 가상의 유동 영역들(R11~R56)로 구획하여, 유동 영역들에 따른 설계 파라미터의 변화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상의 유동 영역들(R11~R56)을 30개로 나눈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유동 영역의 개수나 크기는 유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는 상기 유동 영역들(R11~R56)에 따라 다르게 설정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동일한 유동 영역에 속하는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는 동일하고, 서로 다른 유동 영역에 속하는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는 다르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킨다. 동일한 행 또는 동일한 열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은, 상기 폭(W)과 상기 접촉각도(θ) 중 하나만 변화시킨다.
즉,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 중에서 상기 채널 유로의 폭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동일한 행(row)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분리판 출구(102)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W)은 감소하나, 상기 접촉각도(θ)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 중에서 상기 채널 유로의 길이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동일한 열(column)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10)은, 상기 분리판 출구(102)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W)은 동일하나, 상기 접촉각도(θ)는 증가하게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위치에 따른 설계 파라미터의 변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장 가까운 제11영역(R11)에 속하는 채널 요소들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1영역(R11)에 속하는 제11채널 요소들(C11)의 폭(W)은 100%, 접촉각도(θ)는 100%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11영역(R11)으로부터 상기 채널 유로의 폭 방향(X)을 따라 상기 분리판 출구(102)로 가까운 제16영역(R16)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폭(W)은 10%씩 감소하나, 상기 접촉각도(θ)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 폭(W)의 감소율은 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유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즉, 상기 제11영역(R11)과 동일한 행에 위치하나,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장 가까운 제16영역(R16)의 제16채널 요소들(C16)의 폭(W)은 40%까지 감소하고, 접촉각도(θ)는 100%로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1영역(R11)으로부터 상기 채널 유로의 길이 방향(Y)을 따라 상기 분리판 출구(102)로 가까운 제51영역(R51)으로 갈수록 상기 폭(W)은 동일하나, 상기 접촉각도(θ)만 10%씩 증가한다. 상기 접촉각도(θ)의 증가율은 10%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유체의 유동 특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즉, 상기 제11영역(R11)과 동일한 열에 위치하나,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장 가까운 제51영역(R51)의 제51채널 요소들(C51)의 폭(W)은 100%로 유지되나, 접촉각도(θ)는 150%까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16영역(R16)과 동일한 열에 위치하나,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장 가까운 제56영역(R56)의 제56채널 요소들(C56)의 폭(W)은 40%로 유지되나, 접촉각도(θ)는 150%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장 가까운 제56영역(R56)의 제56채널 요소들(C56)의 폭(W)과 접촉각도(θ)는 최소가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인 상기 폭(W)과 상기 접촉각도(θ)는 위치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폭(W)을 감소시키는 것은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접촉각도(θ)를 증가시키는 것은 반응면인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에 접촉되는 반응기체의 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인 바, 상기 폭(W)과 상기 접촉각도(θ)를 위치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유속 증가와 반응 효율 증가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폭(W)과 상기 접촉각도(θ)를 모두 변화시키지 않을 경우,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장 가까운 좌측 열(R11~R51)로부터 상기 채널 유로의 폭 방향(X)을 따라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유체의 유속이 감소하고,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장 가까운 행(R11~R16)로부터 가장 멀게 배치된 행(R51~R56)으로 갈수록 반응 기체의 농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열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10)은 서로 폭(W)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상기 접촉각도(θ)만 변화시키고, 동일한 행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10)은 서로 상기 접촉각도(θ)는 동일하게 유지하고 상기 폭(W)만 변화시켜야 유속 증가와 반응 효율 증가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서로 동일한 영역(R)에 포함되어 인접하는 채널 요소들은 서로 폭(W)과 접촉각도(θ)가 동일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은 모두 각각 폭(W)과 접촉각도(θ)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수록 폭(W)은 점차 작아지고 접촉각도(θ)는 점차 증가하게 형성된다면, 동일한 영역(R)에서도 폭(W)과 접촉각도(θ)를 다르게 변화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판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분리판 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유체는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을 통과한 후, 상기 분리판 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폭(W)은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동일 유량 대비 유속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분리판 출구(102)측으로 갈수록 상기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분리판(100)의 후류측에서 응축되어 생성된 물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100)의 출구측에서 플러딩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까운 영역으로부터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까운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채널 요소들(10)의 접촉각도(θ)가 증가하기 때문에, 상기 채널 요소(10)의 채널 입구(10b)를 통해 상기 채널 유로(10a)로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 집중하여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접촉각도(θ)가 증가하면, 상기 유체가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 가까운 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110)로의 유체 확산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a는 상기 분리판 입구(101)에 가까운 제11영역(R11)의 접촉각도(θ)가 100%일 때 유체의 흐름을 나타내고, 도 7b는 상기 분리판 출구(102)에 가까운 제56영역(R56)의 접촉각도(θ)가 150%로 증가하였을 때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7a와 도 7b를 비교하면, 상기 접촉각도가 100%에서 150%로 증가하면, 유체의 유동 각도도 증가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표면으로 보다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분리판(100)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반응 기체의 농도 감소로 인해 성능이 감소될 수 있으나, 상기 접촉각도(θ)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베이스(110)로 반응기체 확산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100)의 출구측에서 반응 기체의 농도 감소로 인한 성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리판(100)의 영역에 따라 달라지는 유체의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10)의 설계 파라미터를 적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분리판(100)의 모든 영역에서 반응 효과를 향상시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채널 요소 10a: 채널 유로
10b: 채널 입구 10c: 채널 출구
100: 분리판 101: 분리판 입구
102: 분리판 출구

Claims (10)

  1. 외부로부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분리판 입구와,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반응기체나 반응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입구와 상기 분리판 출구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리판은,
    베이스의 표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행렬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요소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의 접촉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어 채널 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구되어 채널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분리판 출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입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보다 단면적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각도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채널 유로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동일한 행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은 감소하나 상기 접촉각도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채널 유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동일한 열에 위치한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폭은 동일하나 상기 접촉각도는 증가하게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은 각각 폭이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 출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수록 폭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은 각각 상기 접촉각도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 출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될수록 상기 접촉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5. 외부로부터 반응기체가 유입되는 분리판 입구와, 내부에서 반응하고 남은 반응기체나 반응후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리판 출구가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 입구와 상기 분리판 출구는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분리판은,
    베이스의 표면에서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행렬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채널 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요소들은,
    각각 상기 베이스의 표면에서 소정의 접촉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되게 형성되고, 전면이 개구되어 채널 입구가 형성되고, 후면이 개구되어 채널 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통과하는 채널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분리판 출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은 상기 분리판 입구에 가까운 영역에 배치된 채널 요소들보다 폭은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각도는 크게 형성되고, 상기 폭과 상기 접촉각도는 서로 독립적으로 변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채널 요소의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채널 요소들 중 일부는 서로 상기 단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상기 채널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채널 요소들 중 일부는 서로 상기 접촉각도가 동일하게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채널 요소들은,
    상기 채널 유로의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채널 요소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채널 요소의 채널 출구와 다른 하나의 채널 요소의 채널 입구는 적어도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배열된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10. 삭제
KR1020190061975A 2019-05-27 2019-05-27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KR102147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75A KR102147109B1 (ko) 2019-05-27 2019-05-27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975A KR102147109B1 (ko) 2019-05-27 2019-05-27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09B1 true KR102147109B1 (ko) 2020-08-24

Family

ID=7223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975A KR102147109B1 (ko) 2019-05-27 2019-05-27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116B1 (ko) * 2020-10-30 2021-08-04 주식회사 에프씨엠티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4101686A1 (ko) * 2022-11-08 2024-05-16 테라릭스 주식회사 점접촉 채널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분리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644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KR20170050689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101836648B1 (ko) 2016-06-0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644A (ko) * 2007-02-06 2008-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직접 메탄올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KR20170050689A (ko) * 2015-10-30 2017-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KR101836648B1 (ko) 2016-06-09 2018-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116B1 (ko) * 2020-10-30 2021-08-04 주식회사 에프씨엠티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및 그 제조방법
WO2024101686A1 (ko) * 2022-11-08 2024-05-16 테라릭스 주식회사 점접촉 채널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분리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889B2 (en) Fuel cell flow field channel with partially closed end
KR101693993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CN107810573B (zh) 隔板及其制造方法以及包括该隔板的燃料电池组
RU2262160C2 (ru) Блок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на твердом полимерном электролите, батарея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блока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EP19720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ccumulated water in a fuel cell
US10141584B2 (en) Separator of fuel cell and fuel cell having the same
JP2006202524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のマニホールド構造
CN108028397B (zh) 分离器及包括该分离器的燃料电池堆
US20210210769A1 (en) Separator plate for an electrochemical system
KR102034457B1 (ko)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US9306227B2 (en) Fuel cell and flow field plate for fluid distribution
WO2013105956A1 (en) Fuel cell reactant flow field having impediments to flow
JP3980194B2 (ja) 燃料電池
US20060093891A1 (en) Flow field design for high fuel utilization fuel cells
KR102147109B1 (ko)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의 분리판
KR10258707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스택
US9065088B2 (en) Modification to stampable flowfields to improve flow distribution in the channels of PEM fuel cells
KR101983912B1 (ko)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US7816050B2 (en) Unit cell header flow enhancement
EP1422775A1 (en) Fuel cell with separator plates having comb-shaped gas passages
US11404705B2 (en) Bipolar plate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KR101282619B1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JP2009110838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KR20210076414A (ko) 연료전지용 분리판
KR102435146B1 (ko) 격자무늬 형태로 배치된 유로를 형성하여, 반응기체의 압력, 속도, 난류 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분리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