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378B1 - 천일염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일염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78B1
KR102146378B1 KR1020190017957A KR20190017957A KR102146378B1 KR 102146378 B1 KR102146378 B1 KR 102146378B1 KR 1020190017957 A KR1020190017957 A KR 1020190017957A KR 20190017957 A KR20190017957 A KR 20190017957A KR 102146378 B1 KR102146378 B1 KR 10214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salt
unit
seawater
drying contain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앤윈드에너지
Priority to KR1020190017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 Y02P20/133Renewable energy sources, e.g. sun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측은 해수저장고 또는 바다의 해수와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해수이송관과, 상기 해수이송관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해수이송관의 내부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해수배출관을 포함하는 해수공급부, 상기 해수배출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용기를 포함하는 천일염생성부,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생성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천일염이송부, 상기 해수공급부, 천일염생성부, 회전구동부 및 천일염이송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건조용기 내면과 접촉되어 구비되어 건조용기 내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래퍼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해수공급부, 상기 천일염생성부,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이송부 및 상기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건조용기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건조용기의 상하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천일염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상기 천일염이송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일염 생산 시스템{System for Manufacturing Sun-dried salt}
본 발명은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를 건조 증발시켜 소금을 제조하되, 대량의 소금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천일염은 바닷물을 염전으로 끌어 들여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 소금을 말하며, 국내에서는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큰 서해안이나 남해안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생산되는 국내 천일염은 품질도 세계적으로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전은 대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때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게 된다.
바람이 심하면 결정이 작고, 기온이 낮으면 쓴맛이 나 소금의 길이 떨어지므로, 일조량이 많고 바람이 적은 날을 택해 소금을 얻는 것이 좋으며, 천일염은 칼슘, 마그네슘, 아연, 칼륨, 철 등의 몸에 좋은 무기질과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천일염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에는 대부분 천일염에 부가적인 소재를 첨가 가공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과, 한국등록특허 제10-1437928와 같이, 해수를 건조시킨 후 생성된 소금 결정을 세척, 살균 등 후처리 또는 해수를 건조시키기 이전의 전처리 관련 기술이 주로 개발되었으며, 천일염 생산을 위한 생산 효율성 향상, 생산 시간 단축과 관련된 기술은 많지 않으며, 천일염 생산을 위한 작업 중 많은 부분이 여전히 인력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천일염 생산 작업 효율이 떨어져 천일염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일염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천일염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킨 천일염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일측은 해수저장고 또는 바다의 해수와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해수이송관과, 상기 해수이송관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해수이송관의 내부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해수배출관을 포함하는 해수공급부, 상기 해수배출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용기를 포함하는 천일염생성부,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생성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천일염이송부, 상기 해수공급부, 천일염생성부, 회전구동부 및 천일염이송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건조용기 내면과 접촉되어 구비되어 건조용기 내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래퍼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해수공급부, 상기 천일염생성부,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이송부 및 상기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건조용기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건조용기의 상하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천일염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상기 천일염이송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측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해수공급부, 천일염생성부, 회전구동부 및 천일염이송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되,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과, 상기 자가발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해수이송관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해수배출관을 포함하는 해수공급부와, 각 해수배출관의 하부에 해수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해수를 공급받아 해수를 건조시켜 천일염 결정을 생성하는 천일염생성부와, 천일염생성부의 건조용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건조용기를 상부와 하부를 전환시킴에 따라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시키는 회전구동부와,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건조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천일염을 공급받아 천일염 저장창고나 천일염 가공장소 등의 소정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천일염이송부와,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전력공급부로부터 각 구성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여 각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해수 공급에서부터 천일염 생산 및 이송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천일염 생산 작업의 대부분을 설비화됨에 따라 천일염 생산 효율이 향상되어 천일염의 대량 생산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천일염생산부에서 천일염 결정이 생성되는 건조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측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태양광이 건조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비춰지고, 태양광이 입사되어 비춰지는 면적이 증대되어 건조 효율 향상되며, 이에 따라 천일염 생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전력공급부가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자가발전수단과, 자가발전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전력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천일염을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되, 천일염 제조를 위해 소요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을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천일염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이 건조용기 내부에 부착되어 잔여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건조용기가 지속적으로 청결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해수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천일염 생성부 및 회전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회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천일염 생성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천일염 생성부 및 회전구동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해수 공급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천일염 생성부 및 회전구동부(3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회전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천일염 생성부가 회전되고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천일염 생성부 및 회전구동부(3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크게 해수공급부(100), 천일염생성부(200), 회전구동부(300), 천일염이송부(400), 전력공급부(500),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해수공급부(100)는, 천일염이 생성되는 천일염생성부(200)로 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은 해수저장고 또는 바다의 해수와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해수이송관(110)과, 상기 해수이송관(110)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해수이송관(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해수배출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해수공급부(100)는 해수저장고 또는 바다의 해수가 해수이송관(1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펌핑 구동되는 양수펌프(미도시)와, 해수이송관(110)의 해수가 유입되는 해수유입부에 유입되는 해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필터(미도시)와, 해수배출관(120)에 구비되되 해수배출관(120)을 통해 천일염생성부(200)로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일염생성부(200)는, 해수공급부(100)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해수를 건조시켜 천일염 결정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배출관(120)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용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건조용기(2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측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용기(21)는 측면부의 내측면이 하측 바닥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각도(a°) 만큼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소정 각도는 135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건조용기(210) 내부로 태양광이 입사되는 면적이 확대되며, 태양광이 건조용기(210) 내부로 보다 원활하게 입사될 수 있게 되어 건조효율이 향상되어 천일염 생성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천일염생성부(200)의 건조용기(210)에는, 건조용기(210) 내부에 수용되는 해수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열선을 포함하는 가열유닛(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천일염생성부(200)는, 건조용기(210) 내부에 해수가 건조되어 천일염 결정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먼지, 빗물, 꽃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건조용기(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건조용기(210) 상측으로 개폐 가능한 차단도어(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차단도어는 햇빛은 투과 가능하면서도 이물질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구동부(300)는, 천일염생성부(200)의 건조용기(210)를 회전시켜 건조용기(210)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시켜 천일염이송부(4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용기(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10)과, 상기 지지프레임(310)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용기(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구동부(300)는, 건조용기(2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건조용기(210)와 결합되어 구비되되, 지지프레임(310)과 건조용기(210)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3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연결부재(330)의 일단부는 건조용기(21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회전구동모터(320)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회전구동모터(320)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회전됨에 따라 연결부재(330)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연결부재(330)와 연결된 건조용기(210)가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건조용기(210)가 회전됨에 따라 건조용기(210)의 상하 방향이 전환되어 건조용기(210) 내부에 생성되는 천일염이 하측방향으로 떨어져 천일염이송부(400)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한편, 회전구동모터(320)의 출력축과 연결부재(330)의 타단부는 사이에는 회전구동모터(320)의 출력축의 회전력을 감속시켜주는 감속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천일염이송부(400)는, 회전구동부(300)에 의해 천일염생성부(200)의 건조용기(210)가 회전됨에 따라 배출되는 천일염을 공급받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천일염생성부(20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용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로 인해 천일염은 천일염 저장창고로 이송되어 저장되거나, 천일염 가공장소로 이동되어 후처리 및/또는 포장 등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천일염이송부(400)는, 일례로, 컨베이어벨트와, 컨베이어벨트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공급하는 벨트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도면 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의 건조용기(210)로부터 배출되는 천일염을 각각 수집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건조용기(210) 하측으로 천일염을 수집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된 수집플레이트가 더 구비되어, 수집플레이트에 천일염이 수집된 후 컨베이어벨트가 구동되어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공급부(500)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공급부(100), 천일염생성부(200), 회전구동부(300) 및 천일염이송부(400)를 포함하는 전원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력공급부(500)는, 해수공급부(100), 천일염생성부(200), 회전구동부(300) 및 천일염이송부(400)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되,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510)과, 상기 자가발전수단(5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천일염 생산을 위해 소요되는 전력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공급부(500)는 자가발전수단(510)과, 전력저장수단(520)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외부전력공급수단(5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자가발전수단(510)과 외부전력공급수단(530)에 의해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천일염 생산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저장수단(520)은 외부전력공급수단(5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어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공급부(500)로부터 상기 해수공급부(100), 천일염생성부(200), 회전구동부(300) 및 천일염이송부(400)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도 2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용기(210)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을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부(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퍼부(700)는, 일례로, 건조용기(210) 내면과 접촉되어 구비되되, 건조용기(210) 내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710)와, 스크래퍼(7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래퍼구동모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퍼부(700)는, 스크래퍼구동모터(730)의 출력축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출력축과 결합되어 형성되는 회전축(7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래퍼(710)는 회전축(720)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면 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크래퍼부(700)는, 스크래퍼(710)가 건조용기(210) 내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때 스크래퍼(7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회전축(720)의 상측부와 상기 스크래퍼(7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미도시)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스크래퍼(710)가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스크래퍼(71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720)과 스크래퍼(710) 사이에 연결프레임에 의해 건조용기(210) 내부에 생성되는 천일염 결정을 교반시켜 천일염 결정 입자를 고르게 생성되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건조용기(210) 내부에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천일염 배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건조용기(210)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 진동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천일염 생산 공정은 해수공급단계, 결정생성단계,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 천일염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해수공급단계는, 천일염생성부(200)의 건조용기(210) 내부로 해수를 공급하는 단계로, 제어부(600)에서 전력공급부(500)로부터 해수공급부(1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해수공급부(100)의 양수펌프를 구동시키고, 그로 인해 해수이송관(110)으로 해수가 유입 및 이송되어 해수배출관(120)을 통해 건조용기(210) 내부로 해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해수공급단계는, 해수공급부(100)가 밸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 제어부(600)에서 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건조용기(210) 내부로 공급되는 해수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결정생성단계는, 건조용기(210) 내부로 해수가 공급된 후 시간 경과됨에 따라 해수가 태양광을 받아 건조됨에 따라 천일염 결정이 생성되게 되는 단계로, 이때, 제어부(600)에서는 전력공급부(500)로부터 가열유닛(220)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열선에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건조용기(210) 내부에 수용되는 해수를 소정 온도로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는, 건조용기(210) 내부에 천일염 생성이 완료된 후 생성된 천일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회전구동부(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단계로, 제어부(600)에서는 회전구동부(30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전력공급부(500)로부터 회전구동부(3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천일염생성부(200)가 건조용기(210) 내부로의 해수 공급여부를 감지하는 해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는, 제어부(600)에서 해수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해수가 공급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회전구동부(30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전력공급부(500)로부터 회전구동부(3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은 천일염생성부(200)가 건조용기(210) 내부에 수용되는 해수가 건조되어 천일염이 생성되는 과정을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는, 제어부(600)에서 카메라에서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분석하여 천일염이 생성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회전구동부(30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전력공급부(500)로부터 회전구동부(3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천일염이송단계는, 천일염이송부(400)로 공급된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송시키는 단계로, 제어부(600)에서는 전력공급부(500)로부터 천일염이송부(4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그로 인해 천일염이송부(400)가 구동되어 건조용기(210)로부터 배출되어 공급받은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이 스크래퍼부(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는, 제어부(600)에서 회전구동부(300)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전력공급부(500)로부터 회전구동부(3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되, 회전구동부(300)가 구동되기 이전에 스크래퍼부(700)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회전구동부(300)와 동시에 스크래퍼부(700)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회전구동부(300)가 구동된 이후에 스크래퍼부(700)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회전구동부(300)가 구동되기 이전과 이후에 스크래퍼부(700)이 자동으로 구동되거나, 회전구동부(300)의 구동시작점으로부터 소정시간 이전부터 회전구동부(300)가 구동된 이후 소정시간이 경과된 때까지 스크래퍼부(700)이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전력공급부(500)로부터 스크래퍼부(700)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천일염 생산 공정은 해수공급단계, 결정생성단계, 회전구동신호 생성단계, 천일염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되되, 천일염 생산 시스템의 제어부(600)는 상기 공정이 자동으로 반복적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해수공급부
110 : 해수이송관
120 : 해수배출관
200 : 천일염생성부
210 : 건조용기
220 : 가열유닛
300 : 회전구동부
310 : 지지프레임
320 : 회전구동모터
330 : 연결부재
400 : 천일염이송부
500 : 전력공급부
510 : 자가발전수단
520 : 전력저장수단
530 : 외부전력공급수단
600 : 제어부
700 : 스크래퍼부
710 : 스크래퍼
720 : 회전축
730 : 스크래퍼구동모터

Claims (3)

  1. 일측은 해수저장고 또는 바다의 해수와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받도록 구비되는 해수이송관과, 상기 해수이송관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해수이송관의 내부와 연통되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해수배출관을 포함하는 해수공급부;
    상기 해수배출관의 하측에 마련되되,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건조용기를 포함하는 천일염생성부;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용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생성부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건조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천일염을 소정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천일염이송부;
    상기 해수공급부, 천일염생성부, 회전구동부 및 천일염이송부를 포함하는 전원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건조용기 내면과 접촉되어 구비되어 상기 건조용기 내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래퍼와, 상기 스크래퍼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스크래퍼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크래퍼부; 및
    상기 전력공급부로부터 상기 해수공급부, 상기 천일염생성부,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천일염이송부 및 상기 스크래퍼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회전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출력축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건조용기가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상기 건조용기의 상하 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건조용기 내부에 생성되는 천일염이 하측 방향으로 떨어져 상기 천일염이송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생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해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측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생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해수공급부, 천일염생성부, 회전구동부 및 천일염이송부를 포함하는 전력이 필요한 각 구성에 대한 전력을 공급하되,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태양전지판을 포함하는 태양광발전모듈과, 풍력을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회전으로 인해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체를 포함하는 풍력발전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가발전수단과, 상기 자가발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생산 시스템.
KR1020190017957A 2019-02-15 2019-02-15 천일염 생산 시스템 KR10214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57A KR102146378B1 (ko) 2019-02-15 2019-02-15 천일염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957A KR102146378B1 (ko) 2019-02-15 2019-02-15 천일염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378B1 true KR102146378B1 (ko) 2020-08-20

Family

ID=7229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957A KR102146378B1 (ko) 2019-02-15 2019-02-15 천일염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57B1 (ko) * 2021-11-12 2022-07-19 박흥성 천일염 생산의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235A (ko) * 2009-01-08 2010-07-16 김운관 천일염 생산 장치
KR101085446B1 (ko) * 2011-06-29 2011-11-21 김형은 태양열을 이용한 소금생성장치
KR101527929B1 (ko) * 2013-05-08 2015-06-10 (유)정림 해수 건조를 통한 담수 및 소금 제조장치
KR101801747B1 (ko) * 2015-03-06 2017-11-27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20190013209A (ko) * 2017-08-01 2019-02-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235A (ko) * 2009-01-08 2010-07-16 김운관 천일염 생산 장치
KR101085446B1 (ko) * 2011-06-29 2011-11-21 김형은 태양열을 이용한 소금생성장치
KR101527929B1 (ko) * 2013-05-08 2015-06-10 (유)정림 해수 건조를 통한 담수 및 소금 제조장치
KR101801747B1 (ko) * 2015-03-06 2017-11-27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20190013209A (ko) * 2017-08-01 2019-02-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열을 이용한 천일염 건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57B1 (ko) * 2021-11-12 2022-07-19 박흥성 천일염 생산의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378B1 (ko) 천일염 생산 시스템
EP2804682B1 (en) Desalination station using a heat pump and photovoltaic energy
CN107643768B (zh) 便携式太阳能发电装置及控制方法
CN103805951B (zh) 太阳能电池形成装置和方法
CN107078689A (zh) 太阳光增强发电装置
Vyas et al. Modus operandi for maximizing energy efficiency and increasing permeate flux of community scale solar powered reverse osmosis systems
KR102063099B1 (ko) 스마트형 무인 염전시스템
CN115159609A (zh) 集气式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207371703U (zh) 一种水利生产用洗砂机
KR101913249B1 (ko) 결정지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무인 염전시스템
KR20130091088A (ko) 수상 플로트식 태양광 발전장치
CN110131108A (zh) 一种用于园区的自然资源利用率高的节能建筑
CN212924463U (zh) 一种利用可再生能源的海水淡化装置
KR20190066652A (ko) 고효율 태양광 가로등
CN206911816U (zh) 一种太阳能板清洁装置
JP2015048301A (ja) 海水塩製造装置
CN103184439A (zh) 制造薄膜太阳能电池的化学浴沉积设备及方法
JP3085803U (ja) 太陽電池の保護装置及び太陽追尾装置
CN207948409U (zh) 一种园林修剪废草回收装置
KR102192223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형 염전 및 이를 이용한 소금 생산방법
CN106959706A (zh) 化合物光伏组件自洁追日跟踪装置及太阳能追日跟踪方法
CN104267744B (zh) 一种太阳能发电装置
KR101324332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수분 속성 증발기
CN113582499B (zh) 一种处理洗炉渣产生的污泥资源再生生产工艺
CN207637005U (zh) 高效聚光的太阳跟踪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