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347B1 -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347B1
KR102146347B1 KR1020180160402A KR20180160402A KR102146347B1 KR 102146347 B1 KR102146347 B1 KR 102146347B1 KR 1020180160402 A KR1020180160402 A KR 1020180160402A KR 20180160402 A KR20180160402 A KR 20180160402A KR 102146347 B1 KR102146347 B1 KR 10214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phic
thin film
pattern
hologram patter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342A (ko
Inventor
박운익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16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34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3/00Etching, surface-brightening or pickl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02Local etc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00Etching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ans
    • C23F1/10Etching compositions
    • C23F1/12Gaseous composi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8Surface plasm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9FTIR in optical digitiser, i.e. touch detection by frustrating the total internal reflection within an optical waveguide due to changes of optical properties or deformation at the touch lo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홀로그램 박막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hardness) 이상의 경도를 갖는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 및 상기 마스터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Fabricating method of hologram film}
본 발명은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홀로그램 박막 상에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련된 것이다.
홀로그램(Hologram)은 레이저 광선으로 2차원 평면에 3차원 입체를 묘사하는 기술을 말한다. 홀로그램을 만들려면 2개의 레이저 광선의 간섭효과를 이용, 필름에 0.2~0.3 마이크로 미터의 깊이로 홈을 새겨야 한다. 이 미세한 홈으로 빛의 굴절이 달라져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색깔, 형태가 틀려져 3차원 영상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홀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스티커, 상품권, 복권, 건축용 내외장 장식재 등의 시트 제품에 위조 및 변조의 방지 목적, 또는 시각적 이미지(미감)를 구현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10-0989876(출원번호: 10-2010-0052507, 특허권자: 조증호)에는, 원단의 배면에 단위 영역당 복수개의 망점을 격자형으로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단의 전면에 상기 원단 배면의 상기 망점보다 상대적으로 많거나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로 렌즈 망점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단의 배면에 형성된 상기 망점에 옵셋 인쇄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원단 전면의 상기 렌즈 망점에 볼록렌즈를 형성하는 렌즈 인쇄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홀로그램 효과를 위한 인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밖에도, 홀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번호 10-0989876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간단한 공정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홀로그램을 표현할 수 있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각종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제품, 및 심미감을 일으키는 디자인적 요소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홀로그램 박막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hardness) 이상의 경도를 갖는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 및 상기 마스터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은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오목부는 상기 마스터 패턴의 볼록부와 대응되고,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볼록부는 상기 마스터 패턴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에 인가되는 압력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물질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브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서브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서브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일부가 상기 서브 패턴과 중첩되어 변형된 변형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은,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과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보다 낮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은 서로 다른 레벨을 갖되,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홀로그램 박막을 준비하는 단계, 복수의 돌출 패턴을 포함하는 롤러(roller)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상기 돌출 패턴의 역상을 갖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 및 상기 롤러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은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은 복수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오목부는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홀로그램 박막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 및 상기 마스터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누르는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은, 각종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제품, 및 심미감을 일으키는 디자인적 요소 등 홀로그램이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A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B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박막(100)이 준비될 수 있다(S1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베이스 기재(미도시) 상에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기재(미도시)는 종이, 섬유원단, 및 합성수지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재(미도시)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시트, 및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금속, 고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Al), 지르코늄(Zr), 티타튬(Ti), 황화 아연(ZnS), 백금(Pt), 텅스텐(W), 크롬(Cr), 니켈(Ni), 금(Au), 은(Ag), 구리(Cu), 팔라듐(P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폴리프로필린(PP)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기판(200)이 준비될 수 있다(S12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마스터 패턴(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패턴(210)은 오목부(210a) 및 볼록부(210b)를 포함하는 요철형태일 수 있다.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hardness) 이상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백금(Pt), 규소(Si), 이산화규소(SiO2), ITO(Indium Tin Oxide), 크롬(Cr), 니켈(Ni), 텅스텐(W),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합금(Alloy)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PS-PDMS 블록공중합체 고분자 자기조립(self-assembly)으로 형성된 SiOx 또는 PS-PVP로 형성된MOx(M: 금속)일 수 있다. (x>0) 예를 들어, 상기 블록공중합체 고분자는, PDMS(poly dimethylsiloxa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디메틸실록산(polyacrylonitrile-b-polydimethylsiloxa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디메틸실록산(polyethylene oxide-b-polydimethylsiloxane), 폴리(2-비닐피리딘)-b-폴리디메틸실록산(poly(2-vinylpyridine)-b-polydimethylsiloxane), 폴리(4-비닐피리딘)-b-폴리디메틸실록산(poly(4-vinylpyridine)-b-polydimethylsiloxan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b-폴리디메틸실록산 (polymethylmethacrylate-bpolydimethylsiloxa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프로필렌(polyacrylonitrileb-polypropyl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프로필렌(poly(ethylene oxide)-bpolypropyle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이소부틸렌(polyacrylonitrile-bpolyisobutyl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이소부틸렌(poly(ethylene oxide)-bpolyisobutyle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에틸렌(polyacrylonitrile-bpolyethyl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에틸렌 (poly(ethylene oxide)-bpolyethyle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이소프렌 (polyacrylonitrile-bpolyisopyr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이소프렌(poly(ethylene oxide)-bpolyisopyre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클로로프렌(polyacrylonitrile-bpolychloropr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클로로프렌(poly(ethylene oxide)-b-polychloropren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b-폴리스티렌(polyacrylonitrile-bpolystyrene),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스티렌(poly(ethylene oxide)-bpolystyrene) 등일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홀로그램 패턴(110)을 형성할 수 있다(S130).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상기 마스터 패턴(210)의 역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또한 오목부(110a) 및 볼록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오목부(110a)는 상기 마스터 패턴(210)의 볼록부(210b)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볼록부(110b)는 상기 마스터 패턴(210)의 오목부(210a)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패턴(210)은 넓은 라인(line) 형상, 좁은 라인(line) 형상, 닷(dot) 형상, 홀(hole)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또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이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분리될 수 있다(S14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인가되는 압력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물질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압력이 인가되기 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의 표면 특성을 개질하는 열처리, 내마모성 화학적 방법,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표면 처리 또는 코팅이 수행될 수 있다. 열처리, 내마모성 화학처리, 또는 물리적 코팅에 의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의 접촉 표면 또는 전체 표면 특성이 개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마모성 화학처리 또는 화학적 코팅으로는, 각종 작용기(예를 들어, CH3)를 이용한 소수성 또는 친수성 처리,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피막형성처리, 무전해도금, 이온교환도금, 화학에칭, 화학연마, 부동태 처리, 전기도금(Electroplating), 전기영동(E-plating), 전기화학에칭, 전해연마, 플라즈마 전해산화법(PEO코팅법), 애노다이징(Anodizing), 플라즈마 스프레잉(Plasma spraying), 화학기상증착법(CVD) 등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물리적 코팅은 스퍼터(sputter), 이베포레이터(E-beam 또는 thermal evaporator) 등의 장비를 이용한 물리기상증착법(PVD)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이 가해지기 전 또는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열처리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이 가해지기 전 또는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 상에 자외선(ultraviolet)이 조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이 가해지기 전 또는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은 열처리와 함께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210a) 및 볼록부(210b)를 포함하는 상기 마스터 패턴(210)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상기 마스터 기판(20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210)의 역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누르는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제품, 및 심미감을 일으키는 디자인적 요소 등 홀로그램이 사용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서로 다른 레벨(level)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홀로그램 박막(100)이 준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홀로그램 박막(100)을 준비하는 단계는, 홀로그램 박막(100)을 준비하는 단계(S210),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220),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을 형성하는 단계(S230),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준비하는 단계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박막의 제조방법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브 기판(300)이 준비될 수 있다(S250). 상기 서브 기판(300)은 서브 패턴(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기판(3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서브 기판(3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은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일부가 상기 서브 패턴(310)과 중첩되어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은,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까지의 레벨(L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2)은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보다 낮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눌러져,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상부면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후,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서브 기판(300)으로 눌러져,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은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2)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형성 시 가해진 압력보다 더 작은 압력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에 가해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열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경도는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상기 서브 기판(300)으로 눌려지더라도, 상기 서브 패턴(310)과 접촉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일부분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으면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상기 일부분의 레벨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 및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서브 기판(400)이 더 준비될 수 있다(S260). 상기 제2 서브 기판(400)은 제2 서브 패턴(4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판(4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및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제2 서브 기판(4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은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일부가 상기 제2 서브 패턴(310)과 중첩되어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30)의 레벨(L3)은,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2)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3)은,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2)보다 낮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제2 서브 기판(400)으로 눌려져,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이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30)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30)의 레벨(L3)은,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레벨(L1)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레벨(L2)보다 낮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 형성 시 가해진 압력보다 더 작은 압력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가해질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이 형성된 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열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경도는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일부분의 형태가 변경되지 않으면서,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의 일부분의 레벨이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 및 상기 제2 변형 홀로그램 패턴(130)이 동일한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210a) 및 볼록부(210b)를 포함하는 상기 마스터 패턴(210)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상기 마스터 기판(20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2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210)의 역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마스터 기판(200)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서브 패턴(310)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상기 서브 기판(300)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서브 기판(300)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일부가 상기 서브 패턴(310)과 중첩되어 변형된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눌러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을 형성시킨 후, 상기 서브 기판(300)으로 다시 누르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120)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상이 다를 뿐만 아니라, 레벨까지 다른 다양한 홀로그램 패턴이 제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더욱 다양한 홀로그램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제품, 및 심미감을 일으키는 디자인적 요소에 대한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롤링공정으로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A의 확대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의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박막(100)이 준비될 수 있다(S310).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롤러(roller, 500)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롤러(5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일 측(100b)으로부터 타 측(100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500)는 복수의 돌출 패턴(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은 상기 롤러(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오목부(112)는 상기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눌려져, 상기 돌출 패턴(510)과 대응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복수의 오목부(112)들 사이에는 볼록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하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은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a, 510b, 510c)들은 각각, 원형, 사각형,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돌출 패턴(510)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이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갖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복수의 오목부(112)들 또한 서로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복수의 오목부(112a, 112b, 112c)들은 각각, 도 11에 도시된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a, 510b, 510c)의 역상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복수의 오목부(112)들 마다 다양한 형상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한 홀로그램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어, 각종 위조 및 변조 방지 기능을 갖는 제품, 및 심미감을 일으키는 디자인적 요소에 대한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빛의 굴절율 변화, 반사율 변화 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전사된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박막(100)이 준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롤러(500)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롤러(5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일 측(100b)으로부터 타 측(100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500)는 복수의 돌출 패턴(510) 및 평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은 상기 롤러(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520)는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을 제외한, 상기 롤러(500)의 외주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오목부(112)는 상기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눌려져, 상기 돌출 패턴(510)과 대응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복수의 오목부(112)들 사이에는 볼록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하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기 전,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기능성 물질(FM)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 물질(FM)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제공부(600)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물질(FM)은 상술된 바와 같이 빛의 굴절율을 변화시키거나, 반사율을 변화시키 등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 물질(FM)은 SiO2, TiO2, MgF2, Zn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상기 기능성 물질(FM)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포함하는 볼록부(114) 상에 상기 기능성 물질(FM)이 전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상기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갖는 오목부(112) 및 오목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볼록부(114)를 포함하되, 볼록부(114) 상에는 상기 기능성 물질(FM)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오목부(112), 볼록부(114), 및 상기 기능성 물질(FM)에 의하여 다양한 빛의 굴절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홀로그램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되었다. 이하,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예를 들어, 빛의 굴절율 변화, 반사율 변화 등)을 갖는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이 전사된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이 설명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측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롤러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홀로그램 필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홀로그램 박막(100)이 준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에서 설명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롤러(500)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및 상기 롤러(50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일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 상에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의 일 측(100b)으로부터 타 측(100a)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롤러(500)는 복수의 돌출 패턴(510) 및 평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은 상기 롤러(50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520)는 상기 복수의 돌출 패턴(510)을 제외한, 상기 롤러(500)의 외주면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오목부(112)는 상기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은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눌려져, 상기 돌출 패턴(510)과 대응되는 오목부(112)가 형성되고, 복수의 오목부(112)들 사이에는 볼록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112) 및 볼록부(114)를 포함하는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기 전,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제공부(600)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기 전,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상기 제1 기능성 물질(FM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능성 물질(FM1)이 제공된 이후, 상기 제1 기능성 물질(FM1)이 제공된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상기 제2 기능성 물질(FM2)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제공된 이후,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기 이전,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제공된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열풍(Heat Wind, HW)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HW)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 제공부(700)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 상에 상기 열풍(HW)이 제공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의 볼록부(114)에 용이하게 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은 상기 열풍에 의하여 굳지 용이하게 굳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의 경계선 부분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혼재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혼재됨에 따라, 홀로그램은 보다 다양한 심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롤러(500)의 평탄부(520)에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100)이 상기 롤러(500)에 의하여 압력이 인가되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이 포함하는 볼록부(114) 상에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전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홀로그램 패턴(110)은 상기 돌출 패턴(510)의 역상을 갖는 오목부(112) 및 오목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볼록부(114)를 포함하되, 볼록부(114)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로그램 패턴(110)은 오목부(112), 볼록부(114), 및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에 의하여 다양한 빛의 굴절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홀로그램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은 서로 다른 광학적 특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능성 물질(FM1)은 빛의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기능성 물질(FM2)은 빛의 반사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능성 물질(FM1, FM2)이 전사된 상기 홀로그램 패턴(112)은 보다 다양한 빛의 굴절이 나타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다 다양한 홀로그램의 표현이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홀로그램 필름
110: 홀로그램 패턴
200: 마스터 기판
210: 마스터 패턴
300: 서브 기판
310: 서브 패턴
400: 제2 서브 기판
410: 제2 서브 패턴
500: 롤러
510: 돌출 패턴
600: 소스 제공부
700: 열풍 제공부

Claims (11)

  1. 홀로그램(hologram)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홀로그램 박막을 준비하는 단계;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마스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hardness) 이상의 경도를 갖는 마스터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을 상기 마스터 기판으로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박막 상에 상기 마스터 패턴의 역상을 갖는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램 박막 및 상기 마스터 기판을 분리시키는 단계;
    서브 패턴을 갖는 서브 기판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이 형성된 상기 홀로그램 박막에 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일부가 상기 서브 패턴과 중첩되어 변형된 변형 홀로그램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홀로그램 패턴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은,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과 다른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패턴은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되,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오목부는 상기 마스터 패턴의 볼록부와 대응되고,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볼록부는 상기 마스터 패턴의 오목부와 대응되는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여,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높이가 제어되는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에 인가되는 압력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물질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기판은,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이, 상기 홀로그램 패턴의 레벨보다 낮은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박막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상기 홀로그램 패턴 및 상기 변형 홀로그램 패턴은 서로 다른 레벨을 갖되,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을 포함하는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60402A 2018-12-12 2018-12-12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KR10214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02A KR102146347B1 (ko) 2018-12-12 2018-12-12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402A KR102146347B1 (ko) 2018-12-12 2018-12-12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42A KR20200072342A (ko) 2020-06-22
KR102146347B1 true KR102146347B1 (ko) 2020-08-20

Family

ID=71142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402A KR102146347B1 (ko) 2018-12-12 2018-12-12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4620B (zh) * 2022-05-10 2023-03-2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凹面贴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5057634A1 (ja) * 2003-12-11 2007-07-05 農工大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ナノインプリントを利用する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該方法を実行する装置
KR100989876B1 (ko) 2010-05-20 2010-10-26 조증호 홀로그램 효과를 위한 인쇄 방법
KR20160117680A (ko) * 2015-03-30 2016-10-11 (주) 한교아이씨 스테레오그램 기법을 적용한 엠보스드 홀로그램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342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700B2 (en) Multilayer body
RU2357869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в виде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леночного тела
CN112118965B (zh) 具有反射表面区域的光学可变防伪元件
CN100506561C (zh) 金属化的安全单元
JP5037863B2 (ja) 隠しセキュリティ・コーティング
JP5788886B2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AU2012331447B2 (en) Optically variable security element
RU2540389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тело
EP1716004B1 (en) Security device
US20110091665A1 (en) Security element having a screened layer composed of grid elements
GB2552083A (en) Methods of manufacturing security documents and security devices
CN105313529B (zh) 光学防伪元件及使用该光学防伪元件的防伪产品
WO2013177828A1 (zh) 光学防伪元件、使用该光学防伪元件的产品及其制备方法
JP2013509314A (ja) セキュリティデバイス
AU2011219611A1 (en) Security device
CN105228835A (zh) 安全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1066990A2 (de) Sicherheitselement, wertdokument mit einem solchen sicherheitselement sowie herstellungsverfahren eines sicherheitselementes
CN104647935B (zh) 光学防伪元件及其制造方法
JP2013521528A (ja) モアレ拡大素子
KR102146347B1 (ko) 홀로그램 필름의 제조방법
JP7104062B2 (ja) レリーフ構造を有するセキュリティ要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716939B (zh) 光学防伪元件及光学防伪产品
EP3509866B1 (en) Securit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KR102294068B1 (ko) 홀로그램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1716937B (zh) 光学防伪元件及光学防伪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