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955B1 - 조리개 - Google Patents

조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955B1
KR102145955B1 KR1020140016796A KR20140016796A KR102145955B1 KR 102145955 B1 KR102145955 B1 KR 102145955B1 KR 1020140016796 A KR1020140016796 A KR 1020140016796A KR 20140016796 A KR20140016796 A KR 20140016796A KR 102145955 B1 KR102145955 B1 KR 102145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aperture plate
curvature
center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453A (ko
Inventor
장진호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95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4Single movable plate with two or more apertures of graded size, e.g. sliding plate or pivoting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oker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량이 변하더라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를 위하여,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인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가 2개로 나뉘도록 상기 제1가장자리에 연결되며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인 제1추가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홈부를 갖는, 제1조리개판을 구비하는,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리개{Iri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광량이 변하더라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촬영장치는 조리개를 갖는다. 이 조리개는 촬영장치의 촬상소자에 입사하는 광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이 많을 경우 조리개의 광통과구의 크기를 줄이고, 피사체로부터의 광량이 적을 경우 조리개의 광통과구의 크기를 늘림으로써, 촬상소자에 적절한 광량이 입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리개의 광통과구의 크기를 변화시킴에 있어서, 광통과구의 크기가 줄어들 경우 촬상소자를 통해 얻는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2매의 날개를 가진 조리개의 경우 광통과구의 크기가 줄어들 경우 이에 따른 빛갈라짐 현상이 발생하여, 촬상소자를 통해 얻는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량이 변하더라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인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가 2개로 나뉘도록 상기 제1가장자리에 연결되며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인 제1추가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홈부를 갖는, 제1조리개판을 구비하는, 조리개가 제공된다.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인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가 2개로 나뉘도록 상기 제2가장자리에 연결되며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인 제2추가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홈부를 갖는, 제2조리개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1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조리개판과 상기 제2조리개판이 위치할 시, 상기 제1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치하거나, 상기 제1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조리개판과 상기 제2조리개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조리개판이, 상기 제1홈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홈부와 함께 관통공을 형성하는 연결가장자리를 갖는 지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량이 변하더라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개 및 이를 구비하는 촬영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베이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2조리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 유닛과 도 2의 제1조리개판과 도 3의 제2조리개판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제1조리개판과 제2조리개판의 위치에 따른 광통과구의 형상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는 베이스 유닛(12), 제1조리개판(14) 및 제2조리개판(16)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그 중 베이스 유닛(12)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베이스 유닛(12)은, 베이스 플레이트(20), 구동기구(22), 가이드핀(24, 26, 28, 30)을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대략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의 개구부(20a)를 통해 촬상소자 등에 광이 전달된다.
구동기구(22)는, 스윙로드(40), 스윙축(42), 연결핀들(44, 46)을 갖는다. 스윙로드(40)는 스윙이 가능하도록 스윙축(42)에 의해 지지된다. 연결핀들(44, 46)은 각각의 축방향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수직이 되도록 스윙로드(40)의 각각의 단부에 배치된다.
가이드핀(24, 26, 28, 30) 각각은 개구부(20a)의 주위에 배치되는데, 연결핀들(44, 46)과 유사하게 각각의 축방향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돌출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핀(24, 28)은 개구부(20a)의 일측에서 구동기구(22) 방향으로(연결핀(44) 방향으로) 일 직선 상에 배치되며, 가이드핀(26, 30)은 개구부(20a)의 타측에서 구동기구(22) 방향으로(연결핀(46) 방향으로) 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14)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조리개판(14)은 판상 형태를 갖는데, 일측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1홈부(14a)를 갖는다. 그리고 제1조리개판(14)은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4b, 14c, 14d) 및 연결공(14e)을 갖는다.
가이드공(14b, 14c, 14d) 각각은, 제1조리개판(14)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공(14b), 가이드공(14d) 및 연결공(14e)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 일측에 차례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공(14b, 14d)은 각각의 장축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공(14e)은, 그 장축이 가이드공(14b, 14d)의 장축과 대략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공(14c)은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를 중심으로 가이드공(14b)과 대향하도록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홈부(14a)는 대략 가이드공(14b)과 가이드공(14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제1홈부(14a)는 제1가장자리(14g)와 제1추가가장자리(14h)를 갖는다. 제1가장자리(14g)는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일 수 있다. 제1추가가장자리(14h)는 제1가장자리(14g)가 2개로 나뉘도록 제1가장자리(14g)에 연결되는데, 제1추가가장자리(14h)는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추가가장자리(14h)는 반원 형상을 갖고, 제1가장자리(14g) 역시 제1추가가장자리(14h) 부분을 제외하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과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을 연결한 직선이 가이드공(14b, 14c)의 장축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물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홈부(14a)는 제1가장자리(14g)와 제1추가가장자리(14h) 외에도 직선가장자리(14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선가장자리(14f)는 제1가장자리(14g)의 끝에서 가이드공(14b, 14c)의 장축과 대략 평행하게 제1추가가장자리(14h) 방향이 아닌 그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2조리개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제2조리개판(16)도 판상 형태를 갖는데, 일측에 내측으로 오목한 제2홈부(16a)를 갖는다. 그리고 제2조리개판(16)은 장공 형태의 가이드공(16b, 16c, 16d) 및 연결공(16e)을 갖는다.
가이드공(16b, 16c, 16d) 각각은, 제2조리개판(16)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가이드공(16c), 가이드공(16d) 및 연결공(16e)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 일측에 차례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공(16c, 16d)은 각각의 장축이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공(16e)은, 그 장축이 가이드공(16c, 16d)의 장축과 대략 수직인 방향이 되도록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공(16b)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를 중심으로 가이드공(16c)과 대향하도록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홈부(16a)는 대략 가이드공(16b)과 가이드공(16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제2홈부(16a)는 제2가장자리(16g)와 제2추가가장자리(16h)를 갖는다. 제2가장자리(16g)는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일 수 있다. 제2추가가장자리(16h)는 제2가장자리(16g)가 2개로 나뉘도록 제2가장자리(16g)에 연결되는데, 제2추가가장자리(16h)는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추가가장자리(16h)는 반원 형상을 갖고, 제2가장자리(16g) 역시 제2추가가장자리(16h) 부분을 제외하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가장자리(16g)의 곡률중심(C161)과 제2추가가장자리(16h)의 곡률중심(C162)을 연결한 직선이 가이드공(16b, 16c)의 장축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베이스 유닛(12)과 도 2의 제1조리개판(14)과 도 3의 제2조리개판(16)이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베이스 유닛(12)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 제2조리개판(16)이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공(16b)에 가이드핀(24)이 삽입되고, 가이드공(16c)에 가이드핀(26)이 삽입되며, 가이드공(16d)에 가이드핀(30)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조리개판(16)은 가이드공(16b, 16c, 16d)의 장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제2조리개판(16)은 이에 따라 가이드공(16b, 16c, 16d)의 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2조리개판(16)의 연결공(16e)에는 스윙로드(40)의 연결핀(46)이 삽입되어, 스윙로드(40)의 움직임에 따라 제2조리개판(16)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조리개판(14)은 제2조리개판(16)이 사이에 개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공(14b)에 가이드핀(24)이 삽입되고, 가이드공(14c)에 가이드핀(26)이 삽입되며, 가이드공(14d)에 가이드핀(28)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은 가이드공(14b, 14c, 14d)의 장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제1조리개판(14)은 이에 따라 가이드공(14b, 14c, 14d)의 장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조리개판(14)의 연결공(14e)에는 스윙로드(40)의 연결핀(44)이 삽입되어, 스윙로드(40)의 움직임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이 베이스 플레이트(20)에 배치됨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과,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과,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가장자리(16g)의 곡률중심(C161)과, 제2추가가장자리(16h)의 곡률중심(C162)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이 베이스 유닛(12)에 배치됨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는 상호 마주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대략 중앙의 원형의 개구부(20a)를 통해 촬상소자에 입사할 광량을 제어할 수 있는 광통과구(50)를 정의하게 된다.
이때, 구동기구(22)의 스윙로드(40)가 스윙함에 따라,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의 위치를 변화시켜 광통과구(50)의 면적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연결핀(44)이 개구부(20a)로부터 멀어지고 연결핀(46)이 개구부(20a)에 가까워지도록 스윙로드(40)가 움직이면, 제1조리개판(14)은 스윙로드(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조리개판(16)은 스윙로드(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는 스윙로드(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는 스윙로드(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결과적으로 제1홈부(14a)와 제2홈부(16a)에 의해 정의되는 광통과구(50)의 면적이 늘어나도록 한다.
반대로, 도 4에서 연결핀(44)이 개구부(20a)로 가까워지고 연결핀(46)이 개구부(20a)로부터 멀어지도록 스윙로드(40)가 움직이면, 제1조리개판(14)은 스윙로드(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조리개판(16)은 스윙로드(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는 스윙로드(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는 스윙로드(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여, 결과적으로 제1홈부(14a)와 제2홈부(16a)에 의해 정의되는 광통과구(50)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한다.
연결핀(44)이 개구부(20a)로부터 멀어지고 연결핀(46)이 개구부(20a)에 가까워지도록 스윙로드(40)가 움직이면, 제1홈부(14a)와 제2홈부(16a)에 의해 정의되는 광통과구(5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과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가장자리(16g)의 곡률중심(C161)이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과 제2추가가장자리(16h)의 곡률중심(C162)은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광통과구(50)는 대략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가장자리(14g)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가장자리(16g)에 의해 정의되는 대략적으로 반경 r1인 원형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통과구(50)의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이기에, 빛갈라짐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통과구(50)는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추가가장자리(14h)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추가가장자리(16h)에 의해 정의되는 작게 돌출된 형상도 가지나, 광통과구(50)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빛갈라짐의 현상이 크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한편, 연결핀(44)이 개구부(20a)에 가까워지고 연결핀(46)이 개구부(20a)로부터 멀어지도록 스윙로드(40)가 움직이면, 제1홈부(14a)와 제2홈부(16a)에 의해 정의되는 광통과구(5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는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과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추가가장자리(16h)의 곡률중심(C162)이 일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광통과구(50)는 대략 제1조리개판(14)의 제1홈부(14a)의 제1추가가장자리(14h)와 제2조리개판(16)의 제2홈부(16a)의 제2추가가장자리(16h)에 의해 정의되는 대략적으로 반경 r2인 원형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에 의해 만들어지는 광통과구(50)의 형상이 대략 원형 형상이기에, 빛갈라짐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는,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과 제2가장자리(16g)의 곡률중심(C161)이 일치하거나,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과 제2추가가장자리(16h)의 곡률중심(C162)이 일치하도록,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조리개판(14)과 제2조리개판(16)에 의해 정의되는 광통과구(50)의 형상이 대략적으로 원형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빛갈라짐 현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광통과구(50)의 면적이 좁을수록 빛갈라짐의 현상이 크게 발생하는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경우에는 광통과구(50)의 면적이 가장 좁아지더라도 광통과구(50)의 형상이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깝게 유지되기에, 빛갈라짐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14)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리개판(14)이 제1홈부(14a)의 양단을 연결하여 제1홈부(14a)와 함께 관통공을 형성하는 연결가장자리를 갖는 지지바(14j)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바(14j)는 물론 제1홈부(14a)를 형성하는 제1조리개판(14)의 구성요소와 일체(一體)일 수 있다. 즉, 지금까지 제1조리개판(14)이 제1홈부(14a)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바, 이 제1홈부(14a)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홈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관통공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는 물론 제1조리개판(1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조리개판(16)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2조리개판(16)의 경우에도 제2홈부(16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홈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관통공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제1조리개판(14)이 제1가장자리(14g)와 제1추가가장자리(14h)를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제1조리개판(14)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인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조리개판(14)이 제1부가가장자리(14i)를 더 가질 수도 있다. 이 제1부가가장자리(14i)는 반경 r2보다 더 작은 반경 r3인 원의 일부일 수 있으며, 제1추가가장자리(14h)가 2개로 나뉘도록 제1추가가장자리(14h)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제1부가가장자리(14i)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장자리(14g)의 곡률중심(C141), 제1추가가장자리(14h)의 곡률중심(C142) 및 제1부가가장자리(14i)의 곡률중심(C143)을 연결한 직선은 가이드공(14b, 14c)의 장축과 대략 평행할 수 있다. 물론 제2조리개판(16) 역시 제1조리개판(14)과 마찬가지로 제2부가가장자리를 더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의 경우, 3단에 걸쳐 광통과구(5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의 광통과구(50)가 형성되도록 하고, 나아가 광통과구(50)의 면적이 최소가 될 시 광통과구(50)의 형상이 대략 원형이 되도록 함으로써, 빛갈라짐 현상을 방지하거나 획기적으로 줄여 고품질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조리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술한 것과 같은 조리개를 구비하는 촬영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구체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와 같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으로 촬영하는 촬영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와 같은 촬영장치는 특히 빛갈라짐 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도록 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특정한 장소나 사물을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베이스 유닛 14: 제1조리개판
14a: 제1홈부 14b, 14c, 14d: 가이드공
14e, 16e: 연결공 14g: 제1가장자리
14h: 제1추가가장자리 14i: 제1부가가장자리
14j: 지지바 14f: 직선가장자리
16: 제2조리개판 16a: 제2홈부
16b, 16c, 16d: 가이드공 16e, 16e: 연결공
16g: 제2가장자리 16h: 제2부가가장자리
20: 베이스 플레이트 20a: 개구부
22: 구동기구 24, 26, 28, 30: 가이드핀
40: 스윙로드 42: 스윙축
44, 46: 연결핀 50: 광통과구

Claims (6)

  1.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인 제1가장자리와, 상기 제1가장자리가 2개로 나뉘도록 상기 제1가장자리에 연결되며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인 제1추가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1홈부 및 장공 형태의 복수개의 제1 가이드공들을 포함하는 제1조리개판;
    반경이 r1인 원의 일부인 제2가장자리와, 상기 제2가장자리가 2개로 나뉘도록 상기 제2가장자리에 연결되며 반경이 r1보다 작은 r2인 원의 일부인 제2추가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홈부 및 장공 형태의 복수개의 제2 가이드공들을 포함하는 제2조리개판; 및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가이드공들 또는 제2가이드공들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핀들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조리개판은, 상기 제1 홈부의 양단을 연결하여 상기 제1홈부와 함께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공들의 장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형태의 연결가장자리를 갖는 지지바를 더 포함하는, 조리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1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조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제1조리개판과 상기 제2조리개판이 위치할 시, 상기 제1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과 상기 제2추가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은 상기 제1가장자리의 곡률중심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이 되도록 위치하는, 조리개.
  5. 삭제
  6. 삭제
KR1020140016796A 2014-02-13 2014-02-13 조리개 KR102145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96A KR102145955B1 (ko) 2014-02-13 2014-02-13 조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796A KR102145955B1 (ko) 2014-02-13 2014-02-13 조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53A KR20150095453A (ko) 2015-08-21
KR102145955B1 true KR102145955B1 (ko) 2020-08-19

Family

ID=5405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796A KR102145955B1 (ko) 2014-02-13 2014-02-13 조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9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2946A (ja) * 2009-11-27 2011-06-09 Victor Co Of Japan Ltd 絞り機構
JP2012163874A (ja) * 2011-02-09 2012-08-30 Canon Inc 光量調整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7700A (en) * 1985-06-28 1989-01-10 Canon Kabushiki Kaisha Diaphragm device
US5432576A (en) * 1994-01-05 1995-07-11 Eastman Kodak Company Aperture mechanism having a blade positionable in an open position by a hard stop
JP5490735B2 (ja) * 2011-01-07 2014-05-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絞り装置及び光学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2946A (ja) * 2009-11-27 2011-06-09 Victor Co Of Japan Ltd 絞り機構
JP2012163874A (ja) * 2011-02-09 2012-08-30 Canon Inc 光量調整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53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02576A5 (ko)
US10027865B1 (en) Plastic barrel,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JPS6378119A (ja) 内視鏡光学系
US11126068B2 (en) Optical system
US9759985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TWI705266B (zh) 光學系統及其光學鏡頭
KR102145955B1 (ko) 조리개
JP2016133626A (ja) 絞り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US9164355B2 (en) Light control apparatus
JP2017223829A (ja) レンズユニット
US20140376104A1 (en) Lens barrel
KR102095556B1 (ko) 조리개 조립체
TWI524132B (zh) 投影系統
KR102149378B1 (ko) 카메라 모듈
JP6555064B2 (ja) 光量調節機構、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US12032175B2 (en) Imaging correction unit and imaging module
JP3689339B2 (ja) レンズ鏡筒
US20170090073A1 (en) Optical lens assembly
US20220137427A1 (en) Imaging correction unit and imaging module
JP2019061180A (ja) レンズ組立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US11815700B2 (en) Optical lens assembly
TWI764353B (zh) 成像校正單元以及成像模組
JP2018054925A (ja) 絞り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レンズ装置及び撮像装置
US20150192755A1 (en) Zoom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