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857B1 -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 Google Patents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857B1
KR102145857B1 KR1020200057458A KR20200057458A KR102145857B1 KR 102145857 B1 KR102145857 B1 KR 102145857B1 KR 1020200057458 A KR1020200057458 A KR 1020200057458A KR 20200057458 A KR20200057458 A KR 20200057458A KR 102145857 B1 KR102145857 B1 KR 10214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ctive element
resistor
power modul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4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신성엔에스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oard device having a power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human errors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expansion by manufacturing the power module that generates power to be mounted on an interface board. The interface board device having a power module comprises: a main board; a power input part formed in the main board to receive external power; a voltage setting logic formed in the main board to set an output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a power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ard to generat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voltage setting logic;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in the main board to output voltage generated by the power module.

Description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Interface board device with power module{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본 발명은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에 관한 것으로, 환경 보드에 의한 전압설정로직을 갖고, 유지 보수 및 확장의 필요성에 부응할 수 있는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face board having a power module, and provides an interface board device having a voltage setting logic by an environment board and having a power module capable of meeting the need for maintenance and expansion.

종래의 전원 공급을 위한 인터페이스 보드는 한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14-0088393호 "전원 공급용 인터페이스 보드"와 같이 파워서플라이 유닛을 구비하여 안정적인 파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ventional interface board for power suppl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such as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88393 "Interface Board for Power Supply", so that stable power can be supplied.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944호 "일체형 전원 공급보드"와 같이 단일의 보드 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 일체화 된다.In addition, the function of supplying power to a single board body is integrated, such as “Integrated Power Supply Boar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68944.

외부 환경 감시와 전원을 공급하는 환경 감시 보드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다양한 레벨의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기판 제작시 휴먼 에러에 의한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인해 전체 시스템은 물론 관련 장치에 손상이 발생하는 이슈가 있다.Since the environmental monitoring board, which monitors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supplies power, adds various functions and supplies various levels of power, problems due to human errors occur when manufacturing the board, resulting in damage to the entire system as well as related devices. There is an issu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을 인터페이스 보드에 장착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휴먼 에러를 예방하고, 유지 보수 및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interface having a power module capable of preventing human errors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and expansion by manufacturing a power module that generates power so that it can be mounted on an interface board. Provide a board device.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보드와,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전압 값을 세팅하는 전압 세팅 로직와, 상기 메인 보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압 세팅 로직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 및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파워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를 제공한다.The main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input unit formed in the main board to receive external power, a voltage setting logic formed in the main board to set an output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and a detachable from the main board Provides an interface board having a power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ower module capable of being mounted and generating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voltage setting logic, and an output terminal formed in the main board to output a voltage generated by the power module. do.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메인 보드와 착탈 가능한 서브 보드와, 서브 모드 내에 형성된 파워 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module may include a sub-board detachable from the main board, and a power logic formed in a sub-mode.

상기 전압 세팅 로직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모듈은 외부 전원을 입력 받아 이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setting logi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element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the power module is composed of an elem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power and varies it and outputs it.

상기 파워 모듈은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파워 모듈과,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교류 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C power module for outputting a DC voltage and an AC power module for outputting an AC voltage.

상기 전압 세팅 로직은 직류 파워 모듈과 교류 파워 모듈에 각기 전압을 제공하는 로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oltage setting logic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logic for supplying voltages to the DC power module and the AC power module respectivel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보드의 전압설정로직을 통해 전원을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an be corrected and output through the voltage setting logic of the interface board.

또한, 동일모듈을 이용하여 생산성 및 휴먼에러에 대한 발생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module can be used to overcome problems related to productivity and human error.

또한, 하나의 파워모듈이 착탈 가능함으로 인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확장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one power module is detachable, maintenance is easy and expandability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4는 직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다.
도 5는 교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4 is a circuit diagram of a DC power module.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 power modu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division of the constituent par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divided by the main function that each constituent par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nstituent par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nstituent part, or one constituent par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according to more subdivided functions.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its own main function,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constituent unit are differ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refore, the presence or abse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have to be functionally interpreted. For this reason, it should be clarifi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the pow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fferent within the limit of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의 관계적인 용어는, 그러한 엔티티 또는 액션 간의 실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 않고 다른 엔티티나 액션과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그 다른 변형은, 구성요소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가 구성요소만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에 명시적으로 열거되거나 내재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를 포함하다"로 진행되는 하나의 구성요소는, 더 이상의 제한없이,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장치 내에 부가적인 동일한 구성요소의 존재를 배제한다.In this specification, relational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are used to distinguish one entity or action from another entity or action without necessarily requiring or implying an actual relationship or order between such entities or actions. Can only be used. The term “comprises”, “comprising” or other variations thereof means that a process, method, product, or device comprising a list of components does not contain only components, but such process, method, product It is intended to cover non-exclusive inclusions, such as to include, or other components not expressly listed or inherent in the device. An element that proceeds to "a includes" excludes the presence of additional identical elements in a process, method, product, or apparatus including the element, without further limit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는 메인 보드(100)와, 메인 보드(100) 내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200)와, 메인 보드(100) 내에 형성되어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전압 값을 세팅하는 전압 세팅 로직(300)과, 메인 보드(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압 세팅 로직(300)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400)과, 메인 보드(100) 내에 형성되어 파워 모듈(400)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the main board 100, the power input unit 200 formed in the main board 100 to receive external power, and the main board 100. A voltage setting logic 300 that sets an output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and a power module 400 that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ard 100 and generates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an output terminal 500 formed in the main board 100 and outputting a voltage generated by the power module 400.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전압 세팅 로직(300)이 출력을 원하는 전압을 결정하고, 그 결정 값에 따라 파워 모듈(400)은 전원 입력부(200)의 외부 전원을 변화시켜 결정된 전압을 출력단(5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the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determines a desired voltage for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nd the power module 400 is determined by changing the external power of the power in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determined value. The voltage may be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500.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보드(100) 내에 전원 입력부(200), 전압 세팅 로직(300) 및 출력단(500)을 형성하고, 파워 모듈(400)만 메인 보드(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input unit 200,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the output terminal 500 are formed in the main board 100, and only the power module 40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ard 100.

파워 모듈(40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인 보드(100)와 착탈 가능한 서브 보드와, 서브 모드 내에 형성된 파워 로직을 포함한다.The power module 400 is not shown, but includes the main board 100, a detachable sub-board, and power logic formed in the sub-mode.

서브 보드는 메인 보드(1000)에 전기적 착탈을 위한 전기 착탈부와 물리적 착탈을 위한 물리적 착탈부를 구비할 수 있다. 파워 로직은 다양한 소자를 통해 외부 전원을 출력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파워 로직은 직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워 로직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1 내지 220V 범위 내의 전압이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5V, 12V, 24V 및 220V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b-board may include an electrical attachment/detachment part for electrical attachment/detachment and a physical attachment/detachment portion for physical attachment/detachment on the main board 1000. Power logic can convert an external power source into an output voltage through various devices. The power logic of this embodiment may output a DC voltage or an AC voltage. It is possible to output a voltage within the range of 1 to 220V of the voltage output by the power logic. In this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5V, 12V, 24V and 220V are output.

본 실시예의 메인 보드(100)로는 다양한 소자 실장이 가능한 PCB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보드도 PC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main board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PCB substrate capable of mounting various devices. It is preferable to use a PCB for the sub-board.

전원 입력부(200)는 외부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외부 전원을 인터페이스 보드에 제공한다. 이때, 전원 입력부(200)에 의해 외부 전원의 전압이 가변되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wer input unit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terminal to provide external power to the interface board. In this case,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may be varied and provided by the power input unit 200.

전압 세팅 로직(300)은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파워 모듈(400)을 제어하여 출력 전압을 가변하는 다양한 회로 구성이 가능하다.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controls the power module 400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and various circuit configurations for varying the output voltage are possible.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세팅 로직(300)만을 메인 보드(100) 상에 형성하기 때문에 그 회로 구성이 단순해질 수 있다. 기존에는 전압 세팅 로직(300)과 파워 모듈(400)의 구성이 구분되지 않고, 단일의 구성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외부 제어 신호에 따라 단순하게 출력 전압을 생성하였다. 이에 따라 일부 부품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체 보드를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In this embodiment, since only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is formed on the main board 100, the circuit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Conventio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the power module 400 is not distinguished, and is manufactured as a single configuration. Therefore, the output voltage was simp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ternal control signal. Accordingly, if some parts are damag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ntire board cannot be used.

기존 보드의 손상 원인이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품들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It was confirmed that the cause of damage to the existing board occurred in parts with large voltage and current flow.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분은 파워 모듈(400)로 분류하고, 전압과 전류 흐름이 작은 부분을 전압 세팅 로직(300)으로 분류하였다. 즉,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되는 부분을 전압 세팅 로직(300)으로 분류하여, 제어 신호에 의한 출력 전압 레벨을 결정하도록 하였고, 외부 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가변하여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부분을 파워 모듈(400)로 분류하여 외부 출력 전압을 출력하도록 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ortion having a large voltage and current flow is classified as the power module 400, and a portion having a small voltage and current flow is classified as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That is, the part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s classified into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to determine the output voltage level by the control signal, and the part that generates the output voltage by receiving an external power input and changing it is a power module ( 400) and output the external output voltage.

이를 통해 전압과 전류 흐름이 큰 부품에서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이 부분의 모듈 만을 제거하게 되면 전체 보드를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발생하였다.Through this, even if damage occurs in parts with large voltage and current flow, removing only the module in this part has the advantage that the entire board can be reused.

또한, 기존에는 출력을 위한 보드의 값들이 고정되어 있고, 생산 단가를 줄이기 위해 각 보드의 사이즈를 동일하게 제작하였다. 이로인해 5V의 출력이 되는 보드와 12v가 출력되는 보드의 사이즈가 동일하여 이를 장착할때 휴먼 에러가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이 손상되는 이슈가 발생하였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values of the boards for output are fixed, and each board has the same siz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ecause of this, the size of the board that outputs 5V and the board that outputs 12v is the same, and a human error occurred when mounting them, resulting in an issue that damages the entire system.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압 세팅 로직(300)와 파워 모듈(400)을 분리제작함으로 인해 이와 같은 이슈를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Howev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the power module 400, such an issue can be solved.

본 실시예에서는 출력단(500)을 파워 모듈(400)에 두지 않고, 메인 보드(100) 상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출력단(500)와 외부 장치와의 연결시 파워 모듈(400)에 인가되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파워 모듈(400)이 메인 보드(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해 이 장착부분에 손상이 발생할 이슈가 있지만, 이를 메이 보드(100) 영역에 설치함으로 인해 이를 해소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500 is not placed on the power module 400, but is positioned on the main board 10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applied to the power module 400 when the output terminal 5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his is because the power module 400 is mounted on the main board 100, there is an issue that damage to the mounting portion may occur due to an external shock, but this can be solved by installing it in the main board 100 area.

도 1에서는 하나의 전압 세팅 로직(300)에 하나의 파워 모듈(400)이 연결됨을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술되는 설명은 상술한 설명에 추가 및 부연될 수 있고, 후술되는 설명 중 상술한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1,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power module 400 is connected to one voltage setting logic 300,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Hereinafter, an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added or augmen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a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mong the descriptions to be described later.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의 개념 사시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n interface board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보드는 메인 보드(100)와, 전원 입력부(200)와, 전압 세팅 로직(300)을 포함하고, 전압 세팅 로직(300)에 따라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류 파워 모듈(401)과, 전압 세팅 로직(300)에 따라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류 파워 모듈(402)과, 직류 파워 모듈(401)의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직류 출력단(501)과, 교류 파워 모듈(402)의 교류 전압을 출력하는 교류 출력단(502)을 포함한다.2 and 3, the interface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ard 100, a power input unit 200, a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a voltage setting logic 300 ) Of at least one DC power module 401 that generates a DC voltage according to, at least one AC power module 402 that generates an AC voltage according to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and the DC power module 401 A DC output terminal 501 for outputting a DC voltage and an AC output terminal 502 for outputting an AC voltage of the AC power module 402 are included.

직류 파워 모듈(401)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류 서브 보드와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직류 파워 로직을 포함하고, 교류 파워 모듈(402)은 교류 서브 보드와 교류 전압을 생성하는 교류 파워 로직을 포함한다.Although not shown, the DC power module 401 includes a DC sub-board and a DC power logic for generating a DC voltage, and the AC power module 402 includes an AC sub-board and an AC power logic for generating an AC voltage.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전압 세팅 로직(300)은 직류 파워 모듈 및 교류 파워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전압 로직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파워 모듈에 대하여 전압 로직이 작동하게 되어 동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전압 세팅 로직이 복수개로 제작되고, 이들이 직류 파워 모듈 및 교류 파워 모듈에 각기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voltage setting logic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voltage logic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C power module and the AC power module. Through this, voltage logic is operated for one power module,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speed. Of course, a plurality of voltage setting logics may be manufactured, and these may correspond to DC power modules and AC power modules, respectively.

도 3에서와 같이 직류 파워 모듈(401)과 교류 파워 모듈(402)을 분리하여 메인 보드의 대향하는 면에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유지 보수 및 휴먼 에러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DC power module 401 and the AC power module 402 and arrange them to face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ard. This can reduce maintenance and human errors.

도 4는 직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고, 도 5는 교류 파워 모듈의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of a DC power module, and 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n AC power modu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파워 모듈은 다수 단자를 갖는 제 1 능동 소자(U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7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제 8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D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3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제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3 저항(R3)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전압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5 및 제 6 커패시터(C5, C6)와, 전압 출력단자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6 저항(R6)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the DC power module includes a first active element U1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seven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 C1, C2), a first resistor R1 position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and 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eigh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3 Capacitor C1, a first diode D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and parallel connected between the thir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A fourth capacitor C4 and a second resistor R2, a third resistor R3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 fourth resistor (R4) located between the and input terminals, a first inductor (L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connected in parallel. The fifth and sixth capacitors C5 and C6, a fifth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a fourth resistor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ground.

이때, 제 1 능동 소자(U1)로는 EML319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EML3191 as the first active element U1.

또한, 회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단에 접속되어 입력단 신호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D2)를 발광시키는 제 7, 제 8 및 제 9 저항(R7, R8, R9),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circuit diagram, the seventh, eighth and ninth resistors R7, R8, R9,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second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to emit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D2 according to the input terminal signal. It includes a diode D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파워 모듈은 제 1 내지 제 3 능동 소자(U1, U2, U3)와, 전원 전압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교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 2 단자에서 접지로 전류 루트를 형성하는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R3)과,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교류 입력단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및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접속된 트라이악(Q1)과, 교류 입력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커패시터(C1) 및 제 6 저항(R6)과, 제 2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2 커패시터(C2)와, 전원 전압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7 저항(R7)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8 저항(R8)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7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9 저항(R9)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4 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0 저항(R10)과 제 3 커패시터(C3)와,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AC power module includes first to third active elements U1, U2, U3, and a first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 R1),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an AC input terminal, and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A first transistor T1 forming a current route from the terminal to the ground, a third resistor R3 connected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T1 A fourth resistor R4 connected between the and ground, and a fifth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 An AC input terminal and a triac Q1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the AC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 first capacitor C1 and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 and a second capacitor C2 connect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 and a seventh resistor R7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and an eighth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The ninth resistor R9 connected between the resistor R8 and the third terminal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and the seventh terminal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the third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Including a tenth resistor (R10) and a third capacitor (C3)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and a fourth capacitor (C4)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and the ground. do.

여기서, 제 1 능동 소자(U1)로 MOC3063을 사용하고, 제 2 능동 소자(U2)로 ACS722LLCTR-10AB-T를 사용하고, 제 3 능동 소자(U3)로 LM321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트라이악(Q1)으로는 BTA08-600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Here, it is effective to use MOC3063 as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CS722LLCTR-10AB-T as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LM321 as the third active element U3.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use BTA08-600 as the triac (Q1).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설정로직을 가지며, 이를 받아 전원을 보정하여 출력한다. 또한, 동일 모듈을 이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휴먼에러를 극복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has a voltage setting logic, receives it, corrects power and outputs 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productivity and overcome human errors by using the same module.

추가적으로 입력전원에 대한 바이패스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모듈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various types of modules can be provided through bypass for input power.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for the limitation thereof.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메인 보드 200: 전원입력부
300: 전압 세팅 로직 400: 파워모듈
401: 직류 파워 모듈 402: 교류 파워 모듈
500: 출력단 501: 직류 출력단
502: 교류 출력단
100: main board 200: power input
300: voltage setting logic 400: power module
401: DC power module 402: AC power module
500: output terminal 501: DC output terminal
502: AC output stage

Claims (5)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을 제공 받는 전원 입력부;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별도의 제어 신호에 따라 출력 전압 값을 세팅하는 전압 세팅 로직;
상기 메인 보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압 세팅 로직에 따라 출력 전압을 생성하는 파워 모듈; 및
상기 메인 보드 내에 형성되어 파워 모듈에 의해 생성된 전압을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메인 보드와 착탈 가능한 서브 보드와, 서브 모드 내에 형성된 파워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 세팅 로직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모듈은 외부 전원을 입력 받아 이를 가변하여 출력하는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파워 모듈은 다수 단자를 갖는 제 1 능동 소자(U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7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커패시터(C1, C2)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제 8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커패시터(C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D1)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3 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와 제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위치한 제 3 저항(R3)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입력단 사이에 위치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와 전압 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인덕터(L1)와, 전압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5 및 제 6 커패시터(C5, C6)와, 전압 출력단자와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6 저항(R6)을 포함하거나, 제 1 내지 제 3 능동 소자(U1, U2, U3)와, 전원 전압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R1)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교류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R2)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2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어 제 2 단자에서 접지로 전류 루트를 형성하는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R3)과, 제 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저항(R4)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5 저항(R5)과, 교류 입력단과 제 1 능동 소자(U1)의 제 4 단자 및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에 접속된 트라이악(Q1)과, 교류 입력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1 및 제 2 단자 사이에 직렬 접속된 제 1 커패시터(C1) 및 제 6 저항(R6)과, 제 2 능동 소자(U1)의 제 6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2 커패시터(C2)와, 전원 전압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7 저항(R7)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1 단자와 제2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8 저항(R8)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2 능동 소자(U2)의 제 7 단자 사이에 접속된 제 9 저항(R9)과,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3 단자와 제 4 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된 제 10 저항(R10)과 제 3 커패시터(C3)와, 제 3 능동 소자(U3)의 제 4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제 4 커패시터(C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모듈을 갖는 인터페이스 보드 장치.
Main board;
A power input unit formed in the main board to receive external power;
A voltage setting logic formed in the main board to set an output voltage value according to a separate control signal;
A power module detachably mounted on the main board and generating an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 voltage setting logic; And
It is formed in the main board and includes an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voltage generated by the power module,
The power module includes a sub-board detachable from the main board, and a power logic formed in the sub-mode,
The voltage setting logic is composed of an element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The power module is composed of an elem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power and outputs it by varying it,
The power module includes a first active element U1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first and second capacitors C1 and C2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a seven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a ground, and a first A first resistor R1 locat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a third capacitor C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eighth terminals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1 First diode D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of the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and the fourth capacitor C4 and the fourth capacitor C4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hir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2 resistor R2, a third resistor R3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and a fourth resistor position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R4), a first inductor (L1)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fifth and sixth capacitors (C5)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the ground. , C6), a fifth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output terminal and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a fifth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ground. 6 A first resistor R1 including a resistor R6 or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active elements U1, U2, and U3,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 The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AC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ground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to ground at the second terminal Between the first transistor T1 forming the low current route, the third resistor R3 connected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transistor T1, and the gate terminal and the ground of the first transistor T1 A fourth resistor R4 connected to, a fifth resistor R5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of the first active element U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an AC input terminal Lesson 1 Triacs Q1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of the active element U1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AC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 first capacitor C1 and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wo terminals, a second capacitor C2 connected between the sixth terminal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1 and ground, and a power supply voltage. The seventh resistor R7 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s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and the eighth resistor R8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3 Between the ninth resistor R9 connected between the third terminal of the active element U3 and the seventh terminal of the second active element U2, an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terminals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th resistor (R10) and a third capacitor (C3) connected in parallel to and a fourth capacitor (C4) connecte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of the third active element (U3) and ground. Interface board device with modul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7458A 2020-02-27 2020-05-14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KR1021458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91 2020-02-27
KR20200024591 2020-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857B1 true KR102145857B1 (en) 2020-08-19

Family

ID=7229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458A KR102145857B1 (en) 2020-02-27 2020-05-14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8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03A (en) * 1997-03-25 1998-11-05 윤종용 Module Power Control
KR20140130867A (en)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voltage regula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4503A (en) * 1997-03-25 1998-11-05 윤종용 Module Power Control
KR20140130867A (en) * 2013-05-02 2014-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Computer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voltage regula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9332B2 (en) LED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6073400A (en) Lighting control circuit of vehicular luminair
US9585217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system with carrier signal control
CN102970788A (en) Led driver apparatus
CN104363685A (en) Flyback direct-drive LED (Light Emitting Diode) power supply circuit based on current feedback and television
KR20090127033A (en) Inverter circuit
CN111505993A (en) Sequential control circuit
KR102145857B1 (en)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power module
KR102216449B1 (en) Power module for board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3699175A (en) Mainboard
CN104661380B (en) A kind of gamut adjusts electric current and corrects the LED drive circuit of dimming curve
CN105764180A (en) Dynamic load adaptive PWM driver
US20200341310A1 (en)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and the driving circuit and switching power supply thereof
KR102145854B1 (en) Interface board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CN110415654B (en) LED driving chip, LED driving method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45859B1 (en) Interface board apparatus having motion recognition function
CN106658837A (en) LED driving circuit, LED regulation circuit and LED module
CN201853155U (en) Precision constant-current source circuit module
KR101818768B1 (en) Lamp driving apparatus
KR101454460B1 (en) Led control device of ac driving
CN210958598U (en) Multi-power-supply circuit system, multi-power-supply projector and projection system
CN104682688A (en) Method for improving power supply stability during starting up and power circuit
CN110212488A (en) A kind of simple direct current anti-overvoltage circuit
CN205283443U (en) PWM driver
KR20130071776A (en) Led driv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