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303B1 -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303B1
KR102145303B1 KR1020207007868A KR20207007868A KR102145303B1 KR 102145303 B1 KR102145303 B1 KR 102145303B1 KR 1020207007868 A KR1020207007868 A KR 1020207007868A KR 20207007868 A KR20207007868 A KR 20207007868A KR 102145303 B1 KR102145303 B1 KR 10214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andom access
system information
message
r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267A (ko
Inventor
김상원
이영대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3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4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user query or user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6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downlink, i.e. towards the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REQUESTING SYSTEM INFORM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이 기타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를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시스템 정보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통신을 위한 필수적인(essential) 정보를 말한다. 3GPP LTE에서 시스템 정보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과 SIB(System Information Block)으로 나뉜다. MIB는 가장 필수적인 정보이고, SIB는 그 중요도나 주기에 따라 다시 SIB-x의 형태로 나뉜다. MIB는 물리채널인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되고, SIB는 공용 제어정보로써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시스템 정보 블록의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의 방송을 위해 무선 자원의 사용이 필요하므로, 시스템 정보 블록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정보 블록의 방송에 필요한 무선 자원의 양 또한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스템 정보를 단말에게 전송함에 있어서, 무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 정보 요청 방법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송수신기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기가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및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단말이 효율적으로 기타 시스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제어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4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1(System Information Block1) 및 기타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나타낸다.
도 6은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나타낸다.
도 7은 비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나타낸다.
도 8은 단말이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직 RAPID만을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C PU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새로운 타입의 RAR 윈도우를 기반으로 시스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제공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기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IEEE 802.16m은 IEEE 802.16e의 진화로, IEEE 802.16e에 기반한 시스템과의 하위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를 제공한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은 E-UTRA(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써,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이다. 5G 통신 시스템은 LTE-A의 진화이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LTE-A/5G를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LTE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다. 통신 네트워크는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한 인터넷 전화(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와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넓게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LTE 시스템 구조는 하나 이상의 단말(UE; 10),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한다.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는 통신 장치이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E-UTRAN은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셀에 복수의 단말이 존재할 수 있다. eNB(20)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의 끝 지점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eNB(20)는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eNB(20)는 셀마다 배치될 수 있다. eNB(20)의 커버리지 내에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및 20 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를 가지도록 설정되어 여러 단말에게 하향링크(DL; downlink) 또는 상향링크(UL; uplink) 전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DL은 eNB(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UL은 단말(10)에서 eNB(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DL에서 송신기는 eNB(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UL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eNB(20)의 일부일 수 있다.
EPC는 제어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사용자 평면의 기능을 담당하는 S-GW(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 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MME/S-GW(30)은 네트워크의 끝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며, 이러한 정보는 주로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사용될 수 있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S-GW(30)은 세션의 종단점과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단말(10)에 제공한다. EPC는 PDN(packet data network)-GW(gateway)를 더 포함할 수 있다. PDN-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MME는 eNB(20)로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access stratum) 보안 제어, 3GPP 액세스 네트워크 간의 이동성을 위한 inter CN(core network) 노드 시그널링, 아이들 모드 단말 도달 가능성(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 포함),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아이들 모드 및 활성화 모드인 단말을 위해), P-GW 및 S-GW 선택, MME 변경과 함께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이러 설정을 포함한 베어러 관리 기능, PWS(public warning system: 지진/쓰나미 경보 시스템(ETWS) 및 상용 모바일 경보 시스템(CMAS) 포함) 메시지 전송 지원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S-GW 호스트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예를 들면, 심층 패킷 검사를 통해), 합법적 차단, 단말 IP(internet protocol) 주소 할당, DL에서 전송 레벨 패킹 마킹, UL/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등급 강제, APN-AMBR에 기반한 DL 등급 강제의 갖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명확성을 위해 MME/S-GW(30)은 "게이트웨이"로 단순히 표현하며, 이는 MME 및 S-GW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전송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단말(10) 및 eNB(20)은 Uu 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간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한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에 의한 망형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eNB(20)들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S1-MME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와 연결될 수 있으며, S1-U 인터페이스에 의해 S-GW와 연결될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eNB(20)와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eNB(20)은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선택, RRC(radio resource control) 활성(activation) 동안 게이트웨이(30)로의 라우팅(routing),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BCH(broadcast channel)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UL 및 DL에서 단말(10)들로의 자원의 동적 할당, eNB 측정의 설정(configuration) 및 제공(provisioning), 무선 베어러 제어, RAC(radio admission control) 및 LTE 활성 상태에서 연결 이동성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언급처럼 게이트웨이(30)는 EPC에서 페이징 개시, LTE 아이들 상태 관리, 사용자 평면의 암호화, SAE 베어러 제어 및 NAS 시그널링의 암호화와 무결성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제어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LTE 시스템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통신 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제1 계층), L2(제2 계층) 및 L3(제3 계층)으로 구분된다. 단말과 E-UTRAN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은 수평적으로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및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으로 구분될 수 있고, 수직적으로는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인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데이터 정보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인 사용자 평면(user plane)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은 단말과 E-UTRAN에서 쌍(pair)으로 존재할 수 있고, 이는 Uu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할 수 있다.
물리 계층(PHY; physical layer)은 L1에 속한다. 물리 계층은 물리 채널을 통해 상위 계층에 정보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물리 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과 전송 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된다. 물리 채널은 전송 채널에 맵핑 된다. 전송 채널을 통해 MAC 계층과 물리 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사이, 즉 송신기의 물리 계층과 수신기의 물리 계층 간에 데이터는 물리 채널을 통해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물리 계층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될 수 있고,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물리 계층은 몇몇의 물리 제어 채널(physical control channel)을 사용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은 PCH(paging channel) 및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DL-SCH와 관련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에 대하여 단말에 보고한다. PDC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에 관하여 단말에 보고하기 위해 상향링크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은 PDCCH를 위해 사용되는 OFDM 심벌의 개수를 단말에 알려주며, 모든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은 UL-SCH 전송에 대한 HARQ ACK(acknowledgement)/NACK(non-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을 위한 HARQ ACK/NAC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UL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를 나른다.
물리 채널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들과 주파수 영역에서 복수의 부반송파(subcarrier)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심벌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 블록(RB; resource block)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은 복수의 심벌들과 복수의 부반송파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를 위하여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벌들의 특정 부반송파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의 첫 번째 심벌이 PDCCH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PDCCH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 및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s)와 같이 동적으로 할당된 자원을 나를 수 있다.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위 시간인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는 1개의 서브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하나의 길이는 1ms일 수 있다.
전송채널은 채널이 공유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공통 전송 채널 및 전용 전송 채널로 분류된다. 네트워크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DL 전송 채널(DL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를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DL-SCH 등을 포함한다. DL-SCH는 HARQ, 변조, 코딩 및 전송 전력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 및 동적/반정적 자원 할당을 지원한다. 또한, DL-SCH는 셀 전체에 브로드캐스트 및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 정보 블록들을 나른다. 모든 시스템 정보 블록들은 같은 주기로 전송될 수 있다.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의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는 MCH(multicast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UL 전송 채널은 초기 제어 메시지(initial control message)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UL-SCH 등을 포함한다. UL-SCH는 HARQ 및 전송 전력 및 잠재적인 변조 및 코딩의 변화에 의한 동적 링크 적응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UL-SCH는 빔포밍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RACH는 일반적으로 셀로의 초기 접속에 사용된다.
L2에 속하는 MAC 계층은 논리 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 계층인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복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MAC 계층은 복수의 논리 채널에서 단수의 전송 채널로의 맵핑에 의한 논리 채널 다중화 기능을 제공한다. MAC 부 계층은 논리 채널상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 채널은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제어 채널과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눌 수 있다. 즉, 논리 채널 타입의 집합은 MAC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다른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위해 정의된다. 논리채널은 전송 채널의 상위에 위치하고 전송채널에 맵핑 된다.
제어 채널은 제어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어 채널은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및 DCCH(dedicated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BCCH는 시스템 제어 정보를 방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채널이다. PCCH는 페이징 정보의 전송 및 셀 단위의 위치가 네트워크에 알려지지 않은 단말을 페이징 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향링크 채널이다. CCCH는 네트워크와 RRC 연결을 갖지 않을 때 단말에 의해 사용된다. MC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MBMS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DCCH는 RRC 연결 상태에서 단말과 네트워크간에 전용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단말에 의해 사용되는 일대일 양방향 채널이다.
트래픽 채널은 사용자 평면의 정보 전달만을 위해 사용된다. MAC 계층에 의하여 제공되는 트래픽 채널은 DTCH(dedicated traffic channel) 및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을 포함한다. DTCH는 일대일 채널로 하나의 단말의 사용자 정보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며,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 존재할 수 있다. MTCH는 네트워크로부터 단말에게 트래픽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일대다 하향링크 채널이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상향링크 연결은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및 U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CCCH를 포함한다.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간의 하향링크 연결은 BCH 또는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BCCH, PCH에 맵핑 될 수 있는 P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CCH, DL-SCH에 맵핑 될 수 있는 DTCH,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CCH 및 MCH에 맵핑 될 수 있는 MTCH를 포함한다.
RLC 계층은 L2에 속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하위 계층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도록 무선 섹션에서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분할/연접에 의한 데이터의 크기 조정을 포함한다. 무선 베어러(RB; radio bearer)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 모드(TM; transparent mode), 비 확인 모드(UM; unacknowledged mode) 및 확인 모드(AM; acknowledged mode)의 세 가지의 동작 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재전송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RLC 계층의 기능은 MAC 계층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때 RLC 계층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L2에 속한다. PDCP 계층은 상대적으로 대역폭이 작은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IPv4 또는 IPv6와 같은 IP 패킷을 도입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효율적으로 전송되도록 불필요한 제어 정보를 줄이는 헤더 압축 기능을 제공한다. 헤더 압축은 데이터의 헤더에 필요한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무선 섹션에서 전송 효율을 높인다. 게다가, PDCP 계층은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보안기능은 제3자의 검사를 방지하는 암호화 및 제3자의 데이터 조작을 방지하는 무결성 보호를 포함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L3에 속한다. L3의 가장 하단 부분에 위치하는 RRC 계층은 오직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는 RRC 계층을 통해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RRC 계층은 RB들의 구성(configuration), 재구성(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 채널,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L1 및 L2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이다. 즉, RB는 단말과 E-UTRAN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L2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결정함을 의미한다. RB는 SRB(signaling RB)와 DRB(data RB) 두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SRB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스케줄링, ARQ 및 HARQ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RR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방송, 페이징, RRC 연결 관리, RB 제어, 이동성 기능 및 단말 측정 보고/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NAS 제어 프로토콜(네트워크 측에서 게이트웨이의 MME에서 종료)은 SAE 베어러 관리, 인증, LTE_IDLE 이동성 핸들링, LTE_IDLE에서 페이징 개시 및 단말과 게이트웨이 간의 시그널링을 위한 보안 제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RLC 및 MAC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제어 평면에서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PDCP 계층(네트워크 측에서 eNB에서 종료)은 헤더 압축, 무결성 보호 및 암호화와 같은 사용자 평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시스템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 SIB1(System Information Block1) 및 기타 SIB(System Information Block)들이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LTE 셀은 IDLE_MODE 단말 및 CONNECTED_MODE 단말의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파라미터들을 여러 개의 정보 블록(Information Block)들로 나누어 방송한다. 정보 블록의 예로, MIB와 SIB1, SIB2 및 기타 System Information Block(SIBn)이 있다.
MIB는 단말이 셀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MIB 메시지는 40ms의 주기로 BCH를 통해 방송되며, 40ms 주기 내 모든 라디오 프레임에서 MIB 전송이 반복된다. MIB로부터 수신한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단말은 SIB 메시지를 수신한다.
SIB은 여러 타입이 존재한다.
SIB1은 셀 접속에 관련된 정보들을 포함하며, 특히 SIB1을 제외한 다른 SIB들(SIB2~SIBn)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한다. SIB1을 제외한 다른 SI들 중 같은 전송 주기를 가진 SIB들은 동일한 시스템 정보(SI)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스케줄링 정보는 각 SIB와 SI 메시지의 매핑 관계를 포함한다. SI 메시지는 시간 영역의 윈도우(SI-window) 내에서 전송되고, 각 SI 메시지는 한 개의 SI-window와 연관된다. 서로 다른 SI의 SI-window는 겹치지 않으므로 임의의 SI-window내에는 한 개의 SI 메시지만이 전송된다. 따라서 스케줄링 정보는 SI-window의 길이와 SI 전송 주기를 포함한다. SI 메시지가 전송되는 시간/주파수는 기지국의 동적 스케줄링에 정해진다. SIB1은 8개의 무선 프레임 주기(즉, 80 ms 주기)로 하향 공통 채널(DL-SCH)을 통해 방송되며, 80ms 주기 내에서 SFN mod 2인 무선 프레임의 5번 서브프레임 상에서 SIB1 반복적으로 재전송된다.
SIB2는 단말이 셀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상향링크 셀 대역폭, 랜덤액세스 파라미터, 상향링크 전력제어와 관련된 파라미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3은 셀 재선택 정보를 포함한다. SIB4는 서빙 셀의 주파수 정보와 셀 재 선택과 관련된 이웃 셀의 인트라 주파수 정보를 포함한다. SIB5는 다른 E-UTRA 주파수에 대한 정보와, 셀 재선택과 관련된 이웃 셀의 인터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6은 UTRA 주파수에 대한 정보와 셀 재선택과 관련된 UTRA 이웃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7은 셀 재선택과 관련된 GERAN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8은 이웃 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9는 HeNB(Home eNodeB)의 아이디를 포함한다. SIB10 내지 SIB12는 예를 들면 지진 경보와 같은 공공 경보(public warning) 메시지를 포함한다. SIB14는 개선된 접속 제한(enhanced access barring)을 지원하는데 사용되며, 단말들이 셀에 접속하는 것을 제어한다. SIB15는 인접한 반송파 주파수의 MBMS 수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SIB16은 GPS 시간과 UTC(Coordinated Universal Time)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SIB17은 RAN 보조 정보를 포함한다.
모든 SIB들이 항상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SIB9는 HeNB를 사업자가 구축하는 모드에서는 필요하지 않으며, SIB13은 해당 셀에서 MBMS가 제공되지 않으면 필요하지 않다.
시스템 정보는 셀 내 접속한 모든 단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되며, 단말은 올바른 동작을 위해 항상 최신의 시스템 정보를 유지하여야 한다. 시스템 정보가 바뀌는 경우, 기지국이 새로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을 단말들이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기지국과 단말이 새로운 시스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라디오 프레임 구간을 상호 인식하기 위해 "3GPP TS 36.331 v9.3.0"은 BCCH 변경 구간(modification period)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만약 n+1번째 변경 구간 때 시스템 정보를 갱신하려는 기지국은 n번째 변경 구간 동안 단말들에게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미리 통지한다. n번째 변경 구간 구간에서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통지 받은 단말은 n+1번째 변경 구간이 시작되자마자 새 시스템 정보를 수신해 적용한다. 시스템 정보의 갱신이 예정된 경우 기지국은 페이징 메시지에 시스템 정보 수정 지시자를 포함시킨다. 일반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는 휴지 모드 단말이 수신하는 메시지이지만, 시스템 정보의 갱신을 페이징 메시지를 통해 통지하므로, 연결 모드 단말 역시 페이징 메시지를 때때로 수신해 시스템 정보의 갱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이하,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에 대하여 설명한다.
랜덤 액세스는 단말이 기지국과 상향링크 동기를 얻거나 상향링크 무선자원을 할당 받기 위해 사용된다. 전원이 켜진 후, 단말은 초기 셀과의 하향링크 동기를 획득하고 시스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정보로부터 사용 가능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의 집합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자원은 무선 프레임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조합으로 특정될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집합으로부터 임의로 선택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한 기지국은 상향링크 동기를 위한 TA(timing alignment) 값을 랜덤 액세스 응답을 통해 단말로 보낸다. 이로써 단말은 상향링크 동기를 획득하는 것이다.
즉, 기지국은 특정 단말에게 지정된 랜덤 접속 프리앰블(dedicated random access preamble)을 할당하고, 단말은 해당 랜덤 접속 프리앰블로 비경쟁 랜덤 액세스(non-contention random access)를 수행한다. 즉,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집합 안에서 단말이 임의로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와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만 할당해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비경쟁 랜덤 액세스가 있을 수 있다. 비경쟁 랜덤 액세스는 핸드오버를 위한 절차나 기지국의 명령에 의해 요청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handover command)를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집합에서 임의로(randomly) 하나의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한다. 그리고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자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한다(S610). 상기 무선 자원은 특정 서브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는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전송 후에, 시스템 정보 또는 핸드오버 명령을 통해 지시된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 윈도우 내에, 랜덤 액세스 응답 수신을 시도하고, 이에 따라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S620). 랜덤 액세스 응답은 MAC PDU 포맷으로 전송되며, 상기 MAC PDU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PDSCH로 전달되는 정보를 단말이 적절하게 수신하기 위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도 함께 전달된다. 즉, PDCCH는 상기 PDSCH를 수신하는 단말의 정보와, 상기 PDSCH의 무선자원의 주파수 그리고 시간 정보, 그리고 상기 PDSCH의 전송 형식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일단 단말이 자신에게 전달되는 PDCCH의 수신에 성공하면, 상기 PDCCH의 정보를 기반으로 PDSCH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적절히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ID), UL Grant (상향링크 무선자원), 임시 C-RNTI (Temporary Cell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그리고 TAC(Time Alignment Command) 이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랜덤 액세스 응답에는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위한 랜덤 액세스 응답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는 포함된 UL Grant, 임시 C-RNTI 그리고 TAC가 어느 단말에게 유효한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식별자는 기지국이 수신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한 식별자일 수 있다. TAC는 단말이 상향 링크 동기를 조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포함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PDCCH상의 랜덤 액세스 식별자, 즉 RA-RNTI(Random Access -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의해 지시될 수 있다.
자신에게 유효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처리하고, 기지국에게 스케줄링된 전송을 수행한다(S630). 즉, 단말은 TAC을 적용시키고, 임시 C-RNTI를 저장한다. 또한, UL Grant를 이용하여,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 경우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경쟁 기반 랜덤 접속 과정에서는 기지국이 어떤 단말들이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없어, 이후 충돌 해결을 하기 위해 단말을 식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시키는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수행이전에 이미 해당 셀에서 할당 받은 유효한 셀 식별자를 가지고 있었다면, 단말은 상기 UL Grant를 통해 자신의 셀 식별자 전송한다. 반면에, 만약 랜덤 접속 과정 이전에 유효한 셀 식별자를 할당 받지 못하였다면, 단말은 자신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면, S-TMSI 또는 Random 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고유 식별자는 셀 식별자보다 길다. 단말은 상기 UL Grant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였다면, 충돌 해결을 위한 타이머(contention resolution timer)를 개시 한다.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여 할당 받은 UL Grant를 통해 자신의 식별자를 포함한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 충돌 해결을 위해 기지국의 지시를 기다린다(S640). 즉,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 PDCCH를 수신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가 제안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UL Grant를 통해 전송된 자신의 식별자가 셀 식별자인 경우, 자신의 셀 식별자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 경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자신의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하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를 종료한다. UL Grant를 통해 전송된 식별자가 고유 식별자인 경우, 랜덤 액세스 응답에 포함된 임시 C-RNTI를 이용하여 PDCCH의 수신을 시도한다. 이 경우, 충돌 해결 타이머가 만료되기 전에 임시 셀 식별자를 통해 PDCCH를 수신하였다면, PDCCH가 지시하는 PDSCH이 전달하는 데이터를 확인한다. 자신의 고유 식별자가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은 정상적으로 랜덤 액세스가 수행되었다고 판단하고 랜덤 액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7은 비경쟁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를 나타낸다.
경쟁기반 랜덤 액세스와 달리,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는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종료될 수 있다.
비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는, 핸드오버 및/또는 기지국의 명령과 같이 요청에 의하여 개시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두 경우에서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역시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충돌의 가능성이 없는 지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 받는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 받는 것은 핸드오버 명령과 PDCCH 명령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S710).
단말은 자신을 위하여 지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할당 받은 후에, 해당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720).
기지국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으로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에게 전송한다(S730). 랜덤 액세스 응답과 관련된 절차는 전술한 도 6의 S620을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정보 블록의 개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시스템 정보 블록의 방송을 위해 무선 자원의 사용이 필요하므로, 시스템 정보 블록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시스템 정보 블록의 방송에 필요한 무선 자원의 양 또한 증가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 정보가 제안되었다.
도 8은 단말이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새로운 유형의 시스템 정보는 미니멈 시스템 정보(minimum system information)와 기타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로 구분될 수 있다. 미니멈 시스템 정보는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미니멈 시스템 정보는 셀로 이니셜 액세스를 위해 필요한 기본 정보 및 온-디맨드 기반을 통해 프로비전되거나(provisioned) 주기적으로 방송되는 기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미니멈 시스템 정보는 SFN, PLMN의 리스트, 셀 ID, 셀 캠핑 파라미터, RACH 파라미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온-디맨드 메커니즘을 허용하는 경우, 기타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필요한 파리미터가 미니멈 시스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시스템 정보는 미니멈 시스템 정보에서 방송되지 않는 모든 시스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기타 시스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네트워크에게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특정 시스템 정보를 방송하기 않으면, RRC_IDLE 상태의 단말은 RACH 절차를 이용하여 특정 시스템 정보를 네트워크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단말이 RACH 절차를 이용하여 특정 시스템 정보를 네트워크에게 요청하는 경우,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요청된 시스템 정보는 방송될 수 있다.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이 제 3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하는 것은 불필요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이 제 3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3 메시지에 대한 상향링크 그랜트 또한 제 2 메시지에 포함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시스템 정보 요청 절차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첫 번째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제 1 메시지 또는 MSG1이라고 칭할 수 있고, 두 번째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제 2 메시지 또는 MSG2라고 칭할 수 있으며, 세 번째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제 3 메시지 또는 MSG3이라고 칭할 수 있고, 네 번째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제 4 메시지 또는 MSG4라고 칭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10에서, 단말은 제 1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예약된 제 1 메시지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타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를 수신하기 원하면, 단말은 관심 있는 기타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메시지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RRC_IDLE 상태 또는 RRC_INACTIVE 상태일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단말은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전송된 제 1 메시지 자원에 매칭되는 제 1 자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응답일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오직 RAPID만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만을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단계 S910에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만을 포함하는 반면, MAC RAR(Medium Access Control Random Access Respons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메시지는 단계 S910에서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RAPID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설정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경우, MAC RAR은 MAC subPDU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직 RAPID만을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930에서, 단말이 오직 RAPID만을 포함하는 (즉, MAC RAR 또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단말은 제 3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방송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대한 ACK의 수신을 상위 계층에게 지시할 수 있다.
단계 S940에서, 단말은 언제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방송될 것인지 확인할 수 있고,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요청된 시스템 정보는 방송 방식(broadcast manner)로 수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9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계 S920에서, 단말은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MAC RAR을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네 단계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수 있고, 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제 3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송하고, 제 4 메시지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RRC_CIONNECTED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요청한 시스템 정보를 전용 방식(dedicated manner)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이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고, 이를 수신한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절차가 종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제 3 메시지를 불필요하게 기지국에게 전송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무선 자원 낭비 또는 배터리 소모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MAC PUD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MAC PDU는 MAC PDU 헤더와 영 개 이상의 MAC RAR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MAC PDU 헤더는 하나 이상의 MAC PDU 서브헤더로 구성될 수 있다. RAPID를 포함하는 각각의 MAC PDU 서브헤더에 대하여, 대응하는 MAC RAR은 MAC PDU에 포함되거나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RAPID를 포함하는 첫 번째 MAC 서브헤더는 첫 번째 MAC RAR에 맵핑될 수 있다. RAPID를 포함하는 두 번째 MAC 서브헤더는 두 번째 MAC RAR에 맵핑될 수 있다. 즉, RAPID 2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첫 번째 MAC RAR에 맵핑될 수 있고, RAPID 4를 포함하는 MAC 서브헤더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두 번째 MAC RAR에 맵핑될 수 있다. 반면, RAPID를 포함하는 세 번째 및 네 번째 MAC 서브헤더에 맵핑되는 MAC RAR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RAPID 2 또는 RAPID 4를 가지는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했으면, 단말은 네 단계의 랜덤 액세스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제 2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이후, 제 3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4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단말이 RAPID 1 또는 RAPID 3을 가지는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했으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이 성공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하기 위해 제 3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여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단말은 제 3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고, 랜덤 액세스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에서, 부가적으로, MAC RAR이 MAC PDU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RAPID를 포함하는 새로운 지시자가 MAC 서브헤더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새로운 타입의 RAR 윈도우를 기반으로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고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메시지를 수신한 네트워크는 단말에 의해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할지 또는 유니캐스트 할지 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이를 위해 더 많은 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사용될 때, 기존의 RAR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타입의 RAR 윈도우가 제안될 필요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RAR 윈도우는 제 1 메시지가 일반적인 RACH 목적으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RAR 윈도우이고, 제 2 RAR 윈도우는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의 목적으로 전송될 때 사용되는 RAR 윈도우일 수 있다.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의 목적이 아닌 일반적인 RACH 목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 2 메시지는 제 1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될 수 있다. 반면,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의 목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제 2 메시지는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해 예약된 자원을 사용하여 제 1 메시지를 전송하면, 단말은 제 2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제 2 RAR 윈도우에 대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제 2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제 1 RAR 윈도우에 대한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새로운 타입의 RAR 윈도우를 기반으로 시스템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12의 (a)는 제 1 메시지가 일반적인 RACH의 목적으로 전송되는 예를 나타내며, 도 12의 (b) 및 (c)는 제 1 메시지가 시스템 정보 요청의 목적으로 전송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단계 S1201에서, 단말은 RRC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RACH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단말은 제 1 메시지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하여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은 시스템 정보 요청과 관련된 자원이 아니다. 따라서, 단말은 제 2 메시지가 제 1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일 수 있다.
단계 S1202에서, 단말은 제 1 RAR 윈도우 내에서 제 2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1 RAR 설정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1203에서, 단말은 제 3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메시지는 UE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204에서, 단말은 제 4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메시지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일 수 있다. 이후,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단계 S1211에서, 단말이 기타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면, 단말은 관심 있는 기타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메시지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은 시스템 정보 요청과 관련된 자원이다. 따라서, 단말은 제 2 메시지가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응답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할지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12의 (b)에서,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하도록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단계 S1212에서, 단말은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2 RAR 설정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 2 RAR 설정은 제 1 RAR 설정과 함께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성공적으로 요청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이 실패하였다고 간주하고,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제 1 메시지를 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MAC RAR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이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RACH 절차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RACH 절차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절차를 중단 또는 완료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은 요청된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방송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단계 S1213에서, 단말은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언제 방송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 방식(broadcast manner)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단계 S1221에서, 단말이 기타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을 수신하는 것을 원하면, 단말은 관심 있는 기타 시스템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메시지 자원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을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제 1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 1 메시지 자원은 시스템 정보 요청과 관련된 자원이다. 따라서, 단말은 제 2 메시지가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랜덤 액세스 응답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응답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방송할지 또는 유니캐스트 전송할지 결정할 수 있다. 도 12의 (c)에서,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유니캐스트 전송하도록 결정한다고 가정한다.
단계 S1222에서, 단말은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제 2 RAR 설정에 따라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 2 RAR 설정은 제 1 RAR 설정과 함께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를 포함하는 제 2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가 성공적으로 요청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이 실패하였다고 간주하고,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제 1 메시지를 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메시지는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MAC RAR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이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맵핑되는 상향링크 그랜트 또는 MAC RAR을 포함하는 제 2 메시지를 수신하면,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RACH 절차 또는 시스템 정보 요청 절차를 계속 진행할 수 있다. 단말은 요청된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유니캐스트 전송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전용 방식(dedicated manner) 수신하기 위해 4 단계의 RACH 절차를 계속 진행 수 있다.
단계 S1223에서, 단말은 제 3 메시지를 네트워크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 메시지는 UE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224에서, 단말은 제 4 메시지를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4 메시지는 RRC 연결 셋업 메시지일 수 있다. 이후, 단계 S1225에서, 단말은 RRC_CONNECTED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제공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단말이 제 1 메시지를 N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전송하면, 단말은 제 2 메시지가 N+1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전송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제 2 RAR 윈도우에 대한 설정은 주기적으로 방송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다수의 단말이 시스템 정보 블록을 N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요청하면,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N+1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방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MAC RAR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하나의 단말이 시스템 정보 블록을 N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요청하면, 네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N+1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방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내트워크는 요청된 시스템 정보 블록을 N+1 번째 제 2 RAR 윈도우 내에서 유니캐스트 전송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MAC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는 MAC RAR은 존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1410에서, 단말은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420에서, 단말은 상기 전송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는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상기 RAPID에 대응하는 MAC RAR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상기 RAPID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그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오직 RAPID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은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대한 ACK일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MAC PDU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에 대응하여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새롭게 정의된 RAR 윈도우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1430에서, 단말은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되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오직 RAPID만을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에서, 제 3 메시지는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은 상기 시스템 정보 요청에 대한 ACK의 수신을 상위 계층에게 전송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단말은 상기 요청된 시스템 정보가 방송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상기 요청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기지국(1500)은 프로세서(processor, 1501), 메모리(memory, 1502) 및 송수신기(transceiver, 1503)를 포함한다. 메모리(1502)는 프로세서(150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0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503)는 프로세서(150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50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150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말(1510)은 프로세서(1511), 메모리(1512) 및 송수신기(1513)를 포함한다. 메모리(1512)는 프로세서(151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1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513)는 프로세서(151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51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단말의 동작은 프로세서(151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일례들에 기초하여 본 명세서에 따른 다양한 기법들이 도면과 도면 부호를 통해 설명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기법들은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다수의 단계나 블록들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단계나 블록의 구체적 순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나 블록은 다른 순서로 구현되거나, 또 다른 단계나 블록들과 동시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라면 간 단계나 블록이 한정적으로 기술된 것이나 아니며, 발명의 보호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다양한 일례를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발명의 모든 가능한 일례의 조합이 설명될 수 없다는 점을 알 것이고, 또한 본 명세서의 기술로부터 다양한 조합이 파생될 수 있다는 점을 알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다양한 일례를 조합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MAC(medium access control) 서브헤더를 포함하는 RAR(random access response)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되,
    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전송된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관련된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RA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메시지의 수신 없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PID와 관련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의 요청의 ACK(acknowledgement)이 수신되었다는 정보가 상기 단말의 MAC계층으로부터 상위 계층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정보의 요청의 ACK을 구성(constitu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R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RAR 윈도우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었다고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상기 메모리와 상기 송수신기를 연결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MAC(medium access control) 서브헤더를 포함하는 RAR(random access reponse)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상기 MAC 서브헤더는 상기 전송된 시스템 정보의 요청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과 관련된 RAPID(random access preamble identifier)를 포함하고,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고, 및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RAR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단말로부터 메시지의 수신 없이, 상기 시스템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되,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PID와 관련된 업링크 그랜트(uplink grant)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정보의 요청의 ACK(acknowledgement)이 수신되었다는 정보가 상기 단말의 MAC 계층으로부터 상위 계층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시스템 정보의 요청의 ACK을 구성(constitu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AR 메시지는 상기 RAR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설정된 RAR 윈도우 상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었다고 상기 단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RAPID와 관련된 MAC RAR을 포함하지 않는 RA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랜덤 액세스 절차는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207007868A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4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53469P 2017-02-01 2017-02-01
US62/453,469 2017-02-01
PCT/KR2018/001308 WO2018143656A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47A Division KR102111727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267A KR20200032267A (ko) 2020-03-25
KR102145303B1 true KR102145303B1 (ko) 2020-08-18

Family

ID=630408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47A KR102111727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207007868A KR102145303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7017566A KR102070877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047A KR102111727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566A KR102070877B1 (ko) 2017-02-01 2018-01-31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6) US10834752B2 (ko)
EP (3) EP3579653B1 (ko)
JP (3) JP6691267B2 (ko)
KR (3) KR102111727B1 (ko)
CN (1) CN110249699B (ko)
AU (1) AU2018216526B2 (ko)
BR (1) BR112019007229B1 (ko)
CA (1) CA3043457C (ko)
CL (1) CL2019002124A1 (ko)
DE (1) DE112018000008T5 (ko)
ES (2) ES2867395T3 (ko)
MX (1) MX2019007696A (ko)
PH (1) PH12019501061A1 (ko)
RU (1) RU2731497C1 (ko)
SG (1) SG11201901036QA (ko)
WO (1) WO2018143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4759B2 (en) 2017-03-20 2020-11-10 Motorola Mobility Llc Feedback for a system information request
TWI669016B (zh) * 2017-03-24 2019-08-11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一種透過隨機存取程式以要求應需系統資訊的裝置及方法
SG11201908681TA (en) * 2017-03-29 2019-10-30 Sharp Kk Random access procedure(s) for radio system
BR112019019690A2 (pt) * 2017-05-03 2020-04-14 Motorola Mobility Llc retorno para uma solicitação de informação de sistema
KR102610841B1 (ko) * 2017-05-05 2023-12-07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시스템 정보의 시그널링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089303B (zh) * 2017-06-1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系统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19000188A1 (zh) * 2017-06-26 2019-01-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系统消息传输方法及装置、系统消息接收方法及装置
WO2019028839A1 (zh) * 2017-08-11 2019-02-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系统消息获取方法和装置、系统消息传输方法和装置
WO2019183837A1 (zh) * 2018-03-28 2019-10-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获取系统信息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546164B1 (ko) * 2018-04-05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실패 복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EP3808130A1 (en) * 2018-06-15 2021-04-21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11160117B2 (en) * 2018-09-19 2021-10-2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techniques for idle mode requests
CN111132265B (zh) * 2018-11-01 2021-06-08 华为技术有限公司 网络接入方法及装置
KR20200085237A (ko) * 2019-01-04 202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3(msg3) 전송을 위해 다중 리소스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0180172A1 (en) * 2019-03-05 2020-09-1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 and transmitting devic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therefor
US11166152B2 (en) * 2019-11-12 2021-11-02 Qualcomm Incorporated Sib acquisition optimizations for intra-PLMN multi-SIM UEs
CN111491134B (zh) * 2020-04-14 2021-06-22 河南工学院 用于图像处理的红外照片的稳定传输方法及系统
US20220312535A1 (en) * 2020-07-23 2022-09-2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via ue-to-network relay
KR20220106405A (ko) * 2021-01-2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ac 계층 장치의 보안 강화 방법 및 장치
CN115460714B (zh) * 2022-11-11 2023-01-17 南京新基讯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非广播模式下的系统消息接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48B1 (ko) 2008-08-07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US20150319638A1 (en) 2012-12-04 2015-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load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1769379B1 (ko) 2011-04-21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38976A1 (de) * 1987-11-17 1989-05-24 Belland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GB2447878A (en) * 2006-10-04 2008-10-01 Nec Corp Signalling system information in mobile telecommunications
WO2009128642A2 (en) * 2008-04-14 200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andom access procedures
US8867430B2 (en) * 2008-10-31 2014-10-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RQ pro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49972B1 (ko) * 2009-01-02 2010-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임의접속 수행 기법
EP2894926B1 (en) * 2009-01-08 2016-10-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handling time alignment command dur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KR101548746B1 (ko) 2009-04-29 2015-09-01 삼성전기주식회사 옥살레이트 공정에 의한 티탄산바륨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티탄산바륨 분말
US9118452B2 (en) * 2011-03-28 2015-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 uplink signal, method for receiving an uplink signal,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8879496B2 (en) * 2011-12-19 2014-11-04 Ofinno Technologies, Llc Beamforming codeword exchange between base stations
US8462688B1 (en) * 2012-01-25 2013-06-11 Ofinno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radio resource control configuration
US9414409B2 (en) * 2012-02-06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RE49324E1 (en) * 2012-06-27 2022-1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random access to small cell
CN109714140B (zh) * 2012-11-01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控制信道搜索空间的方法和装置
WO2015137632A1 (en) * 2014-03-11 2015-09-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cating temporary identifier to terminal in random access proced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ehrefor
US10080253B2 (en) 2014-07-09 2018-09-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keep-alive signaling
US9769699B2 (en) * 2014-09-17 2017-09-19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vice to device (D2D) content estimation and triggering of buffer status reporting (BS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32268B2 (en) * 2014-11-19 2016-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user equipment with an HFN offset
JP2018101823A (ja) * 2015-04-28 2018-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EP3308580B1 (en) * 2015-06-11 2020-03-25 Intel IP Corporation Low overhead system information acquisi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WO2017023352A1 (en) * 2015-08-06 2017-02-09 Intel IP Corporation Performing mission critical communications at a user equipment (ue)
WO2017195478A1 (ja) 2016-05-12 2017-11-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48B1 (ko) 2008-08-07 2015-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KR101769379B1 (ko) 2011-04-21 201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신호 송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319638A1 (en) 2012-12-04 2015-11-0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Overload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1-160614
R1-17005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3457C (en) 2021-09-21
AU2018216526A1 (en) 2019-02-28
MX2019007696A (es) 2019-08-29
ES2911084T3 (es) 2022-05-17
US11330622B2 (en) 2022-05-10
RU2731497C1 (ru) 2020-09-03
EP3579653A1 (en) 2019-12-11
CN110249699B (zh) 2023-07-07
US20200413439A1 (en) 2020-12-31
BR112019007229A2 (pt) 2019-09-17
CL2019002124A1 (es) 2019-10-18
JP2019525673A (ja) 2019-09-05
KR20200032267A (ko) 2020-03-25
US11412541B2 (en) 2022-08-09
EP3579653A4 (en) 2020-04-15
EP3843494B1 (en) 2022-03-02
US20200221493A1 (en) 2020-07-09
KR20180116233A (ko) 2018-10-24
US11102810B2 (en) 2021-08-24
PH12019501061A1 (en) 2019-12-16
JP2021106407A (ja) 2021-07-26
CN110249699A (zh) 2019-09-17
JP6691267B2 (ja) 2020-04-28
KR102070877B1 (ko) 2020-01-29
US20210289542A1 (en) 2021-09-16
US10834752B2 (en) 2020-11-10
US10827520B2 (en) 2020-11-03
BR112019007229B1 (pt) 2021-11-23
US10660124B2 (en) 2020-05-19
US20220150955A1 (en) 2022-05-12
US20190349787A1 (en) 2019-11-14
JP2020108181A (ja) 2020-07-09
ES2867395T3 (es) 2021-10-20
EP3843494A1 (en) 2021-06-30
SG11201901036QA (en) 2019-03-28
US20190166622A1 (en) 2019-05-30
JP7245277B2 (ja) 2023-03-23
EP4002952A1 (en) 2022-05-25
CA3043457A1 (en) 2018-08-09
EP4002952B1 (en) 2023-04-12
KR20200011564A (ko) 2020-02-03
WO2018143656A1 (ko) 2018-08-09
AU2018216526B2 (en) 2020-04-02
EP3579653B1 (en) 2021-03-24
DE112018000008T5 (de) 2018-09-27
KR102111727B1 (ko) 2020-05-15
JP6862592B2 (ja) 202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303B1 (ko)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EP3454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osi blo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5828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system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