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190B1 -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190B1
KR102144190B1 KR1020180131812A KR20180131812A KR102144190B1 KR 102144190 B1 KR102144190 B1 KR 102144190B1 KR 1020180131812 A KR1020180131812 A KR 1020180131812A KR 20180131812 A KR20180131812 A KR 20180131812A KR 102144190 B1 KR102144190 B1 KR 10214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mesh filter
mounting member
filter mount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030A (ko
Inventor
곽동찬
Original Assignee
곽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찬 filed Critical 곽동찬
Priority to KR102018013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190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8Straine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 가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휴지시킨 상태에서 메쉬필터 장착부에서 필터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여과 대상물이나 여과 정밀도에 따라 적정한 필터 부재를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유동관과 결합되는 연결구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통 결합되는 결합부 및 메쉬로 형성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지는 메쉬필터 장착부재;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망체로 이루어지는 메쉬 필터 부재; 및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에 상기 메쉬 필터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MESH TYPE REPLACEABLE FILTERING DEVICE}
본 발명은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설 가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휴지시킨 상태에서 메쉬필터 장착부에서 필터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여과 대상물이나 여과 정밀도에 따라 적정한 필터 부재를 쉽게 채용할 수 있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내에 함유한 이물질 제거를 요할 때 사용하는 유체여과기에는 여과를 수행할 수 있는 여과필터가 장착되고 있으며, 유체가 여과필터를 통하여 함유한 불순물을 분리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체(WATER, OIL) 필터는 식품, 음료, 제약, 전자, 선박 등 모든 산업설비 전반에 걸쳐 사용되며 특히 엔진 및 배관속으로 유입 유출되는 유체의 슬러지를 거르기 위해 유체라인에 타설된 유체 스트레이너에 구비되어 유체의 슬러지를 걸러 기계의 성능을 유지시켜주며 장시간 사용시 매번 유체 필터를 교체해 왔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필터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필터의 제품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유체필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200) 내벽에 유체필터(220)를 위치시키며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유체필터(220) 상면에 복수개의 프레임바(240)를 위치시켜 이를 나사 또는 스포트(Spot ) 용접 등으로 결합시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 이러한 유체 필터는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이를 교체시 상기 프레임바를 다시 분리시키기 위한 전문 인력과 장비가 필요하며, 교체 시 시설의 가동을 장시간 중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잦은 교체에 의한 인건비의 부담과 필터의 변형 및 파손을 초래시켜 전체 시설 공정의 고장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167784(1999.01.15.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98515(2003.12.2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089(2008.11.25.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8-033630(1998.07.25. 공개)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설 가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휴지시킨 상태에서 메쉬필터 장착부에서 필터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종래 필터 전체를 교체함에 따른 시설 가동의 장시간 휴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대상물이나 여과 정밀도에 따라 적정한 필터 부재를 쉽게 채용할 수 있고, 필터링된 이물질을 필터 부재에 쉽게 쌓이고 교체 시 그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체 유동관과 결합되는 연결구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통 결합되는 결합부 및 메쉬로 형성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지는 메쉬필터 장착부재;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망체로 이루어지는 메쉬 필터 부재; 및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에 상기 메쉬 필터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는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장치 하우징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 수단은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 부재는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 부재는 일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부; 상기 상부 안착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메쉬 구조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에 여과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는 이물질 저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중앙부에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가 구비되는 관통부를 갖는 단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저류부는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단에서 상향 연장된 후 타측으로 말아들어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이물질 저류부는 분리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시설 가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휴지시킨 상태에서 필터 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시설 휴지 시간의 단축으로 경제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메쉬필터 장착부에서 필터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여과 대상물이나 여과 정밀도에 따라 적정한 필터 부재를 쉽게 채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필터링된 이물질을 필터 부재에 쉽게 쌓이고 교체 시 그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 작업성 및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필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필터의 제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의 시제작품을 분리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가 유체 유동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필터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하우징의 결합구와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결합부 간의 착탈 구성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 필터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의 시제작품을 분리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가 유체 유동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필터 장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클램핑 부재의 시제작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는, 도 3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 유동라인과 결합되는 연결구(110)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100); 상기 장치 하우징(100)에 연통하여 결합되는 결합부(210)를 가지며 메쉬로 형성되는 몸통부(220)로 이루어지는 메쉬필터 장착부재(200);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외측에 구비되며, 망체로 이루어지는 메쉬 필터 부재(300); 및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에 메쉬 필터 부재(300)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 하우징(10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부의 연결구(110) 각각이 유체 유동라인과 연통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일단부 측(즉, 유동 흐름의 상류 측의 단부) 내측에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결합구(1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는 몸체(101)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1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에 결합되는 결합부(210), 및 상기 결합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되 결합부(210)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장치 하우징(100)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몸통부(2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쉬필터 장착부재(2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결합부(210)를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에 결합시켜서 장치 하우징(100) 내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장치 하우징(100)에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의 내측 또는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의 외측 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120)와 결합부(210) 간이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와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는 베이오넷(bayonet) 결합방식, 다시 말해서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를 소정 회전 각도(예를 들면, 8도에서 30도 사이)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려서 한 번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하우징의 결합구와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결합부 간의 착탈 구성을 전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장치 하우징의 결합구와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결합부 간의 착탈 구성은,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나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 중 하나에 형성되는 암(female) 베이오넷 결합부(510), 및 상기 장치 하우징(100)의 결합구(120)나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결합부(21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수(male) 베이오넷 결합부(5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베이오넷 결합부(510)는 암(female) 베이오넷 바디부(511)와, 상기 암 베이오넷 바디부(511)의 외면에 종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종방향 결합홈(512), 및 상기 한 쌍의 종방향 결합홈(512)의 하측 끝단 각각에서 암 베이오넷 바디부(511)의 둘레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되는 횡방향 체결홈(5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 베이오넷 결합부(520)는 상기 암 베이오넷 바디부(511)의 외면이나 내면 측으로 끼워지는 수(female) 베어오넷 환형 링(521), 및 상기 수 베이오넷 환형 링(521)의 내측 또는 외측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 돌기(52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 돌기(522)는 상기 종방향 결합홈(512)을 따라 끼운 다음, 좌측 또는 우측(상기 횡방향 체결홈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횡방향 체결홈(513)에 체결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횡방향 체결홈(513)의 종단부에서 상하측 내벽에는 스토퍼 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그 종단 지점에서 체결 돌기(522)을 더욱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메쉬 필터 부재(300)는 망체로 형성되고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외면을 감싸면서 구비되고, 도 8에 나타낸 클램프와 같은 착탈 수단(400)이 메쉬필터 장착부재(200)의 외면 상단부와 하단부에 결합되어 메쉬 필터 부재(300)를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쉬 필터 부재(300)는 다양한 메쉬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메쉬 필터 부재로 마련되어, 채용되는 설비나 여과 대상물에 따라 적절한 메쉬 크기를 갖는 메쉬 필터 부재가 적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착탈 수단(400)은 도 8과 같은 클램프 이외에도 메쉬 필터 부재(300)를 메쉬필터 장착부재(200)로 고정 장착하고, 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 필터 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를 구성하는 메쉬 필터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쉬 필터 부재(6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부(610)와, 상기 상부 안착부(6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메쉬 구조의 몸통부(620)와, 상기 몸통부(620)에서 연장되어 타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630), 및 상기 몸통부(6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에 여과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는 이물질 저류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안착부(610)와 하부 안착부(630)는 메쉬필터 장착부재(100)의 외경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그 메쉬필터 장착부재(100)의 상단부 및 하단부 각각에 안착되며, 그 각각의 외측으로 클램프(착탈 수단(40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몸통부(620)는 중앙 관통부를 갖는 단면 사다리꼴 형태 또는 원추대, 다시 말해서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대적으로 넓은 측이 유체 흐름의 상류 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몸통부(620)는 유체는 통과하고, 유체에 포함된 여과 대상물(이물질)은 걸러지고 입자가 큰 이물질은 경사면을 따라 그 하단부의 이물질 저류부(640)에 쌓이게 된다.
상기 이물질 저류부(62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통부(620)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단에서 상향 연장된 후 다시 타측(바깥 측)을 향하여 말아들어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물질 저류부(620)에 있는 이물질은 멤돌이 현상으로 그 위치에 대부분 유지되게 된다. 이후 메쉬 필터 부재(600)의 세척 시 해당 부분을 집중점으로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620)와 이물질 저류부(640)(하단 안착부(630) 포함)는 분리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몸통부(620)와 이물질 저류부(640)는 분리되어 구성되고, 그 몸통부(630)와 이물질 저류부(640)가 이어지는 이음 부분이 경질 구성부로 이루어지며, 그 이음 부분에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쉬 필터 부재(600)의 세척 시 몸통부(620)와 이물질 저류부(640)를 분리하여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에 의하면, 시설 가동을 상대적으로 짧게 휴지시킨 상태에서 필터 부재를 교체할 수 있어 시설 휴지 시간의 단축으로 경제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메쉬필터 장착부에서 필터 부재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 효율을 증대시키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 대상물이나 여과 정밀도에 따라 적정한 필터 부재를 쉽게 채용할 수 있어 범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필터링된 이물질을 필터 부재에 쉽게 쌓이고 교체 시 그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교체 작업성 및 관리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하우징
101: 몸체
102: 커버체
110: 연결구
120: 결합구
200: 메쉬필터 장착부재
210: 결합부
220: 몸통부
300: 메쉬 필터 부재
400: 착탈 수단
510: 암(female) 베이오넷 결합부
511: 암(female) 베이오넷 바디부
512: 종방향 결합홈
513: 횡방향 체결홈
520: 수(male) 베이오넷 결합부
521: 수(female) 베어오넷 환형 링
522: 체결 돌기
610: 상부 안착부
620: 몸통부
630: 하부 안착부
640: 이물질 저류부

Claims (7)

  1. 유체 유동관과 결합되는 연결구가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하우징에 연통 결합되는 결합부 및 메쉬로 형성되는 몸통부로 이루어지는 메쉬필터 장착부재;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외측에 구비되며, 망체로 이루어지는 메쉬 필터 부재; 및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에 상기 메쉬 필터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착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쉬 필터 부재는, 일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안착부와, 상기 상부 안착부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메쉬 구조의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서 연장되어 타단부를 구성하며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하부 안착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내측에 여과 이물질이 쌓이도록 하는 이물질 저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중앙부에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가 구비되는 관통부를 갖는 단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저류부는 상기 몸통부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단에서 상향 연장된 후 타측으로 말아들어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양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는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우징의 결합구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부보다 직경이 크고 상기 장치 하우징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몸통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착탈 수단은 클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필터 부재는 상기 메쉬필터 장착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이물질 저류부는 분리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KR1020180131812A 2018-10-31 2018-10-31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KR10214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12A KR102144190B1 (ko) 2018-10-31 2018-10-31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812A KR102144190B1 (ko) 2018-10-31 2018-10-31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30A KR20200049030A (ko) 2020-05-08
KR102144190B1 true KR102144190B1 (ko) 2020-08-28

Family

ID=7067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812A KR102144190B1 (ko) 2018-10-31 2018-10-31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1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425B1 (ko) * 2022-08-29 2023-11-01 김진남 정수지의 원형관류 조립형 다중망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6611A (ja) * 2013-02-28 2014-09-11 Jfe Engineering Corp 濾過体、これを有する濾過装置及び海水処理装置
KR101502963B1 (ko) 2014-03-24 2015-03-16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활성탄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867C2 (nl) 1995-12-11 1997-06-12 Fairey Arlon Bv Filterelement voor vloeistoffilters
KR19980033630A (ko) 1998-05-02 1998-07-25 조정흠 유체 여과기용 여과필터
KR100532762B1 (ko) * 2003-02-04 2005-11-30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슬러리 필터 박스
KR100870089B1 (ko) 2007-08-13 2008-11-25 박병근 삽탈이 용이한 유체 필터
KR20120024202A (ko) * 2010-09-06 2012-03-1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처리용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6611A (ja) * 2013-02-28 2014-09-11 Jfe Engineering Corp 濾過体、これを有する濾過装置及び海水処理装置
KR101502963B1 (ko) 2014-03-24 2015-03-16 에이치플러스에코 주식회사 활성탄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030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8353B1 (ko) 필터 디바이스
AU2012249398B2 (en) Manifold arrangement,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s of bulk fluid filtration
CN107803055B (zh) 用于从塑料熔体分离污染物的滤柱
JP2004531392A (ja) 一体型の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ボウル構造を備える濾過モジュール
KR20170065461A (ko) 여과 장치
US20120261355A1 (en) Filter-in-filter with funnel shaped passageway
KR102144190B1 (ko) 메쉬 타입 교체형 여과 장치
KR102445389B1 (ko) 측면유동형 ro필터를 갖는 복합필터
CN105948175A (zh) 前置过滤器和水净化装置
KR102177390B1 (ko) 유체 내 비자성-자성 물질의 여과를 위한 유체 필터링용 복합 여과 장치
JP5203171B2 (ja) ストレーナ装置
CN105126412A (zh) 一种低温堆水处理系统可拆卸式过滤器
CN104144885B (zh) 内窥镜清洗装置用过滤装置
KR200467091Y1 (ko) 수처리용 필터장치
JP6194644B2 (ja) 濾過装置
KR10118092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에어필터
JP3907089B2 (ja) フィルタ支持バスケットおよびこのフィルタ支持バスケットのためのフィルタバッグ装着治具
RU2229795C2 (ru)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10159277U (zh) 一种滤水装置及滤芯固定装置
US20130313178A1 (en) Lube oil filter housing
KR20150000191U (ko) 탈착형 필터
JPH039770Y2 (ko)
JP4551647B2 (ja) 液体濾過フィルター
KR101972589B1 (ko) 활성탄소섬유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JP2019136674A (ja) ろ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