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973B1 - Connector - Google Patents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973B1
KR102143973B1 KR1020180006601A KR20180006601A KR102143973B1 KR 102143973 B1 KR102143973 B1 KR 102143973B1 KR 1020180006601 A KR1020180006601 A KR 1020180006601A KR 20180006601 A KR20180006601 A KR 20180006601A KR 102143973 B1 KR102143973 B1 KR 10214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nector
insulator
protrusion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2832A (en
Inventor
후미히토 이케가미
이사오 마츠우라
아츠후미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2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8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63)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60)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21)과, 접속 대상물(60)이 삽입 홈(21)에 삽입되었을 때에 계합부(63)와 계합하는 발지부(27)를 가지는 인슐레이터(20)와, 접속 대상물(60)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접속 대상물(60)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가동 가능한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5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접속 대상물(60)의 계합부(63)와 맞닿는 돌기부(56)를 가진다.
[Task] Provide a connector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holding force of a thinned object to be connected even in a low-profile state.
[Solving means]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21 capable of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ion object 60 having an engaging portion 63 protruding from the side edge portion, and the connection object 60 Whe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the insulator 20 having the engaging portion 63 and the holding portion 27 engaged, the closed position for pressing the connection object 60, and the connection object 60 are not pressed. The actuator 50 is provided with an actuator 50 that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20 between the unopened position and the actuator 50 is a protrusion 56 that abuts against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connection object 60 in the closed position. ).

Figure R1020180006601
Figure R1020180006601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Connector {CONNE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circuit boards.

종래, 전자기기 등에 이용되는 FPC(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용 커넥터 또는 FFC(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는, 감합한 FPC 또는 FFC와 커넥터가 부주의하게 빠지지 않도록, 보지력(保持力)(발거력(拔去力))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Conventionally, a connector f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connector for an FFC (Flexible Flat Cable), which is used in electronic devices, etc., has a holding force (removal force) so that the mated FPC or FFC and the connector do not come off inadvertently.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拔去力)).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FPC의 단말 부분의 양 측연부(側緣部)에 설치된 위치 결정 계지판(係止板)이 절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록판과 계합(engaging)한다.For example, in the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positioning locking plates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terminal portion of the FPC engage with a lock plate protruding from the insulating housing.

일본공개특허 특개2016-129124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129124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FPC 또는 FFC의 보지력을 얻기 위하여, 인슐레이터와 FPC 또는 FFC의 걸림 마진을 크게 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커넥터의 소형·저배화(低背化)가 현저한 작금에는, 충분한 걸림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 게다가, FPC 또는 FFC 등의 접속 대상물 자체도 박형화(薄型化)가 진행되고 있고, 인슐레이터와 계지하는 부분의 강성이 저하하여 휘기 쉬워져 걸림 마진이 안정적이지 않은, 즉 보지력이 저하한다는 과제가 있었다.In the connector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studies such as increasing the engagement margin between the insulator and the FPC or FFC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the holding force of the FPC or FFC. However, in the present time when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remarkably reduced and the size of the connector is remarkable, it is becoming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locking margin. In addition, the connection object itself, such as FPC or FFC, is also undergoing thinning, and the rigidity of the part to be engaged with the insulator is lowered, resulting in a problem that it is liable to bend, and the jamming margin is not stable, that is, the holding power decreases. .

이러한 관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in view of such a viewpoint, is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holding force of a thinned connection object even in a low-profile st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1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는,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connector related to the first aspect,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과,An insertion groove capable of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ion object having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edge;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발지부(拔止部)A leg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object to be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And an insulator having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가동(可動) 가능한 액추에이터Actuator capable of movable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pressing the connection object and an open position for not pressing the connection object

를 구비하고,And,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와 맞닿는 돌기부를 가진다.The actuator, in the closed position, has a protrusion that abuts agains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제 2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In the connector related to the second aspect,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를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른다.In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pushes dow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제 3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In the connector related to the third aspect,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탑재면보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측에 상기 계합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진다.The insulator has a through hole or a reces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ngag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when the object to be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n a side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tha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nnected.

제 4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In the connector related to the fourth aspect,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의 상면과 상기 발지부의 상면이,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In the state in which the actuator is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legging portion are disposed at approximately the same vertical position,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닫힘 방향측에 위치한다.In the closed position, the tip of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on a side in the closing direction tha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g portion.

제 5 관점에 관련된 커넥터에서는,In the connector related to the fifth aspect,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시(斷面視)에 있어서, 상기 닫힘 방향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된다.The protrusion has a tapered shape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side when viewed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본 발명에 의하면,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접속 대상물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 가능하다.Advantageous Effects of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capable of stably maintaining the holding force of a thinned object to be connected even in a low profile state.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 및 FPC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및 FPC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10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FPC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9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변형례에 관련된 커넥터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nd an FPC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eparated state in a top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1 and the FPC in a separated state shown by a lower surfa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1 viewed from the top.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of FIG. 1 when viewed from the bottom.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taken along an arrow line VI-VI in FIG. 1.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5 when the actuator is rotated to a closed position with the FPC inserte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 when the actuator is in the open position with the FPC inserted.
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n arrow line IX-IX in Fig. 1 when the actuator is in an open position with the FPC insert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8 when the actuator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with the FPC inserte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9 when the actuator is rotated to a clos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PC is inserted.
12 is a diagram show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FIG. 6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example.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are based on the directions of arrows in the drawings.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일례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 기판인 FPC(60)(접속 대상물)와 접속되는 것으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에 장착된 금속제의 콘택트를 통하여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이면, 임의의 커넥터여도 된다. 예를 들면, 커넥터(10)는 FPC 대신에 FFC와 접속되어도 된다.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to the FPC 60 (connection object) which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nector 10 may be any connector as long as it is a connector that electrically connects circuit boards to each other through metal contacts attached to the insulator. For example, the connector 10 may be connected to the FFC instead of the FPC.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 및 FPC(6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10) 및 FPC(60)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리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0)를 상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10)를 하면시에 의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화살선을 따르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10 and an FPC 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a separated state in a top view.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10 and the FPC 60 of Fig. 1 in a separated state shown by a lower surfac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10 of FIG. 1 viewed from the top.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or 10 of FIG. 1 when viewed from the bottom.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0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10 taken along the VI-VI arrow line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5 when the actuator 5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FPC 60 is inserted.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도 3에 나타내는 대로, 큰 구성 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콘택트(30), 고정 금구(40) 및 액추에이터(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대로, 커넥터(10)는 회로 기판(CB) 상에 장착된다. 커넥터(10)는, FPC(60)와 회로 기판(CB)을 콘택트(3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As shown in FIG. 3,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sulator 20, a contact 30, a fixing bracket 40, and an actuator 50 as large components.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or 10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CB. The connector 10 electrically connects the FPC 60 and the circuit board CB via a contact 30.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면서 또한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전부(前部)에는 FPC(6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홈(21)이 오목 설치되어 있다. 삽입 홈(21)의 전면(前面) 및 전부의 상면은 개방되어 있다. 삽입 홈(21)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5 참조). 삽입 홈(21)의 후부의 바닥면은, FPC(60), 특히, 그 선단의 바닥면이 탑재되는 탑재면(21a)을 구성한다. 인슐레이터(20)의 후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장착 홈(22)이 형성된다(도 4 참조). 복수의 장착 홈(22)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열하도록 형성된다. 인슐레이터(20)의 후면을 따르는 장착 홈(22)의 표면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긴 변을 가지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변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장착 홈(22)의 긴 변 및 짧은 변의 길이는, 후술과 같이 콘택트(30)를 장착 홈(22) 내에 압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각각 대응하는 콘택트(30)의 후면의 상하폭 및 좌우폭보다 약간 크다. 각 장착 홈(22)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후부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한다. 각 장착 홈(22)의 전부는, 삽입 홈(21)의 바닥면에 오목 설치되어 있다. 인슐레이터(20)의 하단부에는, 장착 홈(22)의 바닥면과 하방으로 연속하도록 바닥벽(23)이 형성되어 있다. 즉, 커넥터(10)가 회로 기판(CB) 상에 장착된 경우, 바닥벽(23)은, 장착 홈(22)의 바닥면과 회로 기판(CB)과의 사이에 위치한다.The insulator 20 is injection-molded of an insulating and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material. In the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or 20, an insertion groove 21 for inserting the FPC 60 is concave. The front and front upper surfaces of the insertion groove 21 are open. The rea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1 extends to the inside of the insulator 20 (see Fig. 5).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21 constitutes the mounting surface 21a on which the FPC 60, in particular, the bottom surface of the tip end thereof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or 20,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2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see FIG. 4). The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22 are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urface shape of the mounting groove 22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or 20 i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hort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length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mounting groove 22 are greater than the vertical width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ear surfaces of the corresponding contacts 30 so that the contact 30 can be press-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 and fixed as described later. Slightly larger. The rear portion of each mounting groove 22 penetrates the rear portion of the insulator 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All of each of the mounting grooves 22 are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21. A bottom wall 23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sulator 20 so as to be continuous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2 downward. That is, when the connector 1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CB, the bottom wall 23 is locat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2 and the circuit board CB.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측벽(24)이 형성된다. 좌우의 측벽(24)의 내측면의 전단(前端) 상부에는, 폐쇄 위치 보지 돌기(25)가 돌출 설치된다.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측부 근방에는, 좌우의 측벽(24)의 바로 내측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금구 고정 홈(26)이 형성된다. 금구 고정 홈(26)의 전면은 개방되어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전부의 상하 양면도 개방되어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후부의 상하 양면 및 좌우 양면은 인슐레이터(20)에 의해 막혀 있다. 금구 고정 홈(26)의 후단은, 인슐레이터(20)의 후단면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4 참조).A pair of sidewalls 24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ulator 20. Closed position holding protrusions 25 are protruded above the front ends of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4. In the vicinity of both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insulator 20, bracket fixing grooves 26 are formed which are located directly inside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24 and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of the bracket fixing groove 26 is op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ntire bracket fixing groove 26 are also ope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bracket fixing groove 26 are blocked by the insulator 20. The rear end of the bracket fixing groove 26 reaches the rear end surface of the insulator 20 (see Fig. 4).

금구 고정 홈(26)보다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에는, 발지부(27)가 각각 상향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발지부(27)의 전면(27a)과 후면(27b)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발지부(27)의 상면(27c)은,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 의해 구성된다. 발지부(27)는,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발지부(27)의 후방에는, 인슐레이터(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8)이, 발지부(27)와 인접하여 형성된다. 관통 구멍(28)은, 후술하는 FPC(60)의 계합부(63)를 수용한다. 관통 구멍(28)의 형상 및 크기는,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Legging portions 27 are formed upwardly at the front end of the portion located inside the bracket fixing groove 26 (see Fig. 3). The front surface 27a and the rear surface 27b of the foot portion 27 are constituted by a plane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leg portion 27 is constituted by a plane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The leg portions 27 are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sulator 20, respectively. A through hole 28 which penetrates the insulator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leg portion 27 adjacent to the leg portion 27. The through hole 28 accommodates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FPC 60 to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and size of the through hole 28 may be any shape and siz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engaging portion 63.

복수의 콘택트(3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또는 티탄구리) 또는 콜슨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順送)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다(도 5 참조). 콘택트(30)는, 그 표면에 베이스가 되는 베이스 도금이 형성되고, 베이스 도금의 상면의 일부에 표층 도금이 적층된다.The plurality of contacts 30 is a copper alloy with spring elasticity (for example, phosphor bronze, beryllium copper, or titanium copper) or a thin plate of a Colson-based copper alloy using a forward mold (stamping) It is molded and processed (see Fig. 5). In the contact 30, a base plating serving as a base is formed on its surface, and a surface layer plating is laminated on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ing.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30)는, 측면시 대략 コ자형이다. 콘택트(30)는, 선단에 접촉 돌기부(32)를 가지는 접촉 아암(31)과, 접촉 아암(31)을 지지하는 아암 지지부(33)와, 접촉 아암(31)의 바로 위에 위치하고 하면의 선단 근방에 지지 오목부(35)를 가지는 누름 아암(34)을 가진다. 콘택트(30)는, 후단에 돌출 설치한 실장부(36)를 가진다. 후술하는 대로, 콘택트(30)의 실장부(36)는,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CB) 상의 회로 패턴과 접속된다.As shown in FIG. 5, the contact 30 is substantially U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ontact 30 has a contact arm 31 having a contact protrusion 32 at a tip end, an arm support 33 supporting the contact arm 31, and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contact arm 31 and near the tip of the lower surface. It has a pressing arm (34) having a supporting recess (35) in the. The contact 30 has a mounting portion 36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As described later, the mounting portion 36 of the contact 3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pattern on the circuit board CB by soldering.

각 콘택트(30)는, 각 장착 홈(22)에 장착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지지된다. 즉, 각 콘택트(30)는, 인슐레이터(20)의 각 장착 홈(22)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압입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콘택트(30)를 장착 홈(22)에 압입하면, 아암 지지부(33)가 인슐레이터(20)의 바닥벽(23)의 상면에 지지된다. 접촉 아암(31)(접촉 돌기부(32))은 삽입 홈(21) 내에 위치한다. 누름 아암(34)의 상면에 돌출 설치한 계지 돌기(37)는, 대응하는 장착 홈(22)의 상면에 들어간다(도 5 참조). 이상에 의해, 콘택트(30)는 장착 홈(22)에 대하여 고정 상태가 된다. 콘택트(30)가 장착 홈(22)에 대하여 고정 상태가 되면, 콘택트(30)의 표면은, 장착 홈(22)의 내면에 대하여 근접 또는 맞닿는다. 실장부(36)는, 인슐레이터(20)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한다. 실장부(36)의 하면은 인슐레이터(20)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한다.Each contact 30 is supported by the insulator 20 by being attached to each mounting groove 22. That is, each contact 30 is press-fitted from the rear to each mounting groove 22 of the insulator 20. When each contact 30 is pressed into the mounting groove 22 as shown in FIG. 5, the arm support 33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wall 23 of the insulator 20. The contact arm 31 (contact protrusion 32) is located in the insertion groove 21. The locking projection 37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arm 34 enters the upp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mounting groove 22 (see Fig. 5).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30 is in a fix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groove 22. When the contact 30 is in a fixed stat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groove 22, the surface of the contact 30 approaches or abut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mounting groove 22. The mounting portion 36 protrudes rear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insulator 20.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36 is locat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or 20.

좌우 한 쌍의 고정 금구(4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이고, 인슐레이터(20)의 좌우 양 단부에 장착된다(도 3 참조). 고정 금구(40)의 상면에는, 액추에이터(50)를 지지하는 지지부(41)가 형성된다. 고정 금구(40)의 하단부에는, 측방, 즉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대략 L자 형상의 실장부(42)가 돌출 설치된다. 고정 금구(4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압입함으로써 인슐레이터(20)에 고정된다.The left and right pair of fixing brackets 40 are press-formed products of a metal plate, and are attached to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sulator 20 (see Fig.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40, a support portion 41 for supporting the actuator 5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bracket 40, a substantially L-shaped mounting portion 42 is protruded toward the side, that is, outward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fixing bracket 40 is fixed to the insulator 20 by pressing it into the insulator 20 from the front.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인 회전식의 액추에이터(50)는, 내열성의 합성 수지 재료를 금속제의 성형형(成形型)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한 것이다. 좌우 양 측부에는 측부 아암(51)이 각각 설치된다. 액추에이터(50)의 하단부 근방에는, 액추에이터(50)를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이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바로 아래에는,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하단을 막는 회전 중심축(53)이 형성된다(도 5 참조). 소정의 이웃하는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하단부에는, 캠부(54)가 설치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액추에이터(50)의 측부 아암(51)의 선단에는, 폐쇄 위치 보지 돌기(55)가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다(도 3 참조). 측부 아암(51)의 내측에는, 돌기부(56)가 액추에이터(5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된다.The rotary actuator 50, which is a plate-shaped member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is injection-molded of a heat-resistant synthetic resin material using a metal molding. Side arms 51 are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50, a plurality of arm insertion through holes 52 penetrating the actuator 50 in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re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mmediately below each arm insertion through hole 52, a rotational central shaft 53 is formed that blocks the lower end of each arm insertion through hole 52 (see Fig. 5). A cam portion 54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a portion positioned between predetermined neighboring arm insertion through holes 52 (see Figs. 4 and 5). At the tip end of the side arm 51 of the actuator 50, a closed position retaining protrusion 55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see Fig. 3). Inside the side arm 51, a protrusion 56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tuator 50.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액추에이터(50)를 대략 직교시킨 상태에서, 대응하는 콘택트(30)의 누름 아암(34)이 각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52)에 삽입된다. 지지 오목부(35)는 회전 중심축(53)에 계합한다(도 5 참조). 좌우의 측부 아암(51)의 기단부(基端部)는, 좌우의 고정 금구(40)의 지지부(41)에 탑재된다. 이상에 의해, 액추에이터(50)는 콘택트(30) 및 고정 금구(40)에 대하여 지지된다.1 and 3, in a state where the actuator 5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insulator 20, the pressing arm 34 of the corresponding contact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2 for each arm insertion passage. Is inserted. The support recess 35 engages the rotational central axis 53 (see Fig. 5). The base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 arms 51 are mounted on the support portions 41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brackets 40. As described above, the actuator 50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contact 30 and the fixing bracket 40.

이와 같이 지지부(41)에 의해 측부 아암(51)의 기단부가 지지되면, 각 콘택트(30)의 지지 오목부(35)와 대응하는 회전 중심축(53)과의 계합 관계가 유지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FPC(60)의 삽입 탈락 방향)에 대하여 가동 가능하다. 특히, 액추에이터(50)는 회전 중심축(53)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When the proximal end of the side arm 5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41 in this way, the enga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recess 35 of each contact 30 and the corresponding rotational center shaft 53 is maintained. Accordingly, the actuator 50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20 (the direction in which the FPC 60 is inserted and removed). In particular, the actuator 50 is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al central axis 53.

커넥터(10)는,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한 회로 기판(CB)(도 1의 가상선 참조)의 상면(회로 형성면)에 대하여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콘택트(30)의 실장부(36)는, 회로 기판(CB) 상의 회로 패턴(도시 생략)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탑재된다. 좌우의 고정 금구(40)의 실장부(42)는, 회로 기판(CB) 상의 접지 패턴(도시 생략)에 도포한 땜납 페이스트에 탑재된다. 리플로우 로(爐) 등에 있어서 각 땜납 페이스트를 가열 용융함으로써, 각 실장부(36)는 상기 회로 패턴에 납땜된다. 각 실장부(42)는 상기 접지 패턴에 납땜된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회로 기판(CB)으로의 실장이 완료된다.The connector 10 is mounted on an upper surface (circuit formation surface) of a circuit board CB (refer to the virtual line in Fig. 1)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Specifically, the mounting portion 36 of each contact 30 is mounted on a solder paste applied to a circuit pattern (not shown) on the circuit board CB. The mounting portions 42 of the left and right fixing brackets 40 are mounted on a solder paste applied to a ground pattern (not shown) on the circuit board CB. By heating and melting each solder paste in a reflow furnace or the like, each mounting portion 36 is soldered to the circuit pattern. Each mounting portion 42 is soldered to the ground pattern. As a result, mounting of the connector 10 to the circuit board CB is completed.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PC(60)는,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하여 구성한 적층 구조이다. FPC(60)는, 연장 방향(전후 방향)의 선단부를 구성하고 또한 다른 부분에 비해 단단한 단부 보강 부재(61)와, 연장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단부 보강 부재(61)의 하면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 패턴(62)과, 연장 방향의 선단부에 있어서, 측연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계합부(63)를 구비한다. 계합부(63)는,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한 쌍 형성된다. 계합부(63)의 상면(63a)은, 단부 보강 부재(61)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연속하여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PC 60 is a laminated structure constituted by bonding a plurality of thin film materials to each other. The FPC 60 constitutes a distal end portion in the extension direction (front-rear direction) and is harder than other portions, and extends linearly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and extend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end reinforcement member 61 A plurality of circuit patterns 62 are provided, and an engaging portion 63 protruding outwardly from a side edge portion at a tip portion in the extending direction. A pair of engaging portions 6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xtending direction, that is, in a left-right direction.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engaging portion 63 is formed continuously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end reinforcing member 61.

FPC(60)(접속 대상물)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까지 회전시킨 후에, 삽입 홈(21)에 대하여 FPC(60)의 후단부를 앞쪽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측부 아암(51)의 고정 금구(40)측의 면이 지지부(41)에 접촉한다. 액추에이터(50)의 폐쇄 위치 보지 돌기(55)는, 인슐레이터(20)의 폐쇄 위치 보지 돌기(25)와 계합한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폐쇄 위치에서 보지된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각 캠부(54)는, FPC(60)의 상면에 대하여 면 접촉하여, FPC(60)를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FPC(60)의 회로 패턴(62)은, 각 콘택트(30)의 접촉 아암(31)을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접촉 돌기부(32)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한다(도 7 참조).In order to connect the FPC 60 (to be connected), the actuator 5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After rotating the actuator 50 to the open position, the rear end of the FPC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at an angle from above. When the actuator 50 is rotated forward to the closed position, the surface of the side arm 51 on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4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41. The closed position retaining protrusion 55 of the actuator 50 engages with the closed position retaining protrusion 25 of the insulator 20. Thereby, the actuator 50 is held in the clos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20. At this time, each cam portion 54 of the actuator 50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PC 60 and presses the FPC 60 downward. Accordingly, the circuit pattern 62 of the FPC 60 reliably contacts the contact protrusion 32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contact arm 31 of each contact 30 downward (see Fig. 7).

FPC(60)를 삽입하여 액추에이터(50)를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까지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의, 커넥터(10)와 FPC(60)와의 계합의 모습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1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1의 Ⅸ-Ⅸ 화살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에 대응하는 도이다. 도 10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FPC(60)를 삽입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켰을 때의 도 9에 대응하는 확대 단면도이다.With respect to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connector 10 and the FPC 60 in a state in which the FPC 60 is inserted and the actuator 50 is rotat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see Figs. 8 to 11.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6 when the actuator 50 is in the open position with the FPC 60 inserted. FIG. 9 is a view corresponding to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n arrow line IX-IX of FIG. 1 when the actuator 50 is in an open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PC 60 is inserte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8 when the actuator 5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with the FPC 60 inserted.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9 when the actuator 5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with the FPC 60 inserted.

FPC(60)가 인슐레이터(20)의 삽입 홈(21)에 삽입되면, FPC(60)의 계합부(63)는, 인슐레이터(2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관통 구멍(28) 내에 각각 수용된다(도 8 참조). 관통 구멍(28)은, FPC(60)의 탑재면(21a)보다 닫힘 방향측에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는 FPC(60)의 발거 방향측, 즉 전측으로부터 계합부(63)와 대향한다. 발지부(27)는 계합부(63)와 계합한다.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계합부(63)의 상면(63a)과 발지부(27)의 상면(27c)은,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된다.When the FPC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of the insulator 20, the engaging portions 63 of the FPC 60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s 28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insulator 20. (See Fig. 8). The through hole 28 can accommodate the engaging portion 63 on the side in the closing direction than the mounting surface 21a of the FPC 60. In this state, the holding portion 27 of the insulator 20 faces the engaging portion 63 from the side in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PC 60, that is, the front side. The foot portion 27 engages with the engaging portion 63.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5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engaging portion 63 and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leg portion 27 ar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position.

액추에이터(50)를 폐쇄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액추에이터(50)의 돌기부(56)가 FPC(60)의 계합부(63)와 맞닿는다. 특히, 돌기부(56)는, 액추에이터(50)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 계합부(63)를 액추에이터(50)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른다(도 10 및 도 11 참조). 즉, 돌기부(56)는, 인슐레이터(20)의 삽입 홈(21)에 삽입된 FPC(60)의 계합부(63)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56)의 좌우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닫힘 방향측, 즉 하방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된다. 특히,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이다. 돌기부(56)의 선단, 즉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하방)에 위치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대로, 폐쇄 위치에 있어서, 돌기부(56)의 최하부는 관통 구멍(28) 내에 수용된다.When the actuator 50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56 of the actuator 50 abuts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FPC 60. In particular, the protrusion 56 pushes down the engaging portion 63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50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actuator 50 (see FIGS. 10 and 11 ). That is, the protrusion 56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FPC 6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 of the insulator 20. As shown in FIG. 11,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protrusion 56 becomes a tapered shape toward the closing direction side, that is, downward. In particula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56 is substantially trapezoidal. The tip end of the protrusion 56, that is, the lowermost part, is located on the closing direction side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leg portion 27 in the closed position. That is, as shown in FIG. 10,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sion 56 is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8.

액추에이터(5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계합부(63)의 상면(63a)은, 돌기부(56)에 의해 닫힘 방향으로 내리눌려진 만큼,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하방에 위치한다(도 10 및 도 11 참조). 계합부(63)는, 돌기부(56)에 의한 닫힘 방향으로의 내리누름에 의해 휘어, 외측을 향할수록 발지부(27)의 상면(27c)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간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actuator 5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engaging portion 63 is pressed by the protruding portion 56 in the closing direction, so that it is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foot portion 27. Is located (see Figs. 10 and 11). The engaging portion 63 is bent by pressing down in the closing direction by the protruding portion 56, and is spac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leg portion 27 toward the outside.

이상과 같은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10)는, 저배화한 상태라도 박형화한 FPC(60)의 보지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FPC(60)의 박형화에 따라 계합부(63)의 강성이 저하하여, 휘기 쉬워진 경우라도, 돌기부(56)와 계합부(63)와의 맞닿음에 의해, 걸림 마진이 안정적이다. 돌기부(56)에 의한 계합부(63)의 닫힘 방향으로의 내리누름에 의해, 계합부(63)는 하방으로 휜다. 이에 의해, 계합부(63)와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이 늘어난다. 이와 같이, 커넥터(10)는, 계합부(63)도 포함시켜 탑재면(21a)에 평탄하게 FPC(60)를 탑재한 경우와 비교하여, 높은 보지력을 얻을 수 있다.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can stably maintain the holding force of the thinned FPC 60 even in a low-magnification state. That is, even in the case where the rigidity of the engagement portion 63 decreases as the FPC 60 becomes thinner, and becomes easy to bend, the engagement margin is stable due to the abutment between the protrusion portion 56 and the engagement portion 63. The engaging portion 63 is bent downward by pressing down the engaging portion 63 by the protrusion 56 in the closing direction. As a result, the engagement margin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63 and the foot portion 27 increases. In this way, the connector 10 can obtain a high holding force a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PC 60 is mounted flat on the mounting surface 21a including the engaging portion 63.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하방에 관통 구멍(28)을 설치하여 걸림 마진을 증대시키고 있기 때문에, 발지부(27)의 바닥벽(23)으로부터의 돌출량을 증대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커넥터(10)는, FPC(60)의 삽입 시에, FPC(60)와 발지부(27)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FPC(60)의 삽입성을 유지할 수 있다.In the connector 10, since the through hole 28 is provided below the insulator 20 to increase the engagement margi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mount of protrusion from the bottom wall 23 of the leg portion 27. none. Accordingly, when the FPC 60 is inserted, the connector 10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FPC 60 and the leg portion 27, thereby maintaining the insertability of the FPC 60.

FPC(60)의 삽입 시에 계합부(63)의 상면(63a)과 발지부(27)의 상면(27c)이 대략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돌기부(56)의 최하부가,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돌기부(56)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계합부(63)를 확실하게 휘게 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바닥벽(23)으로부터의 발지부(27)의 돌출량을 불필요하게 증대시키지 않고, 계합부(63)와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10)는 보지력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FPC 60 is inserted,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sion 56 is closed when the upper surface 63a of the engaging portion 63 and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foot portion 27 ar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position. In the position, it is loc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side than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foot part 27. Thereby, the protrusion part 56 reliably warps the engaging part 63 in the closed position. Accordingly, the connector 10 can secure the engagement margin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63 and the foot portion 27 without unnecessarily increas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oot portion 27 from the bottom wall 23. Thereby, the connector 10 can maintain the holding force.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그 본질적인 특징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상술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른 소정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앞의 기술(記述)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가 아니라, 부가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변경 중 그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몇 가지의 변경은 그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It is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a predetermined form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receding description is illustrativ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defined by the preceding description, but by the appended claims. Among all the changes, some of the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all be included among them.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대로, 돌기부(56)의 액추에이터(50)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 형상은 테이퍼 형상, 특히 대략 사다리꼴인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반원형 등, FPC(60)의 계합부(63)를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를 수 있는 형상이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돌기부(56)는 대략 사다리꼴 이외의 테이퍼 형상의 단면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56)는, 계합부(63)를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르는 양이 외측을 향할수록 커지는 단면 형상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은, 액추에이터(50)의 내면으로부터의 돌출 설치량이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할수록 증대하도록, 직선 형상의 경사면을 닫힘 방향측에 가지는 삼각형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56)의 단면 형상에 의해, 돌기부(56)는, 좌우 방향의 단면시에 있어서, 내측으로부터 외측까지 대략 균일하게 계합부(63)를 가압한다. 따라서, 커넥터(10)는, 계합부(63)의 일부에 극도의 가압을 가하지 않고, 보다 자연스럽게 계합부(63)를 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56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actuator 50 has been described as being tapered, particularly substantially trapezoid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56 may be any shape as long as it is a shape capable of pressing down the engaging portion 63 of the FPC 60 in the closing direction, such as a rectangle or a semicircle. In addition, the protrusion 56 may have a tapered cross section other tha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For example, the protrusion 56 ma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increases as the amount of pressing the engaging portion 63 in the closing direction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As an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56 may be a triangle having a linear inclined surface on the closing direction side so that the installation amount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actuator 50 increases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such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56, the protrusion 56 presses the engaging portion 63 substantially uniformly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in a cross s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connector 10 can bend the engaging portion 63 more naturally without applying extreme pressure to a part of the engaging portion 63.

도 12는, 변형례에 관련된 커넥터(10)의 도 6에 대응하는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커넥터(10)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50)의 돌기부(56)와 대응하는 위치에, 인슐레이터(20)의 관통 구멍(28)을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내는 대로, 커넥터(10)는, 관통 구멍(28) 대신에 오목부(29)를 가져도 된다. 오목부(29)의 형상 및 크기는, 계합부(63)를 수용 가능하면, 임의의 형상 및 크기여도 된다. 오목부(29)는, 돌기부(56)에 의한 계합부(63)의 닫힘 방향으로의 압입이 가능하면, 임의의 깊이로 오목 설치되어도 된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FIG. 6 of a connector 10 according to a modification example. The connector 10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he through hole 28 of the insulator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56 of the actuator 50 in the closed 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12, the connector 10 may have a concave portion 29 instead of the through hole 28.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cave portion 29 may be any shape and size as long as the engaging portion 63 can be accommodated. The concave portion 29 may be concave to an arbitrary depth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press-fit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63 by the protrusion portion 56.

커넥터(10)는, 관통 구멍(28) 및 오목부(29)의 어느 것도 갖지 않고, 계합부(63)보다 외측에는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인슐레이터(20)의 측벽(24) 및 금구 고정 홈(26)을 생략하여, 당해 구성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즉, FPC(60)의 측연부보다 외측에는,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만이 존재하도록, 인슐레이터(20)가 형성되어도 된다.The connector 10 may have neither the through hole 28 nor the concave portion 29 and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insulator 20 is not formed outside the engaging portion 63. For example, the side wall 24 and the bracket fixing groove 26 of the insulator 20 are omitted, so that the insulator 20 does not need to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That is, the insulator 20 may be formed so that only the leg portion 27 of the insulator 20 exists outside the side edge portion of the FPC 60.

돌기부(56)의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닫힘 방향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기부(56)의 최하부는, 계합부(63)를 내리눌러 발지부(27)와의 걸림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돌기부(56)의 최하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 발지부(27)의 상면(27c)과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돌기부(56)는, FPC(60)가 삽입되어 액추에이터(50)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발지부(27)의 상면(27c)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하는 계합부(63)의 상면(63a)을 내리누르도록 구성된다.Although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sion 56 has been described as being positioned in the closing direction rather than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foot portion 27 in the closed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protrusion 56 may be disposed at an arbitrary position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secure a margin of engagement with the leg portion 27 by pressing down the engagement portion 63. For example, the lowermost part of the protrusion 56 may be locat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leg portion 27 in the closed position. In this case, the protrusion portion 56 is a state in which the FPC 60 is inserted and the actuator 5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engagement portion 63 positioned slightly above the upper surface 27c of the foot portion 27 It is configured to press down the upper surface (63a).

인슐레이터(20)의 발지부(27)는, 전후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전면(27a) 및 후면(27b),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상면(27c)에 의해,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지부(27)는, 전면(27a)의 상연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전측 경사면 및 후면(27b)의 상연부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후측 경사면을 가져도 된다. 전측 경사면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다. 후측 경사면은,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상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다.The foot portion 27 of the insulator 20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y a front surface 27a and a rear surface 27b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n upper surface 27c parallel to the front-rear direc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oot portion 27 may have a front inclined surface continuously formed from the upper edge of the front surface 27a and a rear inclined surface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rear surface 27b. The front inclined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goes upward as it go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The rear inclined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that gradually goes upward as it go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삽입 홈
21a : 탑재면
22 : 장착 홈
23 : 바닥벽
24 : 측벽
25 : 폐쇄 위치 보지 돌기
26 : 금구 고정 홈
27 : 발지부
27a : 전면
27b : 후면
27c : 상면
28 : 관통 구멍
29 : 오목부
30 : 콘택트
31 : 접촉 아암
32 : 접촉 돌기부
33 : 아암 지지부
34 : 누름 아암
35 : 지지 오목부
36 : 실장부
37 : 계지 돌기
40 : 고정 금구
41 : 지지부
42 : 실장부
50 : 액추에이터
51 : 측부 아암
52 : 아암 삽입 통과용 관통 구멍
53 : 회전 중심축
54 : 캠부
55 : 폐쇄 위치 보지 돌기
56 : 돌기부
60 : FPC(접속 대상물)
61 : 단부 보강 부재
62 : 회로 패턴
63 : 계합부
63a : 상면
CB : 회로 기판
10: connector
20: insulator
21: insertion groove
21a: mounting surface
22: mounting groove
23: floor wall
24: side wall
25: closed position pussy protrusion
26: bracket fixing groove
27: foot branch
27a: front
27b: rear
27c: top surface
28: through hole
29: recess
30: contact
31: contact arm
32: contact protrusion
33: arm support
34: push arm
35: support recess
36: mounting part
37: protrusion
40: fixing bracket
41: support
42: mounting unit
50: actuator
51: side arm
52: through hole for arm insertion through
53: rotation center axis
54: cam part
55: closed position pussy protrusion
56: protrusion
60: FPC (connection object)
61: end reinforcement member
62: circuit pattern
63: engaging portion
63a: upper surface
CB: circuit board

Claims (5)

측연부에 돌출 설치한 계합부를 가지는 접속 대상물을 삽입 및 발거 가능한 삽입 홈과,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발지부
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접속 대상물을 가압하지 않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가동 가능한 액추에이터
를 구비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의 제 1 면과 맞닿는 돌기부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돌기부는 회전축의 회전 중심보다 액추에이터의 조작측에 위치하고,
상기 계합부의 상기 제 1 면과 반대측의 제 2 면은,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인슐레이터에 맞닿지 않는, 커넥터.
An insertion groove capable of inserting and removing a connection object having an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edge;
A hold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engagement portion when the connectio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an insulator having
Actuator movable with respect to the insulator between a closed position for pressing the connection object and an open position for not pressing the connection object
And,
The actuator, in the closed position, has a protrusion that abuts the first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The protrusion of the actuator is located on the operation side of the actuator than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A connector, wherein a second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does not contact the insulator when the actuator is in the closed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계합부를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으로 내리누르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in the closed position, pushes down the engagem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object in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는,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계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대상물의 탑재면보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측에 상기 계합부를 수용 가능한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가지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sulator, when the connection objec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has a through hole or a reces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ngag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ortion on a side of the closing direction of the actuator than the mounting surface of the connection object, connec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계합부의 상면과 상기 발지부의 상면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상하 방향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돌기부의 선단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발지부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닫힘 방향측에 위치하는,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2,
In a state in which the actuator is in the open positi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are disposed at substantially the same vertical position,
The connector, wherein the tip of the protrusion is positioned on a side in the closing direction tha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portion in the closed position.
제 1 항, 제 2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길이 방향을 따른 단면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닫힘 방향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he connector, wherein the protrusion has a tapered shape toward a closing direction side of the actuator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ctuator.
KR1020180006601A 2017-02-09 2018-01-18 Connector KR10214397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2446A JP6881996B2 (en) 2017-02-09 2017-02-09 connector
JPJP-P-2017-022446 2017-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832A KR20180092832A (en) 2018-08-20
KR102143973B1 true KR102143973B1 (en) 2020-08-12

Family

ID=631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601A KR102143973B1 (en) 2017-02-09 2018-01-18 Connec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81996B2 (en)
KR (1) KR102143973B1 (en)
CN (1) CN108418011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38B1 (en) 2018-09-28 2020-02-10 현대자동차(주) Connec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123A (en)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Fpc connector
JP2008171706A (en) 2007-01-12 2008-07-24 D D K Ltd Connector and disengaging part used in connector
JP2011181335A (en) 2010-03-01 2011-09-15 Molex Inc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including flat type electric wire and connector with flat type electric wire connected
JP2016100253A (en) 2014-11-25 2016-05-3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Connector fo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209B2 (en) * 2001-06-07 2004-06-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connection structure
JP5016635B2 (en)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5016695B2 (en) * 2010-03-03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4945006B1 (en) *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5645312B2 (en) * 2012-03-01 2014-12-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connector
JP6090341B2 (en)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3123A (en) 2006-08-25 2008-03-06 Jst Mfg Co Ltd Fpc connector
JP2008171706A (en) 2007-01-12 2008-07-24 D D K Ltd Connector and disengaging part used in connector
JP2011181335A (en) 2010-03-01 2011-09-15 Molex Inc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including flat type electric wire and connector with flat type electric wire connected
JP2016100253A (en) 2014-11-25 2016-05-30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Connector for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18011B (en) 2020-05-05
CN108418011A (en) 2018-08-17
KR20180092832A (en) 2018-08-20
JP6881996B2 (en) 2021-06-02
JP2018129232A (en)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7379B2 (en) Connector
JP4863317B2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8128429B2 (en) FPC U-shaped nail
JP6462634B2 (en) connector
KR20160117228A (en) Connector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JP6823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299554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and electric connector with flat conductor
JP2018081869A (en) connector
JP2004165046A (en)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flat conductor
JP2014038768A (en) Connector
KR101624397B1 (en) Connector
CN106981754B (en) Connector with a locking member
TWI354412B (en)
US7503796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guide spring for precise contact guidance of a PCB
JPWO2018012243A1 (en) connector
KR102143973B1 (en) Connector
US9252516B2 (en) Connector
JP7038597B2 (en) Connectors and electronic devices
JP6002636B2 (en) Flat cable terminal fitting
KR102001285B1 (en) Assembly of electric connector and flexible board
JP5993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546973B2 (en) Flat conductor connector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JP2018022682A (en) Receptacle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receptac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