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50B1 -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 Google Patents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50B1
KR102143750B1 KR1020190092800A KR20190092800A KR102143750B1 KR 102143750 B1 KR102143750 B1 KR 102143750B1 KR 1020190092800 A KR1020190092800 A KR 1020190092800A KR 20190092800 A KR20190092800 A KR 20190092800A KR 102143750 B1 KR102143750 B1 KR 102143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sound
absorb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동
문준호
김현술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조영동
김현술
최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동, 김현술, 최원석 filed Critical 조영동
Priority to KR1020190092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완충성, 단열성, 경량 및 고온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을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주재료로 하면서 이에 부가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성형에서 온수관을 유지할 수 있는 관유지홈으로 구획되는 격자틀들을 가지는 패널로 제작하면서, 이 격자틀에는 기능성부재인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는 흡음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내에서 흡음재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재에서 흡음 완화되고, 미쳐 흡음되지 않은 미세한 소음은 격자틀의 흡음수납부의 격벽과 바닥에 의하여 소음에너지가 저감 또는 소멸될 수 있도록 한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격자형상틀의 흡음수납부에 수납되는 흡음재가 다양한 원천의 소금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의 주위에 유지되어 있는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흡음수납부의 소금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마감재(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11)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50)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50)에, 가열기(1)로부터 입,출구관(51,52)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분리 결합가능한 패널유니트(10)에 형성된 격자틀(11)에 흡음수납부(20)이 형성되고, 이 흡음수납부(20)에 천일염, 암염, 가공염 및 죽염 등 분말 또는 결정체로 다양한 원천의 소금의 흡음재(30)이 형성되어, 이 흡음재(30)은 격자틀(11)의 관유지홈(12)에 형성된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는 동시에, 마감재(4)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 완화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자틀(11)의 각 흡음수납부(20)는, 소금의 흡음재(30)을 각각 내장하여 유지할 수 있는 깊이의 바닥(21)과 격벽(22)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소금들의 분말 및 결정체를 내장할 수 있는 망형상의 팩(40)에 넣어져,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소금에 점토성광물질을 혼합하여 고형물로 성형되어,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50)에 이웃하는 온수관(50)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60)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마감재(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11)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50)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50)에, 가열기(1)로부터 입,출구관(51,52)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소금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한 후, 이 용융소금이 내열 및 내식성의 금속(80)과의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격자틀(11)의 관유지홈(12)에 형성된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Hot water tube maintenance suction panel with salt infrared for radiant heat heating}
본 발명은 온수관이 둘레면에 유지될 수 있는 격자형상의 패널에 흠음부재를 내장할 수 있는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너지 완충성, 단열성, 경량 및 고온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을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주재료로 하면서 이에 부가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성형에서 온수관을 유지할 수 있는 관유지홈으로 구획되는 격자틀들을 가지는 패널로 제작하면서, 이 격자틀에는 기능성부재인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는 흡음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내에서 흡음재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세라믹 강화마루 등)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재에서 흡음 완화되고, 미쳐 흡음되지 않은 미세한 소음은 격자틀의 흡음수납부의 격벽과 바닥에 의하여 소음에너지가 저감 또는 소멸될 수 있도록 한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격자형상틀의 흡음수납부에 수납되는 흡음재가 천일염, 암염, 가공염 및 죽염 등 분말 또는 결정체로 다양한 원천의 소금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의 주위에 유지되어 있는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흡음수납부의 소금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의 바닥의 난방시스템은 국토교통부에서 규정하는 표준바닥구조의 벽식구조로서 습식난방공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공법은 일정한 두께 이상의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단열완충재를 깔고, 그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다시 그 위에 온수배관과 마감모르타르로 마감한다.
이 공법은 외부에 설치된 보일러의 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가 난방배관을 통하여 난방실로 공급되면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바닥면을 가열하게 됨으로서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시공의 편리성과 함께 바닥을 통한 복사난방방식을 채택하기 때문에, 고온의 복사열을 인체로 방출할 수 있어 다른 난방방식보다 피부로 느끼는 쾌적성이 우수하여 전통적으로도 오랫동안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공법은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다시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므로 건축구조체가 갖는 하중부담이 크고, 온수배관시 구부림과 고정작업을 병행하므로 시공이 번잡하고 배관 높이도 균일하게 유지가 어렵다.
또한, 축열층에 해당하는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함으로 일정한 경화기간을 필요로 하며 이로 인해 작업공정이 길어지고 공사비가 증대된다.
그리고, 콘크리트슬라브 위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그 위에 온수배관이 설치되며 또한 그 위에 마감모르타르로 마감함에 따라서, 온수배관의 어느 한곳에 온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거나 또는 온수배관이 막히는 경우, 온수배관의 교체를 위하여 방의 집기 등을 들어내고 또한 바닥의 장판과 마감모르타르를 걷어내는 등의 공사로 인하여 추가 설비비가 고가로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공동주택에서 상·하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음이 상·하층의 내부공간으로 곧 바로 전달되어 소음 및 충격음에 의한 상·하층의 주거생활자는 스트레스와 불편을 줌으로서, 공동주택의 거주자들이 소음 및 충격음에 의한 법정소송이 빈번히 발생하는 불상사가 자주 발생되어 왔다.
그러므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의 바닥충격음에 대한 최저 기준(경량충격음 58dB 이하, 중량충격음 50dB 이하)을 마련하여 법제화하고 있다. 바닥충격음의 차단성능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기본 슬라브 두께가 210mm로 하여 종래에 시공되어 왔던 슬라브 두께 135mm~180mm보다 30mm~75mm가 증가되어, 층고확대 및 하중증가에 따른 공사비용 증가로 인해 건설업체들에게 많은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다.
결국, 기존 기술의 습식난방공법은 콘크리트타설과, 또한 양생 및 난방 배관의 복잡성과, 또한 층간소음의 바닥충격음에 대한 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전체공정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기술이 필요하다.
그래서, 공동주택의 상·하층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음을 흡수하는 건축자재로서 층간 충격진동흡음재가 공동주택 건설에 꼭 필요한 건축 자재로 성장되고 있다.
앞으로는 공동주택의 경우 소음 및 충격음의 등급제가 실시됨으로서 층간 발생되는 충격진동 소음을 흡수하는 자재 개발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충격진동 흡음재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특별한 성능을 갖춘 제품은 없다 할 것이다.
현재까지 국내에 유통되는 충격진동흡음재는 합성수지판재나 고무종류와 같이 탄성을 가진 기존소재를 앞, 뒤면으로 조합하여 충격흡음재로 사용하고 있으며 하단부에 공간층을 두어 충격음 전달을 감소하려 여러 방법을 모색하고 있으나 공간층을 잘못 사용하면 더욱 위험한 공명현상이 일어나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할 것이다.
등록특허 10-089665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은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로써, 등간격의 격자틀을 가지는 패널유니트들이 조합된 결합체이며, 상기 패널유니트들의 격자틀은 온수관을 내장할 수 있는 관유지홈들로 구획되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패널유니트들은 폴리프로필렌 96%이하, 카본블랙 3%이하, 소량 첨가제 1%이하의 성분으로, 격자틀과 관유지홈들이 형성되도록 가압에 의한 압축성형에 의하여 성형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의 격자틀에 흡음수납부를 형성하여, 이 흡음수납부에 기능성부재인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부가함으로써, 흡음재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재에서 흡음 완화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음수납부에 내장되는 흡음재는 천일염, 암염, 가공염 및 죽염 등 분말 또는 결정체로 다양한 원천의 소금이 내장되도록 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소금들의 분말 및 결정체를 내장할 수 있는 망형상의 팩에 넣을 수 있으며, 또한 흡음재는 상기 소금에 점토성광물질을 혼합하여 분말 또는 고형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격자틀은 사방의 관유지홈 보다 위쪽으로 튀어나와 있고, 이 격자틀에 대략 일정깊이를 가지는 흡음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흡음수납부는 일정깊이의 바닥과, 사방 둘레면은 격벽들로 구획되어, 격자틀의 흡음수납부에 내장되는 흡음재로부터 전도되는 미세의 충격과 소음이 흡음수납부의 바닥과 격벽에서 흡음되어 저감 또는 소멸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관유지홈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에 가열기로부터 입,출구관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에 이웃하는 온수관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온수관의 순환에 있어서 어느 한 곳이 막혀있더라도 상기 보조순환관을 통하여 순환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의 제작에 있어서, 발포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소금이 주재료인 패널로 대체할 수 있도록 천일염 등의 소금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한 후, 이 용융소금이 스텐레스, 티타늄 등의 경량이며 내열 및 내식성의 금속과의 인서트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이 인서트 패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 위의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소금패널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감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에, 가열기로부터 입,출구관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은 분리 결합가능한 패널유니트에 형성된 격자틀에 흡음수납부가 형성되고, 이 흡음수납부에 다양한 원천의 소금의 흡음재가 형성되어, 이 흡음재는 격자틀의 관유지홈에 형성된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는 동시에, 마감재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 완화할 수 있도록 된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상기 소금들의 분말 및 결정체를 내장할 수 있는 망형상의 팩에 넣어져, 격자틀의 흡음수납부에 내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관유지홈들에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에 이웃하는 온수관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감재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에, 가열기로부터 입,출구관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은, 소금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한 후, 이 용융소금이 내열 및 내식성의 금속과의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너지 완충성, 단열성, 경량 및 고온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을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주재료로 하면서 이에 부가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성형에서 온수관을 유지할 수 있는 관유지홈으로 구획되는 격자틀들을 가지는 패널로 제작하면서, 이 격자틀에는 기능성부재인 흡음재를 수납할 수 있는 흡음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내에서 흡음재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재에서 흡음 완화되고, 미쳐 흡음되지 않은 미세한 소음은 격자틀의 흡음수납부의 격벽과 바닥에 의하여 소음에너지가 저감 또는 소멸될 수 있도록 한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관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은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격자형상틀의 흡음수납부에 수납되는 흡음재가 천일염, 암염, 가공염 및 죽염 등 분말 또는 결정체로 다양한 원천의 소금이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흡음수납부의 주위에 유지되어 있는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흡음수납부의 소금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장착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장착예시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와 온수관의 분리 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의 흡음수납부에 소금이 내장된 상태의 단면도,
도 4b 는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의 흡음수납부에 소금팩이 내장된 상태의 단면도,
도 4c 는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의 패널유니트가 금속이 인서트된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에너지 완충성, 단열성, 경량 및 고온 저항성이 매우 우수한 발포폴리프로필렌(EPP : Expanded Polypropylene)이며, 주재료는 폴리프로필렌 96%이하, 카본블랙 3%이하, 소량 첨가제 1%이하의 성분으로써, 가압에 의한 압축성형에 의하여 성형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복수개의 격자틀(11)이 형성된 패널유니트(10)들이 설치면적에 조합하여 단일체로 구성하며, 또한 설치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재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체로 구성된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에는 상기 격자틀(11)의 둘레면의 관유지홈(12)들에 온수관(50)을 지그재그형태로 배열할 수 있고, 또한 가열기(1)의 제어기(2)로부터 입수관(51)을 통하여 데워진 온수가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온수관(50)로 유입되고, 또한 온수관(50)들을 유통한 온수는 다시 출수관(52)를 통하여 가열기(1)로 유입되어, 가열기(1)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며 제어기(2)의 조절에 따라서 온수의 온도 및 온수의 유통량 등이 제어되어 다시 순환 반복하게 된다.
다시 돌아와,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에 온수관(50)의 배열과 온수관(50)에 제어기(2) 및 가열기(1)들의 설치가 끝나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위에 방열시트(3)와 마감재(4) 등으로 마감처리로써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구조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은과 같다.
도 2와, 도 3의 패널유니트(10)과 같이, 본 발명의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패널유니트(10)에 형성된 격자틀(11)은 대략 준정방형체이며, 이 준정방형상체에 일정깊이의 바닥(21)과 격벽(22)를 가지는 흡음수납부(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음수납부(20)의 형성은 상기 방열시트(3)와 마감재(4) 등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마감재(4)의 위쪽으로부터 충격 및 소음 등의 완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흡음수납부(20)에는 천일염, 암염, 가공염 및 죽염 등 분말 또는 일정크기의 결정체로 다양한 원천의 소금인 흡음재(30)이 내장된다.
이 흡음재(30)은 격자틀(11)의 관유지홈(12)에 형성된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하게 된다.
상기 흡음재(30)인 소금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금의 흡음재(30)이 일정공간인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흡음수납부(20)내에서 흡음재(30)의 소금으로부터 발생한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4)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 완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흡음수납부(20)내에서 흡음재(30)로부터 발생하는 파동에너지에 의하여 마감재(4)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재(30)에서 흡음 완화되지만, 미쳐 흡음되지 않은 미세한 소음은, 흡음재(30)이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의 격벽(22)와 바닥(21)과의 접촉면적의 최소화와, 또한 발포폴리프로필렌 재질 자체의 흡음효과에 의하여 소음에너지를 저감 또는 소멸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3에서 패널유니트(10)과,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소금들의 분말 및 결정체를 내장할 수 있는 망형상의 팩(40)에 넣어져,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30)가 팩(40)에 넣어져 있기 때문에,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흡음재(30)을 내장이 덩이진 형태로 넣어질 수 있기 때문에, 흡음수납부(20)에 흡음재(30)의 내장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또한 상기 흡음수납부(20)내의 공간과 또한 팩(40)의 공간에서 2중적으로 파동에너지가 발생되어, 마감재(4)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을 더욱 효과 있게 흡음 완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음재(30)는, 상기 소금에 점토성광물질을 혼합하여 분말 또는 고형물로 성형하여,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소금으로 부족한 미네랄 등의 주요성분을 점토성광물질인 황토나 일라이트 등을 통하여 보강할 수 있다. 알다시피 황토는 다량의 탄산칼슘(CaCo3)과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철분, 마그네슘(Mg), 나트륨(Na), 칼리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은 황토에서 파장되는 원적외선이며, 이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 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와, 인체의 독을 제거해주어 제독제, 해독제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일라이트는 성분이 고르고 독이 없으며 오장을 편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소금과 점토성광물질을 혼합하여 분말로 하여 흡음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소금과 점토성광물질을 혼합하여 이들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한 후 냉각하여 일정크기의 고형체의 블록으로 성형하여, 이 고형체의 블록을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격자틀(11)의 둘레면의 관유지홈(12)들에 온수관(50)을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고, 또한 가열기(1)의 제어기(2)로부터 입수관(51)을 통하여 데워진 온수가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온수관(50)로 유입되고, 또한 온수관(50)들을 유통한 온수는 다시 출수관(52)를 통하여 가열기(1)로 유입되어, 가열기(1)의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며 제어기(2)의 조절에 따라서 온수의 온도 및 온수의 유통량 등이 제어되어 다시 순환 반복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50)에 이웃하는 온수관(50)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6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관(51)과 온수관(50)의 연결부위에 T자형 커넥터(70)가, 또한 출수관(52)와 온수관(50)이 연결되는 부위에도 T자형 커넥터(70)이 연결된다.
또한, 온수관(50)과 이웃하는 온수관(50)과의 보조순환관(60)로 연결되는 부위에도 T자형 커넥터(70)이 연결된다.
상기 입수관(51)과 출수관(52)는 칫수는 대략 직경이 8mm, 온수관(50)은 대략 4x10mm의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보조순환관(60)은 대략 직경이 1.8mm이다. 위와 같이 관들의 칫수의 크기를 각각 형성한 것은 가열기(1)로부터 순환되는 온수가 원활하게 효율 좋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입수관(51), 출수관(52), 온수관(50) 및 보조순환관(60)에 연결되는 T자형 커넥터(70)들은 상기 관들의 칫수와의 억지끼워맞춤가능한 칫수로 제작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50)에 이웃하는 온수관(50)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60)이 T자형 커넥터(70)로 연결되어, 온수관(50)들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온수관(50)의 순환에 있어서 어느 한 곳이 막히더라도 상기 보조순환관(60)을 통하여 막힌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온수관(50)에 온수가 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온수관의 어느 한곳에 온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거나 또는 온수관이 막히는 경우, 온수관의 교체를 위하여 방의 집기 등을 들어내고 또한 바닥의 장판과 마감재를 걷어내는 등의 공사로 인하여 추가 설비비가 고가로 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패널유니트(10)들에 하나의 지그재그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온수관(50)의 온수의 입구가 입수관(51)과 T자형 커넥터(70)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온수관(50)의 온수의 출구가 출수관(52)의 T자형 커넥터(70)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열된 온수가 빠른 순환으로 복사열의 효율을 일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 발명은 마감재(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11)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50)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50)에, 가열기(1)로부터 입,출구관(51,52)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소금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하여 용융 상태로 한다.
이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융소금이 스텐레스, 티타늄 등의 경량이며 내열 및 내식성의 금속(80)과의 인서트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용융소금에 금속(80)을 인서트하는 것은 용융된 소금이 고형체로 운반 및 설치에서 깨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온수관(50)의 복사열이 금속(80)과 패널에서 저류하는 시간을 좀 더 길게하는 효과로 인하여 난방효율을 일층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80)이 도면 4c에서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나, 패널의 바깥 아래쪽에 또는 위쪽의 어느 한곳에 인서트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패널유니트(10)의 관유지홈(12)에 형성된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패널유니트(10)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다.
이 인서트 패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널 위의 온수관의 복사열에 의하여 소금패널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되며, 향균작용, 소취 및 유해물질 정화, 인체의 면역력 강화, 스트레스 완화로 수면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1 : 가열기 2 : 제어기
3 : 방열시트 4 : 마감재
10 : 패널유니트 11 : 격자틀
12 : 관유지홈 20 : 흡음수납부
21 : 바닥 22 : 격벽
30 : 흡음재 40 : 팩
50 : 온수관 51 : 입수관
52 : 출수관 60 : 보조순환관
70 : T자형 커넥터 80 : 금속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마감재(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11)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50)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50)에, 가열기(1)로부터 입,출구관(51,52)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분리 결합가능한 패널유니트(10)에 형성된 격자틀(11)에 흡음수납부(20)이 형성되고, 이 흡음수납부(20)에 다양한 원천의 소금의 흡음재(30)이 형성되어, 이 흡음재(30)은 격자틀(11)의 관유지홈(12)에 형성된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는 동시에, 마감재(4)의 위쪽에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의 소음이 흡음 완화할 수 있도록 된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30)는, 상기 소금들의 분말 및 결정체를 내장할 수 있는 망형상의 팩(40)에 넣어져, 격자틀(11)의 흡음수납부(20)에 내장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의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 배열된 온수관(50)에 이웃하는 온수관(50)과의 가로질러 연결할 수 있는 보조순환관(6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6. 마감재(4)의 아래에 형성되는 격자틀(11)의 둘레면에 형성된 관유지홈(12)들에 지그재그로 배열되는 온수관(50)이 형성되고, 이 온수관(50)에, 가열기(1)로부터 입,출구관(51,52)을 통하여 온수가 순환하도록 하는 복사열 난방용 온수관유지흡음패널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은, 소금을 850∼1000℃의 고온에서 가열 용융한 후, 이 용융소금이 내열 및 내식성의 금속(80)과의 인서트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온수관(50)의 복사열에 의하여 온수관유지흡음패널(100) 자체로부터 방출되는 인체의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KR1020190092800A 2019-07-31 2019-07-31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KR102143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0A KR102143750B1 (ko) 2019-07-31 2019-07-31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00A KR102143750B1 (ko) 2019-07-31 2019-07-31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750B1 true KR102143750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00A KR102143750B1 (ko) 2019-07-31 2019-07-31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7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394Y1 (ko) * 1999-12-14 2000-06-01 권택주 캔을 이용한 온돌판넬
KR200415669Y1 (ko) * 2006-02-14 2006-05-04 (주)건축사사무소제일종합 조립식 온돌 패널
KR100896655B1 (ko) 2008-09-22 2009-05-11 이희곤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KR20090107639A (ko) * 2008-04-10 2009-10-14 (주)에스티에너지 조립식 온돌구조 및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101231173B1 (ko) * 2012-04-26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아이 환수구조를 구비한 온돌패널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394Y1 (ko) * 1999-12-14 2000-06-01 권택주 캔을 이용한 온돌판넬
KR200415669Y1 (ko) * 2006-02-14 2006-05-04 (주)건축사사무소제일종합 조립식 온돌 패널
KR20090107639A (ko) * 2008-04-10 2009-10-14 (주)에스티에너지 조립식 온돌구조 및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100896655B1 (ko) 2008-09-22 2009-05-11 이희곤 온수의 이동 경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보온 패널
KR101231173B1 (ko) * 2012-04-26 2013-02-07 주식회사 케이아이 환수구조를 구비한 온돌패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750B1 (ko) 복사열 난방용 소금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온수관유지흡음패널
WO2011033324A1 (en) Thermo-frame element, and heat-radiating, radiant heat absorbing, air-heating and air-recooling bordering surfaces formed with this thermo-frame element
WO2017048023A1 (ko) 에너지절약형 냉온수 매트
KR102012484B1 (ko) 조립식 난방 패널
CN210164083U (zh) 一种多重复合墙体
KR101243596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찜질방 벽체구조
KR101983318B1 (ko) 온돌겸용 바닥재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879929B (zh) 一种太阳能系统
KR101331255B1 (ko) 퍼라이트 보드 난방 시스템
KR20160090151A (ko) 황토 난방 매트
KR20140132257A (ko) 건식온돌 시공구조 및 건식온돌 시공용 판넬
KR20070087979A (ko) 구들용 조립식 황토패널
RU123369U1 (ru) Многослойна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ая панель
KR102174495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난방 효율이 향상된 황토 온돌패널
KR101010964B1 (ko) 조립식 온돌구조 및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0177460Y1 (ko) 생소금 자생력 회복실 구조
KR200413481Y1 (ko) 다공성 격실 구조를 가진 배관 판넬 및 그 배관 판넬을적용한 패키지 온돌 시스템
KR101069615B1 (ko) 이동식 황토 집
JPH10196977A (ja) 床冷暖房装置
CN211925890U (zh) 远红外干式地暖模块
KR101312165B1 (ko) 황토석을 이용한 온열방 벽체
KR20150094126A (ko) 층간소음방지기능을 가지는 난방장치
JPH10300108A (ja) 壁冷暖房装置
CN104180534B (zh) 一种真空绝热板复合保温砌块及其制造方法
CN104180535B (zh) 一种真空绝热板复合保温砌块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