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96B1 -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96B1
KR102142996B1 KR1020200007058A KR20200007058A KR102142996B1 KR 102142996 B1 KR102142996 B1 KR 102142996B1 KR 1020200007058 A KR1020200007058 A KR 1020200007058A KR 20200007058 A KR20200007058 A KR 20200007058A KR 102142996 B1 KR102142996 B1 KR 10214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module
information
video
video content
compan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태
이준호
서효빈
Original Assignee
정기태
이준호
서효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태, 이준호, 서효빈 filed Critical 정기태
Priority to KR102020000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인, 구직 및 광고를 구현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개시하며,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등록자들의 동영상 컨텐츠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며, 상기 등록자가 설정한 카테고리들로 상기 등록자의 복수 개의 동영상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카테고리 기능을 갖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 및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업의 텍스트, 동영상 및 기업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등록자 자격을 갖는 상기 기업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텍스트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상기 기업에 의해 지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직자에 대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INTERNET SERVICE SYSTEM USING SHARING PLATFORM}
본 발명은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컨텐츠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인, 구직 및 광고를 구현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구인 구직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인터넷 상에 간단한 텍스트 위주의 단순 구인 광고를 노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인터넷 구인 구직 서비스는 구직자에게 구인을 원하는 기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제한적이며, 구인을 원하는 기업의 구인 광고를 위한 노출 회수를 인터넷 상에 증가시키는 경향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정이다.
그리고, 인터넷 구인 구직 서비스는 수 십만 건 이상의 구인 정보를 하나의 웹 사이트에 저장하며, 이를 제한적으로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구인 광고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다양한 형태의 공유 플랫폼이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발 및 상용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가 공유 플랫폼을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 등을 목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기업들은 상기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통하여 제품의 광고 등을 진행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를 공유하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의 하나로 유튜브가 예시될 수 있다.
상기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는 특정한 컨텐츠 예시적으로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라는 컨셉을 탈피하여 보다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성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 또는 구인 등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을 지원할 수 있고, 가공된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의 동영상 컨텐츠의 조회 및 감상을 위한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구인과 같이 동일한 주제의 동영상 컨텐츠를 기업 별로 통합 관리하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직자에게 구인을 목적으로 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썸네일 등의 형식으로 동영상 컨텐츠에 부가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푸시 영역을 포함하도록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할 수 있고, 푸시 영역의 푸시 내용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은, 복수의 등록자들의 동영상 컨텐츠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며, 상기 등록자가 설정한 카테고리들로 상기 등록자의 복수 개의 동영상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카테고리 기능을 갖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 및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업의 텍스트, 동영상 및 기업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등록자 자격을 갖는 상기 기업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텍스트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상기 기업에 의해 지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직자에 대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업이 광고 또는 구인 등의 목적을 위한 동영상 컨텐츠를 쉽게 가공하고 가공된 동영상 컨텐츠를 쉽게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인 또는 구직을 위한 기업 또는 구직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 기업에 대하여 동일한 주제의 동영상 컨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구직자에게 구인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를 통하여 기업에 관련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푸시 정보를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를 통하여 썸네일 등의 형식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서버의 상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서 동영상 컨텐츠의 검색을 위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카테고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
도 6은 기업에 대한 동영상 컨텐츠의 통합 관리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7은 동영상 컨텐츠의 푸시 영역을 설명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영상 공유 플랫폼(10) 및 서비스 서버(20)가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리고, 기업 단말(30)과 구직자 단말(32)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업 단말(30)과 구직자 단말(32)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기업의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기업 단말(30)이라 하고, 구직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구직자 단말(32)이라 한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복수의 등록자들의 동영상 컨텐츠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하고 검색 결과에 대응하여 카테고리 별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카테고리 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키워드 입력 또는 카테고리 구분 등을 이용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서 등록자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회원으로 가입된 개인 및 기업으로 이해할 수 있다. 등록자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동영상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고 등록한 동영상 컨텐츠의 소유자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는 등록자가 동영상 컨텐츠를 등록할 위치를 복수로 구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도 6의 경우, 카테고리는 "광고 영상", "채용 영상", "커뮤니티" 및 "정보"와 복수로 구분되며, 각 카테고리는 명칭에 부여된 것과 같이 주제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상용화된 유튜브(YouTube)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동영상 컨텐츠는 동영상과 텍스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포맷)로 가공된 컨텐츠로 이해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등록자가 자신이 업로드할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카테고리를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기업의 경우, 기업은 등록할 동영상 컨텐츠를 위한 카테고리 및 주제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은 "광고 영상", "채용 영상", "커뮤니티" 및 "정보"와 같은 복수의 카테고리를 설정할 수 있고, 카테고리 명칭은 주제를 대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기업은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 업로드할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웹 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구직자의 구직자 정보를 관리하고, 기업의 텍스트, 동영상 및 기업 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는 등록자 자격을 갖는 기업의 요청에 대응하여 텍스트와 동영상을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기업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한다. 상기한 등록자 자격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회원으로 가입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등록 즉 업로드할 수 있는 자격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서버(20)는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직자에 대하여 동영상 컨텐츠 또는 기업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서비스 서버(20)는 도 2와 같이, 서비스 관리 모듈(100),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 텍스트 관리 모듈(140), 영상 관리 모듈(160),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 업로드 관리 모듈(200) 및 푸시 관리 모듈(300)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2),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 영상 데이터베이스(106) 및 기업정보 데이터베이스(108)을 포함한다.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2)는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에 의해 관리되며 구직자의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고,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는 텍스트 관리 모듈(140)에 의해 관리되며 텍스트를 저장하며, 영상 데이터베이스(106)는 영상 관리 모듈(160)에 의해 관리되며 동영상을 저장하고, 기업정보 데이터베이스(108)는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에 의해 관리되며 기업의 기업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구직자 정보는 구직자의 신상 정보, 구직자의 연락 정보, 구직 희망 분야 및 업체 등의 구직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텍스트는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기 위하여 기업이 등록하는 텍스트 정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동영상은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기 위하여 기업이 등록하는 동영상 정보로 이해될 수 있고, 기업정보는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지정할 카테고리, 기업의 분야 및 기타 기업의 공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 텍스트 관리 모듈(140), 영상 관리 모듈(160),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 업로드 관리 모듈(200) 및 푸시 관리 모듈(300)과 인터페이스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인터넷을 통하여 접속한 구직자 또는 기업에게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써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며, 그리고,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웹 사이트는 인터넷 상에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웹 페이지들을 포함하는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다.
텍스트 관리 모듈(140)은 텍스트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1 툴을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제1 툴이 운영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툴은 텍스트 관리 모듈(140)과 서비스 관리 모듈(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며, 웹 사이트에 포함되는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에 구현되며 텍스트의 입력 또는 저장을 위한 기능과 저장된 텍스트의 리드-아웃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공지의 변수와 오브젝트 등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툴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한다.
제1 툴을 통하여, 텍스트 관리 모듈(140)은 입력된 텍스트를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하고,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 텍스트를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을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동영상 관리 모듈(160)은 동영상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2 툴을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제2 툴이 운영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툴은 동영상 관리 모듈(160)과 서비스 관리 모듈(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며, 웹 사이트에 포함되는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에 구현되며 동영상의 입력, 편집 또는 저장을 위한 기능과 저장된 동영상을 리드-아웃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공지의 변수와 오브젝트 등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2 툴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한다.
제2 툴을 통하여, 동영상 관리 모듈(160)은 입력된 동영상을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하고, 동영상 데이터베이스(106)에 저장된 동영상을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을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은 기업 정보의 입력 및 저장을 위한 제3 툴을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제3 툴이 운영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툴은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과 서비스 관리 모듈(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며, 웹 사이트에 포함되는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에 구현되며 기업 정보의 입력 또는 저장을 위한 기능과 저장된 기업 정보를 리드-아웃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공지의 변수와 오브젝트 등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3 툴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한다.
상기 제3 툴을 통하여,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은 입력된 기업 정보를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하고,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기업 정보에 포함된 카테고리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의 작용에 의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웹 사이트의 제3 툴을 통하여 기업 정보를 획득하며 업로드할 동영상 컨텐츠에 기업이 지정할 카테고리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이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 업로드를 위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기업의 동영상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동일한 주제를 포함하도록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때,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는 상기한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에서 제공되는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세팅될 수 있으며,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카테고리가 동일한 주제를 갖도록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세팅하거나 카테고리에 속한 일부 동영상 컨텐츠가 동일한 주제를 갖도록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세팅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상기한 동일한 주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주제 별로 통합 관리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광고 또는 구인에 관한 주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은 구직자 정보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4 툴을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제4 툴이 운영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도록 웹 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4 툴은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과 서비스 관리 모듈(100)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며, 웹 사이트에 포함되는 하나의 웹 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의 일부 영역에 구현되며 구직자 정보의 입력 또는 저장을 위한 기능과 저장된 구직자 정보를 리드-아웃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공지의 변수와 오브젝트 등의 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4 툴은 제작자에 의해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예시는 생략한다.
상기 제4 툴을 통하여,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은 입력된 구직자 정보를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하고,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요청에 대응하여 구직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의 작용에 의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구직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구직자의 구직자 정보를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로부터 수신하고, 구직자 정보를 이용하여 구직자에게 적합한 동영상 컨텐츠를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직자 정보는 구직 추천 여부를 확인하는 체크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직자는 자신의 구직자 정보에 포함된 체크 정보를 인에이블 시키거나 디스에이블 시킬 수 있다.
체크 정보가 인에이블된 구직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을 통한 체크 정보의 확인을 통하여 구직자의 구직자 정보에 대응하며 구인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의 동영상 컨텐츠들을 웹 사이트를 통하여 구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편, 업로드 관리 모듈(200)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로부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기업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사회 관계망 서비스에 의해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서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 중 홈 화면을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3의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기업 예시적으로 "AA기업"을 검색한 결과를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의 화면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환경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웹 환경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화면은 검색 영역(11) 및 동영상 컨텐츠 영역(12)으로 구분된다. 검색 영역(11)은 화면의 상부에 형성되며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창(13)과 검색 기능의 실행을 위한 오브젝트(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동영상 컨텐츠 영역(12)은 검색 영역(11)의 하부에 형성되고 다수의 동영상 컨텐츠(15)가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동영상 컨텐츠(15)는 동영상(16)과 텍스트(17)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4는 "AA기업"을 검색한 결과로서 "AA기업"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들(15)이 배열된 것을 예시한다.
도 4의 경우, 검색 영역(11)에 검색어인 "AA기업"이 표시되고, 이전 화면으로 복귀를 위한 오브젝트(18) 및 검색을 취소하기 위한 오브젝트(19)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의 화면에서, 입력창(13)에 키워드가 입력되고 검색 기능의 실행을 위한 오브젝트(14)가 클릭되면,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키워드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15)의 검색을 실행한 후 도 4와 같은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동영상(16)과 텍스트(17)가 분리된 영역에 위치하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동영상 컨텐츠(15)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동영상(16)과 텍스트(17)가 가로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표현되거나 도 7과 같이 동영상(16)과 텍스트(17)가 세로로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검색 결과로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가로로 분리 배치된 동영상(16)과 텍스트(17)를 포함하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표시할 수 있고, 동영상 컨텐츠(15)가 클릭되면 큰 사이즈로 동영상(16)을 표현하기 위하여 도 7과 같이 세로로 분리 배치된 동영상(16)과 텍스트(17)를 포함하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도 7의 동영상 컨텐츠(15)가 클릭되는 경우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가로로 분리 배치된 동영상(16)과 텍스트(17)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15)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기업들의 업종 별로 카테고리를 부여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기업의 동영상 컨텐츠(15)에 기업 정보를 참조하여 업종 별 카테고리를 부여하며, 해당 카테고리에 동영상 컨텐츠(15)가 위치하도록 업로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영상 컨텐츠(15)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된다. 그러므로, 구직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접속하는 경우,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등록된 동영상 컨텐츠(15)는 기업들의 업종 별로 구분된 카테고리 별로 도 5와 같이 조회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으로 기업들의 업종을 "채널 1" 내지 "채널 5"로 구분한 것으로 나타내며, 도 5에서 채널 1에 해당하는 동영상 컨텐츠(15)가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채널 1" 내지 "채널 5"는 카테고리 영역(CA1)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기업이 등록한 동영상 컨텐츠를 위한 카테고리 및 주제 별로 동영상 컨텐츠(15)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업로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업이 "광고 영상", "채용 영상", "커뮤니티" 및 "정보"와 같은 복수의 카테고리를 설정한 경우,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도 6과 같이 구분되는 카테고리 및 주제 별로 동영상 컨텐츠(15)를 업로드한다. "광고 영상", "채용 영상", "커뮤니티" 및 "정보"는 카테고리 영역(CA2)에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서 제3 툴 및 제4 툴을 포함하는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구직을 원하는 구인자와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와 구인을 원하는 기업은 웹 사이트의 제3 툴 및 제4 툴을 이용하여 구직자 데이터베이스(102)와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108)에 구인자 정보 및 기업 정보의 등록을 진행한다.
즉, 구인자 및 기업은 해당 단말(30, 32)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구직자 정보 및 기업 정보를 등록한다.
예시적으로, 웹 사이트를 통하여 구직자에게 예시적으로 기업들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입사 지원 양식을 위한 웹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구직자 정보는 구직자가 입사 지원 양식을 채움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상기한 입사 지원 양식은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120)에서 제공되는 제4 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구직 추천을 확인하는 체크 정보가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제공되며, 구직자는 체크 정보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웹 사이트를 통하여 기업에게 예시적으로 구인 공고 양식을 위한 웹 페이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기업 정보는 구인 공고 양식을 채움으로써 수집될 수 있다. 상기한 구인 공고 양식은 기업 정보 관리 모듈(180)에서 제공되는 제3 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웹 사이트를 통하여 텍스트(17) 및 동영상(16)을 등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웹 사이트를 통하여 텍스트 관리 모듈(140)에서 제공되는 텍스트(17)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1 툴을 제공하며, 제1 툴을 통하여 입력되는 텍스트(17)를 텍스트 관리 모듈(140)을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에 등록 즉 저장하거나 제1 툴을 이용하여 텍스트 관리 모듈(140)을 통하여 텍스트 데이터베이스(104)의 텍스트(17)를 읽고 편집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웹 사이트를 통하여 영상 관리 모듈(16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16)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2 툴을 제공하며, 제2 툴을 통하여 입력되는 동영상(16)을 영상 관리 모듈(160)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베이스(106)에 등록 즉 저장하거나 제2 툴을 이용하여 영상 관리 모듈(160)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베이스(106)의 동영상(16)을 읽고 편집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상기와 같이 등록된 텍스트(17)와 동영상(16)을 동영상 컨텐츠(15)로 가공하며, 동영상 컨텐츠(15)를 기업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는 것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업로드를 위한 기업 정보, 동영상 컨텐츠 및 카테고리 정보를 업로드 관리 모듈(200)에 제공한다.
동영상 컨텐츠(15)의 가공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동영상(16)과 컨텐츠(17)가 상관 관계를 갖도록 정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동영상(16)은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을 위한 내용을 포함하도록 제작된 것으로 예시될 수 있고, 텍스트(17)는 동영상의 주제, 내용의 설명, 해시 태그 또는 하이퍼링크를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업로드 관리 모듈(200)은 업로드를 위한 기업 정보, 동영상 컨텐츠(15) 및 카테고리 정보를 서비스 관리 모듈(120)에서 수신하고, 기업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등록자 지위로 접근하며, 동영상 컨텐츠(15)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의 기업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업로드한다.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업로드 관리 모듈(20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컨텐츠(15)를 지정된 카테고리에 위치하도록 등록하며, 텍스트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될 수 있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도 3 및 도 4와 같은 화면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15)가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등록되면,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은 등록된 동영상 컨텐츠(15)에 대한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구직을 원하는 구직자가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을 이용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기업의 홍보 또는 구인 용도로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를 조회 및 감상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15)의 텍스트(17)는 기업 정보의 상세 보기, 광고 내용의 상세 보기 또는 구인 상세 보기를 위한 연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직자는 텍스트(17)의 연결 정보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상세 보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상세 보기의 제공을 위한 웹 페이지는 기업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 등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 정보는 해당 상세 보기를 위한 웹 페이지로 연결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구인을 원하는 구직자는 검색 기능을 통하여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등록된 특정 기업의 다양한 동영상을 조회 및 감상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직자는 특정 기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구직자가 해당 기업에 대한 구직을 위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 텍스트의 상세 보기를 위한 연결 정보를 클릭함으로써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의 특정 웹 페이지를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기업이 광고 또는 구인 등의 목적을 위한 동영상 컨텐츠를 쉽게 가공하고 가공된 동영상 컨텐츠를 쉽게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직자에게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 등의 목적을 위한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직자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통하여 구직을 원하는 기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텍스트 관리 모듈(14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툴과 영상 관리 모듈(160)에 의해 제공되는 제2 툴을 포함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를 통하여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텍스트와 동영상을 수정할 수 있으며, 텍스트와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편집된 동영상 컨텐츠는 기업에 의해 지정된 카테고리에 재 업로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 등록된 동영상 컨텐츠를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서 제공되는 웹 사이트를 통하여 삭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업로드 관리 모듈(200)에 특정 동영상 컨텐츠의 삭제를 제어하고, 업로드 관리 모듈(200)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 의해 지정된 동영상 컨텐츠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10)에서 삭제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푸시 관리 모듈(300)을 더 포함한다. 푸시 관리 모듈(300)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15)에 삽입되는 푸시 영역(PA)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푸시 관리 모듈(300)은 동영상 컨텐츠(15)의 텍스트(17)의 적어도 일부 및 동영상(16)의 적어도 일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푸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푸시 영역(PA)을 동영상 컨텐츠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푸시 관리 모듈(300)은 동영상 컨텐츠(15)의 텍스트(17)의 내부 또는 중첩된 위치 또는 동영상(16)의 내부 또는 중첩된 위치에 썸 네일 등의 형식으로 푸시 영역(PA)를 삽입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푸시 관리 모듈(300)에 의해 삽입되는 푸시 영역(PA)을 포함하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가공한다.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푸시 관리 모듈(300)에 의해 삽입된 푸시 영역(PA)에 표시할 푸시 정보를 입력할 것을 웹 사이트를 통하여 기업에 요청할 수 있으며, 기업이 푸시 정보를 입력하면 푸시 정보를 표시하는 푸시 영역(PA)을 갖도록 동영상 컨텐츠(15)를 가공한다.
푸시 관리 모듈(300)은 푸시 영역(PA)을 표현하기 위한 옵션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옵션에 따라 푸시 영역(PA)이 구성되는 위치와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푸시 영역(PA)이 텍스트(17)의 말미에 위치하는 하이퍼링크 텍스트로 설정되거나 도 7과 같이 동영상(16)에 중첩되는 썸 네일로 설정되는 것이 옵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옵션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에서 기업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기업은 푸시 영역(PA)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고 다양한 정보를 푸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다. 푸시 정보는 기업에 관련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업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웹 사이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푸시 영역(PA)에 표시되는 푸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웹 사이트를 통하여 푸시 정보가 변경되면,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동영상 컨텐츠(15)에 대한 푸시 정보의 변경 요청에 대응하여 업로드 관리 모듈(200)을 제어한다. 업로드 관리 모듈(200)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로부터 전달된 동영상 컨텐츠(15)의 푸시 정보를 재 업로드할 수 있다.
이 경우, 푸시 영역(PA)에 표시되는 푸시 정보만 재 업로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서비스 관리 모듈(100)은 웹 페이지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15)에 대한 푸시 정보의 변경 요청이 있으면, 변경된 푸시 정보를 반영한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고, 푸시 정보를 변경한 동영상 컨텐츠(15)를 재 업로드하도록 업로드 관리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업로드 관리 모듈(200)은 서비스 관리 모듈(100)의 제어에 의하여 푸시 정보를 변경한 동영상 컨텐츠(15)를 재업로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를 통하여 기업에 관련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푸시 정보를 업로드된 동영상 컨텐츠를 통하여 썸네일 등의 형식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다양하고 최신의 정보를 구직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복수의 등록자들의 동영상 컨텐츠들을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하며, 상기 등록자가 설정한 카테고리들로 상기 등록자의 복수 개의 동영상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카테고리 기능을 갖는 동영상 공유 플랫폼; 및
    인터넷을 통하여 웹 사이트를 제공하고,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기업의 텍스트, 동영상 및 기업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기업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텍스트와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로 가공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상기 기업에 의해 지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업로드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웹 사이트에 접속한 구직자에 대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 또는 상기 기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웹 사이트를 제공하며,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과 업로드를 제어하는 서비스 관리 모듈;
    상기 텍스트를 저장하는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상기 텍스트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1 툴을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의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며, 상기 제1 툴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텍스트를 상기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텍스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을 위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로 제공하는 텍스트 관리 모듈;
    상기 동영상을 저장하는 동영상 데이터베이스;
    상기 동영상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2 툴을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의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며, 상기 제2 툴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동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가공을 위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로 제공하는 동영상 관리 모듈; 및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의 상기 기업에 의해 지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업로드하는 업로드 관리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기업 정보를 저장하는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기업 정보의 입력 및 저장을 위한 제3 툴을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의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며, 상기 제3 툴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기업 정보를 상기 기업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를 위한 상기 기업 정보에 포함된 상기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기업 정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할 상기 기업의 상기 카테고리를 지정받고, 지정된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업로드 관리 모듈에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기업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동일한 주제를 포함하도록 상기 카테고리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키고, 동일한 주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광고 또는 구인에 관한 상기 주제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며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구직자의 구직자 정보를 저장하는 구직자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구직자 정보의 편집 및 저장을 위한 제4 툴을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의 상기 웹 사이트 상에 제공하며, 상기 제4 툴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구직자 정보를 상기 구직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구직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구직자 정보를 상기 구직자의 상기 인터넷을 통한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로 제공하는 구직자 정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구직자의 상기 웹 사이트 접속에 대응하여 상기 구직자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직자 정보는 구직 추천을 확인하는 체크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체크 정보가 활성화된 상기 구직자의 상기 웹 사이트 접속에 대응하여 구인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 카테고리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푸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푸시 영역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삽입하는 푸시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푸시 관리 모듈에 의해 삽입되는 푸시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웹 사이트를 통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푸시 정보의 변경 요청이 있으면, 상기 업로드 관리 모듈을 통하여 업로드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푸시 정보를 재 업로드하도록 제어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 모듈은 상기 웹 사이트를 이용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푸시 정보의 변경 요청이 있으면, 변경된 상기 푸시 정보를 반영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가공하고, 상기 푸시 정보를 변경한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 업로드하도록 상기 업로드 관리 모듈를 제어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정보는 상기 기업에 관련된 이벤트를 알리기 위한 문자 또는 이미지, 상기 기업의 광고 또는 구인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07058A 2020-01-20 2020-01-20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KR10214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058A KR102142996B1 (ko) 2020-01-20 2020-01-20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058A KR102142996B1 (ko) 2020-01-20 2020-01-20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996B1 true KR102142996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058A KR102142996B1 (ko) 2020-01-20 2020-01-20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09B1 (ko) * 2018-08-16 2019-11-11 김성훈 채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채용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409B1 (ko) * 2018-08-16 2019-11-11 김성훈 채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채용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7362B1 (ko) 2021-02-04 2021-06-21 주식회사 서경산업 웹 기반의 시설물 관리 공유 시스템
KR102587833B1 (ko) * 2022-08-01 2023-10-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방향 구인구직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KR102597539B1 (ko) * 2022-08-01 2023-11-0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학연 연계 매칭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71937B2 (en) Internet search results annotation, filtering, and advertising with respect to search term elements
US9665642B2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digital content related to a block of text, such as a blog entry
US94008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on-line community
KR1011687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아이피 기반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맞춤, 지능형 심볼, 아이콘 인터넷 정보 검색시스템
US6999962B2 (en) Shared document repository with coupled recommender system
CN105190684B (zh) 基于社交推荐的内容呈现
KR102142996B1 (ko) 공유 플랫폼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
US107136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US20080235339A1 (en) Subject matter resource website
KR20170091142A (ko) 웹 콘텐츠 태깅 및 필터링
US20140143241A1 (en) Internet news platform and related social network
US7899808B2 (en) Text enhancement mechanism
US200900221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on network
US20140143835A1 (en) Web-Based Digital Publishing Platform
CN110799971A (zh) 媒体内容的生成和呈现
US20160042080A1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for Searching and Sharing User Accessed Content
WO2020041374A1 (en) Geographic location based feed
CN110235121B (zh) 用于增强型在线调研的系统和方法
JP6637174B2 (ja) スマート端末を用いる数字列基盤のリアルタイム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方法
KR20160069402A (ko) 이용자 반응형 웹페이지 제공 방법
KR101019496B1 (ko) Ucc동영상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JPWO2005006191A1 (ja) 複数種類の情報を登録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200029217A (ko) 인터넷 커뮤니티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7148A (ko) 인터넷상의 정보 처리방법
US20130167006A1 (en) Wiki-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relationships between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