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974B1 -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 Google Patents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974B1
KR102142974B1 KR1020180124252A KR20180124252A KR102142974B1 KR 102142974 B1 KR102142974 B1 KR 102142974B1 KR 1020180124252 A KR1020180124252 A KR 1020180124252A KR 20180124252 A KR20180124252 A KR 20180124252A KR 102142974 B1 KR102142974 B1 KR 10214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lug
integrated
iot device
accessory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2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6176A (en
Inventor
문성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엔에프텍
Priority to KR102018012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97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6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9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서 사용할 각종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에 장착하고, 스마트기기로 제어하게 하여,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각 개인별 사용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여 상대적 평가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책상에 구멍을 내어 레일 콘센트(310)를 설치하고, 전기전자 기기를 IOT 기기로 구성한 악세사리 플러그(340) 및 스마트기기(360)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기 위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를 탈착 가능하게 레일 콘센트(310)에 장착하고, 착석여부를 감지하게 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책상에 구축하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서 착석 여부에 따라 판정한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desk use environment by mounting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on the desk to a rail outlet installed on the desk and controlling them with a smart device, and for installing a desk that remotely monitors and evaluates each individual use state Regarding the Io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a rail outlet 310 is installed by making a hole in the desk, and the accessory plug 340 is controlled with an accessory plug 340 and a smart device 360 configured as an IOT device. The main plug 320 accommodating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s mounted on the rail outlet 310 so as to be detachable, and a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system 300 that detects seating or not is built on the desk, and integrated monitoring The server 100 generate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study tim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o be seat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Description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desk mounting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본 발명은 책상에서 사용할 각종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에 장착하고, 스마트기기로 제어하게 하여,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하며, 각 개인별 사용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여 상대적 평가하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ersonalized desk use environment by mounting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on the desk to a rail outlet installed on the desk and controlling them with a smart device, and for installing a desk that remotely monitors and evaluates each individual use state It relates to an Io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책상에서 사용하는 전기전자 기기는 조명기구 이외에도 최근 스마트기기와 관련된 미러링 모니터, 블루투스 스피커, 충전 거치대 등으로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멀티기기 또는 인터넷을 통해 학습하여야 할 시간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이를 위한 전기전자 기기를 책상에서 간편하게 사용하게 하여, 학습 효율를 높이는 것이 좋다.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used in desks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in addition to lighting devices, such as mirroring monitors, Bluetooth speakers, and charging cradles related to smart devices. In recent years, since the time to learn through multi-devices or the Internet is increasing,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learning efficiency by simply using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for this purpose at a desk.

이러한 전기전자 기기는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그동안은 멀티콘센트를 사용하여 왔으나, 여러 전기전자 기기에 연결된 코드선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게 되어서 사용상 불편하고 코드선 정리도 어려웠다.Since su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use electricity, multi-outlets have been used in the meantime, but cord lines connected to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are complicatedly entangled, making it inconvenient to use and difficult to organize cord lines.

이에, 등록특허 제10-1264062호는 인터넷 접속 및 전원 연결이 간편한 IP 분배용 자동 제어 멀티탭을 책상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고, 공개특허 제10-2007-0054812호는 책상에서의 개인 시간을 관리하는 개인 시간 관리 시스템을 책상에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Accordingly, Registration Patent No. 10-1264062 allows the use of an automatic control power strip for IP distribution, which is easy to access the Internet and connects to power, on a desk, and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4812 is an individual who manages personal time at the desk. It was possible to build a time management system on the desk.

하지만, 사용 개수가 많아진 전기전자 기기를 책사에 비치하는 것은 책상 사용을 번거롭게 하고, 책상 위의 정리정돈을 어렵게 한다.However, hav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with increased number of uses in the bookshelf makes desk use cumbersome and makes it difficult to organize on the desk.

또한, 단순히 시간 관리하여 계획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넘어, 추세를 따를 방식으로 학습하여야만 실력 향상을 위한 학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효율적 학습을 지원할 수 없다.In addition, learning to improve skill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only by learning in a manner that follows a trend, beyond simply allowing time management to perform planned learning, but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cannot support such efficient learning.

KR 10-2007-0054812 A 2007.05.30.KR 10-2007-0054812 A 2007.05.30. KR 10-1264062 B1 2013.05.07.KR 10-1264062 B1 2013.05.0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위에서 사용할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기기를 정리정돈할 필요없이 개인 맞춤형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전자 기기를 이용한 개인별 학습 방식을 비교 평가하는 서비스의 제공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for personal customization without the need to organize various types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on a desk, and to provide a service for comparing and evaluating individual learning methods using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hereby improving learning effects. It is to provide an integrated IoT monitoring system for desk mounting that can be increa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허용하고 인터넷망(2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 및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여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책상에 조성한 구멍에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따라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하고, 착석 여부에 따른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한 책상 이용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복수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별로 기록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 시간과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를 연계시킨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어, 스마트기기(360)가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 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grated IOT device 330 that allows access to the smart device 36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s to the Internet network 200 in the IoT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desk installation. A main plug 320 accommodated therein; And an accessory plug 340 configured and installed as an IOT device so that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at the desk are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 hole formed in the desk. A proximity sensor 350 that detects whether a human body is seated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by detachably mounted on the rail outlet 310 to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tegrated IOT The device 3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of the accessory plug 340 according to a command or setting of the smart device 360, and includes study ti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seat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A plurality of personalized IoT systems 300 for recording and managing usage information; And the personal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300 collects the desk usage information recorded and managed, and generate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linking study time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so that it can be viewed when the smart device 360 is connected. An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착석 시작 및 착석 종료 시에 각각 스마트기기(360)에게 확인 요청하고, 공부하기 위한 착석임을 알려올 시에 공부 시간으로 산정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에 따라 공부하기 위한 착석 여부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알린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requests confi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360 at the start and end of seating, respectively, and calculates the study time when notifying that the seat is for study, and the The smart device 360 notifies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of whether or not to be seated for study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ques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활용도의 통계를 내어, 활용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얻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generates statistics of utilization including the type and usage time of the accessory plug 340 used during the study time, and obtain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utilization.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의자(303)의 착석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게 하여, 의자(303)에 착석한 인체의 윗다리 출현을 감지함으로써 착석 상태를 감지하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01, and detects an object appearing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ating portion of the chair 303, so that the chair 303 ) By detecting the appearance of the upper leg of the human body seated in the body to detect the seated stat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상판 저면에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설치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350 ar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01 at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삽입하는 장공(311)의 입구의 반대측도 개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고, 상하를 개구한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상호 마주하는 돌출부(312)를 조성하고, 양측 돌출부(312)의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하여 전극(313)을 설치한 것으로서, 책상의 상판에 구멍을 내어 삽입 고정하게 하고,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상단이 상기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도록 각각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며 장공(311)에 삽입되게 하고, 회동시에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22a) 및 돌출부(312)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출편(322b)을 구비한 락스위치(322)를 손으로 회전시켜서 레일 콘센트(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게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outlet 310 also opens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long hole 311 into which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are inserted, so that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 The lower structure of the 340 can be made to hang below the lower opening, and the protrusions 312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long hole 311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the length on the facing surfaces of the protrusions 312 on both sides The electrode 313 is installed by forming a groove in the direction, and a hole is made i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to be inserted and fixed, and the upper end of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is the upper end of the rail outlet 310 A protruding piece 322b that span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12 and is inserted into the elongated hole 311 so as to match the heigh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erminal 322a and the protrusion 312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313 at the time of rotation. ) To be fix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il outlet 310 by rotating the lock switch 322 by han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전기전자 기기를 IOT 기기화하여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로 구성하고, 책상에 설치한 레일 콘센트(310)에 삽입하여 일렬로 정렬함으로써, 정리정돈할 필요가 었고, 개인 맞춤형 학습 환경을 스마트기기로 간편하게 조성할 수 있으며, 개인별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에 따라 얻는 상대적 평가 결과에 따라 현 추세를 따른 학습 방식으로 학습할 수 있게도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as an accessory plug 340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rail outlet 310 by converting various kinds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into IOT devices, and inserted into the rail outlet 310 installed on the desk to By sorting, it was necessary to organize and organiz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with smart devices, and learn in a learning method that follows the current trend according to the relative evaluation results obtain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tudy time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You can also do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의 설치 상태도.
도 3은 도 2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책상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장한 메인 플러그(320) 및 전기전자 기기(34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에 고정한 상태의 락스위치(322) 부위 단면도.
도 6은 레일 콘센트(3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절반부와 메인 플러그(320)의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a) 및 락스위치(322)를 회동시키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확대도(b, c)
도 7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의 전기 신호적 블록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IoT monitoring system for a desk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system 300.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talling 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of FIG. 2 on a desk.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lug 320 incorporating an integrated IOT device 330 and an accessory plug 340 in which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is installed.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 switch 322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lug 320 is fixed to the rail outlet 310.
6 is a view (a) showing the cut-out state of the rail outlet 310 and the main plug 320 by vertically cutting the rail outlet 3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fore and after rotating the lock switch 322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state of (b, c)
7 is an electrical signal block diagram of 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grated IoT monitoring system for a desk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인별로 사용하는 책상에 설치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인터넷망(200)을 통해 각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integrated IoT monitoring system for desk installation is connected to each personalized IoT system 300 through a personalized IoT system 300 installed on a desk used for each individual and an Internet network 200. It includes an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책상에서의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하는 책상 이용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 관리하고,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한다.As described later, each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system 300 acquires, records and manages desk use information including study time at the desk and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

그리고,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서 전송하는 개인별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취합부(110), 취합한 개인별 책상 이용 정보에 따라 통계를 내는 통계부(120), 및 통계에 따라 개인별로 제공할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는 평가부(130)를 구비하며, 인터넷망(200)을 통해 접속한 스마트기기(360)에서 통계 자료 및 개인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조회할 수 있게 한 서비스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includes a collection unit 110 that collects and stores personal desk us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each personalized IoT system 300, and a statistics unit that generates statistics according to the collected personal desk use information. (120), and an evaluation unit 130 that generate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to be provided for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statistics, and inquires statistical data and relative evaluation results for each individual from the smart device 360 access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Provide the service that makes it possible.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공부 시간을 비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e-러닝(전자 학습 또는 전자 교육) 또는 인터넷 강의 등의 활성화에 따라 다양한 전기전자 기기를 이용한 학습 환경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전기전자 기기를 활용도도 비교하여, 개인별 학습 방식에 대해 개선 방향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lity that a learning environment using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activation of e-learning (e-learning or e-learning) or internet lecture recently, as well as comparing individual study time, By comparing the utilization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also possible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individual learning methods.

먼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에 대해 설명하고,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First, 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will be described, and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 내지 도 7은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이다.2 to 7 are diagrams attached to explain 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도 2에 도시한 설치 상태도와 도 3에 도시한 설치 과정의 도면을 참조하면,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책상(301)의 상판에 길게 구멍(302)을 뚫고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구성되어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는 메인 플러그(320)와, 메인 플러그(320)와 동일한 방식으로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하되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레일 콘센트(310) 위로 돌출되어 있도록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와, 인체의 의자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착석 신호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와,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3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diagram shown in FIG. 2 and the diagram of the installation process shown in FIG. 3, 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drills a long hole 302 i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01 and inserts and installs the rail outlet 310 ), and the main plug 320 configured in a state in which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s accommodated therein so as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rail outlet 310, and the rail outlet 310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plug 320 ), the accessory plug 340, which is inserted and mounted so that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at the desk protrude above the rail outlet 310,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 and a smart device 360 that can connect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여기서, 메인 플러그(320)에게만 단독으로 옥내 전기 배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체 시스템이 동작한다.Here, only the main plug 320 receives electricity from the indoor electric wiring and the entire system operates.

그리고, 메인 플러그(320)에 수용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인터넷 통신하여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인터넷망(200)에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ccommodated in the main plug 32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00 to access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스마트기기(360)는 IOT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공지의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패드로서,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인터넷망(200)을 통한 원거리 통신으로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접속한 후, 메인 플러그(320)에 구비된 제어대상 및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장착한 제어대상(즉, 전기전자 기기)에 대해 지령 또는 환경 설정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접속하에 제공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The smart device 360 is a known smart phone or smart pad installed with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nd after accessing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It enables command or environment setting for a control target provided in the main plug 320 and a control target (ie,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mounted on each accessory plug 340, and access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It is supposed to be able to receive the services provided under.

레일 콘센트(310),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한다.Structures of the rail outlet 310,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will be described.

도 4는 메인 플러그(31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lug 310 and the accessory plug 340.

여기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장착한 전기전자 기기(343)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기구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미러링 모니터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블루투스 스피커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및 충전 거치대를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 등이 있고, 탁상용 가습기, 공기청정기, 선풍기 등을 IOT 기기로 구성하여 장착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Here, the accessory plug 340 may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stalle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For example, lighting fixtures configured as IOT devices, mirroring monitors configured as IOT devices, Bluetooth speakers configured as IOT devices, and charging cradles configured as IOT devices. There are one, etc., and a table-top humidifier, an air purifier, a fan, etc. may be used as an IOT device.

도 5는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락스위치(322)가 설치된 부위를 폭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vertically cut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a portion where the lock switch 322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plug 320 is fixedly installed to the rail outlet 310.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단면도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악세사리 플러그(340)도 락스위치(342)를 구비하여서, 레일 콘센트(310)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Although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accessory plug 340 is not shown, the accessory plug 340 may also be provided with a lock switch 342 so that it is not separated from the rail outlet 310.

도 6은 레일 콘센트(3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절개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일측 폭방향 절반부와 메인 플러그(320)의 절개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a) 및 락스위치(322)를 회동시키기 전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b, c)이다. 6 is a view (a) showing a cut-out state of the rail outlet 310 and the main plug 320 and a half portion of the rail outlet 310 in the width direction by vertically cutting the rail outlet 310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a lock switch 322 It is a partial enlarged view (b, c) showing the state before and after rota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조명기구를 설치하기 위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통상적인 조명용 레일 콘센트처럼 장방형의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폭이 좁은 장공(311)을 형성하고, 돌출부(312)를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길게 조성하며, 양측 돌출부(312)의 상호 마주하는 면에 각각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한 후 전극(313)을 홈을 따라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돌출부(312)는 전기 절연을 위한 절연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5 and 6, the rail outlet 310 has a long hole 311 having a narrow width along the length direction in a rectangular body like a conventional rail outlet for lighting fixed to a ceiling or wall to install a lighting device. And forming the protrusions 312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long hole 311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mutually facing surfaces of the protrusions 312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312, It ha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ccording to. Here, the protrusion 312 is generally formed of an insulator for electrical insulation.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통상적인 조명용 레일 콘센트와는 다르게, 책상의 상판에 길게 구멍을 뚫은 후 그 구멍에 삽입 고정하게 하고, 돌출부(312)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상부 구조를 걸쳐 고정하게 하고, 장공(311)의 하부도 개방하여서,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각종 전기 전자 부속품을 수용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하부로 긴 형태를 갖게 되더라도 설치 가능하게 한다.However, the rail outlet 3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ail outlet for lighting, after a long hole is made in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n inserted into the hole, and the protrusion 312 is used to fix the above. The upper structure of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is fixed over and the lower part of the long hole 311 is also opened, so that the lower structure of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is lowered below the lower opening. By being able to hang,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are configured to accommodate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accessories, so that they can be installed even if they have an elongated shape at the bottom.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 설치하는 메인 플러그(320)를 통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전극(313)에 전기를 투입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 연결구조를 레일 콘센트(310)에 구비되어 있지 아니한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lectrode 313 of the rail outlet 310 through the main plug 320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as described below, A separate wire connection structure is not provided in the rail outlet 310.

다른 한편으로서, 통상적으로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는 단상 2선식 220V 전기를 사용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극(313)이 필요하지만, 접지를 위해서 양측 돌출부(312)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 돌출부(312)에 전극을 추가하여 접지극으로 사용하고, 후술하는 락스위치(322, 342)에도 접지극에 접촉시킬 접지단자를 추가하는 것도 좋다. On the other hand, sinc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in a desk generally use single-phase, two-wire 220V electricity, two electrodes 313 are required, but at least one of the two protrusions 312 is required for grounding. ) Is used as a ground electrode, and a ground terminal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electrode may also be added to the lock switches 322 and 34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메인 플러그(320)는 단턱(321a)에 의해서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고 단턱(321a)의 아래 부위는 양측 돌출부(3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는 두께의 케이스(321)를 갖추어서, 상부를 걸쳐지게 하며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할 수 있되,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위로 돌출되는 부위를 가능하면 적게 하거나 아니면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게 한다. The main plug 320 is provided with a case 321 having a thickness that can pass between the protrusions 312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12 by the stepped step 321a. , It can be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1 of the rail outlet 310 while straddling the top, but the protruding portion above the top of the rail outlet 310 is as small as possible, or it is adjusted to the top height of the rail outlet 310 do.

이러한 케이스(21)의 상면에는 락스위치(322), 콘센트(323), USB 단자(324), NFC(332), 조도 센서(333), 무선 충전기(334) 및 오토 스위치(335)가 설치되어 있다.A lock switch 322, an outlet 323, a USB terminal 324, an NFC 332, an illuminance sensor 333, a wireless charger 334, and an auto switch 335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1. have.

케이스(321) 내부에는 콘센트(323) 및 USB 단자(324) 용도의 전원부(323a, 324a)와, NFC(332), 조도 센서(333), 무선 충전기(334) 및 오토 스위치(335)가 연결되고 통신모듈(336)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 및 근접 센서(350) 전원 용도의 전원부(331)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메인 플러그(320)는 케이스(321) 내에 여러 구성요소를 수용함에 따라 그 크기를 충분히 키워야 하고, 책상(301)에 설치함에 있어 레일 콘센트(310) 위로 돌출되지 아니하게 하기 위해서, 레일 콘센트(310)의 아래로 늘어뜨리는 형태로 장착하게 한다.Inside the case 321, the power supply units 323a and 324a for use with an outlet 323 and a USB terminal 324, NFC 332, an illuminance sensor 333, a wireless charger 334, and an auto switch 335 are connecte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and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re mounted,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nd the proximity sensor 350 receive a power supply unit 331 for power supply.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lug 320 must be sufficiently increased in size as it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in the case 321, and in order not to protrude above the rail outlet 310 when installed on the desk 301, the rail outlet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hanging down the 310.

그리고, 케이스(321)의 하단측에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전원 콘센트(325)를 구비한다. 또한, 인터넷망(200)을 통한 인터넷 접속을 위한 통신모듈(336)의 단자가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구비하되, 케이스(321)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하여서, 사물 인터넷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Further, a power outlet 325 for receiving electricity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321. In addition, a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for Internet access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is provided 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but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321, so that the IoT function can be performed. do.

또한, 케이스(321)의 하단측에는 근접 센서(350)에 전기 공급하고 근접 센서(350)의 센싱 신호를 전달받기 위한 근접 센서 연결부(338)를 구비한다. 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connection part 338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proximity sensor 350 and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proximity sensor 35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ase 321.

상기 락스위치(322)는 케이스(321) 상면에 노출되는 손잡이를 잡고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고, 케이스(321) 내부로 길게 이어진 부위에는 회동시에 양측 전극(313)에 일대일로 접촉되는 2개의 단자(322a) 및 양측 돌출부(312)의 저면에 일대일로 밀착되는 2개의 돌출편(322b)을 구비한다. 물론, 단자(322a) 및 돌출편(322b)이 케이스(321)의 측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321)의 양측 면에 각각 단자(322a) 및 돌출편(322b)의 위치에 맞게 구멍(321b, 321c)이 조성되어 있다.The lock switch 322 is capable of holding and rotating the handl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21, and two terminals that are in one-to-one contact with the electrodes 313 at both sides when rotating are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case 321 (322a) and two protruding pieces (322b) whic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s of both protrusions 312 in a one-to-one manner. Of course, holes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322a and the protruding pieces 322b,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case 321 so that the terminals 322a and the protruding pieces 322b penetrate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321 and protrude to the outside. (321b, 321c) is formed.

이와 같이 락스위치(322)를 구비함으로써, 단자(22a) 및 돌출편(322b)이 케이스(321)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메인 플러그(320)를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탈할 수 있고(도 6a, 도 6b), 메인 플러그(320)를 장공(3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락스위치(322)를 회동시켜서, 단자(322a)를 전극(313)에 전기적으로 연결함과 동시에 돌출편(322b)이 돌출부(312)에 걸려 빠지지 아니하게 할 수 있다(도 5, 도 6c).By providing the lock switch 322 in this way, the main plug 320 can be inserted and removed in the long hole 311 of the rail outlet 310 with the terminal 22a and the protruding piece 322b entering the case 321. 6a, 6b), by manually rotating the lock switch 322 with the main plug 320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1, the terminal 322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313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truding piece 322b from being caught by the protruding portion 312 (FIGS. 5 and 6C).

물론, 메일 플러그(320)를 돌출부(312)에 걸쳐지게 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하였을 시에, 락스위치(322)에 조성할 단자(322a) 및 단자(322a)를 통과시킬 케이스(321) 구멍(321b)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와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조성하고, 락스위치(322)에 조성할 돌출편(322b) 및 돌출편(322b)을 통과시킬 케이스(321) 구멍(321c)이 레일 콘센트(310)의 돌출부(312) 저면 높이에서 시작하여 아래로 이어진 형태로 조성하여야 한다. Of course, when the male plug 320 is spanned over the protrusion 312 and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1 of the rail outlet 310, the terminal 322a and the terminal 322a to be formed in the lock switch 322 are The case 321 to be passed through the hole 321b is formed to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electrode 313 of the rail outlet 310, and pass through the protruding piece 322b and the protruding piece 322b to be formed in the lock switch 322 The hole 321c of the case 321 to be made should be formed in a shape that starts from the height of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12 of the rail outlet 310 and continues downward.

한편, 내부 결선에 필요에 전선, 통신선 등은 케이스(321) 내의 구성요소를 잘 보여주기 위해 도면에 도시한 점을 유의하며 살펴 봐야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necessary for internal wiring, wires, communication lines, and the like should be looked at with note of the points show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show the components in the case 321 well.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343)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되, 메인 플러그(320)와 마찬가지로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하여서, 삽입 장착할 상태에서 레일 콘센트(3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게 한다.Referring to FIG. 4B, the accessory plug 340 is an IOT device to control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to be used at a desk by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However, it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in the long hole 311 of the rail outlet 310, similar to the main plug 320, so that electricity is supplied from the rail outlet 310 in a state to be inserted and mounted.

이를 위해서, 상기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돌출부(312)에 걸쳐지는 단턱(341a)을 구비하여 레일 콘센트(310)의 장공(311)에 삽입 장착할 수 있게 하고, 전극(313)과 마주하는 구멍(341b) 및 돌출부(312)의 저면 높이를 상단 높이로 하는 구멍(341c)을 양 측면에 각각 조성한 케이스(341)와, 케이스(341)의 상면 일측에 손잡이를 갖추되 회전시킬 시에 구멍(341b)을 통과하며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42a) 및 구멍(341c)을 통과하며 돌출부(312)의 저면에 접촉되는 돌출편(342b)이 조성된 락스위치(342)와, 케이스(341)의 상면에 돌출되게 장착한 전기전자 기기(343)와, 케이스(341) 내부에 수용되는 하기의 IOT 디바이스(344) 및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accessory plug 340 has a step 341a that spans the protrusion 312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mounted in the long hole 311 of the rail outlet 310, and the hole facing the electrode 313 The case 341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le 341c with the bottom height of the 341b and the protrusion 312 as the top height, and a handl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p surface of the case 341. A lock switch 342 having a terminal 342a that passes through 341b and contacts the electrode 313 and a protruding piece 342b that passes through the hole 341c and contacts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312, and the case (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protruding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341, the following IOT device 344 and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5 accommodated in the case 341 are included.

이러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예시적으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책상(301)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의 형상, 크기, 사용 방식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케이스(341)의 형태를 갖추게 제작하면 된다.When the accessory plug 340 is manufactured to have an appropriate shape of the case 341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size, and usag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o be used in the desk 301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for example, do.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10)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시킨 복수 개로 설치된다. 물론, 책상(310) 상판의 폭방향은 의자(303)가 아래로 들어오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proximity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10, and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course, the width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10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ir 303 enters downwar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의자(303)에 착석하여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하는 인체를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근접 센서(350)를 구비하되, 책상(310)의 상판 저면에 구비하므로, 의자(303)의 착석 부위(또는 착석 면, 좌판)보다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는 감도(즉, 검출 거리)를 갖게 한다. 즉, 책상(310) 저면에 출현하는 물체를 감지할 시에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되, 의자(303)의 착석 부위 높이까지는 물체가 출현하더라도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아니하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or 350 is provided in order to detect a human body taking a study or learning posture while seated on the chair 303, but since i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10, the chair 303 ) To detect an object appearing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eating area (or seating surface, seat plate). That is, a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when an object appearing on the bottom of the desk 310 is detected, but the detection signal is not generated even if the object appears up to the height of the seated portion of the chair 303.

이에, 의자(303)에 착석한 사용자가 의자(303)를 책상(310) 상판 아래로 약간 들이밀며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할 시에, 사용자의 윗다리(또는 대퇴부)의 출현을 상기 근접 센서(350)로 감지한다. 물론, 착석하지 아니한 의자(303)의 착석 부위를 책상(310) 상판 아래로 가 있게 하면, 감도에 의해서 인체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지 아니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seated in the chair 303 slightly pushes the chair 303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10 and takes a study or learning posture, the appearance of the user's upper leg (or thigh) is indicated by the proximity sensor 350 ). Of course, if the seated portion of the chair 303 that is not seated is placed under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10, a human body detection signal is not generated by sensitivity.

또한, 복수 개의 근접 센서(350)를 간격을 두고 책상(301) 상판 저면에 설치함으로써, 위치 변동이 있는 의자(303)에 착석한 사용자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350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01 at intervals, the human body of a user seated on the chair 303 having a change in position can be detected.

예를 들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초음파 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ximity sensor 350 may be configured as an ultrasonic sensor.

이와 같이 구성한 상기 근접 센서(350)는 인체의 윗다리를 감지할 시에 착석 신호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전달한다.The proximity sensor 3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a seating signal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when detecting the upper leg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301)의 저면에 설치하고,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유선 연결하므로, 도 2 및 도 3의 사시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원만 유선 연결로 공급받게 하고,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무선 연결하게 하여도 좋다. 물론, 유선 연결을 위한 배선을 책상(301)의 저면에 고정하는 방식, 또는 책상(301) 저면에 매립하는 방식 등으로 하고, 단부를 하부로 늘여뜨려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의 근접 센서 연결부(338)에 연결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ximity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desk 301 and is connected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by wire, it is shown as a dotted line in the perspective view of FIGS. 2 and 3. Only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a wired connection, and wireless connection may be made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course, the wiring for wired connection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desk 301 or buried in the bottom of the desk 301, and the end is extended to the bottom to connect the proximity sensor of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You can connect to (338).

한편, 상기 근접 센서(350)를 대신하여 압력 센서를 의자(303)를 설치함으로써, 착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의자(303)에 착석한다고 하여 반드시 책상(301)에서 공부 또는 학습한다고 할 수 없고, 의자(303)에 압력 센서를 설치하여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려면 한정된 전력량을 갖는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근접 센서(350)를 책상(301)에 설치하였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pressure sensor in place of the proximity sensor 350, the chair 303,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seated. However, sitting on the chair 303 does not necessarily mean studying or learning at the desk 301, and to detect whether the human body is seated by installing a pressure sensor on the chair 303, a battery having a limited amount of power must be used.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ximity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desk 301.

다음으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도 7에 도시한 전기 신호적 블록구성도를 참조하며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ersonalized IoT syste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lectrical signal block diagram shown in FIG. 7.

메인 플러그(320) 및 복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각각 레일 콘센트(310)에 삽입 장착되어 락스위치(322, 342)의 단자(322a, 342a)를 통해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플러그(320)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고, 메인 플러그(320) 내에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구비하므로, 전기 투입을 위한 온내 전기 배선과의 연결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망과의 연결은 메인 플러그(320)에 대해서만 하면 된다.The main plug 320 and the plurality of accessory plugs 340 are inserted into the rail outlet 310, respectively, and the electrode 313 of the rail outlet 310 through the terminals 322a and 342a of the lock switches 322 and 342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parallel to,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icity is supplied through the main plug 320,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s provided in the main plug 320, so that electric wiring in the field for electricity input Connection to and connection to the Internet network for Internet access only needs to be done with the main plug 320.

이를 위해서, 락스위치(322)의 단자(322a), 콘센트(323)에 전기를 공급하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 및 누전이나 과전류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323a), USB 단자(324)에 전기를 공급하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부(324a) 및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근접 신호 연결부(338)에 전기 공급하는 전원부(331)는 온내 전기 배선에 연결된 전원 콘센트(325)를 통해서 각각 전기를 투입받는다.To this end, the power supply unit 323a, USB terminal 324, which supplies electricity to the terminal 322a of the lock switch 322 and the outlet 323, but has a function of blocking the supply of electricity and protecting a short circuit or overcurrent. The power supply unit 324a having a function of supplying electricity but cutting off the electricity supply, and the power supply unit 331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nd the proximity signal connection unit 338 are provided with a power outlet 325 connected to the electric wiring in the on-site. Each receives electricity through it.

단자(322a)에 공급하는 전기는 레일 콘센트(310)의 전극(313)을 통해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투입된다.Electricity supplied to the terminal 322a is input to each accessory plug 340 through the electrode 313 of the rail outlet 310.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통신모듈(336)을 통해 인터넷망(200, 실제로는 인터넷 유무선 접속기기)에 연결되어 원격 제어를 허용하고, NFC(332)를 통해 스마트기기(360)와 근거리 무선통신할 수 있고, 조도 센서(333)로 감지한 조도 및 온/오프(ON/OFF) 스위치로 구성한 오토 스위치(335)의 스위칭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무선 충전기(334)를 통해 스마트기기(360)를 무선 충전하게 하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37)을 통해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와 통신 연결된다.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00, actually Internet wired/wireless access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to allow remote control,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device 360 through the NFC 332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eset control oper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auto switch 335 configured with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333 and an ON/OFF switch is switched, and the wireless charger 334 Through the wireless charging of the smart device 360,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7 is connected to each accessory plug 340 and communication.

여기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 악세사리 플러그(340) 사이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예를 들어 ZigBee 통신으로 할 수 있다.Her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nd the accessory plug 340 may be performed by, for example, ZigBee communication.

또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전원부(323a, 324a)를 제어하여 콘센트(323)에의 전기 투입을 단속하고 USB 단자(324)에의 전원 투입을 단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s 323a and 324a to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outlet 323 and control power supply to the USB terminal 324.

상기 오토 스위치(335)가 온/오프(ON/OFF) 스위칭 동작하여 콘센트(323), USB단자(324)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에의 전원 투입을 단속하는 스위치이다. 즉,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오토 스위치(335)를 온(ON) 하였을 시에 콘센트(323), USB단자(324)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전원을 투입하게 하고,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OFF) 하였을 시에는 투입하던 전원을 차단한다. The auto switch 335 is a switch that regulates the supply of power to the outlet 323, the USB terminal 324, and the accessory plug 340 by switching on/off (ON/OFF). That is, when the auto switch 335 is turned 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urns on power to the outlet 323, the USB terminal 324, and the accessory plug 340, and the auto switch 335 When is turned off, cut off the power supply.

여기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인터넷망(200) 또는 NFC(332)를 통한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언제든 허용하기 위해서 전원부(331)를 통해 항시 전기 공급받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하였다.Here,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is always supplied with electricit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331 in order to allow the connection of the smart device 36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or the NFC 332 at any time to maintain the active state.

콘센트(323) 및 USB단자(324)에 대한 전원 투입의 단속은 각각에 연결된 전원부(323a, 324a)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다.Interruption of the power supply to the outlet 323 and the USB terminal 324 is possibl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s 323a and 324a connected to each other.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대한 전원 투입의 단속은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컨트롤러(344)에 지령 하달함으로써 가능하다. 변형된 실시 예로서, 메인 플러그(320) 내에서 전원 콘센트(325)와 단자(322a) 사이에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스위치를 제어하여 레일 콘센트(310)에 투입하는 전기를 단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를 차단한 상태에서 인터넷망(200) 또는 NFC(332)를 통해 접속한 스마트기기(360)로부터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라는 지령을 받으면, 우선적으로 그 스위치를 온(ON)함으로써, 전기를 레일 콘센트(310)에 투입되게 하고, 그 이후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제어하게 한다.Interruption of power supply to the accessory plug 340 is possible by giving a command to the controller 344 of the accessory plug 340. As a modified embodiment, a switch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power outlet 325 and the terminal 322a within the main plug 320, and the switch is controlled to regulate electricity input to the rail outlet 310 In this case, when an instruction to control the accessory plug 340 i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60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200 or the NFC 332 in a state where electricity is cut off, the switch is first switched off. By ON, electricity is input to the rail outlet 310, and thereafter, the accessory plug 340 is controlled.

한편,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한 상태에서 무선 충전기(334)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충전 거치대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대해서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구성하거나 또는 스마트기기(360)를 이용한 설정에 의해서 전원을 차단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not to cut off the power of the wireless charger 334 while the auto switch 335 is turned off, and the accessory plug 340 installed with the charging cradle is configured not to cut off the power, or It is preferable not to cut off the power by setting using (360).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근접 센서 연결부(338)에 연결된 근접 센서(350)를 통해서, 책상(301)에서 공부 또는 학습 자세를 취한 인체를 감지하기도 한다.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may sense a human body in a study or learning posture at the desk 301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350 connected to the proximity sensor connection unit 338.

각각의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구비된 컨트롤러(344)는 락스위치(342)의 단자(342a)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 활성화되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345)를 통해 통합 IOT 디바이스(337)와 통신하게 되고, 통합 IOT 디바이스(337)로부터 수신하는 지령에 따라 전기전자 기기(343)를 온오프 또는 동작 제어한다. 이때의 컨트롤러(344)는 전기전자 기기(343)의 동작 상태 정보를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전달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344 provided in each accessory plug 340 is activated by receiving electricity through the terminal 342a of the lock switch 342 and communicates with the integrated IOT device 337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45 Then, in accordance with a command received from the integrated IOT device 337,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is turned on or off or operation is controlled.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44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시스템은 NFC(332)를 통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하거나 또는 인터넷망(200)에 연결된 통신모듈(336)을 통해 원격 접속하는 스마트기기(360)로부터 동작 환경 설정 또 지령을 받아 제어 대상을 제어하고, 제어 대상의 상태 정보를 스마트기기(360)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는 사물 인터넷 기반의 제반 동작을 수행한다.The IoT system for installing a de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mart device 360 connected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NFC 332 or remote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336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200. ) To control the control target by receiving an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or command from), and to perform all Internet-based operations of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targe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mart device 360.

여기서, 제어 대상은 메인 플러그(320)에 있어서 유선으로 제어하는 콘센트(323), USB 단자(324) 및 무선 충전기(334)와,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설치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개별 제어하는 각종 전기전자 기기(343)를 포함한다.Here, the control target is an outlet 323, a USB terminal 324, and a wireless charger 334 controlled by wire in the main plug 320, and individually controlled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y installing in each accessory plug 340. It includes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343.

그리고, 메인 플러그(320)에 있는 콘센트(323), USB 단자(324) 및 무선 충전기(334)에 대해 전원 온오프 제어(즉 투입 전기의 단속)한다. 각 전기전자 기기(343)에 대한 제어는 전원 온오프 제어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기기(343)의 종류에 따라 전기전자 기기(343)에서 허용하는 제어 동작을 추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조명기구의 디밍 제어,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 제어, 블루투스 스피커의 볼륨 제어 등이 있다. 또한, 콘센트(323)에 연결할 전기전자 기기의 종류를 스마트기기(360)를 통해 등록하게 하고, 콘센트(323)의 전원 온오프를 제어할 시에 등록된 전기전자 기기의 종류를 확인하며 제어하게 한다.Then, power on/off control (that is, interruption of input electricity) is performed on the outlet 323, the USB terminal 324, and the wireless charger 334 in the main plug 320. Control for eac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may include not only power on/off control but also a control operation allowed by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3, for example, a lighting device. There are dimming control of the screen, brightness control of the mirroring monitor, and volume control of the Bluetooth speaker. In addition, the type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o be connected to the outlet 323 is registered through the smart device 360, and the type of the registered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is checked and controlled when the power on/off of the outlet 323 is controlled. do.

동작 환경 설정으로는 조도 센서(333)로 감지한 조도에 따라 조명기구의 밝기를 자동 조절하게 하는 기능 또는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자동 제어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설정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명기구를 점등하였을 시의 미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자동 조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좋다.The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may include a setting that activate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a ligh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detected by the illuminance sensor 333 or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creen brightness of a mirroring monitor.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good to set to automatically adjust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irroring monitor when the lighting equipment is turned on.

제어 대상의 상태 정보로서, 각 제어 대상의 온오프 여부, 조명기구의 밝기, 미러링 모니터의 화면 밝기, 충전 거치대의 충전 정도 등을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서 취합하여 스마트기기(360)에 전송하게 할 수 있다. A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ntrol target,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collects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360 by collecting the on/off status of each control target, the brightness of the lighting equipment, the screen brightness of the mirroring monitor, and the charging level of the charging cradle. can do.

이와 같은 다양한 상태 정보 확인,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 하달을 메뉴 항목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기기(360)에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스마트기기(360)와 통합 IOT 디바이스(330) 간에 상호 페어링에 의해 연결되게 함으로써, 스마트기기(360)를 이용한 근거리 제어 또는 원격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An application with such various status information check,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and command delivery as menu items is installed on the smart device 360, and the smart device 360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re connected by mutual pairing by the appli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control a short distance or remote control using the smart device (360).

예외적으로, 미러링 모니터, 블루투스 스피커 등은 스마트기기(360)와 직접 페이링시킬 수 있으므로, 페어링이 되어 있는 경우 통합 IOT 디바이스(330)의 중계 및 제어에 의하지 않고서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허용되어야 할 것이다.Exceptionally, since a mirroring monitor, a Bluetooth speaker, etc. can be directly paired with the smart device 360, when paired, it should be allowed to directly control without relaying and controlling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will be.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르면 페어링된 스마트기기(360)에 의해서만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페어링된 스마트기기(360)를 소지하지 아니한 상황에서도 제한적으로 사용하게 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can be controlled only by the paired smart device 360, the paired smart device 360 is limited in us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paired smart device 360 is not in possession.

즉,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스마트기기(360)로부터 전달받은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을 메모리에 저장하되,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반영하여 갱신 저장하고,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을 항시 저장 보관한다. 상기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OFF)하더라도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을 저장 보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오토 스위치(335)가 눌려 온(ON) 스위칭 동작을 할 시에 최종 지령 및 동작 환경 설정에 따라 제어 대상을 제어한다.That is,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stores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s and instructions received from the smart device 360 in the memory, but if there is a change, it reflects and updates and stores the final instructions and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s at all times. . Even if the auto switch 335 is turned off, the final command and operating environment setting are stored and stored. In addition, when the auto switch 335 is pressed to perform an ON switching operation, the control targe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final command and an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이러한 오토 스위치(335)를 이용한 제어는 책상 사용자 입장에서도 빈번하게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의 사용 상태를 셋팅하여 둠으로써, 그 사용 상태를 위한 동작 환경 설정 및 지령을 스마트기기(360)로 매번 지정하지 않고서도, 오토 스위치(335)만 눌러 그 사용 상태를 만들 수 있게 한다.The control using the auto switch 335 sets the use state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to be frequently used ev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sk user, so that the operation environment setting and command for the use state is not designated to the smart device 360 every time. Also, by pressing only the auto switch 335, it is possible to make its use state.

한편,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책상(301)의 상판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책상(301) 상판의 테두리측에 수직으로 세운 앞가림판의 벽면에 설치하거나 아니면 앞가림판의 상단에 아래를 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각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전기자자 기기(343)를 장착할 시에 방향을 고려하여 장착하여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supposed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of the desk 301, but it is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front cover plate vertically on the edge side of the desk 301 or the front cover.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downwards on the top of the plate, and in this case, when installing the armature device 343 to each accessory plug 340, it should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상기 메인 플러그(320)에는 콘센트(323)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전기전자 기기를 대신하여 콘센트(32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사용하여도 좋다. 물론, 콘센트(323)를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서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하달하는 지령에 따라 전원 투입을 단속 제어한다.As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let 323 is not installed in the main plug 320, and instead, an accessory plug 340 having an outlet 323 installed in place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may be used. good. Of course, the accessory plug 340 installed with the outlet 323 intermittently controls the power supply according to a command issued by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이상에 설명한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은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서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제어하여, 스마트기기(360)의 소유자에 의해 개인화한 책상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The personalized IoT system 300 described above may provide a personalized desk use environment by the owner of the smart device 360 by controlling commands or settings of the smart device 360 i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

아울러,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근접 센서(350)를 통해 인체 유무를 감지하여, 인체가 감지되는 착석 시작 시각부터 인체가 감지되지 아니하게 되는 착석 종료 시각(이석(離席) 시각)까지의 시간인 착석 시간을 얻고, 착석 시간에 따라 공부 시간(또는 학습 시간)을 결정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uman body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350, from the start time when the human body is detected to the end time of seating when the body is not detected. Get the sitting time, which is the time, and decide the study time (or study time) according to the sitting ti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근접 센서(350)를 구비하므로, 어느 하나의 근접 센서(350)라도 대퇴부의 출현을 감지하여 착석 신호를 전달해오면, 인체가 공부 자세를 취한 것으로 간주하게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350 are provided, if any one of the proximity sensors 350 detects the appearance of the thigh and transmits a seating signal, the human body is considered to have taken a study posture. .

여기서, 공부 시간은 사용자의 확인을 받아 결정하게 하였다. Here, the study time was determined by receiving confirmation from the use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착석 시작이 감지될 시에 확인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기기(360)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고, 스마트기기(360)에서 확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하면,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시작할 것인지를 스마트기기(360)의 응답에 따라 정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을 받을 시에 '공부 시작 YES/NO'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여 'YES' 아니면 'NO'를 선택하게 하고, 이때, 'YES'를 선택하면 공부를 시작한다는 'YES' 응답을 하고, 'NO'를 선택하면 공부하지 아니한다는 'NO' 응답을 한다. 그리고,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YES' 응답이 있는 경우에만 공부 시간을 카운터하기 시작한다.Specifically, when the start of seating is detected, the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360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f the smart device 360 responds to the confirmation request, whether to start the counter of the study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ponse of the smart device 360.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confirmation request, the smart device 360 outputs'Study start YES/NO' on the touch screen to select'YES' or'NO'. At this time, if'YES' is selected, You answer'YES' to start studying, and if you select'NO', you answer'NO' to not study.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starts counting the study time only when there is a'YES' response.

착석 종료가 감지될 시에도 확인 요청 메시지를 스마트기기(360)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전달하고, 스마트기기(360)에서 확인 요청에 따른 응답을 하면,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종료할 것인지를 스마트기기(360)의 응답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기기(360)는 착석 종료에 따른 확인 요청을 받을 시에 '공부 종료 YES/NO'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여 'YES' 아니면 'NO'를 선택하게 하고, 이때, 'YES'를 선택하면 공부를 종료한다는 'YES' 응답을 하고, 'NO'를 선택하면 공부를 계속하고 있다는 'NO' 응답을 한다. 그리고,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YES' 응답이 있는 경우에만 공부 시간의 카운터를 멈추고, 공부 시작부터 공부 종료까지의 시간을 공부 시간으로 정한다. 물론, 미리 정한 시간 내에 'NO' 응답이 없으면 'YES' 응답으로 하는 것이 좋다. 공부를 하는 중에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또는 다른 교재를 찾는 등의 이유로 잠깐 이석(離席)할 수도 있으므로, 공부를 종료한다는 'YES' 응답이 있을 때까지 공부 시간을 카운터하는 것이다.Even when the end of seating is detected, the confirm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smart device 360 by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hen the smart device 360 responds to the confirmation request, the smart device ( 360). For example, when receiving a confirmation request according to the end of seating, the smart device 360 outputs'Study end YES/NO' on the touch screen to select'YES' or'NO', and at this time,'YES' If you select', you will answer'YES' to end your study, and if you select'NO', you will receive'NO' that you are continuing to study. In addi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stops the counter of the study time only when there is a'YES' response, and sets the time from the start of study to the end of study as the study time. Of course, if there is no'NO' respons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t is better to answer'YES'. While studying, you may be absent for a while, or you may be temporarily dismissed for reasons such as searching for other textbooks, so you counter the study time until you receive a'YES' response to the end of study.

이와 같이 획득한 공부 시간을 메모리(미도시)에 기록 관리한다.The study time obtained in this way is recorded and managed in a memory (not shown).

또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메모리(미도시)에 기록 관리한다.In addition,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records and manages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in a memory (not shown).

여기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는 ON시켜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ON시켜 사용한 시간을 포함한다. 즉, 활용도는 복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 중에 어느 것을 사용하였는지, 그리고, 얼마 동안 사용하였는지를 포함한다.Here,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includes the type of the accessory plug 340 used by turning ON and the time used by turning it ON. That is, the utilization includes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ory plugs 340 has been used and how long it has been used.

이와 같이 기록 관리한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는 책상 이용 정보이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책상 이용 정보를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한다.The recorded study time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are desk usage information, and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ransmits the desk usage information to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각각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책상 이용 정보(공부 시간 및 활용도)를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 별로 저장 관리한다.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stores and manages desk usage information (study time and utilization) transmitted from each personalized IoT system 100 for each personalized IoT system 100.

그리고,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 별로 저장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여 통계를 내고, 상대적 평가를 한다. In addition, the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system 100 collects and manages the desk usage information stored and managed to generate statistics and perform a relative evaluation.

예를 들어,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100)의 사용자별로 일일/주간/월간/분기 누적 공부 시간을 얻고, 사용자별 누적 시간의 평균치를 일일/주간/월간/분기로 나눠 얻어, 사용자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For example, a daily/weekly/monthly/quarterly cumulative study time is obtained for each user of the personalized IoT system 100, and the average of the accumulated time per user is obtained by dividing it into daily/weekly/monthly/quarterly, and the relative evaluation result for each user. Serve.

또한,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취합하여 통계를 내고, 상대적 평가를 한다.In addition, statistics are generated by collecting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used within the study time, and a relative evaluation is performed.

예를 들어, 사용자별로 일일/주간/월간/분기 누적 활용도를 얻고, 사용자별 활용도의 평균치를 일일/주간/월간/분기로 나눠 얻어, 사용자별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낸다. 물론, 활용도가 높을수록 평가 점수를 높게 하는 평가 결과를 낼 수 있다. 그렇지만, 공부하는 활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를 미리 한정하여 두고, 한정된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따라 평가 결과를 내는 것이 좋다.For example, a daily/weekly/monthly/quarterly cumulative utilization rate is obtained for each user, and the average value of each user's utiliz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it into daily/weekly/monthly/quarterly, resulting in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for each user. Of course, the higher the utilization, the higher the evaluation score can b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pre-limit the types of accessory plugs 340 that can be utilized to study, and to produce evalu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limited accessory plugs 340.

평가는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여도 좋지만, 공부 시간이 미리 정한 기준에 따라 선정한 상위 그룹의 공부 시간 및 활용도를 기준(예를 100점 만점)으로 한 후, 그 기준과 비교 결과에 따라 점수를 주는 평가이어도 좋다.The evaluation may be based on the average value, but the study time is based on the study time and utilization of the upper group selec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e.g. 100 points), and then a score is given according to the standard and comparison result. May be.

또한, 평가는 공부 또는 학습에 사용되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를 미리 정하여 둔 후, 해당 종류의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사용 빈도에 대해 통계를 내고, 그 통계에 따라 내린 상대적 평가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valuation includes pre-determining the type of accessory plug 340 used for study or learning, and then statistics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accessory plug 340 of the corresponding type, and a relative evaluation mad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May be.

이와 같이 얻은 통계 자료 및 평가 결과는 사용자의 스마트기기(360)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다.The statistical data and evaluation results obtained in this way can be inquired when the user's smart device 360 accesses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00 : 통합 모니터링 서버
110 : 취합부 120 : 통계부 130 : 평가부
200 : 인터넷망
300 :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
301 : 책상 302 : 구멍
303 : 의자
310 : 레일 콘센트
311 : 장공 312 : 돌출부 313 : 전극
320 : 메인 플러그
321 : 케이스 321a : 단턱 321b, 321c : 구멍
322 : 락스위치 322a : 단자 322b : 돌출편
323 : 콘센트 323a : 전원부
324 : USB 단자 324a : 전원부
325 : 전원 콘센트
330 : 통합 IOT 디바이스
331 : 전원부 332 : NFC 333 : 조도 센서
334 : 무선 충전기 335 : 오토 스위치 336 : 통신모듈
337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338 : 근접 센서 연결부
340 : 악세사리 플러그
341 : 케이스 341a : 단턱 341b, 341c : 구멍
342 : 락스위치 342a : 단자 342b : 돌출편
343 : 전기전자 기기 344 : 컨트롤러
345 :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350 : 근접 센서
360 : 스마트기기
100: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10: collecting unit 120: statistics unit 130: evaluation unit
200: Internet network
300: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system
301: desk 302: hole
303: chair
310: rail outlet
311: long hole 312: protrusion 313: electrode
320: main plug
321: case 321a: stepped 321b, 321c: hole
322: lock switch 322a: terminal 322b: protruding piece
323: outlet 323a: power supply
324: USB terminal 324a: power supply
325: power outlet
330: Integrated IOT device
331: power unit 332: NFC 333: illuminance sensor
334: wireless charger 335: auto switch 336: communication module
337: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38: proximity sensor connection
340: accessory plug
341: case 341a: stepped 341b, 341c: hole
342: lock switch 342a: terminal 342b: protruding piece
343: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344: controller
345: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50: proximity sensor
360: smart device

Claims (6)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스마트기기(360)의 접속을 허용하고 인터넷망(200)에 연결되게 한 통합 IOT 디바이스(330)를 내부에 수용한 메인 플러그(320); 및 책상에서 사용할 전기전자 기기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 의해 제어되도록 IOT 기기로 구성하여 설치한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책상에 조성한 구멍에 삽입 설치하는 레일 콘센트(310)에 삽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착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전달하는 근접 센서(350)를 포함하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가 스마트기기(360)의 지령 또는 설정에 따라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게 하고, 착석 여부에 따른 공부 시간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활용도를 포함한 책상 이용 정보를 기록 관리하는 복수의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및
개인화 사물 인터넷 시스템(300) 별로 기록 관리한 책상 이용 정보를 취합하고, 공부 시간과 악세사리 플러그(340) 활용도를 연계시킨 상대적 평가 결과를 내어, 스마트기기(360)가 접속할 시에 조회할 수 있게 한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
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플러그(320)는 악세사리 플러그(340)에의 전원 투입을 온/오프(ON/OFF)하여 단속하는 오토 스위치(335)를 구비하고,
상기 근접 센서(350)는 책상의 상판 저면에 설치되되, 의자의 착석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출현한 물체를 감지하게 하여, 의자에 착석한 인체의 윗다리 출현을 감지함으로써 착석 상태를 감지하게 하며,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는 착석 시작 및 착석 종료 시에 각각 스마트기기(360)에게 확인 요청하고, 공부하기 위한 착석임을 알려올 시에 공부 시간으로 산정하고, 상기 오토 스위치(335)를 오프(OFF)할 시에 악세사리 플러그(340)에 투입하던 전원을 차단하고, 동시에 스마트기기(360)에 의한 최종 지령 또는 설정을 저장하여 둔 후, 상기 오토 스위치(335)를 온(ON)할 시에 최종 지령 또는 설정에 따라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IOT 기기에 대한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기기(360)는 확인 요청에 따라 공부하기 위한 착석 여부를 상기 통합 IOT 디바이스(330)에게 알리고,
상기 통합 모니터링 서버(100)는 공부 시간 내에 사용한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종류 및 사용 시간을 포함하는 활용도의 통계를 내어, 활용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상대적 평가 결과를 얻는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 main plug 320 accommodating an integrated IOT device 330 that allows access to the smart device 36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nects to the Internet network 200; And an accessory plug 340 configured and installed as an IOT device so that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to be used at the desk are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a hole formed in the desk. A proximity sensor 350 that detects whether a human body is seated and transmits it to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by detachably mounted on the rail outlet 310 to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tegrated IOT The device 3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of the accessory plug 340 according to a command or setting of the smart device 360, and includes study tim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seated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A plurality of personalized IoT systems 300 for recording and managing usage information; And
Personalized Internet of Things (IoT) system 300 collects the desk usage information recorded and managed, and generate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linking study time and the utilization of the accessory plug 340 so that it can be viewed when the smart device 360 is connected.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Including,
The main plug 320 includes an auto switch 335 for intermittently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accessory plug 340 by turning on/off (ON/OFF),
The proximity sensor 35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and detects an object appearing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ating part of the chair, and detects the appearance of the upper leg of the human body seated on the chair to detect the seating state. ,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requests confirmation from the smart device 360 at the start and end of seating, respectively, calculates the study time when notifying that the seat is seated for study, and turns off the auto switch 335 (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accessory plug 340 is cut off, and the final command or setting by the smart device 360 is saved, and then the auto switch 335 is turned o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IOT device of the accessory plug 340 according to the final command or setting,
The smart device 360 notifies the integrated IOT device 330 of whether to be seated for study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request,
The integrated monitoring server 100 generates statistics of utilization including the type and usage time of the accessory plug 340 used within the study time, and obtains a relative evalu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utilization.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desk mount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콘센트(310)는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를 삽입하는 장공(311)의 입구의 반대측도 개방하여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의 하부 구조를 하부 개구 아래로 늘어뜨리게 할 수 있고, 상하를 개구한 장공(311)의 양측 내벽에 상호 마주하는 돌출부(312)를 조성하고, 양측 돌출부(312)의 마주하는 면에 길이방향의 홈을 조성하여 전극(313)을 설치한 것으로서, 책상의 상판에 구멍을 내어 삽입 고정하게 하고,
상기 메인 플러그(320) 및 악세사리 플러그(340)는
상단이 상기 레일 콘센트(310)의 상단 높이에 맞춰지도록 각각 돌출부(312)의 상면에 걸쳐지며 장공(311)에 삽입되게 하고, 회동시에 전극(313)에 접촉되는 단자(322a) 및 돌출부(312)의 저면에 밀착되는 돌출편(322b)을 구비한 락스위치(322)를 손으로 회전시켜서 레일 콘센트(3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고정되게 한
책상 설치용 사물 인터넷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outlet 310 is
The opposite side of the inlet of the long hole 311 into which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are inserted is also opened, so that the lower structure of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can be drooped below the lower opening. , Protrusions 312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long hole 311 with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and gro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facing surfaces of the protrusions 312 on both sides to install the electrode 313, Make a hole in the top of the desk to insert and fix it,
The main plug 320 and the accessory plug 340 are
A terminal 322a and a protrusion 312 which are respectively spanned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12 and inserted into the long hole 311 so that the upper end is aligned with the upper height of the rail outlet 310, and contact the electrode 313 when rotating. ) By rotating the lock switch 322 provided with the protruding piece (322b)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ail by hand to be fixe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ail outlet 310
Internet of Things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desk mounting.
KR1020180124252A 2018-10-18 2018-10-18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KR1021429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en) 2018-10-18 2018-10-18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en) 2018-10-18 2018-10-18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176A KR20200046176A (en) 2020-05-07
KR102142974B1 true KR102142974B1 (en) 2020-08-10

Family

ID=7073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252A KR102142974B1 (en) 2018-10-18 2018-10-18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9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564A (en) 2020-06-12 2021-12-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Electronic teaching desk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based on Voice Recogn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502A (en) * 2007-03-30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ing system
JP2011156075A (en) * 2010-01-29 2011-08-18 Kokuyo Co Ltd Table
JP2014236619A (en) * 2013-06-04 2014-12-15 鹿島建設株式会社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638B1 (en) 2005-11-24 2007-07-11 변민관 Personal managing system for monitoring working time and method using the system
KR20120087257A (en) * 2010-12-20 2012-08-07 (주)세오전자 Smart outlet and wireless electric power sav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1264062B1 (en) 2013-02-08 2013-05-21 엠넥스텍 주식회사 Auto control multi-socket device for sharing internet protocol usage, desk with multi-socket device for sharing internet protocol usage, and personalized smart grid system using multi-socket device for sharing internet protocol us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1502A (en) * 2007-03-30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Wiring system
JP2011156075A (en) * 2010-01-29 2011-08-18 Kokuyo Co Ltd Table
JP2014236619A (en) * 2013-06-04 2014-12-15 鹿島建設株式会社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6176A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8562B2 (en) Modified electrical devices
CA2843857C (en) Active cover plates
US11043768B1 (en)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a load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US11189948B1 (en) Power adapter and 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adapter to provide power to a load
US11978988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US11599177B1 (en) Power adapter arrangement having a power adapter and a control attachment
US11264769B1 (en) Power adapter having contact elements in a reces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 adapter
KR102142974B1 (en)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combined with book desk
US11888256B2 (en) Modular consumer-configurable electrical fixture system
CN101262728A (en) Light switch used as a communication device
US11231730B1 (en) Control attachment for a power adapter configured to control power applied to a load
KR20130137976A (en) Living action detecting system for senior citizen who lives alone
KR100920992B1 (en) Multi-tap/receptacle device for remote control
US8957551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a building automation system
EP2973885B1 (en) Wireless connector node and system
KR101950963B1 (en) Internet of things system combined with book desk
CN102572645A (en) Audio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 automatically close same
US11579640B1 (en) Control attachment for an in-wall power adapter
KR101938605B1 (en) Power supply device and Smart Furniture comprising the same
CN112119552B (en) Electrical consumer
US11996660B1 (en) In-wall power adapter configured to provide power to a load
CN112119553B (en) Embedded electrical consumer
CN215119436U (en) Dual-mode intelligent remote control socket
CN210746875U (en) Household and outdoor electric liquid mosquito repellent
CN217690148U (en) Intelligent central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