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84B1 -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84B1
KR102142884B1 KR1020180129045A KR20180129045A KR102142884B1 KR 102142884 B1 KR102142884 B1 KR 102142884B1 KR 1020180129045 A KR1020180129045 A KR 1020180129045A KR 20180129045 A KR20180129045 A KR 20180129045A KR 102142884 B1 KR102142884 B1 KR 102142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
vehicle
speed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0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7056A (en
Inventor
심재완
하헌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2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8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4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0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locking or memorising of control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에서, 상기 차량 내부 바람 제어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 입력부, 판단부 및 창문 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필요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창문 개방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을 개방한다. In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system includes a database unit, an input unit, a determination unit, and a window opening. The database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speed,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The user input unit inputs necessar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The determination unit selects information identical to or most similar to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unit. The window opening unit opens the window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Figure R1020180129045
Figure R1020180129045

Description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In-vehicle wind control system and in-vehicle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바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운행되는 다양한 조건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선택 또는 요구에 따라 차량 내에서의 풍속, 풍향 및 풍량을 제어하는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control system and a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interior that controls wind speed, wind direction and air volume in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or request by applying various conditions in which the vehicle is operated. It relates to a wind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차량을 통한 이동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을 운전하거나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편의 장비가 장착되고 있는 상황이다. As movement through a vehicle increases, various types of convenience equipment for a user driving a vehicle or boarding a vehicle are installed.

이러한 편의 장비들 중에서, 차량의 실내에서의 풍향, 풍속 또는 풍량 등과 같은 인자를 제어하는 장비들도 개발되고는 있으나, 대부분의 차량 실내에서의 바람 제어 장치는 차량용 에어컨으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뿐이다. Among these convenient equipment, equipment that controls factors such as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re also being developed, but most of the wind control devices in the vehicle interior control the wind generated from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t is only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for users.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1654호에서는 차량의 디포깅(defogging)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차량의 디포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 내부에서의 풍량이나 풍속을 변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31654 relates to a vehicle defogging method and system, and changes the air volume or wind speed inside the vehic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defogging of the vehicle is necessary. It is only disclosing the technology to let you know.

따라서, 차량 실내에서의 풍향, 풍속 또는 풍량의 제어와 관련된 기술들은 대부분 에어컨이나 공조기 등과 같은 인위적인 바람 발생 장치와 연계되어 개발되고 있을 뿐이다. Therefore, most of the technologie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in the vehicle interior are only being developed in connection with an artificial wind generating device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n air conditioner.

물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9131호의 경우, 자동차 파워 윈도우 제어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며, 고속 주행 시 창문으로 유입되는 강한 바람을 조기에 차단하도록 파워 윈도우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경우, 설사 에어컨이나 공조기 등과 무관하게 창문을 제어하는 기술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으나, 차량 내부에서의 풍향, 풍속 또는 풍량을 제어하는 개념보다는 차량 내부에서의 바람을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 불과하다. Of cours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49131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vehicle power window control device, and discloses a technology for controlling the power window to block strong wind flowing into the window early during high-speed driv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document, it can be said that it is related to the technology of controlling the window regardless of the air conditioner or air conditioner, but the purpose is to block the wind inside the vehicle rather than the concept of controll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It's just tha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165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3165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4913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149131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히 에어컨 등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제어하는 것 외에, 차량의 주행 상태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창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적의 탑승 상태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다양한 차량 내부의 바람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in this respect,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wind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etc., based on variou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that can provide an optimal ride condition to a user and control wind conditions inside a variety of vehicle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system.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 바람 제어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 입력부, 판단부 및 창문 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 필요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창문 개방부는 상기 판단부에서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을 개방한다.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unit, an input unit, a determination unit, and a window opening unit. The database unit receives information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speed,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Required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are input to the user input unit. The determination unit selects information identical to or most similar to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database unit. The window opening unit opens the window based on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문 개방부에서 개방된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추가 조정을 수행하는 추가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opened in the window opening, an additional adjustment unit for performing additional adjustment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조정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dditional adjustment unit may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o maintain the selected information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는,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exterior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input to the databas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창문의 개수, 및 각 창문별 개방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windows of the vehicl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 내부로 바람이 제공되는 상황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미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wind is provided into the vehicle, and is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I can.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의 개수, 상기 각 창문별 개방 정도, 및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우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atabase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for each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windows, the degree of opening for each window,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may be classified. 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may first determine whether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put information exists from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in the database unit. .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가중치 연산부, 및 상기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유사도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when the same information does not exist, a weight calculation unit that selects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a weight, and when the same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obtained by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It may include a similarity calculation unit to select.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구현이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 user output unit that displays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기 전에, 구현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우선 표시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user output unit may first display information about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befor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제어 방법에서,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한다. 필요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된 정보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정보로 창문을 개방한다. In the win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a window of a vehicle, information on wind inside a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vehicle speed are stored in a database. Required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are entered. From the database, information having the same or most similar input information is selected. The window is opened with the selected inform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추가 조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it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additional adjustmen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가 조정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performing the additional adjustment may adjust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o maintain the selected information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storing the database, information on the exterior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inpu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차량 내부로 바람이 제공되는 상황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가 미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창문의 개수, 및 각 창문별 개방 정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의 개수, 상기 각 창문별 개방 정도, 및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toring of the database unit includes information on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wind is provided into the vehicle Based on the step of storing in the database unit, the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the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classifying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for each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windows, the degree of opening for each window,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same or most similar informa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database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풍향 및 풍속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또는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same or most similar inform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not the same,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weights for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r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You can choos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구현이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based on the selected information, the step of displaying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may be further inclu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풍향에 제1 가중치를 곱하고, 상기 풍속에 제2 가중치를 곱하고, 상기 풍량에 제3 가중치를 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은 모두, 0 <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3 가중치 < 100% 이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의 합은 100%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nd direction is multiplied by a first weight, the wind speed is multiplied by a second weight, and the air volume is multiplied by a third weight, and the first to third weights are all 0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100%, and the sum of the first to third weights may be 100%.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사도 함수는, In one embodiment, the similarity function,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1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1

식 (1)Equation (1)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2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2

식 (2)Equation (2)

여기서,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3
는 풍향 유사도 함수,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4
는 제1 바람의 방향벡터,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5
는 제2 바람의 방향 벡터이고, 상기 방향 벡터는 크기가 각각 1로 정규화되어 있으며,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6
는 풍속 유사도 함수,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7
는 제1 바람의 풍속,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8
는 제2 바람의 풍속,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9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0
의 한계값이며,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1
는 분수의 분모에 위치하므로, 그 값이 0일 경우 정의되지 않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무한소로 대치하며, 풍향에 대한 유사도는 식 (1), 풍속에 대한 유사도는 식 (2)로 연산될 수 있다. here,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3
Is the wind direction similarity function,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4
Is the first wind direction vector,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5
Is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econd wind, the direction vector is normalized to each 1,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6
Is the wind speed similarity function,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7
Is the wind speed of the first wind,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8
Is the wind speed of the second wind,
Figure 112018106129619-pat00009
silver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0
Is the limit value of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1
Is located in the denominator of the fraction, so if its value is 0, it is replaced with infinitesimal to avoid an undefined problem, and the similarity to the wind direction can be calculated by Eq. .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창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의 풍향, 풍속 및 풍량은 변화하는데, 같은 개방 정도에서도 차량의 속도 등의 환경에 따라 풍향, 풍속 및 풍량이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 또는 가장 유사한 정보의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Even at the same degree of open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such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t will change in various ways. Accordingly,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 optimal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the same or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특히,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차량 내부의 바람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환경 정보로서 차량의 외형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는 물론, 창문의 개수, 창문별 개방 정도, 차량의 속도 등도 고려함으로써, 풍향, 풍속 또는 풍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보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can be adjusted to maintain the sam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exterior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number of windows, opening by window By taking into account the degre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ll of the various information affect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중치를 고려하거나 유사도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바람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the user can select and provide an optimal wish desired by the user by considering a weight or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또한, 다양한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구현 가능한 풍향, 풍속 또는 풍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user, more variou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an be sel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람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바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바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람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wind control system of FIG. 1.
3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wind control method of FIG. 2.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람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n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바람 제어 시스템(10)은 차량의 실내에서의 바람을 제어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의 실내에서의 풍향, 풍속 및 풍량을 제어하되, 차량이 포함하는 창문 또는 선루프(이하, 창문으로 통일하여 설명한다)의 개방 상태에 대한 조합을 통해 이를 구현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the wind control system 10 in this embodiment controls win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specifically controls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vehicle. This is implemen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open state of a window or sunroof (hereinafter, unified and described as a window).

즉, 사용자가 원하는 차량 내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차량 내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동일하거나 최대한 유사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을 구현할 수 있도록 차량이 포함하고 있는 창문 또는 선루프 각각에 대한 개방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That is, when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 the vehicle desired by the user is input,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 the vehicle are considered, so that the same or as simila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can be implemented. It determines the degree of opening to each window or sunroof the vehicle contain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 제어 시스템(10)은 데이터베이스부(100), 사용자 입력부(200), 판단부(300), 창문 개방부(400), 추가 조정부(500) 및 사용자 출력부(600)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wind control system 10 includes a database unit 100, a user input unit 200, a determination unit 300, a window opening unit 400, an additional adjustment unit 500, and a user output unit 600. Include.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차량의 창문이 개방됨에 따라 차량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풍향, 풍속 또는 풍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The database unit 100 receives information on factors affect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generated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s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onverts it into a database.

예를 들어,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즉 차량의 창문의 개수, 창문의 위치, 창문의 개방 가능한 정도 등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 즉 현재의 주행 중인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windows of the vehicle, that i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windows of the vehicle, the location of the windows,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s may be provided in advance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that is,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currently driving vehicle may be provided in advance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이 경우, 상기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는 창문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제공되고,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는 차량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 제공된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provided through the window information input unit 110, and information on the vehicle speed is provided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 unit 120.

나아가,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도 미리 제공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Furthermore, information on wind inside the vehicle may be provided in advance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이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는 바람 정보 입력부(130)를 통해 제공된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provided through the wind information input unit 13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란, 차량 내부의 에어컨이나 공조기 등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러한 정보는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means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system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ir conditioner inside the vehicle, and this information is a database through simulation, etc. It can be angry.

이와 달리,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는 실질적으로 상기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제공받은 상태에서, 상기 차량 내부의 에어컨이나 공조기 등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시스템에 의해 발생되는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여,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된, 즉 차량 내부의 바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In contrast,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substantially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an air conditioning or blowing system such as an air conditioner or an air conditioner inside the vehicle By adding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generated by the vehicle, it can be databased through a simulation or the like, that is, a database through a simulation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all factors affecting the wind inside the vehicle.

이 경우,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바람도 창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영향을 미치므로 차량의 외형 디자인에 영향을 받으며, 차량 내부 디자인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In this case,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affected by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so that the wind provided from the outside is affected by the exterior design of the vehicle and the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이에 따라, 상기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도 추가로 입력되어, 상기 차량의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가 시뮬레이션 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database is converted through the simulation or the like, information on the exterior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is additionally input, so that information about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simula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이상과 같이,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란, 결국 차량의 내부로 바람이 제공되는 상황에 따라,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미리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정보로서, 상기 각각의 바람 제공 상황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속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in advance through a simulation or the lik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the wind is eventually provid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I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wind speed inside the vehicle.

그리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는 정보 분류부(140)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분류한다. Thus, when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stored in a database, the database unit 100 includes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140 to classify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로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공되는 정보는 결국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데, 이러한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는, 결국 상기 차량의 창문의 개수, 각 창문별 개방 정도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시스템도 추가로 고려되어, 차량의 창문 개수, 각 창문별 개방정도, 차량의 속도 및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따라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when information about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provided to the database unit 100, the provided information eventually includes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re eventually changed according to combinations of the number of windows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and the vehicle speed. Of course, in this case, the vehicle's air conditioning or blowing system is additionally considered, and the wind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each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windows of the vehicle,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air conditioning or blowing conditions. ,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예를 들어, 창문의 개수가 4개이고, 창문의 개방 정도를 3단계로 구분하고, 차량의 속도를 10단계로 구분하며, 추가로 차량의 내부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를 5단계로 구분한다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의 상기 정보 분류부(140)는 총 4,050가지의 경우의 수에 대하여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windows is 4,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is divided into 3 stages, the vehicle speed is divided into 10 stages, and the internal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conditions of the vehicle are further divided into 5 stages, the above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140 of the database unit 100 may classif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for a total of 4,050 cases.

그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는 상기 4,050 가지의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시뮬레이션 또는 풍동 실험 등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us, the database unit 100 may stor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 a database through a simulation or a wind tunnel experiment for each of the 4,050 cases.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는 차량의 내부의 바람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또는 풍동 실험을 통해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In this way, the database unit 100 considers factors affect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volume of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 each case,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re determined through simulation or wind tunnel experiment. Database of information.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에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다. In the user input unit 200,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 the vehicle required by the user is input by the user's input.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입력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의 직접 입력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put by the user may be input by a user's direct input through a separate input display (not shown).

다만,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풍향, 풍속 및 풍량은 실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된 풍향, 풍속 및 풍량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However,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directly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may be different from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ctually databased by the database unit 100.

이에,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Accordingly, the determination unit 300 selects information that is the same as or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from the database unit 100.

즉,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분류되어 저장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우선 판단한다. That is, the determination unit 300 firs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exists i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그리하여,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선택하게 되며, 상기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Thus, when the same information exists, the determination unit 300 selec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and when the same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determination unit 300 selects information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

이 경우, 상기 판단부(300)는 가중치 연산부(310) 및 유사도 연산부(320)를 포함하여,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determination unit 300 includes a weight calculation unit 310 and a similarity calculation unit 320 to select information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중치 연산부(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다른 경우,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풍향, 풍속 또는 풍량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가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database unit 100 ar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the weight calculation unit 310 selects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y adding a weight to the wind speed or air volume.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풍향, 풍속 및 풍량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은 서로 다른 개별적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모든 값이 동일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기준이 필요하게 된다. That is,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and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y the user's selection include different individual elements, and unless all values are the same,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Standards are needed.

따라서,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 각각에 제1, 제2 및 제3 가중치들을 각각 곱하여 도출되는 값을 서로 비교한다면 가장 유사한 정보를 매우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can be selected very easily by comparing values derived by multiplying each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eights by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volume.

이 경우, 상기 제1, 제2 및 제3 가중치들은 각각 0% 이상 100% 이하의 값을 가지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가중치들의 총합은 100%이어야 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second, and third weights each have a value of 0% or more and 100% or less, and the sum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weights must be 100%.

예를 들어, 상기 풍향에 40%의 제1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풍속에 40%의 가중치를 부여하며, 상기 풍량에 20%의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분류되어 저장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에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을 부여하여 도출된 값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을 부여하여 도출된 값을 서로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값에서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선택하게 된다. For example, a first weight of 40% may be assigned to the wind direction, a weight of 40% may be assigned to the wind speed, and a weight of 20% may be assigned to the air volume. Thus, a value derived by assigning the first to third weights to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and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put by the user At, values derived by assigning the first to third weight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select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t the most similar values.

물론, 이러한 가중치 연산 결과들을 비교하는 경우, 동일한 값으로 도출되는 경우가 복수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Of course, when the weight calculation results are compared, there may be a plurality of cases in which the same value is derived, and in this cas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determined to be most suitable can be selected.

이와 달리, 상기 유사도 연산부(32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rough the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20, information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may be selected.

즉, 상기 유사도 연산부(3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입력된 정보가 다른 경우,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유사도 함수를 적용한다. That is, the similarity calculation unit 320 applies a similarity function to select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whe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database unit 100 are different from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s selection. do.

이 경우, 상기 유사도 연산부(320)에서 적용하는 유사도 함수는 풍향에 대한 유사도 함수, 및 풍속에 대한 유사도 함수를 포함한다. 이 경우, 풍량에 대한 유사도 함수도 고려할 수 있으나, 실질적으로 풍량에 대한 유사도는 상기 풍속에 대한 유사도 함수와 동일하게 연산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the similarity function applied by the similarity calculating unit 320 includes a similarity function for wind direction and a similarity function for wind speed. In this case, a similarity function for the air volume may also be considered, but since the similarity for the air volume may be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imilarity function for the wind speed, a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즉, 상기 풍향에 대한 유사도 함수,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2
는 하기 식 (1)과 같이 정의되며, 상기 풍속에 대한 유사도 함수,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3
는 하기 식 (2)와 같이 정의된다. That is, the similarity function for the wind direction,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2
Is defined as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a similarity function for the wind speed,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3
Is defined as in the following formula (2).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4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4

식 (1)Equation (1)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5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5

식 (2)Equation (2)

여기서,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6
는 제1 바람의 방향벡터,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7
는 제2 바람의 방향 벡터이고, 상기 방향 벡터의 크기는 모두 1로 정규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here,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6
Is the first wind direction vector,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7
Is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econd wind, and the magnitudes of the direction vectors are all normalized to 1,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8
는 제1 바람의 풍속,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9
는 제2 바람의 풍속,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0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1
의 한계값이며,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2
는 분수의 분모에 위치하므로, 그 값이 0일 경우 정의되지 않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무한소로 대치한다.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8
Is the wind speed of the first wind,
Figure 112018106129619-pat00019
Is the wind speed of the second wind,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0
silver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1
Is the limit value of
Figure 112018106129619-pat00022
Is located in the denominator of the fraction, so if its value is 0, it is replaced with an infinitesimal to avoid an undefined problem.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바람을 제1 바람이라고 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바람을 제2 바람이라고 하면, 상기 제1 바람의 풍향과 상기 제2 바람의 풍향은 상기 식 (1)을 통해 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의 풍속과 상기 제2 바람의 풍속은 상기 식 (2)를 통해 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wi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is referred to as the first wind, and the wind selected by the user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wind, the wind direction of the first wind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second wind are expressed in Equation (1). The similarity may be determined through and the similarity of the wind spe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wind speed of the second wind can be determined through Equation (2).

그리하여, 상기 제1 바람 및 제2 바람의 풍향 및 풍속(풍량도 동일하게 연산 가능)에 대한 유사도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유사한 바람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설사 사용자가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가장 유사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us, based on the similarity calculation result for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the first and second winds (the amount of wind can be calculated equally), the most similar wind can be selected, and through this,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Even if is not present in the database unit 100, the most simila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can be selected.

상기와 같이, 상기 판단부(300)에 의해 차량 내부의 바람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가 선택되면, 상기 창문 개방부(400)는 현재의 차량의 속도, 및 나아가 현재의 차량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를 바탕으로,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을 도출하기 위한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창문을 개방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of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00, the window opening 400 is The window is opened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condition or the blowing condition,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for deriv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그리하여, 현재의 차량의 상태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바람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바람이 차량의 내부에 불도록 창문이 개방될 수 있다. Thus, based on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the window may be opened so that a wind that is the same or most similar to the wind selected by the user blows inside the vehicle.

한편, 상기 추가 조정부(500)는 상기 창문 개방부(400)에서 개방된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창문 개방량을 조정한다. Meanwhile, the additional adjustment unit 500 adjusts an additional window opening amount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opened by the window opening unit 400.

즉, 다른 조건, 즉 창문의 개수, 차량의 내부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가 일정한 경우라면, 상기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바람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바람이 차량의 내부에 불도록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는 변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창문 개방부(400)에서는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선택된 바람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한다. That is, if other conditions, that is, the number of windows,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are constant, the wind that is the same or most similar to the wind selected by the user is blown inside the vehicle as the vehicle speed changes. To maintai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must be varied. Accordingly, the window opening part 400 adjust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o maintain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of the selected win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상기 사용자 출력부(600)는 사용자에게 현재 차량의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한다. 도 1에서는 사용자 입력부(200)와 사용자 출력부(600)를 구분하여 별도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화면 표시 장치 하나가 사용자 입력부(200)와 사용자 출력부(6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user output unit 600 display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current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to the user. In FIG. 1, the user input unit 200 and the user output unit 600 are separately shown. However, as a method of realizing the present invention, one screen display device is a function of the user input unit 200 and the user output unit 600. Can be done.

최초에 사용자 입력부(200)가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일 때, 현재 상황에서 구현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구현 불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에 대비하여 강조할 수 있다. Initially, when the user input unit 200 receives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t should emphasize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current situation in preparation for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not be implemented. I can.

더 나아가, 상기 사용자 출력부(600)는, 단순히 현재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상기 판단부(300)에서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포함한 차량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구현할 수 있는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user output unit 600, in addition to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00, the vehicle including the speed of the vehicle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stat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provide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즉,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에 따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이 상기 판단부(300)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것 외에, 사용자에게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선택된 정보와 유사한 범위 내에서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구현될 수 있는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게 된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추가적으로 풍향, 풍속 및 풍량을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이 증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same or most simila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re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300 according to a user's input or selection,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information, in order to provide various options to the user, the selected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inside the vehicle within a range similar to the information is additionally provided. Thus, the user can additionally select a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hoice.

도 2는 도 1의 바람 제어 시스템을 이용한 바람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바람 제어 방법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wind control system of FIG. 1. 3 is a flow chart showing in more detail the wind control method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바람 제어 시스템(10)을 이용한 바람 제어 방법에서는, 상기 바람 제어의 방법, 즉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앞서 바람 제어 시스템(10)을 통해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이를 생략한다. 2 and 3, in the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wind control syste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ethod of wind control, that is, a step, will be described, and above, through the wind control system 10 Contents overlapping with the described content will be omitted.

즉, 상기 바람 제어 방법에서는, 우선,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00)로 저장한다(단계 S10). That is, in the wind control method, first, information about the window of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the vehicle are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람 정보 입력부(130)를 통해서는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저장되며(단계 S11), 이 경우 제공되는 바람에 대한 정보의 속성이나 내용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More specifically, information about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provided and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wind information input unit 130 (step S11), and in this case, refer to FIG. 1 for the attribute or content of the wind information provide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또한, 상기 창문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서는 상기 차량 내부의 창문의 개수, 및 각 창문별 개방 정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다(단계 S12). Further, through the window information input unit 110,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ndows inside the vehicle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is provid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12).

또한, 상기 차량 정보 입력부(120)를 통해서는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제공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다(단계 S13). In addition,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provided in advance through the vehicle information input unit 120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13).

나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될 수 있음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Furthermore, as already described, information on the external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may be additionally input to the database unit 100.

그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의 상기 정보 분류부(140)에서는, 상기 제공되는 창문의 개수, 각 창문별 개방정도, 차량의 속도, 나아가, 차량의 내부에서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정보들의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분류한다(단계 S14).Thus, in the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140 of the database unit 100, the number of windows provided, the degree of opening for each window, the vehicle speed, and further, information on air conditioning or blowing in the vehicle As a basis,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is classified for each combination of the information (step S14).

이 후,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00)를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단계 S20). After that, the user inputs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requir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unit 200 (step S20).

이 후, 상기 판단부(3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각각 분류되어 저장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 또는 가장 유사한 정보를 상기 저장된 정보에서 선택한다(단계 S30). Thereafter, the determination unit 300 compares the information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with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stores the same information or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as the input information. It selects from information (step S30).

그리하여, 상기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창문을 개방한다(단계 S40). 다만, 이 경우 창문의 개방은 차량의 내부의 바람의 풍향, 풍속 및 풍량을 미치는 요소가 창문의 개방이라는 요소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을 가정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의 바람은 차량의 속도, 창문의 개수, 차량 내부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 창문의 개방 정도 등에 의해 가변적이지만, 다른 조건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창문의 개방 정도만 변화한다고 가정한다. Thus, the window is opened based on the selected information (step S40). However, in this case, it is assumed that the opening of the window is affected only by the factor of the opening of the window, which affects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volume of the wind inside the vehicle.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vehicle, the number of windows, the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s, etc., but other conditions are kept constant. It is assumed that only the degree of openness changes.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30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정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 Mor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exists in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31).

그리하여, 동일한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다른 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 즉 차량의 속도가 동일하게 유지되고, 차량의 내부의 에어컨이나 공조기에 의한 에어컨디셔닝이나 송풍 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경우 등이라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상기 동일한 정보에서의 창문 개방 정도와 동일하게 차량의 창문을 개방한다(단계 S41). Thu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ame information exists, if other conditions of the vehicle remain the same, that is, the speed of the vehicle is kept the same, and the air conditioning or blowing conditions by the air conditioner or air conditioner inside the vehicle are kept the same. If the case is the case,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ed equal to the degree of window opening in the sam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41).

이와 달리, 상기 판단부(300)에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단계 S31), 가중치를 고려하거나(단계 S32), 또는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단계 S33),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존재하는 정보들 중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한다. In contrast, in the determination unit 300, when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database unit 100 (step S31), a weight is considered (step S32), or a similarity function By applying (step S33),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existing in the database unit 100 is selected.

그리하여, 상기 가장 유사한 정보를 바탕으로, 마찬가지로 차량 내부의 바람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상기 차량의 창문을 개방한다(단계 S42). Thus, based on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assuming that other factors affecting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re constant,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ed (step S42).

이 경우, 상기 가중치 연산부(310)에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단계 S32), 및 상기 유사도 연산부(320)에서,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방법(단계 S33)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In this case, in the weight calculation unit 310, a method of selecting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weights fo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step S32), and in the similarity calculation unit 320,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applied by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The method of selecting information (step S33) is the same as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us, a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이상과 같이, 동일한 정보 또는 유사한 정보로, 차량의 창문을 개방하게 되면(단계 S40), 창문의 개방과 함께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바람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을 가지는 바람이 제공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ed with the same information or similar information (step S40), the wind has the same or most simila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s the wind selected by the user inside the vehicle with the opening of the window. Can be provided.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출력부(60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선택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00)에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내부에서 구현이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으며(단계 S50), 사용자는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풍향, 풍속 및 풍량을 선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is embodiment,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an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100 through the user output unit 600,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inside the vehicle are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provided (step S50), and the user can select a new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ased on this.

나아가, 차량의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다른 조건, 예를 들어, 창문의 개수, 차량의 내부의 에어컨디셔닝 또는 송풍 상태 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라면, 차량의 속도 변화로 인해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선택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풍향, 풍속 및 풍량을 그대로 유지하기 위해, 즉 상기 판단부(300)에서의 선택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가 추가로 조절될 수 있다(단계 S60). Furthermore, if the vehicle speed changes, other conditions, for example, the number of windows, air conditioning or ventilation conditions inside the vehicle are kept constant, the wind direction inside the vehicle due to the vehicle speed change, Wind speed and air volume will change.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maintain the same or most similar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as the user's selection, that is, to maintain selection information in the determination unit 300, when the vehicle speed changes, the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may be additionally adjusted (step S60).

그리하여, 사용자는 차량의 속도 변화와 무관하게, 기 선택된 풍향, 풍속 및 풍량과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상태로 차량 내부에서 바람을 느낄 수 있다. Thus, the user can feel the wind inside the vehicle in a state that is the same as or most similar to the previously selected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vehicle spe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창문의 개방 정도에 따라 차량 내부에서의 풍향, 풍속 및 풍량은 변화하는데, 같은 개방 정도에서도 차량의 속도 등의 환경에 따라 풍향, 풍속 및 풍량이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와 동일 또는 가장 유사한 정보의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provided in the vehicle. Even at the same degree of open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etc. And the air volume varies. Accordingly,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n optimal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the same or most similar to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특히,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차량 내부의 바람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환경 정보로서 차량의 외형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는 물론, 창문의 개수, 창문별 개방 정도, 차량의 속도 등도 고려함으로써, 풍향, 풍속 또는 풍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보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can be adjusted to maintain the sam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as environmental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exterior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as well as the number of windows, opening by window By taking into account the degre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nsider all of the various information affect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이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중치를 고려하거나 유사도 함수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바람을 선택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does not exist, the user can select and provide an optimal wish desired by the user by considering a weight or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또한, 다양한 환경 정보를 바탕으로, 구현 가능한 풍향, 풍속 또는 풍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that can be implemented based on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the user, more various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user so that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can be select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바람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내부 바람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실내의 풍향, 풍속 또는 풍량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system and the vehicle interior wi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dustrial applicability that can be used to control the interior wind direction, wind speed, or air volume of the vehicle.

10 : 바람 제어 시스템 100 : 데이터베이스
110 : 창문 정보 입력부 120 : 차량 정보 입력부
130 : 바람 정보 입력부 140 : 정보 분류부
200 : 사용자 입력부 300 : 판단부
310 : 가중치 연산부 320 : 유사도 연산부
400 : 창문 개방부 500 : 추가 조정부
600 : 사용자 출력부
10: wind control system 100: database
110: window information input unit 120: vehicle information input unit
130: wind information input unit 140: information classification unit
200: user input unit 300: determination unit
310: weight calculation unit 320: similarity calculation unit
400: window opening 500: additional adjustment unit
600: user output

Claims (21)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부;
필요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에서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을 개방하는 창문 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는지 우선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동일한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중치를 고려하거나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가중치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 각각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한 결과를 비교하여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유사도 함수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 각각에 대한 유사도 함수의 연산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A database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a window of a vehicle, information on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vehicle speed, classifying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into a database;
A user input unit for inputting necessar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A determination unit that selects, from the database unit, information identical to or most similar to the inputted information; And
Includes a window opening for opening the window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The determination unit first determines whether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put information exists i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database unit,
If the same information does not exist, the determination unit selects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by considering a weight or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In the case of judging by the weigh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y the weight,
When determining as the similarity function,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similarity function for each of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 개방부에서 개방된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추가 조정을 수행하는 추가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ind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adjustment unit for performing additional adjustment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opened in the window open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조정부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dditional adjustment unit,
Wind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o maintain the selected information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base unit,
Wind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on the exterior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is additionally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창문의 개수, 및 각 창문별 개방 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Wind control system compris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e windows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는,
상기 차량 내부로 바람이 제공되는 상황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미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Wind control system comprising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wind is provided into the vehicle, and is stored in the database in advan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의 개수, 상기 각 창문별 개방 정도, 및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tabase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for each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windows, the degree of opening for each window,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classifying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Wind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에 의해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구현이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ind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ing a user output unit for displaying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based on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determination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기 전에, 구현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우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 output unit,
Before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are first displayed.
차량의 창문에 대한 정보,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 및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하는 단계;
필요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입력된 정보가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정보로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동일하거나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서 분류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풍향 및 풍속에 대한 가중치를 고려하거나 유사도 함수를 적용하여 가장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가중치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 각각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한 결과를 비교하여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유사도 함수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풍향, 풍속 및 풍량 각각에 대한 유사도 함수의 연산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window of the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wind inside the vehicle, and information about the speed of the vehicle in a database unit;
Inputting necessary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Selecting, from the database unit, information having the same or most similar input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opening a window with the selected information,
In the step of storing in the database unit,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inside the vehicle are classified,
In the step of selecting the same or most similar information, from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formation classified by the databas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formation is the same as the input information,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nformation is not the same,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e The mos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y considering the weight of the data or applying a similarity function,
In the case of judging by the weight,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y comparing the result of multiplying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by the weight,
When it is determined as the similarity function, similar information is selected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similarity function for each of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바탕으로, 추가 조정이 수행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ind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n additional adjustment based on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조정이 수행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창문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further adjustment is performed,
Wind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djust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to maintain the selected information as the speed of the vehicle chang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외형 디자인 또는 내부 디자인에 대한 정보가 추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in the storing of the database unit,
Wind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on the exterior design or interior design of the vehicle is additionally inpu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차량 내부로 바람이 제공되는 상황에 따른,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에 대한 정보가 미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창문의 개수, 및 각 창문별 개방 정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바람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창문의 개수, 상기 각 창문별 개방 정도, 및 상기 차량의 속도에 대한 각각의 조합에 대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oring in the database unit comprises:
Storing, as information on wind inside the vehicle, information o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according to a situation in which wind is provided into the vehicle in advance in the database unit;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indows and the degree of opening of each window;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wind inside the vehicle, for each combination of the number of windows, the degree of opening for each window,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classifying information on the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air volume inside the vehicle Wind control method comprising the step.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속도를 고려하여 구현이 가능한 풍향, 풍속 및 풍량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information, the wind control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wind volume inform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speed of the vehicl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풍향에 제1 가중치를 곱하고, 상기 풍속에 제2 가중치를 곱하고, 상기 풍량에 제3 가중치를 곱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은 모두, 0 < 제1 가중치, 제2 가중치, 제3 가중치 < 100% 이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가중치들의 합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weight is
Multiplying the wind direction by a first weight, multiplying the wind speed by a second weight, and multiplying the air volume by a third weight,
All of the first to third weights are 0 <the first weight, the second weight, and the third weight <100%,
Wind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of the first to third weights is 10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함수는,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3

식 (1)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4

식 (2)

여기서,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5
는 풍향 유사도 함수,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6
는 제1 바람의 방향벡터,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7
는 제2 바람의 방향 벡터이고, 상기 방향 벡터의 크기는 모두 1로 정규화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8
는 풍속 유사도 함수,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9
는 제1 바람의 풍속,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0
는 제2 바람의 풍속,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1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2
의 한계값이며,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3
는 분수의 분모에 위치하므로, 그 값이 0일 경우 정의되지 않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무한소로 대치하며,
풍향에 대한 유사도는 식 (1), 풍속에 대한 유사도는 식 (2)로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 제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imilarity function is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3

Equation (1)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4

Equation (2)

here,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5
Is the wind direction similarity function,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6
Is the first wind direction vector,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7
Is the direction vector of the second wind, and the magnitudes of the direction vectors are all normalized to 1,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8
Is the wind speed similarity function,
Figure 112020029469736-pat00029
Is the wind speed of the first wind,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0
Is the wind speed of the second wind,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1
silver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2
Is the limit value of
Figure 112020029469736-pat00033
Is located in the denominator of the fraction, so if its value is 0, it is replaced with infinitesimal to avoid undefined problem,
Wind contro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imilarity to the wind direction is calculated by equation (1), and the similarity to wind speed is calculated by equation (2).
KR1020180129045A 2018-10-26 2018-10-26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KR102142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45A KR102142884B1 (en) 2018-10-26 2018-10-26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045A KR102142884B1 (en) 2018-10-26 2018-10-26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56A KR20200047056A (en) 2020-05-07
KR102142884B1 true KR102142884B1 (en) 2020-08-10

Family

ID=7073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045A KR102142884B1 (en) 2018-10-26 2018-10-26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8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116B1 (en) * 2020-09-28 2023-06-27 김민재 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on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216A (en) 2004-11-10 2006-06-01 Nissan Motor Co Ltd Vehicular air-conditioner
KR101393863B1 (en) * 2008-09-0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vehicle
WO2015060244A1 (en) * 2013-10-23 2015-04-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Cabin environment control system, cabin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cabin environment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654A (en) 2014-09-12 2016-03-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defogging of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7216A (en) 2004-11-10 2006-06-01 Nissan Motor Co Ltd Vehicular air-conditioner
KR101393863B1 (en) * 2008-09-0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vehicle
WO2015060244A1 (en) * 2013-10-23 2015-04-30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Cabin environment control system, cabin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cabin environment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056A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5232C2 (en) Vehicle driver identification
US98091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bjective command control of vehicle systems
US11027745B2 (en) Indirect vehicle parametrization via user profiles
US10320354B1 (en) Controlling a volume level based on a user profile
CN104842741B (en)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JP2011503638A (en) Improvement of free conversation command classification for car navigation system
US20200043485A1 (en) Dynamic adjustment of response thresholds in a dialogue system
KR102142884B1 (en) Wind control system inside a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nd using the same
US1019869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verting user input accurately to a particular system function
RU2704746C2 (en) Dynamic acoustic model for vehicle
US20220108703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619304A (en) Control method and system of vehicle air conditioner and vehicle
JP4640178B2 (en) Air conditioner control device and air conditioner control method
CN114880569A (en) Recommend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ehicle, electronic equip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0029537B2 (en) Cabin environment control system, cabin environment control method, and cabin environment control program
CN113931550B (en) In-vehicle temperature adjustment method, in-vehicle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P1699041A1 (en) Device control device and device control method
CN111306720B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air conditioner parameters
JP4503310B2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device
CN114091336A (en) Air conditioner adjusting method and device, vehicle and storage medium
CN114299929A (en) Voice interaction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CN114550713A (en) Dialogue system, vehicle, and dialogue system control method
JP7392827B2 (en) Speech recognition device and speech recognition method
CN112985446A (en) Automatic adjustment algorithm for vehicle navigation volume
CN114103849A (en) Vehicle control method, device, vehicl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