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50B1 -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 Google Patents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50B1
KR102142850B1 KR1020180119486A KR20180119486A KR102142850B1 KR 102142850 B1 KR102142850 B1 KR 102142850B1 KR 1020180119486 A KR1020180119486 A KR 1020180119486A KR 20180119486 A KR20180119486 A KR 20180119486A KR 102142850 B1 KR102142850 B1 KR 10214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nanoparticles
solution
nanoparticles
gold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9909A (ko
Inventor
박원철
이채동
김훈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80119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8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39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B22F1/0044
    • B22F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7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particles having a nanoscale micro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6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a non-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금 전구체 용액에 제1환원제를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시드입자 용액에 제2환원제를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에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S3); 및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를 3000 rcf 내지 6000 rcf로 원심분리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METHOD FOR SYNTHESIZING GOLD NANOPARTICLES}
본 발명은 크기 조절이 간편하고 분산성이 향상된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나노 크기를 가지도록 제조되는 입자는 다양한 산업상 응용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바이오 센서 분야에서 폭넓은 적용이 기대되고 있는 소재이다. 특히, 플라즈모닉(plasmonic) 나노입자는 국소표면플라즈몬공명(LSPR), 표면증강라만산란(SERS) 등의 생체분자검출 기술 분야에 있어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는 외부에서 입사한 전자기파에 의해 나노입자의 근처에서 표면 플라즈몬 산란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입자이다. 이러한 표면 플라즈몬 산란 현상은 굴절률의 변화, 분자의 흡착 등 나노입자의 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감지 대상 물질에서 나오는 신호를 증강하여 강한 신호를 방출하여 기존 센싱 기술의 최소검출한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플라즈모닉 나노입자를 센싱 기술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유도해야 한다.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은 나노 입자의 크기와 형태(morphology) 등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센싱 기술에 응용하기 적합한 나노입자의 구조 설계는 상당히 중요하고 이를 재현성있게 대량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금속물질은 나노미터 단위로 크기가 작아지면 기존 벌크(bulk) 상태와는 전혀 다른 물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게 된다. 금속물질 중, 금(gold) 나노입자는 벌크 상태일 때와 다른 플라즈몬 공명이라는 독특한 광학적 현상을 일으키며, 상기 플라즈몬 공명 현상은 나노입자의 크기, 모양, 종횡비 등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금 나노입자는 금 자체의 생체 독성이 낮기 때문에, 센싱 기술에 응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이에 여러 가지의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이 제안되었다(한국공개특허 제2009-0077530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077452호).
상기 금 나노입자는 수계 혹은 유기용매에서 합성 가능하며, 수계 합성법에서는 사용하는 환원제와 표면리간드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비율을 조절하여 나노입자의 크기와 형상 제어가 가능하다. 나노입자의 합성과 성장 과정에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와 환원제 등은 일반적으로 원심분리법, 필터여과법, 투석법 등을 통해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금 나노입자가 비가역적으로 뭉쳐 고유의 광학적 특성을 잃는 경우가 발생하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에 따라, 개개의 나노입자가 뭉치지 않고 분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표면 리간드를 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형의 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수십 나노미터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고, 장기간 보관에도 뭉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금 나노입자의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하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금 전구체 용액에 제1환원제를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시드입자 용액에 제2환원제를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에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S3); 및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를 3000 rcf 내지 6000 rcf로 원심분리하는 단계(S4).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상기 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직경은 1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 상기 금 전구체 용액은 염화금산(HAuCl4)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S1 단계의 제1환원제는 시트르산삼소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S2 단계의 제2환원제는 메르캅토석시네이트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S2 단계에서, 시드입자 용액은 제2환원제의 부피에 대하여 0.3 내지 10 부피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S3단계에서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은 금 나노입자의 부피에 대하여 0.01 내지 0.20 부피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로,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는 -30mv 내지 -60mv의 표면 음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로, 상기 금 나노입자는 10 내지 200n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은, 금 나노입자 시드입자 용액에 환원제로 메르캅토석시네이트를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성장시킴으로써, 금 나노입자 크기 조절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이용하여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을 통해, 표면 코팅에 의해 표면 음전하가 강화되어 분산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드입자 용액의 부피에 따라 금 나노입자의 성장 크기가 변화한 것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성장이 조절된 금 나노입자들의 크기에 따른 흡광 파장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각 크기 별 금 나노입자들의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80nm 크기로 성장한 금 나노입자의 표면 처리 유무에 따른 원심분리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크기별 금 나노입자들이 원심분리 후 원래 부피로 복원되었을 때의 흡광값을 UV-Vis 장비로 측정한 것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표면 코팅 전(붉은 실선)과 코팅 후(초록 실선)의 나노입자 표면 전하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종래 금 나노입자 합성에서는 수산화소듐(NaOH), 수소화붕소소듐(NaBH4) 등의 강한 염기성 환원제를 이용하여 금 나노 시드입자를 추가적으로 성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강한 염기성 환원제를 사용할 경우, 상기 염기성 환원제가 정제과정에서 충분히 제거되지 않으면 추후 활용 과정에서 환경 및 생체 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또한 나노입자의 분산 강화를 위해 CTAB, SDS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정제 이후에도 잔존하여 생체 독성을 유발하는 문제도 발견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술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중성 염의 일종인 메르캅토석시네이트(mercaptosuccinate)를 환원제로 사용하여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범위에서 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조절하고, 반복적인 원심분리 과정에서도 뭉침 없이 완벽하게 복원되도록 시트르산삼소듐(trisodium citrate)으로 표면을 코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을 제공한다:
금 전구체 용액에 제1환원제를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시드입자 용액에 제2환원제를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에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S3); 및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를 3000 rcf 내지 6000 rcf로 원심분리하는 단계(S4).
본 발명에서, 상기 방법에 의해 합성된 금 나노입자의 직경은 20 내지 2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합성 방법에 따른 금 나노입자는 20 내지 200 nm의 범위 내에서 세밀하게 크기가 조절되어, 사용하고자하는 용도에 맞게 제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30 내지 80 nm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1 단계에서는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성장 전의 씨앗 용액에 해당하는 시드 입자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금 전구체 용액은 염화금산(HAuCl4) 용액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염화금산 외에도, AuCl, AuCl3, Au4Cl8, KAuCl4, NaAuCl4, NaAuBr4, AuBr3, AuBr, AuF3, AuF5, AuI, AuI3, KAu(CN)2, Au2O3, Au2S, Au2S3, AuSe, Au2Se3, AuTe2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 전구체가 사용될 수 있다. 금 전구체 용액에 제1환원제를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데, 상기 제1환원제는 시트르산삼소듐을 이용할 수 있고, 시트르산삼소듐 외에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아스코르브산, 하이드록실아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S2 단계의 제2환원제는 메르캅토석시네이트 용액을 사용한다. 상기 메르캅토석시네이트는 기존에 사용되는 환원제보다 약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기에 2-mercaptosuccinic acid와 수산화소듐(NaOH)을 넣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S2 단계에서 제2환원제를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에 존재하는 금 이온을 환원시켜줌으로써 금 나노입자를 성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시드입자 용액의 부피를 조절하여 금 나노입자의 크기를 세밀하게 조절이 가능하며, 제2환원제의 부피에 대하여 0.43(1.3/3) 내지 3.33(10/3) 부피비로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S3 단계에서는 S2 단계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하여, 분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표면 코팅을 위해서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사용하며, 상기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은 금 나노입자의 부피에 대하여 0.01 내지 0.20 부피비로 첨가되어, 금 나노입자의 표면 전하를 조절하여 분산성을 유지함으로써 반복적인 원심분리 과정에서도 뭉침 없이 완벽하게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는 -30mv 내지 -60mv의 표면 음전하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S4 단계에서는 원심분리를 통해 환원제를 제거하여 정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는 3000 rcf 내지 6000 rcf로 원심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00 rcf 미만의 회전력으로 원심분리할 경우, 환원제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추후 사용시 체내 독성 등을 유발할 수 있고, 6000 rcf를 초과한 회전력으로 원심분리될 경우 과도한 원심력에 의한 나노입자 뭉침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합성 방법을 통해 합성된 금 나노입자로, 20 내지 200nm의 직경을 갖는 금 나노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합성 방법을 통해 제조된 금 나노입자는 -30mv 내지 -60mv의 표면 음전하를 가지는 바, 금 나노입자가 고유의 광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싱 기술 등에 유용하게 이용가능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시드입자 용액의 제조
본 실시예 1에서는 금 나노입자의 제조를 위해,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먼저, 100 mL 용량 둥근바닥플라스크에 47.5 mL 증류수와 0.005 M HAuCl4 2.5 mL를 첨가하고 교반해주면서 95 ℃로 가열해주었다. 용액의 온도가 95 ℃에 이르면 제1환원제로 1 wt.% 시트르산삼소듐(trisodium citrate) 용액 1.75 mL를 첨가한 다음, 20분 동안 가열을 유지하여 주었고, 용액의 색깔이 맑은 노란색에서 검푸른 색을 거쳐 주홍색으로 서서히 변화하였다. 이후 용액을 식혀 시드 입자 용액을 제조한 다음, 정제하지 않고 다음 성장 반응에서 시드입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금 나노입자 제조
금 나노입자의 제2환원제 역할인 0.01 M 2-mercaptosuccinate 용액을 다음과 같이 미리 준비하였다.
250 mL 용량 비이커에 1 mmol 2-mercaptosuccinic acid와 2 mmol NaOH를 넣고 증류수를 첨가하여 100 mL 눈금까지 채운 뒤 교반하여 잘 녹여주었다. 이를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사용하였다.
200mL의 증류수에서 금 나노입자의 성장에 필요한 제2환원제(3mL)와 금 전구체 용액(5mL)의 양을 고정하고, 첨가되는 시드입자 용액의 부피를 조절하면 이에 반비례하여 하기 표 1 과 같이 나노입자의 성장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시드입자 용액 부피 20mL 10mL 5mL 3mL 1.4mL 1.3mL
누적 결과 26.90 38.80 48.90 55.90 67.60 78.70
30.00 40.50 49.60 58.10 69.00 79.20
30.20 41.50 49.90 58.20 69.10 79.50
31.30 41.50 50.10 58.50 71.20 79.60
31.70 41.60 50.20 58.60 72.30 79.70
32.10 41.90 50.30 58.90 73.50 80.10
평균 직경 30.37 40.97 49.83 58.03 70.45 79.47
표준편차 1.89 1.16 0.52 1.08 2.25 0.48
500 mL 용량 비이커에 200 mL 증류수와 특정 부피의 1.3, 1.4, 3, 5, 10 및 20 mL의 시드입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해주었다.
앞서 준비한 0.01 M mercaptosuccinate 용액 3 mL 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0.01 M HAuCl4 5 mL 를 첨가한 뒤 12 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해주었고, 시드입자 용액의 부피에 따른 금 나노입자의 성장 크기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드입자 용액 부피가 증가함에 따라 금 나노입자의 크기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조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를 자외선가시광선분광기(UV-Vis spectrometer)를 통해 확인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금 나노입자는 시료 내 크기가 균일할수록 흡광 그래프의 폭이 좁아지고, 그 크기가 커질수록 흡광 영역이 장파장대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본 실시예에서 성장시킨 금 나노입자는 측정된 크기 값과 흡광 파장값이 비례관계를 보이는 것이 확인되어, 시료 내 크기가 균일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금 나노입자를 크기별로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 확인하여 도 3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동일한 배율에서 각 시료의 나노입자를 관찰하였고, 나노입자들의 성장 양상과 입자간 균일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금 나노입자의 표면 코팅 및 정제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를 대상으로 분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코팅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 용액에 용액의 부피 10%에 해당하는 부피만큼 1wt.% trisodium citrate 용액을 첨가한 후, 4시간 동안 교반해주었다.
상기 교반이 완료된 용액을 50 mL 용량의 conical tube에 40 mL 가량 채우고 6000 rcf(30 nm) 또는 3000 rcf(80 nm) 로 15분간 원심분리해주었다. 원심분리가 끝나면, 각 튜브를 빼낸 뒤 수직으로 세워 5분 동안 가만히 두어 기울어진 벽면의 금 나노입자 침전 층이 원심분리 튜브의 뾰족한 끝으로 흘러내리도록 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원하는 부피만큼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의 합성을 완료하였다.
실시예 4. 금 나노입자의 표면 코팅 처리 유무에 따른 결과 확인
본 실시예 4에서는 금 나노입자의 표면 코팅 처리에 의한 나노입자 용액의 모습을 확인하였다. 실시예3에서, 비교를 위해 시트르산삼소듐 용액 처리를 하지 않아 표면이 처리되지 않은 금 나노입자도 제조하였다.
합성된 금 나노입자 용액(80nm로 성장한 금 나노입자)을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시트르산삼소듐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푸른 원으로 강조된 부분에서처럼 원심분리 튜브의 각진 부분에 심하게 뭉친 나노입자들이 대량 발견되고, 외부 자극을 주어 복원하더라도 고유의 붉은색을 보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표면 코팅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도 4의 오른쪽 그림에서 보이는 농도 차이만큼 나노입자의 손실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시트르산삼소듐 표면처리 여부에 따라 각 크기별 금 나노입자들이 원심분리 후 원래 부피로 복원되었을 때의 흡광값을 UV-Vis 장비로 측정하여 도 5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르산삼소듐을 처리하지 않은 나노입자와 처리한 나노입자를 각각 원심분리하여 농축한 다음, 잔여물이 함유된 상층액을 제거하고 증류수를 이용하여 원래 부피로 복원하여 각각의 max 위치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ax 위치는 도 2에서의 크기에 따른 최대 흡광이 일어나는 파장대를 의미한다.
즉, 표 2의 각 값이 의미하는 것은 citrate 표면 처리 없이 나노입자를 원심분리법으로 정제할 경우 뭉침에 의해 분산 특성을 상실하는 나노입자들에 의한 손실이 발생하며, 도 5를 볼때 이는 나노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더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금나노입자 크기 표면처리한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 표면처리하지 않은 금 나노입자의 흡광도
30nm 0.964 ±0.014 0.551 ±0.011
40nm 0.976 ±0.012 0.632 ±0.022
50nm 0.951 ±0.015 0.627 ±0.017
60nm 0.941 ±0.016 0.446 ±0.060
70nm 0.932 ±0.008 0.326 ±0.013
80nm 0.925 ±0.020 0.296 ±0.012
표 2. OD 금 나노입자 원액의 원심분리 정제 후 복원 용액의 흡광도 분석
또한, 표면 코팅에 따른 표면 전하를 zeta potential 분석(zetasizer)을 통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으며, 각 그래프의 붉은 실선은 citrate 코팅 전 나노입자의 표면 전하량이고, 초록 실선은 citrate 코팅 이후의 표면 전하량을 의미하는 것이다. 합성 직후의 나노입자는 약한 음전하(30 nm, -10mv) 또는 약한 양전하(80nm, +20mv)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citrate 코팅 이후에는 모두 강한 음전하를 갖게 됨으로써(30nm, -50mv // 80nm, -40mv) 입자간 반발력이 강해지고 이로 인해 수용액에서의 분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금 나노입자는 강한 표면 음전하에 따라 높은 분산성을 가지는 바, 금 나노입자가 고유의 광학적 특성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싱 기술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9)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방법:
    염화금산(HAuCl4)을 포함하는 금 전구체 용액에, 제1환원제로서 시트르산삼소듐(trisodium citrate)을 첨가하여 시드입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S1 단계의 시드입자 용액에 제2환원제로서 메르캅토석시네이트(mercaptosuccinate) 용액을 첨가하여, 금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금 나노입자에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코팅하는 단계(S3); 및
    상기 S3 단계에서 표면이 코팅된 금 나노입자를 3000 rcf 내지 6000 rcf로 원심분리하는 단계(S4)를 포함하고,
    상기 메르캅토석시네이트 용액은 mercaptosuccinic acid 에 NaOH 를 첨가하여 제조한 중성염이며,
    상기 S2 단계에서, 시드입자 용액은 메르캅토석시네이트 용액의 부피에 대하여 0.43 내지 3.33 부피비로 첨가되며,
    상기 S3단계에서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은 금 나노입자의 부피에 대하여 0.01 내지 0.20 부피비로 첨가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금 나노입자를 3000 rcf 또는 6000 rcf로 원심분리하고,
    상기 S2 단계에서, 시드입자 용액은 메르캅토석시네이트 용액의 부피에 대하여 0.43 부피비로 첨가되며,
    상기 S3단계에서 시트르산삼소듐 용액은 금 나노입자의 부피에 대하여 0.1 부피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방법으로 합성된 금 나노입자로,
    상기 금 나노입자는 40 내지 80 nm의 직경을 가지고, -40 mv 내지 -50 mv 의 표면 음전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 나노입자.
KR1020180119486A 2018-10-08 2018-10-08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KR10214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486A KR102142850B1 (ko) 2018-10-08 2018-10-08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486A KR102142850B1 (ko) 2018-10-08 2018-10-08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09A KR20200039909A (ko) 2020-04-17
KR102142850B1 true KR102142850B1 (ko) 2020-08-10

Family

ID=7046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486A KR102142850B1 (ko) 2018-10-08 2018-10-08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28302B (zh) * 2021-01-04 2022-03-04 吉林建筑大学 一种齿轮状金纳米颗粒的合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6513A2 (en) 2012-01-31 2013-08-08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Auc) Direct detection of disease biomarkers in clinical specimens using cationic nanoparticle-based assays & versatile and green methods forsynthesis of anisotropic silver nanostructures
KR101354647B1 (ko) 2012-10-16 2014-02-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순차적인 리간드 도입을 통한 나노입자의 표면 전하 조절방법
CN103945966A (zh) 2011-09-23 2014-07-23 南洋理工大学 用于在基底上形成金纳米线的方法及由该方法形成的金纳米线
US20170189560A1 (en) 2016-01-03 2017-07-06 Bar-Ilan University Glucose conjugated gold nanopart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45966A (zh) 2011-09-23 2014-07-23 南洋理工大学 用于在基底上形成金纳米线的方法及由该方法形成的金纳米线
WO2013116513A2 (en) 2012-01-31 2013-08-08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Auc) Direct detection of disease biomarkers in clinical specimens using cationic nanoparticle-based assays & versatile and green methods forsynthesis of anisotropic silver nanostructures
EP2810067A2 (en) 2012-01-31 2014-12-10 American University of Cairo (AUC) Direct detection of disease biomarkers in clinical specimens using cationic nanoparticle-based assays&versatile and green methods forsynthesis of anisotropic silver nanostructures
KR101354647B1 (ko) 2012-10-16 2014-02-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순차적인 리간드 도입을 통한 나노입자의 표면 전하 조절방법
US20170189560A1 (en) 2016-01-03 2017-07-06 Bar-Ilan University Glucose conjugated gold nanoparticl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ao Zhu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 with 2-Mercaptosuccinic Acid", Langmuir 2003(19), pp 9518-95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909A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kamwar et al. Biosynthesis of gold and silver nanoparticles using Emblica officinalis fruit extract, their phase transfer and transmetallation in an organic solution
Zou et al. Seed-mediated synthesis of branched gold nanoparticles with the assistance of citrate and their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properties
Contreras-Caceres et al. Growing Au/Ag nanoparticles within microgel colloids for improved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detection
JP5327877B2 (ja) 金属ナノ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金属ナノ材料
US20080089839A1 (en) Preparation of Stable High Concentration Coloidal Metal Particulate System
Susilowati et al. Green synthesis of silver-chitosan nanocomposite and their application as antibacterial material
Bunge et al. Correlation between synthesis parameters and properties of magnetite clusters prepared by solvothermal polyol method
Li et al. Synthesis and stability evaluation of size-controlled gold nanoparticles via nonionic fluorosurfactant-assisted hydrogen peroxide reduction
Kim et al. Synthesis of silver nanoplates with controlled shapes by reducing silver nitrate with poly (vinyl pyrrolidone) in N-methylpyrrolidone
Maity et al. Stability and binding interaction of bilirubin on a gold nano-surface: steady state fluorescence and FT-IR investigation
Haque et al. Formation and stability study of silver nano-particles in aqueous and organic medium
KR20160053352A (ko) 다기능성 고분자와 환원제를 이용한 금속나노입자의 제조방법
WO2004078641A1 (en) Metal nano-particles coated with silicon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77043A2 (en) A method of synthesizing branched gold nanoparticles with controlled size and branches and branched gold nanoparticles thereby obtained
Politi et al. Oligopeptide–heavy metal interaction monitoring by hybrid gold nanoparticle based assay
KR102142850B1 (ko) 금나노입자의 합성 방법
Zhang et al. Colloidal silver deposition onto functionalized polystyrene microspheres
JP2018127699A (ja) シリカ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分散性金ナノロッドの合成方法及び合成された金ナノロッドの分散液
WO2011005916A1 (en) Nanoparticle compositions comprising a lipid bilayer and associated methods
CN113084192A (zh) 一种常温下一步合成金纳米星的方法
KR101484773B1 (ko) 금 나노입자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Sadeghi et al. Effects of protective agents (PVA & PVP) on the form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CN113059177A (zh) 一种金/银/金核壳结构的纳米粒子及其合成方法
Roh et al. Fast preparation of citrate-stabilized silver nanoplates and its nanotoxicity
KR20090093702A (ko) 금속-금속산화물 이종접합 나노입자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