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31B1 -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31B1
KR102142731B1 KR1020140155166A KR20140155166A KR102142731B1 KR 102142731 B1 KR102142731 B1 KR 102142731B1 KR 1020140155166 A KR1020140155166 A KR 1020140155166A KR 20140155166 A KR20140155166 A KR 20140155166A KR 102142731 B1 KR102142731 B1 KR 10214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er
door
checker arm
arm
eff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5422A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31B1/en
Publication of KR2016005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5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05C17/2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 E05C17/203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 E05C17/20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sliding through a guide concealed, e.g. for vehicles with elastomeric springs to hold wing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ing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도록 된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checker for a vehicle, and provides an effort-adjustable door checker that allows a vehicle user himself to control the checker effort, which is a force required when a vehicle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several steps through simple manipulation. It has a main purpos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hecker arm, the housing fixed to the door and the rollers on both sides of the roller assembly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the housing adapted to press the checker arm,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e rotation of the checker arm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 door checker for a vehicle including a hinge assembly for supporting a checker arm to a vehicle body so as to be possible, wherein the checker arm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assembly and the door is opened on each side of the checker arm compressed by the both rollers. A curved groove surface and a protruding surface for regulating the position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cker arm, and between each side of the checker arm, on which the two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on the cross section of the checker arm, and the opposite side. The cross section width is different from the cross section width between another surface on which both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so that the checker arm effort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adjusted by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Disclosed is an eff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been made.

Description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Epport adjustable door checker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obile door chec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obile door checker that allows a vehicle user to control the checker effort, which is a force required when a vehicle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in several steps through simple manipulation. will b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는 차체에서 소정 각도까지 열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차체와 도어 사이에는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 힌지와 도어 체커가 설치된다.In general, the door of a vehicle is designed to be opened to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vehicle body, and a door hinge and a door check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re installed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door.

상기 도어 힌지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자중으로 인한 도어 처짐을 방지하면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도록 하는 도어 개폐 기능을 담당하고, 도어 개폐를 용이하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The door hinge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rotating the door around the hinge axis while preventing the door from sagging due to its own weight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door, and facilitate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o improve passenger convenience.

또한, 도어의 최대 열림각도를 도어 체커로 규제하고 있는데, 상기 도어 체커는 차체와 도어 사이에서 도어 개폐시의 절도감을 제공하면서 도어가 정해진 각도만큼 열려 있도록 하는 홀드 기능과 완전히 열렸을 때 멈추게 하는 스토퍼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maximum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regulated by a door checker. The door checker provides a theft feeling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door, and a hold function that allows the door to be open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topper function that stops when the door is fully opened Gives

자동차의 도어는 도어 체커의 홀드 기능에 의해 최대가 아닌 중간 정도로 열려 있는 상태에서 승객의 승하차 등이 방해를 받지 않도록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 체커가 도어의 열림정도 및 각도를 규제하므로 도어가 임의로 더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The door of the car maintains the open state so that passengers' loading and unloading are not disturbed by the door checker's hold function, and the door checker regulates the door's opening degree and angle. It will not open or close arbitrarily.

이와 같이 도어 체커는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최대 열림각도)에서 더 이상 열리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면서도 도어의 개폐시에 바람이나 경사진 도로에서의 자중으로 인해 도어가 원하지 않게 닫히거나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 닫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checker acts as a stopper that no longer opens when the door is completely opened (maximum opening angle), but prevents the door from being closed or opened undesirably due to wind or sloping road weight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door closing.

상기 도어 체커(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굴곡진 홈면(11a)과 돌출면(11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체커암(10)과, 스프링(12a)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12b)가 내장되어 롤러를 통해 체커암(10)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12)과, 체커암(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14), 그리고 체커암(10)의 타단부를 차체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브라켓(15) 및 힌지핀(16)을 포함한다.The door checker 1,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upper and lower curved groove surface (11a) and the protruding surface (11b) repeatedly formed checker arm (10) and spring (12a) A roller assembly 12b elastically supported by a built-in is fixed to the door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cker arm 10 through a roller, and the housing 12 moves together with the door, and at one end of the checker arm 10 It is provided with a stopper 14 for setting the maximum opening position of the door by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2, and the hinge bracket 15 and the hinge pin 16 hinged to the other end of the checker arm 10 to the vehicle body It includes.

이때,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해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checker arm 10 is inserted and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3 of the housing 12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oor panel.

따라서, 도어의 개폐시에 롤러 어셈블리(12b)의 롤러가 체커암(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12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 어셈블리(12b)가 홈면(11a)에 밀착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roller of the roller assembly 12b slides alo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ecker arm 10, and the roller assembly 12b is attached to the groove surface 11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a. By being in close contact, the open state of the door can be maintained.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어 닫힘시, 도어 1단 열림시, 도어 2단 열림 상태시, 도어 3단(full) 열림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checker operation state, when the door is closed,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first stage,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second stage, and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third stage (full).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게 되면, 도어측에 고정된 하우징(도 1에서 도면부호 12임) 및 그 내부의 스프링(12a), 롤러 어셈블리(12b)가 차체측에 고정된 체커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대 병진운동을 하게 되고, 체커암(10)은 힌지브라켓(15)에 대해 힌지핀(16)을 중심으로 하여 상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As shown, when the vehicle user opens the door, a checker arm fixed to the housing side (the reference numeral 12 in FIG. 1) and the spring 12a and the roller assembly 12b fixed to the door side are fix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e relative translational motion is per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 and the checker arm (10) moves relative to the hinge bracket (15) around the hinge pin (16).

이때, 체커암(10)이 롤러 어셈블리(12b)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스프링 장력에 따른 마찰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특정한 체커 에포트(effort)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checker arm 10 passes between the rollers of the roller assembly 12b, it receives a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spring tension, and accordingly, when the vehicl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a specific checker effort is generated. .

상기 체커 에포트의 크기는 차량 제조사가 정한 체커암의 프로파일 형상에 따라 결정되므로, 종래의 도어 체커는 차량 이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강하게 또는 약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Since the size of the checker effor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ofile shape of the checker arm determined by the vehicle manufacturer, the conventional door checker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 vehicle user to adjust strongly or weakly according to his/her preferen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필요한 힘인 체커 에포트를 차량 이용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여러 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vehicle door checker allows the vehicle user to control the checker effort, which is a force required for the vehicle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in several steps through a simple oper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도록 된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the housing fixed to the door and the rollers on both sides of the roller assembly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and the housing adapted to press the checker arm,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In the door checker for a vehicle including a hinge assembly for supporting the checker arm to the vehicle body to enable rotation of the checker arm, wherein the checker arm is axially supported by the hinge assembly, and the checker arm is compressed by the two rollers. A curved groove surface and a protruding surface for regulating the door opening position on each surface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cker arm, and one of the surfaces where both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on the cross section of the checker arm among each surface of the checker arm. The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has a difference between the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the other surface where both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and the opposite surface of the other surface. It provides an adjustable port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 can be adjust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편의성과 차량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vehicle door che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user can adjust the checker effort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checker arm,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vehicle merchandise of the vehicle user. You have the advantag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도어 체커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도어 열림시에 체커암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각 에포트단의 체커 에포트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 회전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에포트단 조절을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door checker for an automobile.
3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door checker operation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er arm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in when the door is opened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at the checker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joint bracket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checker arm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comparison of the checker effort of each of the support stages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ecker arm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hecker arm rotation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on the checker arm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for adjusting the effort stage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본 발명은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door checker that can control the checker effort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in which the vehicle user rotates the checker arm.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어 열림시에 체커암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er arm is rotated around the hinge pin when the door is open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보여주는 상세도이다.6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at the checker arm is rotatably coupled to the joint bracket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체커암의 형상에 따라 설정되는 각 에포트단의 체커 에포트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hape of the checker arm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compares the checker effort of each support stage se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hecker arm It is a drawing show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도어 체커(1)는, 상부와 하부에 굴곡진 홈면(11a)과 돌출면(11b)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체커암(10)과, 스프링(도 11에서 도면부호 12a임)에 의해 탄성 지지된 롤러 어셈블리(도 11에서 도면 부호 12b임)가 내장되어 롤러(도 11에서 도면부호 12c임)를 통해 체커암(10)에 밀착된 상태로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와 함께 이동하는 하우징(12)과, 체커암(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2)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최대 열림위치를 설정하는 스토퍼(14), 상기 체커암(10)의 타단부가 축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조인트 브라켓(17), 그리고 상기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결합되고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조인트 브라켓(17)을 통해 연결된 체커암(10)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18)를 포함한다.First, the door check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10 and the spring (Fig. 11 reference numerals) repeatedly formed with a curved groove surface (11a) and a protruding surface (11b)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is fixed to the door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hecker arm 10 through a roller (which is 12c in FIG. 11) because a roller assembly (which is 12a) is elastically supported (it is 12b in FIG. 11). The housing 12 moving together, the stopper 14 provided at one end of the checker arm 10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housing 12 to set the maximum opening position of the door, and the rudder of the checker arm 10 The joint bracket 17 is coupled so that the end is axially rotatable, and the joint bracket 17 is hinged and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joint bracket 17 to allow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hinge assembly 18 for supporting the connected checker arm 10 to the vehicle body.

이때, 체커암(10)이 도어 패널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의 삽입부(13)를 통해 통과하도록 삽입되어 조립된다.At this time, the checker arm 10 is inserted and assembled to pass through the insertion portion 13 of the housing 12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door panel.

상기 힌지 어셈블리(18)는 차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19a)과, 상기 힌지브라켓(19a)에 조인트 브라켓(17)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19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inge assembly 18 includes a hinge bracket 19a mounted on a vehicle body and a hinge pin 19b hinge-joining the joint bracket 17 to the hinge bracket 19a.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의 개폐시에 롤러 어셈블리의 롤러가 체커암(10)의 상부와 하부를 따라 슬라이드 되는 것과 더불어 스프링(12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롤러 어셈블리(12b)가 홈면(11a)에 밀착됨으로써 도어의 열림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roller of the roller assembly slides alo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hecker arm 10, and the roller assembly 12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surface 11a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2a. By doing so, the open state of the door can be maintained.

통상의 도어 체커에서 도어의 현 열림 상태를 규제하기 위한 체커암(10)의 홈면(11a) 개수에 따라 도어의 열림위치 규제 단수, 즉 도어 열림단 수가 정해지는데, 도면에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홈면(11a)을 체커암(10)의 축방향 길이상에 2개, 스토퍼(14)가 설치된 체커암 단부 끝에 1개로 하여 총 3개를 형성함으로써 총 3단의 도어 열림단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ove faces 11a of the checker arm 10 for regulating the current open state of the door in a normal door checker, the number of opening position restrictions of the door, that is, the number of door open ends is determined. (11a) is two on the axial length of the checker arm 10, and on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hecker arm where the stopper 14 is installed to form a total of three, so that a total of three stages of door opening stages can be realized. .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 도어 열림단 수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커암(10)의 홈면(11a) 개수 및 홈면 개수에 따른 도어 열림단 수가 3개 및 3단이 아닌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number of door open ends in the door chec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 and the number of door open en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ove surfaces 11a and the number of groove surfaces of the checker arm 10 is not 3 and 3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또한,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는 에포트단 변경을 위해 체커암(10)이 축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체커암(10)의 단부가 조인트 브라켓(17)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in the door chec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10 is provided to be axially rotatable for changing the end of the effort. For this purpose, the end of the checker arm 10 is rotatable to the joint bracket 17 Combined.

이때,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직접 결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만 가능하도록 한 종래의 구성과 달리, 본 발명의 도어 체커(10)에서는 체커암(10)이 조인트 브라켓(17)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어셈블리(18)에 힌지 결합된다.At this time, unlike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checker arm is directly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to allow only rot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n the door check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10 is axially rotatable to the joint bracket 17 The joint bracket 17 is hinged to the hinge assembly 18.

즉, 조인트 브라켓(17)이 힌지 어셈블리(18)를 매개로 하여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으로, 체커암(10)이 차체에 대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을 하게 될 때 조인트 브라켓(17) 역시 힌지 어셈블리(18)의 힌지핀(19b)을 중심으로 체커암(10)과 일체 회전된다.That is, the joint bracket 17 is rotatab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hinge assembly 18, and when the checker arm 10 rotates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relative to the vehicle body, the joint bracket 17 Again, it is integrally rotated with the checker arm 10 around the hinge pin 19b of the hinge assembly 18.

다시 말해, 평상시의 도어 개폐 동안에는 체커암(10)과 조인트 브라켓(17)이 기존의 체커암 회전방향으로 힌지핀(19b)을 중심으로 일체 회전되는 것이며, 이때 체커암(10)이 도어측에 고정된 하우징(12)에 대해 상대 병진 운동을 하게 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어 열림위치가 체커암(10)의 홈면(11a)에 의해 정해지는 단수로 규제된다. In other words, during normal door opening and closing, the checker arm 10 and the joint bracket 17 are integrally rotated around the hinge pin 19b in the direction of the existing checker arm rotation, wherein the checker arm 10 is on the door side. Since relative translational mo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xed housing 12, the door opening position is regulated to the number of stages defined by the groove surface 11a of the checker arm 10 as in the prior art.

요컨대,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는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10) 및 조인트 브라켓(17)의 회전(체커암 회전방향이 종래와 동일함)과, 에포트 조절시 조인트 브라켓(17)에 대한 체커암(10)의 상대 축 회전이 이루어지는 2축 조인트 및 회전 구조가 적용된다.In short, in the door chec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and the joint bracket 17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hecker arm is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and the joint bracket 17 when adjusting the effort A two-axis joint and rota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relative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for is applied.

한편, 본 발명의 도어 체커(1)에서 체커암(10)은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이때 다각형의 각(角) 수는 에포트 조절 가능 단수(에포트단의 개수)의 두 배로 설정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door check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10 has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wherein the number of angles of the polygon is set to twice the number of stages in which the effort can be adjusted (the number of effort stages). .

예를 들면, 체커암(10)의 단면 형상이 4각형이면 2단, 6각형이면 3단, 8각형이면 4단의 에포트 조절 가능한 단수가 구현될 수 있고, 2단인 경우 두 단계, 3단인 경우 세 단계, 4단인 경우 네 단계로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힘인 에포트가 조절 가능하다.For example, i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hecker arm 10 is tetragonal, two stages can be implemented in two stages, three stages for hexagonal hexagons, and four stages for eight stages. In case of three stages and four stages of four stages, the effort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s adjustable.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는 체커암(10)을 6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3단계로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면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절 가능한 에포트단의 개수를 3단 외에도 체커암의 다각형 단면 형상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to make the checker arm 10 in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effort can be adjusted in three stag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drawings, and is adjustable. In addition to the three stages, it is possible to vary the number of port stages by varying the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hecker arm.

또한, 본 발명에서는 체커암(10)을 축 회전시켜 하우징(12) 내 롤러 어셈블리(도 11에서 도면부호 12b)의 롤러(도 11에서 도면부호 12c)가 접촉하는 체커암 면을 변경해줌으로써 에포트를 조절하게 되는데, 다각형의 단면 형상에서 각 면과 그 반대면, 특히 양측 롤러(12c)에 의해 함께 압착되는 돌출면(11b)과 그 반대쪽 돌출면은 서로 평행한 면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도 7, 도 8, 도 11 참조).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cker arm 10 is rotated axially to change the surface of the checker arm contacted by the roller (reference numeral 12c in FIG. 11) of the roller assembly (reference numeral 12b in FIG. 11) in the housing 12. I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olygon, each surface and the opposite surface,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surface 11b compressed together by the two rollers 12c and the opposite protruding surfaces should be parallel to each other (Fig. 7). , See FIGS. 8 and 11 ).

또한, 롤러(12c)가 압착되는 면에 따라 에포트가 달라지도록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체커암(10)에서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가 이웃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와 상이하도록 체커암(10)이 제작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7 or 8 in the checker arm 10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so that the effort varies depending on the surface on which the roller 12c is pressed, a right-angled distance between each surface and its opposite surface is a neighbor. The checker arm 10 is made to be different from the right angle distance between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이로써 체커암(10)이 축 회전됨에 따라 두 롤러(12c)가 양측에서 압착하게 되는 체커암에서의 면(양측의 롤러가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을 압착함)이 달라지고, 이때 롤러가 압착하는 면에 따라 체커암과 롤러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스프링력 및 압축력에 기인함)도 달라지게 된다.As a result, as the checker arm 10 is axially rotated, the surfaces of the checker arms (the rollers on both sides squeeze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checker arm, where the two rollers 12c are squeezed from both sides, at this time, the rollers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spring force and compression force) acting between the checker arm and the roller also varies depending on the pressing surface.

결국, 체커암(10)을 축 회전시켜 에포트단을 조정 및 설정함에 따라서 차량 이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는데 필요한 에포트가 달라지게 된다Eventually, as the checker arm 10 is axially rotated to adjust and set the effort stage, the effort required for the vehicle us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varies.

즉, 체커암(10)을 축 회전 조작함으로써 설정되는 에포트단에 따라 체커 에포트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checker effor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pport stage set by the shaft rotation operation of the checker arm 10.

도 7과 도 8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체커암(10)이 육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체커암의 각 면과 180°위치의 그 반대면이 서로 평행하고, 특히 이웃한 면 간에 직각 거리(단면상 면과 반대면 사이의 직각 거리, 면과 면 사이의 단면 폭)가 서로 다름을 볼 수 있다.7 and 8, while the checker arm 10 has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each side of the checker arm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180° position are parallel to each other, particularly at right angles between neighboring surfaces. You can see that the distances (orthogonal distances between the faces and opposite faces, and the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faces) are different.

도 8은 도 7에서 각각 선 'A-A', 'B-B', 'C-C'를 따라 취한 체커암의 종단면도로서, 양측의 롤러가 각 홈면(11a)에 밀착될 때 도어 열림이 규제되며, 1단, 2단, 3단의 도어 열림단에 해당하는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ecker arm taken along lines'A-A','B-B', and'C-C' in FIG. 7, respectively, and the door opens when the rollers on both sid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groove surface 11a. This is regulated, and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oor open en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eps are marked.

또한, 체커암(10)의 길이방향 동일 위치에서 각 단면의 폭에 차이가 존재하는바, 이러한 차이로 인해 체커 에포트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width of each section at the same pos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cker arm 10, a difference in checker effort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여기서, 상기 각 단면의 폭은 체커암(10)의 횡단면상에서 양측의 롤러(12c)가 맞닿아 압착하게 되는 두 면(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으로서, 양측의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 사이의 직각 거리가 된다.Here, the width of each section is a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two surfaces (one side and the opposite side) where the rollers 12c on both sid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cross section of the checker arm 10, and the rollers 12c on both sides Is the right angle distance between the two surfaces to be compressed.

도 8에서 단면 폭을 비교하면, 'SEC A-A < SEC B-B < SEC C-C'이다. When comparing the cross-sectional width in FIG. 8, it is'SEC A-A <SEC B-B <SEC C-C'.

여기서, SEC A-A는 'A-A' 단면의 폭, SEC B-B는 'B-B' 단면의 폭, SEC C-C는 'C-C' 단면의 폭을 나타낸다.Here, SEC A-A indicates the width of the'A-A' section, SEC B-B indicates the width of the'B-B' section, and SEC C-C indicates the width of the'C-C' section.

결국, 체커암(10)의 축 회전에 따라 양측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 사이의 단면 폭이 달라지면, 롤러를 통해 체커암에 작용하는 스프링의 힘(스프링력, 압축력)이 달라지고, 이 스프링력에 의해 롤러와 체커암 사이의 마찰력 및 그로 인한 체커 에포트가 달라진다.As a result, when the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the two surfaces to which the two rollers 12c are squeezed varies according to the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the force (spring forc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acting on the checker arm through the roller changes. , This spring force changes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oller and the checker arm and the resulting checker effort.

즉, 체커암(10)의 회전 조작(축 회전)에 의해 롤러(12c)가 압착하게 되는 두 면이 큰 단면 폭(직각 거리)을 가질수록 스프링력, 마찰력, 체커 에포트가 커지고, 반대로 작은 단면 폭을 가질수록 스프링력, 마찰력, 체커 에포트가 작아진다.That is, as the two surfaces on which the roller 12c is compressed by the rotation operation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have a large cross-sectional width (right angle distance), the spring force, friction force, and checker effort are increased, and conversely, the small Spring force, friction force, and checker effort decrease as the cross-section width increases.

결국, 체커암(10)을 회전 조작하여 롤러(12c)에 의한 체커암에서의 압착 면을 변경하여 마찰력을 변경하면 체커 에포트가 달라지는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의 회전 조작을 통하여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도어 개폐시의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friction force is changed by changing the pressing surface of the checker arm by the roller 12c by rotating the checker arm 10, the checker effort is changed, and the vehicle user wants the vehicle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hecker arm.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hecker effort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to a level.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단면 폭이 클수록 체커 에포트가 커짐을 나타내고 있다.8 and 9, the larger the cross-sectional width, the larger the checker effort.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1)에서 체커암(10) 회전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어를 열어 하우징(12)을 힌지 어셈블리(18)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조작공간을 확보한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hecker arm 10 in the door check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12 is opened to move the housing 12 away from the hinge assembly 18, through which Secure the operation space.

그리고,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10)을 축 회전시키는 조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인트 브라켓(17)에 근접된 체커암 단부에 조작레버(20)를 돌출 형성한다.Then, the operation lever 20 is protruded at the end of the checker arm proximate the joint bracket 17 so that the vehicl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of rotating the checker arm 10 in an axis.

이에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조작레버(20)를 잡고 체커암(10)을 축 회전시키면, 원하는 수준의 체커 에포트(도 8의 'HIGH', 'MIDDLE', 'LOW')에 맞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ly, by holding the operation lever 20 using a hand or a tool and rotating the checker arm 10, the desired level of checker effort ('HIGH','MIDDLE','LOW' in FIG. 8) is reached. It is possible to set.

'HIGH'는 체커암(10)에서 단면 폭이 큰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큰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대)이고, 'MIDDLE'은 단면 폭이 중간인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중간 수준의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중)이며, 'LOW'는 단면 폭이 작은 면을 롤러(12c)가 압착하도록 하여 도어 개폐시 작은 수준의 에포트가 필요한 모드(체커 에포트 소)이다.'HIGH' is a mode in which a large effort is require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hecker effort vs.) by allowing the roller 12c to squeeze the surface with a large cross-section width from the checker arm 10, and'MIDDLE' is a medium cross-section width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y allowing the roller 12c to squeeze the surface, it is a mode where middle level effort is required (during checker effort), and'LOW' causes the roller 12c to squeeze the surface with a small cross-section width to open and close the door. This mode requires a small level of effort (checker effort small).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체커암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체커암(10)은 스프링(12a)과 롤러(12c)에 의해 상시 압축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체커암(10)의 축 회전이 발생하지 않지만, 손이나 공구를 이용하여 스프링(12a)에 의한 압축력을 극복할 정도의 회전력을 조작레버(20)를 통해 가했을 경우에는 체커암(10)의 회전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체커 에포트의 조절이 가능하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rce acting on the checker arm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checker arm 10 is always compressed by a spring 12a and a roller 12c In general, the shaft rotation of the unintentional checker arm 10 does not occur in the general situation, but the manipulation lever 20 is operated with a rotational force sufficient to overcome the compression force by the spring 12a using a hand or a tool. When applied through, rotation of the checker arm 10 occurs, and through this, control of the checker effort is possibl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체커에서 에포트단 조절을 위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브라켓(17)의 고정된 위치에 기준점(21)을 표시하고, 체커암(10)에는 회전 조작을 통한 각 에포트단 설정상태에서 상기 기준점(21)과 일치하는 각 위치에 에포트단을 구분하여 나타내는 문자 등의 표시부(22)를 표기하여 형성한다.12 is a view showing a display unit for adjusting the end of the effort in the door chec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eference point 21 is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joint bracket 17, the checker arm In (10), a display unit 22, such as a character, which distinguishes the port end at each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reference point 21 in the state of setting each port end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is formed.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가 기준점(21)이 나타내고 있는 표시부(22)를 확인하여 현재 체커암 에포트 설정 수준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rough this, the vehicle user can check the display unit 22 indicated by the reference point 21 so that the current checker arm effort setting level can be easily recognized.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서는 차량 이용자가 체커암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수준으로 체커 에포트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 이용자의 편의성과 차량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this way, in the vehicle door che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user can adjust the checker effort to a level desired by the user through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checker arm,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vehicle merchandise of the vehicl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좀더 상세하게는, 차량 이용자의 주차환경, 힘, 문화, 성향 등의 다양한 상황에 따라 상이한 도어 여닫힘 에포트 선호도에 맞추어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에포트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different door opening and closing effort according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the parking environment, power, culture, and propensity of the vehicle user, so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

예를 들어, 조수석, 뒷좌석 등에 주로 탑승하는 승객이 주로 힘이 약한 아동, 노인, 여성인 경우 힘이 약하여 도어를 조작하기가 힘드므로 해당 좌석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체커를 약한 에포트단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ssenger, a senior, or a passenger who mainly boards in the passenger seat or the back seat, the door checker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corresponding seat is set to a weak support stage, because the child, the elderly, and the female, who are mainly weak, have weak power and are difficult to operate the door. Can.

또한, 주거/근무지역의 주차환경이 내리막길인 경우 도어를 열 때 의도하지 않게 도어 자중에 의해 도어가 갑작스럽게 열리면서 승객 상해 및 도어 파손의 위험이 있는바, 도어 체커를 강한 에포트단으로 설정해둘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rking environment in a residential/working area is downhill, there is a risk of passenger injury and damage to the door as the door suddenly opens due to the weight of the door unintentionally when opening the door, so set the door checker to a strong support stage. Can be.

또한, 다양한 국가에서 판매되는 글로벌 차종에서 지역별 요구사항이 상이한 경우, 그 예로 아시아, 미국에서는 주로 도어를 열 때 에포트가 작고 부드럽게 열리는 것을 선호하며, 유럽에서는 주로 에포트가 크고 도어 열림시의 묵직한 느낌을 선호하는바, 차량 제조사에서 국가별 선호하는 체커 에포트로 설정한 후 차량을 출고함으로써 고객의 편의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차량 이용자가 직접 체커 에포트단을 조절할 수도 있음).In addition, when regional requirements are different in global models sold in various countries, for example, in Asia and the United States, it is preferred that the eport is small and smooth when the door is opened, and in Europe, the eport is large and heavy when the door is opened. As the preference is given, the vehicle manufacturer can set the country's preferred checker effort and release the vehicle to improve customer convenience (vehicle users can directly adjust the checker effort stag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 form is also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체커암 11a : 홈면
11b : 돌출면 12 : 하우징
12a : 스프링 12b : 롤러 어셈블리
12c : 롤러 13 : 삽입부
14 : 스토퍼 17 : 조인트 브라켓
18 : 힌지 어셈블리 19a : 힌지브라켓
19b : 힌지핀 20 : 조작레버
21 : 기준점 22 : 표시부
10: checker arm 11a: groove surface
11b: Projection surface 12: Housing
12a: spring 12b: roller assembly
12c: roller 13: insert
14: stopper 17: joint bracket
18: hinge assembly 19a: hinge bracket
19b: hinge pin 20: operating lever
21: reference point 22: display unit

Claims (10)

체커암과, 도어에 고정되어 도어 개폐시 도어와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내장된 롤러 어셈블리의 양측 롤러가 체커암을 압착하고 있는 상태로 도어 개폐시 체커암을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과, 차체에 장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체커암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체커암을 차체에 지지시키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체커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이 힌지 어셈블리에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양측 롤러에 의해 압착되는 체커암의 각 면에 도어 열림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굴곡진 홈면과 돌출면이 체커암의 길이방향으로 반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커암의 각 면 중에 체커암 횡단면상에서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어느 한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이 양측 롤러가 함께 압착하게 되는 또 다른 면과 상기 또 다른 면의 반대면 사이의 단면 폭과 차이를 가짐으로써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도어 개폐시 요구되는 체커암 에포트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checker arm and the two rollers of the built-in roller assembly, which are fixed to the door and are movable with the door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r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pring, press the checker arm and move along the checker arm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In the door checker for a vehicle including a housing and a hinge assembly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o support the checker arm to the vehicle body so as to enable rotation of the checker arm according to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checker arm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hinge assembly,
A curved groove surface and a protruding surface for regulating the door opening position on each surface of the checker arm compressed by the both rollers are repeatedly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ecker arm,
On each side of the checker arm, on a cross section of the checker arm, the cross-sectional width between one side on which both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and the opposite side is between another side on which both rollers are pressed together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side. Eff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by having a difference in cross-sectional width, the checker arm effort require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can be adjusted by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횡단면 형상이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면서 다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면에 홈면과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pp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hecker arm has a polygonal shape, and a groove surface and a protruding surface are formed on each surface forming a polygo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에서 상기 양측 롤러가 압착하게 되는 돌출면이 서로 평행한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pp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surfaces to which the both rollers are pressed in the checker arm are parallel to each othe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횡단면 형상이 체커 에포트의 2단계 조절이 가능한 사각형과, 체커 에포트의 3단계 조절이 가능한 육각형과, 체커 에포트의 4단계 조절이 가능한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hecker arm has a shape of any one of a square capable of two-stage adjustment of the checker effort, a hexagon capable of three-stage adjustment of the checker effort, and an octagon capable of four-stage adjustment of the checker effort. Epoch adjustable door check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단부가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체커암이 조인트 브라켓을 통해 힌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도어 개폐에 따른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of the checker arm further includes a joint bracket that is rotatably coupled, and the checker arm is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through the joint bracket and is adjustable in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upported to enable rotation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ype door check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차체에 장착되는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조인트 브라켓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hinge assembly is equipped with a hinge bracket mounted on the vehicle body, and an adjustable height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inge pin hinge-joining the joint bracket to the hinge bracke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체커암의 축 회전 조작을 위해 체커암에 조작레버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Epp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lever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checker arm for axial rotation of the checker arm.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조인트 브라켓에 결합된 체커암 단부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operation lever is an effort-adjustable door check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end of the checker arm coupled to the joint bracket.
청구항 5에 있어서,
체커암의 축 회전에 의해 조절된 체커 에포트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And an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degree of the checker effort adjusted by the rotation of the checker arm.
청구항 9에 있어서,
조인트 브라켓의 고정된 위치에 기준점이 표시되고, 체커 에포트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기준점과 일치하는 체커암 단부의 각 위치마다 상기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포트 조절 가능형 도어 체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reference point is displayed at a fixed position of the joint bracket, and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at each position of the end of a checker arm that matches the reference point in a state where the checker effort is adjusted.
KR1020140155166A 2014-11-10 2014-11-10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KR1021427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66A KR102142731B1 (en) 2014-11-10 2014-11-10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166A KR102142731B1 (en) 2014-11-10 2014-11-10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22A KR20160055422A (en) 2016-05-18
KR102142731B1 true KR102142731B1 (en) 2020-08-07

Family

ID=5611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166A KR102142731B1 (en) 2014-11-10 2014-11-10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7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11261B2 (en) * 2018-05-25 2021-07-28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Door check device for automobi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55B1 (en) 2004-04-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checker of an automobile
KR100764982B1 (en) 2006-09-19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checker capable of controlling a spring force
KR100820107B1 (en) 2006-11-07 2008-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onjuction structure for check link
JP4474339B2 (en) 2005-07-1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utomotive door chec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355B1 (en) 2004-04-20 2005-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checker of an automobile
JP4474339B2 (en) 2005-07-15 2010-06-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utomotive door checker
KR100764982B1 (en) 2006-09-19 2007-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oor checker capable of controlling a spring force
KR100820107B1 (en) 2006-11-07 2008-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onjuction structure for check l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5422A (en) 201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414B2 (en) Track assembly
US9193284B2 (en) Articulating cushion bolster for ingress/egress
CN110435487B (en) Track assembly
US7900321B2 (en) Damper arrangement
US7841048B2 (en) Sliding assembly having a body for transversal sliding door
US20150315832A1 (en) Soft-closing hinge for use in furniture
CN101195364A (en) Armrest locking device
KR101601106B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of vehicle
KR102644311B1 (en) Opposed type sliding door operation device of vehicle
WO2006011294A1 (en)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KR101551031B1 (en) Table apparatus for rear passenger in vehicle
JP2018508673A (en) furniture
JP6266114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2142731B1 (en) Door checker system for vehicle
JP4383307B2 (en) Hinge device
JP5296893B2 (en) Closed stop device for self-closing sliding doors
KR101609872B1 (en) Hinge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JP5784338B2 (en) Hinge with closing mechanism
JP5131899B2 (en) Closed stop device for self-closing sliding doors
CN106604840B (en) Door opening degree adjusts device
JP6617943B2 (en) Pivot hinge with closing mechanism
JP2021067171A (en) Vehicle door low speed opening device
KR20170034198A (en) Effort adjustable door checker and assembly the same
CN116529452A (en) Furniture fitting for movably supporting a furniture part
JP2008255755A (en) Sash hanger type runner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