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149B1 -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Google Patents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149B1 KR102142149B1 KR1020190079358A KR20190079358A KR102142149B1 KR 102142149 B1 KR102142149 B1 KR 102142149B1 KR 1020190079358 A KR1020190079358 A KR 1020190079358A KR 20190079358 A KR20190079358 A KR 20190079358A KR 102142149 B1 KR102142149 B1 KR 102142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visional
- facility
- temporary
- mold
- provisional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8—Temporary pav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굴착된 지하 상부에 가시설을 시공하는 가시설 시공공법에 있어서, 일측에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타측에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과 결합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 하부에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시기초 및 상기 제2 임시기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하철 공사나 지하차도를 건설하기 위하여 터파기 등을 하는 경우의 가시설을 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이나 지하도로의 건설을 위하여 터파기를 하는 경우 우선 계획된 평면을 따라 설계 깊이까지 구멍을 뚫고 수직파일을 설치한다. 수직파일의 설치가 끝나면 부분적으로 굴착을 하고 주형과 복공판을 설치하면서 터파기 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노면을 2분할 시공 또는 3분할 시공으로 도로의 점유폭을 신축적으로 활용하면서 도로의 혼잡을 최소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3분할 시공법에 의하여 지하구조물을 위한 가시설을 건설하는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하구조물 3분할 시공법은 도로를 3분할하여 도로의 1/3 구간만 순차적으로 작업장으로 이용하고 나머지 구간은 종래의 교통을 위하여 그대로 이용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지하구조물 시공법은 지하공간의 복수의 중앙파일 및 버팀보의 존재로 지하구조물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공사비용도 증가하고 공사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의 지하구조물 3분할 시공법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종래 도로의 지하구조물 건설을 위한 가시설 시공시 중앙 하부에 설치되었던 중앙파일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지하건설 공간을 충분히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굴착된 지하 상부에 가시설을 시공하는 가시설 시공공법에 있어서,
일측에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타측에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과 결합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 하부에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임시기초 및 상기 제2 임시기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임시기초 및 상기 제2 임시기초의 하부에는 지반의 조건에 따라 임시파일이 추가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과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 및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과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은 웨브를 볼트 접합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아치형 버팀보는 공장에서 복수의 세그먼트가 미리 제작되어 현장 운반 후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아치형 버팀보와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은,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1 하방 결합부,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2 하방 결합부,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3 하방 결합부와 상기 아치형 버팀보에 형성된 상방 결합부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하방 결합부, 상기 제2 하방 결합부, 및 상기 제3 하방 결합부는 공장에서부터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 미리 형성되어 현장에 옮겨지며,
상기 상방 결합부는 공장에서부터 상기 아치형 버팀보에 미리 형성되어 현장으로 옮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이용하면 가시설 시공시 중앙파일을 설치하지 않음으로 지하 굴착 및 지하구조물 건설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하고,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3분할 시공법에 의하여 지하구조물을 위한 가시설을 건설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철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어쓰앵커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철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어쓰앵커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철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어쓰앵커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철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어쓰앵커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3분할 시공법에 의하여 지하구조물을 위한 가시설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중앙에서 가시설을 지지하던 중앙파일을 대신하여 아치형 버팀보를 사용함으로써,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시공성이 향상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중앙파일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각종 수직 및 수평 브레이싱 등도 배제되어 공기가 빠르고 경제적이며, 중앙파일의 원천 배제로 구조물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이러한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시공순서대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은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 시공단계,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 시공단계, 제3차 가시설 시공단계, 아치형 버팀목 설치단계 및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시설 시공공법은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굴착된 지하 상부에 가시설을 시공하는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도로의 대략 1/3 부분만을 작업장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도로는 종래 교통을 위하여 남겨둔다.
우선 일측에 지하로 구멍을 뚫고 수직파일(P1)을 설치한 다음, 제1차 가시설(100)과 제1 임시기초(1C)를 시공하게 된다. 수직파일(P1) 뒷편으로는 수직파일(P1)을 지지하는 그라우팅(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파일(P1) 쪽이 제1 임시기초(1C) 쪽보다 지하 굴착면(S)이 더 깊게 형성된다. 즉 수직파일(P1) 쪽을 더 많이 굴착하게 된다.
수직파일(P1)의 상단부와 제1차 가시설(100)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하는데(1A) 제1차 가시설(100)의 수평력과 연직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수직파일(P1)과 제1 차 가시설이 결합하게 된다.
제1 임시기초(1C)는 제1차 가시설(100)의 타단부 받침 하부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차 가시설(100)의 주형 받침의 하부에 줄기초를 형성하고, 줄기초의 바닥에 일정한 두께의 자갈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시공하게 된다.
제1 임시기초(1C)의 하부에는 지반의 조건에 따라서 임시파일(200)이 추가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즉, 지반이 단단하지 못하고 무른 상태인 경우 임시파일(200)을 설치하여 제1 임시기초(1C)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차 가시설(100)은 주형과 복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주형은 수직파일(P1) 및 제1 임시기초(1C)와 결합하게 되고, 복공판은 주형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형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주형은 H빔일 수 있다. 일정한 길이를 갖는 H빔을 주형 받침 상에 직각으로 설치하여 주형 설치를 마치고, 이후 복공판을 상부에 설치한다.
이때 주형에는 제1 하방 결합부(1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방 결합부(1B)는 공장에서부터 미리 주형 하부에 형성되어 현장에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하방 결합부(1B)는 이후 설치되는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결합하게 된다.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결합공정만 진행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차 가시설 및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제2차 가시설(300)의 설치구역이 작업장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2/3 구간은 기존 교통을 위한 도로로 이용된다.
제2차 가시설(300) 및 제2 임시기초(2C)가 시공되는 공정은 제1차 가시설 및 제1 임시기초가 시공되는 공정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지하로 구멍을 뚫고 수직파일(P2)을 설치한 다음, 제2차 가시설(300)과 제2 임시기초(2C)를 시공하게 된다. 수직파일(P2) 뒷편으로는 수직파일(P2)을 지지하는 그라우팅(G)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파일(P2) 쪽이 제2 임시기초(2C) 쪽보다 지하 굴착면(S)이 더 깊게 형성된다. 즉 수직파일(P1) 쪽을 더 많이 굴착하게 된다.
수직파일(P2)의 상단부와 제2차 가시설(300)의 일단부는 서로 결합하는데(2A) 제2차 가시설(300)의 수평력과 연직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수직파일(P2)과 제1 차 가시설이 결합하게 된다.
제2차 가시설(300)은 주형과 복공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임시기초(2C)는 제2차 가시설(300)의 타단부 받침 하부에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2차 가시설(300)의 주형 받침의 하부에 줄기초를 형성하고, 줄기초의 바닥에 일정한 두께의 자갈 및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시공하게 된다.
제2 임시기초(2C)의 하부에는 지반의 조건에 따라서 임시파일(400)이 추가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즉, 지반이 단단하지 못하고 무른 상태인 경우 임시파일(400)을 설치하여 제2 임시기초(2C)가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주형은 수직파일(P2) 및 제2 임시기초(2C)와 결합하게 되고, 복공판은 주형의 상부에 배치되어 주형 상부를 커버하게 된다.
주형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H빔으로서 주형 받침 상에 직각으로 설치하여 주형 설치를 마치고, 이후 복공판을 상부에 설치한다.
이때 주형에는 제2 하방 결합부(2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방 결합부(2B)는 공장에서부터 미리 주형 하부에 형성되어 현장에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하방 결합부(2B)는 이후 설치되는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결합하게 된다.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결합공정만 진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차 가시설은 제1차 가시설 및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제3차 가시설(500)의 설치구역이 작업장으로 사용되고, 나머지 2/3 구간은 기존 교통을 위한 도로로 이용된다.
지하 굴착면(S)은 중앙부위가 깊고, 양측으로 갈수록 얕게 형성된다. 제3차 가시설(500) 또한 제1차 가시설 및 제2차 가시설과 마찬가지로 주형과 복공판으로 이루어진다.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는 제1차 가시설의 주형 및 제2차 가시설의 주형과 마찬가지로 제3 하방 결합부가 형성된다. 제3 하방 결합부(3B)는 공장에서부터 미리 주형 하부에 형성되어 현장에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3 하방 결합부(3B)는 이후 설치되는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결합하게 된다. 미리 공장에서 제작되고, 현장에서는 결합공정만 진행하게 된다.
또한,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은 제1차 가시설의 주형 및 제2차 가시설의 주형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각 주형의 결합은 웨브를 볼트 접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각 주형 결합의 상단부, 즉 하중 작용시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분은 각 주형을 용접(W)에 의하여 결합하게 된다. 즉, 하단부보다는 결합력이 약해도 무방하며, 하단부와 같이 복수의 철판(C)과 볼트(B) 결합시 주형 상부에 일반 복공판이 아닌 특수복공판이 요구될 수 있어, 주형 상단부의 결합은 용접(W)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철판(C)과 볼트(B)에 의하여 그 부분이 돌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주형 상단부를 용접(W)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특수복공판이 아닌 일반복공판으로 주형보상부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확대도면을 참조하면, 주형의 결합부위 상부에 일반 복공판이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각 주형의 상단부를 철판(C)과 볼트(B)가 아닌 용접(W)으로 결합하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버팀보는 공장에서 복수의 세그먼트가 미리 제작되어 현장 운반 후 서로 결합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버팀보는 3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수직파일과 결합되는 좌세그먼트(K1), 우측 수직파일과 결합되는 우세그먼트(K3), 그리과 좌세그먼트와 우세그먼트를 중앙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중앙세그먼트(K2)로 구성되고, 각 세그먼트의 결합은 볼트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각 세그먼트는 공장에서 미리 제작되고 또한 각 세그먼트에는 상방 결합부(4B)가 각각 형성되어 각 가시설의 주형의 하방 결합부와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방 결합부와 하방 결합부 또한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미리 제작된 각 세그먼트를 현장에서 간단한 조립만으로 설치하게 됨으로써 지하에서의 설치공정의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구성간의 간단한 볼트 결합 또한 이러한 시공성 향상에 기여하게 된다.
한편, 좌세그먼트(K1)과 우세그먼트(K3)는 좌측 수직파일 및 우측 수직파일과 고정결합된다. 즉, 연직 및 수평하중을 모두 저항할 수 있도록 서로 결합된다.
나아가 아치형 버팀보가 제1차 가시설과 제3차 가시설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E)가 각각 설치되어 아치형 버팀보와 각 가시설의 결합관계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는 각 가시설로부터 아치형 버팀보로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결합되어 아치형 버팀보의 휨모멘트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철거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버팀보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 임시기초 및 제2 임시기초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지반의 조건에 따라 제1 임시기초 하부 및 제2 임시기초 하부에 임시파일이 설치되었다면 임시파일도 함께 제거하게 된다.
제1차 가시설, 제2차 가시설 및 제3차 가시설은 아치형 버팀보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제1 임시기초, 제2 임시기초 및 임시파일이 더 이상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임시기초나 임시파일이 없으므로 지하구조물을 위한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시공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7은 어쓰앵커(EA)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직파일 사이를 지탱하는 버팀보 대신 어쓰앵커(EA)를 활용함으로써 지하구조물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만 도 9 내지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제1차 가시설의 주형 및 제2차 가시설의 주형에 임시기초없이 바로 임시파일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차 가시설(100)과 수직파일(P1)의 결합과 동일하게 임시파일(200)과 제1차 가시설(100)이 결합(8A)된다. 제1차 가시설의 주형에는 제1 하방 결합부(8B)가 미리 형성되어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현장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차 가시설(300)과 수직파일(P2)의 결합과 동일하게 임시파일(400)과 제2차 가시설(300)이 결합(9A)된다. 제2차 가시설의 주형에는 제2 하방 결합부(9B)가 미리 형성되어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현장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차 가시설과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500)이 설치된다.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는 제3 하방 결합부(10B)가 미리 형성되어 아치형 버팀보의 상방 결합부와 현장에서 서로 결합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아치형 버팀보(600)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고, 각 세그먼트는 볼트 연결된다. 그리고 아치형 버팀보에 형성된 상방 결합부(11B)가 각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하방 결합부와 만나 결합하게 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버팀보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1 임시파일 및 제2 임시파일를 제거하게 된다. 제1차 가시설, 제2차 가시설 및 제3차 가시설은 아치형 버팀보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임시파일이 더 이상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임시파일이 없으므로 지하구조물을 위한 넓은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지하구조물의 시공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14은 어쓰앵커(EA)를 설치하고, 지하구조물을 위한 추가적인 굴착을 진행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직파일 사이를 지탱하는 버팀보 대신 어쓰앵커(EA)를 활용함으로써 지하구조물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제1차 가시설
1C: 제1 임시기초
200: 임시파일
2C: 제2 임시기초
300: 제2차 기시설
400: 임시파일
500: 제3차 가시설
600: 아치형 버팀보
1C: 제1 임시기초
200: 임시파일
2C: 제2 임시기초
300: 제2차 기시설
400: 임시파일
500: 제3차 가시설
600: 아치형 버팀보
Claims (6)
- 터파기를 진행하면서 굴착된 지하 상부에 가시설을 시공하되, 3분할 시공법에 의하여 가시설을 시공하는 가시설 시공공법에 있어서,
제1 수직파일을 설치한 다음, 제1차 가시설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수직파일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1 임시기초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1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상기 제1 수직파일 쪽의 지하 굴착면은 상기 제1 임시기초의 지하 굴착면보다 더 깊게 형성됨-;
제2 수직파일을 설치한 다음, 제2차 가시설의 일단부는 상기 제2 수직파일에 결합되어 지지되고, 타단부는 제2 임시기초에 지지되도록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2 임시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상기 제2 수직파일 쪽의 지하 굴착면은 상기 제2 임시기초의 지하 굴착면보다 더 깊게 형성됨-;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과 결합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차 가시설, 상기 제2차 가시설, 및 상기 제3차 가시설 하부에 아치형 버팀보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아치형 버팀보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제1 임시기초 및 상기 제2 임시기초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아치형 버팀보는 3개의 세그먼트로 제작되어, 각각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과 결합하고,
상기 아치형 버팀보와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은,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1 하방 결합부,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2 하방 결합부,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 형성된 제3 하방 결합부와 상기 3개의 세그먼트 각각에 형성된 상방 결합부가 각각 서로 결합되되,
상기 제1 하방 결합부, 상기 제2 하방 결합부, 및 상기 제3 하방 결합부는 공장에서부터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 및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에 미리 형성되어 현장에 옮겨지며,
상기 상방 결합부는 공장에서부터 상기 아치형 버팀보에 미리 형성되어 현장으로 옮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시기초 및 상기 제2 임시기초의 하부에는 지반의 조건에 따라 임시파일이 추가적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가시설 및 상기 제2차 가시설 사이에 제3차 가시설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차 가시설의 주형과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 및 상기 제2차 가시설의 주형과 상기 제3차 가시설의 주형의 결합은 웨브를 볼트 접합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9358A KR102142149B1 (ko) | 2019-07-02 | 2019-07-02 |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9358A KR102142149B1 (ko) | 2019-07-02 | 2019-07-02 |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2149B1 true KR102142149B1 (ko) | 2020-08-06 |
Family
ID=7204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9358A KR102142149B1 (ko) | 2019-07-02 | 2019-07-02 |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14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2991A (ja) * | 1999-12-20 | 2001-06-26 | Nishimatsu Constr Co Ltd |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
KR100726984B1 (ko) * | 2006-01-17 | 2007-06-14 | (주)리튼브릿지 | 흙막이 가설시스템 |
KR20110026143A (ko) * | 2009-09-07 | 2011-03-15 | (주)하경엔지니어링 |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중간파일이 설치되지 않도록 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
KR101736746B1 (ko) * | 2016-07-06 | 2017-05-17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
-
2019
- 2019-07-02 KR KR1020190079358A patent/KR1021421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72991A (ja) * | 1999-12-20 | 2001-06-26 | Nishimatsu Constr Co Ltd |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
KR100726984B1 (ko) * | 2006-01-17 | 2007-06-14 | (주)리튼브릿지 | 흙막이 가설시스템 |
KR20110026143A (ko) * | 2009-09-07 | 2011-03-15 | (주)하경엔지니어링 |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중간파일이 설치되지 않도록 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
KR101736746B1 (ko) * | 2016-07-06 | 2017-05-17 | 이은숙 | 장지간 주형보 제작을 위한 연결부 보강장치가 형성된 에이치빔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6162B1 (ko) |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 |
KR100633796B1 (ko) |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 |
CN104879144B (zh) | 软土地区以阵列顶管建设地下空间的暗挖施工方法 | |
CN106088650B (zh) | 一种适用于砖混结构建筑物地下增层的方法及建筑物 | |
KR100855098B1 (ko) |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 |
KR102071225B1 (ko) | 시트파일을 이용한 도심지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1070426B1 (ko) |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개량형 언더피닝 공법 | |
KR20090094555A (ko) |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 |
CN106245927B (zh) | 一种适用于框架结构建筑物地下增层的方法及建筑物 | |
KR101111594B1 (ko) | 지상 구조물을 통과하는 지중 구조물 시공 방법 | |
KR102195504B1 (ko) | 보강부재와 cip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 |
KR20080007483A (ko) |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2195510B1 (ko) | 보강부재와 phc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 |
KR20060097891A (ko) | 강관루프 구조체 및 이 강관루프 구조체의 시공방법 | |
KR100562158B1 (ko)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 및 그 루프구조체, 및 그 강관의 구조 | |
CN110468873A (zh) | 一种小空间下桥台桩基托换结构及使用方法 | |
KR20070052109A (ko) |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 |
KR20050098338A (ko) | 지중 구조물을 축조하는 강관루프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의구조 및 그를 적용한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공법 | |
KR101902791B1 (ko) | 합성강관파일을 이용한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지중구조물 | |
KR102208236B1 (ko) | 터널 반개착 지보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터널 시공방법 | |
KR102142149B1 (ko) | 중앙파일 없는 가시설 시공공법 | |
KR20100001516A (ko) |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 |
CN208763446U (zh) | 一种既有建筑物群下增建地下空间的支护结构 | |
KR101952669B1 (ko) | 아치형 강판과 가이드 구조물을 이용한 원형 가시설 흙막이 공법 | |
KR20210055980A (ko) | 우회도로와 교통통제 없이 시공이 가능한 강제지중 연속벽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의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