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821B1 -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821B1
KR102141821B1 KR1020180157973A KR20180157973A KR102141821B1 KR 102141821 B1 KR102141821 B1 KR 102141821B1 KR 1020180157973 A KR1020180157973 A KR 1020180157973A KR 20180157973 A KR20180157973 A KR 20180157973A KR 102141821 B1 KR102141821 B1 KR 10214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is
inspection
vehicle
unit
diagn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634A (ko
Inventor
류익희
김은석
김용국
박상웅
박진동
여운석
하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to KR102018015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8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제작된 자동차의 고장진단코드 목록 및 통신프로토콜을 비롯한 검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아 보관하고, 검사진단부와 연계하여 자동차의 진단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함은 물론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를 통합 관리하는 진단통합관리부;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데이터를 교환함과 동시에 진단연결용 통신모듈부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 측과 통신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되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되,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으로부터 진단대상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기본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연계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부; 상기 검사진단부와 진단대상 자동차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매개체가 되는 통신인터페이스로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를 검사진단부에서 실시 가능하게 지원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용이한 정보 확인은 물론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국내에서 운행되는 각종 차량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검사 및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 또한 종래에 비해 크게 확대할 수 있어 자동차의 검사 및 진단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Korea Automobile Diagnosis Integrate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정보 확인은 물론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진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 또한 확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원동기를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도로 위를 달릴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엔진을 사용하여 움직이는 차량이며,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거나 각종 작업을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복합적인 기계, 기구의 결합에 의한 물리적인 제어를 통해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운전자에게 향상된 주행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공하도록 다양한 전자제어장치가 모든 차량에 접목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자동차는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서 부품의 마모 및 열화가 진행되고 결함이 발생되어 사고 가능성 증가 및 배출가스 과다 배출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원인이 되고, 이에 따른 사고처리비용, 에너지 손실 및 고장으로 인한 교통 체증 등 경제적 손실도 매우 크기 때문에 언제나 일정수준 이상의 도로운행 적합성이 확보된 상태로 유지 관리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일정기간마다 자동차 검사를 실시하도록 법령으로 의무화 및 관리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생산되는 자동차에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치가 다수 장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이상 작동 유무 확인은 운행하는 자동차의 안전도 확보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자동차관리법 제32조의 2 제?항 3의2호를 신설하여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전자장치의 이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자동차 검사 및 진단에 따른 통합적인 관리가 쉽지 않은 실정에 있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를 검사 및 진단하기 위한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단순하게 자동차의 고장 진단 및 수리에 사용하는 형편에 있으며,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각종 전자장치를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에도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455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131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정보 확인은 물론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통합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진단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 또한 확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이하 VIMS라 함)과 연계하여 자동차의 검사 및 진단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운행하는 자동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국내에서 운행되고 자동차에 설치된 첨단안전장치의 작동상태 고장 진단 기능, 자동차에 설치된 배출가스 관련 장치(Readiness code) 점검 기능, 자동차의 등화장치나 경보장치 등을 운전자의 조작 없이 무인으로 작동시키는 모의구동 기능, 대형 화물이나 승합 자동차의 속도제한장치 확인 기능, 친환경 자동차(전기나 수소 자동차)의 고전압 장치(BMS) 확인 기능, 연료장치 누설 확인 기능 등의 주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은,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제작된 자동차의 고장진단코드 목록 및 통신프로토콜을 비롯한 검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아 보관하고, 검사진단부와 연계하여 자동차의 진단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함은 물론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를 통합 관리하는 진단통합관리부;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데이터를 교환함과 동시에 진단연결용 통신모듈부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 측과 통신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되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되,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으로부터 진단대상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기본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연계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부; 상기 검사진단부와 진단대상 자동차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매개체가 되는 통신인터페이스로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를 검사진단부에서 실시 가능하게 지원하는 통신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검사진단부는,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검사접수정보 수신과 함께 해당 자동차의 진단결과를 상기 진단통합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확인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차량시스템과 차량에 부착된 수검 전자장치를 확인 및 진단업무를 선택 수행하기 위한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자동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진단 선택부; 자동진단 선택부에 의한 자동 진단시 진단항목별 진행상태 및 정상작동 유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자동진단 진행표시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을 선택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수동진단 선택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자동 진단 또는 수동 진단에 따른 진단결과를 진단항목별로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진단결과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동진단 선택부는,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모든 전자장치에 대한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진단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배출가스저감장치점검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강제적으로 구동시켜 검사하기 위한 모의구동검사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속도제한장치의 설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속도제한장치점검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 측 최대 및 최소 셀 전압 표시를 포함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고전압장치진단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와 차체와의 절연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절연저항검사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연료전지용 고압밸브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연료탱크밸브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진단결과 표시부에는 모의구동선택부와 재검사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의구동선택부를 선택시,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나타내는 심벌을 갖는 모의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 자동 진행메뉴 또는 수동 진행메뉴를 선택하여 검사원이 강제 구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모의 구동이 진행되는 해당 장치에 대한 그래픽 마크인 픽토그램(pictogram)을 화면상에 개별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재검사선택부를 선택시,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의 진단을 다시 한번 실시하되, 상기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 측으로 되돌아가 자동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검사진단부는,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에 보관된 제작사의 차종별 및 시스템별 통신프로토콜을 근거로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수행 가능한 통신프로토콜은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정보 확인은 물론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 또한 확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이하 VIMS라 함)과 연계하는 구성으로 자동차의 검사 및 진단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운행하는 자동차의 안전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 운행되고 자동차에 설치된 첨단안전장치의 작동상태 고장 진단 기능, 자동차에 설치된 배출가스 관련 장치(Readiness code) 점검 기능, 자동차의 등화장치나 경보장치 등을 운전자의 조작 없이 무인으로 작동시키는 모의구동 기능, 대형 화물이나 승합 자동차의 속도제한장치 확인 기능, 친환경 자동차(전기나 수소 자동차)의 고전압 장치(BMS) 확인 기능, 연료장치 누설 확인 기능 등의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데이터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운영과정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환경설정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차량확인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자동진단 진행표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수동진단 선택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진단결과표시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검사진단부의 모의구동선택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에 있어 통신모듈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통합관리부(100)와 검사진단부(200), 및 통신모듈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는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제작된 자동차의 고장진단코드 목록 및 통신프로토콜을 비롯한 검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아 보관하고, 검사진단부와 연계하여 자동차의 진단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함은 물론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국산과 외산 포함)를 통합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갖는 서버 등의 단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는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공급받은 자료를 포함하여 상기 검사진단부(200) 측에서 보다 원활한 자동차 검사 및 진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동차시스템정보, 하드웨어 설정정보, 기본통신 프레임정보들을 DB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운영프로그램을 갖는 서버 등의 단말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10)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연계된다.
상기 검사진단부(200)는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와 인터페이스되어 유선 또는 무선의 형태로 데이터를 교환함과 동시에 통신모듈부(300)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 측과 통신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되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되,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10)으로부터 진단대상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기본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와 연계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검사진단부(200)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갖는 서버 등의 단말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은 공공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운용하고 관리하는 국내 자동차검사 통합관리시스템으로서,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기본정보 등이 기록되는 서버 개념의 시스템이다.
상기 검사진단부(200)는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에 보관된 제작사의 차종별 및 시스템별 통신프로토콜을 근거로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수행 가능한 통신프로토콜은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을 포함한다.
상기 검사진단부(200)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메뉴들을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 및 진단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검사진단부(200)에 구비되는 메뉴들은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검사접수정보 수신과 함께 해당 자동차의 진단결과를 상기 진단통합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210)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확인부(220)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차량시스템과 차량에 부착된 수검 전자장치를 확인 및 진단업무를 선택 수행하기 위한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230)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자동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진단 선택부(240)와, 자동진단 선택부에 의한 자동 진단시 진단항목별 진행상태 및 정상작동 유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자동진단 진행표시부(250)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을 선택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수동진단 선택부(260)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자동 진단 또는 수동 진단에 따른 진단결과를 진단항목별로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진단결과 표시부(27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설정부(210)는 상기 검사진단부(200)를 사용하기 위해 각종 환경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VIMS 및 VISS 접속정보 설정부(211)와 검사소 정보부(21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VIMS 및 VISS 접속정보 설정부(211)는 자동차 접수정보 수신과 함께 진단결과를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IP 및 포트를 설정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는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을 통해 데이터를 연계할 경우 통신모드를 VIMS로 설정하고 VIMS의 URL 주소인 VIMS.kotsa.or.kr로 설정하며, VISS를 통해 데이터를 연계할 경우 통신모드를 VISS(Vision based Intelligent Steering System; 영상기반 지능형 조향시스템)로 설정하고 검사소의 VISS 서버 IP 주소를 입력하고, VISS의 PORT 주소는 50001과 50002번으로 입력하면 된다.
상기 검사소 정보부(212)는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으로부터 자동차 접수정보를 전송받기 위한 검사소 코드를 입력하는 구성이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검사소의 명칭과 코드를 입력하면 된다.
상기 차량확인부(220)는 자동차 전자장치의 진단을 수행할 대상 자동차의 자동차검사 접수 차량번호 등의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번호의 끝 4자리를 입력하기 위한 차량번호 입력부(221)와, 상기 차량번호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해당 차량번호를 갖는 대상 차량을 자동으로 표기하여주는 자동차검사 접수리스트부(222)와, 상기 자동차검사 접수리스트부(222)에 표기된 대상 차량 중에서 어느 한 차량을 선택한 후 추가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추가정보 확인부(2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230)는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시행할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엔진 형식과 연식, 등록일 등을 활용하여 수검대상 자동차의 시스템을 자동으로 확인하고 관련 전자장치를 검사원이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하여주는 구성으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진단대상 자동차의 차량번호 선택시 통신모듈부(300)를 통해 통신인터페이스 상태에 있는 해당 차량에 설치된 시스템을 자동으로 선택 표시하고 장치별로 분리 표시하는 진단시스템 리스트부(231)와,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진단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편의기능사양부(23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단시스템 리스트부(231)에 대해서는 차량 제원을 통한 전자장치 시스템 추출 로직을 진단통합관리부(100)에 미리 구축하여 검사원의 업무프로세스를 단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분리 표시되는 장치들도 이전 진단수행결과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업무로직을 구현함으로써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편의기능 사양부(232)를 통해서는 진단 시작 전에 OBD 위치나 검사준비사항 등을 조회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자동진단 선택부(240)는 상기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230) 상에 구비할 수 있고, 때로는 개별 화면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자동진단을 선택할 경우에는 고장진단부터 시작하여 검사진단부(200)에서 실시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는데, 진단통합관리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제작사의 차종별 및 시스템별 통신프로토콜을 근거로 진단대상 자동차와 통신하여 각종 전자장치의 진단 기능을 수행한다.
즉,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모든 전자장치에 대한 고장진단,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강제적으로 구동시켜 검사하는 모의구동, 속도제한장치의 점검, 고전압장치 진단, 절연저항 검사, 연료탱크밸브 진단 등의 검사 및 진단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진단 진행표시부(250)는 자동진단 선택부(240)의 선택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구성으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진단 선택부(240)의 선택에 의해 자동 진단중인 전자장치들의 장치명을 표시함과 더불어 고장여부를 표시하는 진단장치 리스트부(251)와, 자동진단 선택부(240)의 선택에 의해 자동 진단중인 전자장치들에 대한 전체 진행률을 막대그래프와 픽토그램으로 표시하는 전체진행률 표시부(252)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동진단 선택부(260)는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별 진단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수동진단 선택부(26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모든 전자장치에 대한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진단부(261)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배출가스저감장치점검부(262)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강제적으로 구동시켜 검사하기 위한 모의구동검사부(263)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속도제한장치의 설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속도제한장치점검부(264)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 측 최대 및 최소 셀 전압 표시를 포함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고전압장치진단부(265)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와 차체와의 절연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절연저항검사부(266)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연료전지용 고압밸브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연료탱크밸브진단부(267)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진단결과 표시부(27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하여 진단한 후 전자장치별로 진단결과를 표시하여주는 구성으로서, 모의구동선택부(271)와 재검사선택부(27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모의구동선택부(271)의 선택을 통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나타내는 심벌을 갖는 모의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 자동 진행메뉴 또는 수동 진행메뉴를 선택하여 검사원이 강제 구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모의 구동이 진행되는 해당 장치에 대한 그래픽 마크인 픽토그램(pictogram)을 화면상에 개별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검사선택부(272)의 선택을 통해서는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의 진단을 다시 한번 실시하되, 상기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230) 측으로 되돌아가 자동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진단결과 표시부(270)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하여 진단한 후 전자장치별로 그 진단결과를 표시함과 더불어 검사진단부(200)에서는 진단통합관리부(100)로 전송하며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상기 진단통합관리부(100)는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 측으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별 진단결과를 전송받아 역시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을 통해서는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부(300)는 상기 검사진단부(200)와 진단대상 자동차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매개체가 되는 통신인터페이스로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를 검사진단부(200)에서 실시 가능하게 지원하는 구성이다.
상기 통신모듈부(30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형상의 몸체로 구비되는 통신모듈본체(310)와, 상기 통신모듈본체(310)와 진단대상 자동차를 연결하여주는 통신케이블(320)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진단통합시스템을 통해서는 자동차에 장착된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용이한 정보 확인은 물론 각 전자장치별 이상 작동 유무 확인 등 자동차 검사 및 진단을 위한 업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국내에서 운행되는 각종 차량에 대해 통합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근래에 장착되는 자율자동차 기반의 첨단전자식안전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전자장치까지 검사 및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종류 또한 종래에 비해 크게 확대할 수 있어 자동차의 검사 및 진단에 따른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지 않는다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수정과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 내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100: 진단통합관리부 200: 검사진단부
210: 환경설정부 220: 차량확인부
230: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 240: 자동진단 선택부
250: 자동진단 진행표시부 260: 수동진단 선택부
270: 진단결과 표시부 300: 통신모듈부

Claims (5)

  1. 자동차 제작사로부터 제작된 자동차의 고장진단코드 목록 및 통신프로토콜을 비롯한 검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받아 보관하고, 검사진단부와 연계하여 자동차의 진단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함은 물론 국내에서 운행되는 자동차를 통합 관리하는 진단통합관리부;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인터페이스되어 데이터를 교환함과 동시에 진단연결용 통신모듈부를 통해 진단대상 자동차 측과 통신 가능하도록 인터페이스되어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되, 자동차검사관리시스템(VIMS)으로부터 진단대상 자동차의 각종 전자장치에 대한 기본정보를 전송받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와 연계하여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를 검사 및 이상 유무를 진단하는 검사진단부; 상기 검사진단부와 진단대상 자동차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매개체가 되는 통신인터페이스로서, 진단대상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대한 검사를 검사진단부에서 실시 가능하게 지원하는 통신모듈부; 를 포함하되,
    상기 검사진단부는,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검사접수정보 수신과 함께 해당 자동차의 진단결과를 상기 진단통합관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기본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차량확인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차량시스템과 차량에 부착된 수검 전자장치를 확인 및 진단업무를 선택 수행하기 위한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의 자동 진단을 수행하기 위한 자동진단 선택부; 자동진단 선택부에 의한 자동 진단시 진단항목별 진행상태 및 정상작동 유무를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자동진단 진행표시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대한 전자장치 및 시스템을 선택에 의해 개별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수동진단 선택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의 자동 진단 또는 수동 진단에 따른 진단결과를 진단항목별로 화면상에 표시하여주는 진단결과 표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결과 표시부에는 모의구동선택부와 재검사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의구동선택부를 선택시,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나타내는 심벌을 갖는 모의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 자동 진행메뉴 또는 수동 진행메뉴를 선택하여 검사원이 강제 구동을 실시하도록 구성하고, 모의 구동이 진행되는 해당 장치에 대한 그래픽 마크인 픽토그램(pictogram)을 화면상에 개별 표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재검사선택부를 선택시,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전자장치의 진단을 다시 한번 실시하되, 상기 전자장치 진단시스템부 측으로 되돌아가 자동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진단 선택부는,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모든 전자장치에 대한 고장진단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진단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배출가스 저감장치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배출가스저감장치점검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경보장치와 등화장치를 강제적으로 구동시켜 검사하기 위한 모의구동검사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속도제한장치의 설정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속도제한장치점검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 측 최대 및 최소 셀 전압 표시를 포함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고전압장치진단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장치와 차체와의 절연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절연저항검사부;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에 설치된 연료전지용 고압밸브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연료탱크밸브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진단부는,
    상기 진단통합관리부에 보관된 제작사의 차종별 및 시스템별 통신프로토콜을 근거로 검사 접수된 진단대상 자동차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수행 가능한 통신프로토콜은 K-Line, L-Line ISO-9141, ISO-14230(KWP-2000), CANSingle/DoubleWire, ISO-11898(11bit,29bit), EthernetAutomotiveEthernet ISO-13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KR1020180157973A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KR10214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73A KR102141821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973A KR102141821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34A KR20200070634A (ko) 2020-06-18
KR102141821B1 true KR102141821B1 (ko) 2020-08-06

Family

ID=7114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973A KR102141821B1 (ko) 2018-12-10 2018-12-10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99B1 (ko) 2022-11-21 2024-02-01 한국교통안전공단 서버형 자동차 전자장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2532B (zh) * 2021-05-12 2023-05-12 深圳市道通科技股份有限公司 车辆通信设备、WiFi连接方法及车辆诊断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97B1 (ko) * 2017-10-27 2018-11-13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형 친환경 전기자동차용 전기 안전점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5556B1 (ko) 2004-11-01 2012-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차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71312B1 (ko) 2012-04-25 2014-03-10 자동차부품연구원 자동차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529250B1 (ko) * 2012-12-31 2015-06-18 주식회사 지. 아이. 티 자동차 검사 시스템
KR102291152B1 (ko) * 2014-11-05 2021-08-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연료전지차량의 수소공급장치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097B1 (ko) * 2017-10-27 2018-11-13 씨티아이코리아 주식회사 통합형 친환경 전기자동차용 전기 안전점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99B1 (ko) 2022-11-21 2024-02-01 한국교통안전공단 서버형 자동차 전자장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634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98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n on-board vehicle computer system
US20230398963A1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figuring vehicle service tools associated with display device based on operating condition of vehicle
US9317977B2 (en)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CN109164789B (zh) 一种用于车辆信息诊断的车载多媒体系统
US11527110B2 (en) Vehicle health record
US201800965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pdating Diagnostic and Repair Information
US20090306849A1 (en) System for diagnosis of motor vehicles, and for reception of vehicles at a repair facility
US20230252829A1 (en) Method and diagnostic device for performing vehicle diagnostics
KR102105821B1 (ko) Obdⅱ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차량 이상 진단 시스템
US9665993B2 (en)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having 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diagnosing, maintaining, and repairing a vehicle
US8041476B2 (en) Error message details for debug available to end user
KR102141821B1 (ko) 자동차 진단 통합시스템
US2023026777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canner jobs on diagnostic tool
US20070093924A1 (en) Telediagnosis viewer
CN105469147B (zh) 用于诊断故障和/或诊断维修和/或维护需求的方法
EP39149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canner jobs on diagnostic tool
CN115016428A (zh) 一种应用于特种车辆的立体化多级诊断系统及方法
Kannadhasan Self Diagnostic Cars: Using Infotainment Electronic Control Unit
US7328093B1 (en) Combination scan tool and inspection tool
CN202608676U (zh) 一种车载平视显示器
CN111325257A (zh) 用于分析汽车故障的方法和装置
CN105469265A (zh) 用于检测对于订立和执行维护和/或维修合同必需的信息的方法和系统
KR102632099B1 (ko) 서버형 자동차 전자장치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운용 방법
CN114220190A (zh) 车辆维修诊断报告的整合方法、相关装置及存储介质
KR20020082971A (ko) 무선 인터넷통신을 이용한 차량의 원격고장진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