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342B1 -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 Google Patents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1342B1 KR102141342B1 KR1020130115243A KR20130115243A KR102141342B1 KR 102141342 B1 KR102141342 B1 KR 102141342B1 KR 1020130115243 A KR1020130115243 A KR 1020130115243A KR 20130115243 A KR20130115243 A KR 20130115243A KR 102141342 B1 KR102141342 B1 KR 102141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column
- girder
- vertica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35—Anti-seismic device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amp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F16F15/16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fluid damping devices, e.g. passages, orif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5—Structures with concrete colum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4—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칼럼(column)에 대해 거더(girder)를 지지하는 내진보강부를, 내부에 공간을 갖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며 점성유체를 저장하는 케이싱, 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력의 작용에 따라 케이싱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오리피스, 이 칼럼에 지지된 채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압축 작용되는 압축부, 및 이 거더에 지지된 채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신장 작용되는 인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에 스프링과 댐퍼를 직렬로 혼용되게 배치하여 강성(Stiffness)과 댐핑값을 조절함으로써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내진보강장치를 칼럼과 거더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ing device, a seismic reinforcing portion supporting a girder (column) against a column, a casing for storing a viscous fluid and having a space therein and open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 orifice provided inside and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ing according to the action of external force, a compress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supported by this column and compressed when external force occurs, and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supported by the girder I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nsile portion that is stretched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eismic resistance by adjusting the stiffness and damping value by arranging the spring and the damper in series in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nd improving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by separating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into columns and girders. I can do 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진보강장치에 스프링과 댐퍼를 직렬로 혼용되게 배치하여 강성(Stiffness)과 댐핑값을 조절함으로써 내진성을 향상시키고, 내진보강장치를 칼럼(column)과 거더(girder)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진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ing device, more specifically, to improve the seismic resistance by arranging the spring and the damper in series in a seismic reinforcing device to adjust the stiffness and damping value,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is a column (column) ) And girder (separately) to assemble separable and relates to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that can improve the disassembly.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의 내진보강방법은 건물의 강도(내력)를 향상시키는 방법(강도저항형)과 건물의 변형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인성저항형)으로 구별할 수 있다. The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uildings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improving the strength (strength) of a building (strength resistance type) and a method of improving the deformability of a building (toughness resistance type).
강도저항형 내진보강방법의 특징은 내력벽을 증설하거나 기설치 벽체의 두께를 증타하거나 철골가새를 설치하는 등 구면을 중심으로 보강하는 방법이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strength-resistance-type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is a method of reinforcing around a spherical surface, such as adding a bearing wall, increasing the thickness of an existing wall, or installing a steel frame brace.
인성저항형 내진보강방법은 기둥과 보 등의 개별 부재를 중심으로 보강하는 방법이다. The toughness-resistant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is a method of reinforcing mainly on individual members such as pillars and beams.
건물의 강도 또는 인성의 어느 한쪽을 향상시켜도 소정의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Even if the strength or toughness of a building is improved, a predetermined seismic performance can be secured.
그리고, 하중의 경감, 건물의 비틀림(내력벽, 가새 등을 균형적으로 배치), 건물의 열화 억제(균열 보수, 철골 부식 방지), 건물의 마감 등을 개수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내진보강을 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number of loads are reduced, the torsion of the building (balanced walls, braces, etc.), the deterioration of the building (crack repair, steel corrosion prevention), and the finishing of the building are repaired,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ectively. .
그밖에 기존 건물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내진보강을 하는 방법으로 건물의 흔들림을 제어하는 방법(면진, 제진)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king of a building (seismic isolation, vibration damping) by seismic reinforcement without changing the shape of an existing building.
현재 국내에서 제안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특히 학교 건축물의 내진보강기법은 일본이나 미국에서 연구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해서 제안된 방식과 유사한 것으로 건축물에 면진장치를 설치하는 방식, 에너지 흡수 댐퍼를 X 또는 K-브레이스와 함께 설치하는 방식 그리고 대형 K-브레이스를 건축물 외곽에 설치하는 방식 등이 있다.
The seismic reinforcement techniqu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especially school structures, which are currently being proposed in Korea, is similar to the proposed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in Japan or the United States. Alternatively, the method may be installed together with the K-Brace, and the method of installing a large K-Brace outside the building.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1-0026720호(공개일 : 2001.04.06.)인 "케이자 형상의 강재 브레이싱 방식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 구조체 및 내진보강 방법"이 제안되었다.
As a prior art,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26720 (published date: 2001.04.06.), "Keja-shaped steel bracing metho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was proposed.
기존의 내진보강재가 철골조로 된 건축물과 전력구조물(변전소, 수화력/원자력발전소 등)에 현장용접으로 설치될 경우, 기존에 설치된 전기/전자설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현장용접의 품질확보 및 검증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If existing seismic reinforcement materials are installed by field welding in steel-framed structures and power structures (substations, hydropower/nuclear power plants, etc.), they may affect existing installed electrical/electronic facilities, and secure and verify the quality of field welding. There are problems with difficulty.
그리고, 기존의 내진보강재는 현장용접으로 인한 잔류 응력으로 인해 모재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손상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xisting seismic reinforcing materials have a problem in that thermal deformation occurs in the base material due to residual stress due to welding in the field, and thus damage may occur.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진보강장치로서 케이싱 내부에 스프링과 댐퍼를 직렬로 혼용되게 배치하여 강성과 댐핑값을 조절함으로써 내진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to improve the seismic resistance by adjusting the stiffness and damping value by arranging springs and dampers in series in a casing as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There is a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를 칼럼과 거더에 기존의 용접 방식과 달리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seismic reinforcing device to improve the assembly and disassembly by separably separating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to the column and the girder unlike the conventional welding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는: 칼럼(column)에 대해 거더(girder)를 지지하는 내진보강부를 구비하는 내진보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며 점성유체를 저장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력의 작용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오리피스, 상기 칼럼에 지지된 채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압축되는 압축부, 및 상기 거더에 지지된 채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신장되는 인장부를 포함한다.Seismic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having a seismic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a girder (column) with respect to the column, the seismic reinforcing portion has a space therein, open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 casing for storing a viscous fluid, an orifice provided inside the casing and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ing under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lumn, and compressed to be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And,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irder includes a tension that is extended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상기 점성유체를 충진한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축 방향 이동함이 허용되도록, 상기 오리피스에는 관통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orifice so that the orifice filled with the viscous fluid is allowed to move axially inside the casing.
상기 압축부는, 상기 칼럼측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상기 케이싱을 안내하는 압축부시, 및 상기 압축부시와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리피스를 완충하는 압축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compression part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ompression bush and the orifice, which is supported on the column side and guides the casing which is inserted into one open side of the casing and is reciprocated by external force. And a compressive elastic member that buffers the orifice moved in the compression bushing direction.
상기 압축부시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축부시에는 제 1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compression bush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sing, 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stopper is provided in the compression bush.
상기 압축부시는 상기 케이싱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스토퍼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제 1완충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compression bushing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buffer member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ca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sing.
상기 인장부는, 상기 거더측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타측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상기 케이싱을 안내하는 인장부시, 및 상기 인장부시와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부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리피스를 완충하는 인장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tension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casing to be located between the tension bush and the orifice, and a tension bush that guides the casing supported by the girder side and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and reciprocated by an external force. It includes a tensile elastic member for buffering the orifice moved in the tension bushing direction.
상기 인장부시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장부시에는 제 2스토퍼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tension bushing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sing, 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stopper is provided in the tension bushing.
상기 인장부시는 상기 케이싱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스토퍼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해당되는 부위에 제 2완충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nsion bushing is provided with a second buffer member at a portion corresponding between the second stopper and the ca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sing.
상기 압축부는 수직연결어댑터에 의해 상기 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부는 수평연결어댑터에 의해 상기 거더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lumn by a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nd the tension part is connected to the girder by a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상기 수직연결어댑터는, 상기 칼럼을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수직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칼럼을 감싼 상기 수직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수직블록, 및 상기 수직브라켓과 상기 수직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수직결속부재를 포함한다.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 pair of vertical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column, the vertical block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bracket surrounding the column facing the column, and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the vertical bracket and the vertical block to each other It includes a vertically bind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상기 수평연결어댑터는, 상기 거더를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수평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거더를 감싼 상기 수평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블록, 및 상기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수평결속부재를 포함한다.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girder, facing the girder and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racket and a horizontal block connected to the tension portion, and the horizontal bracket and the horizontal block to each other It includes a horizontal bundl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fastened.
상기 수직연결어댑터와 상기 수평연결어댑터는 서포트부에 의해 보강 지지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re reinforced and supported by a support portion.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칼럼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연결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거더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연결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수평지지대, 및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를 구속하는 구속어댑터를 포함한다.The support unit, the vertical support i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column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the horizontal support i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girder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nd the It is fixed to the column or the girder, and includes a restraining adapter for restraining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상기 구속어댑터는,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를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구속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를 감싼 상기 구속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를 연결하는 구속블록, 및 상기 구속브라켓과 상기 구속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구속결속부재를 포함한다.The restraint adapter includes a pair of restraint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column or the girder, a restraining block provided inside the restraint bracket surrounding the column or the girder and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restraint bracket And a constraining bind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constraining blocks from each other.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는 서로 구속되는 내부보강부재를 내측에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umn or the girder has an inner reinforcement member constrain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는 내진보강장치로서 케이싱 내부에 스프링과 댐퍼를 직렬로 혼용되게 배치하여 강성과 댐핑값을 조절함으로써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seismic reinforcing device, so that springs and dampers are arranged in series in a casing to improve the seismic resistance by adjusting the rigidity and damping value.
그리고, 본 발명은 내진보강장치를 칼럼과 거더에 기존의 용접 방식과 달리 분리 가능하게 조립함으로써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assembly and disassembly by separating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into columns and girders detachably, unlike conventional welding metho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연결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수평연결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서포트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of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0.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a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연결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수평연결어댑터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of an earthquake-proof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의 서포트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장치는 칼럼(column,10)에 대해 거더(girder,20)를 지지하는 내진보강부(1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seismic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ismic reinforcing
특히, 칼럼(10)과 거더(20)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된 건축물과 전력구조물(변전소 또는 수화력, 원자력발전소)의 뼈대를 형성한다.In particular, the
칼럼(10)은 수직빔(vertical beam)이고, 거더(20)는 수평빔(horizontal beam)이다. 그리고, 거더(20)는 칼럼(10)의 둘레면에 결합되어 연장된다.The
이에 따라, 거더(20)는 칼럼(10)에 대해 내진 보강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그래서, 내진보강부(100)가 구비된다.So, the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내진보강부(100)는 케이싱(110), 오리피스(120), 압축부(130) 및 인장부(140)를 포함한다.3 to 5, the
케이싱(110)은 내부에 공간을 갖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케이싱(110)은 파이프(pipe)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케이싱(110)은 경질(硬質)로 이루어진다. 물론, 케이싱(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또한, 케이싱(110)은 내부에 점성유체(105)를 저장한다. 점성유체(105)는 오리피스(120)의 이동시 유압을 발생시킴에 따라, 오리피스(120)의 이동을 제한하며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점성유체(105)는 설정된 점성치를 갖는 오일(oil)로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한편, 오리피스(120)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오리피스(120)는 피스톤 역할을 한다. Meanwhile, the
그리고, 오리피스(120)는 외력의 작용에 따라 케이싱(110)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오리피스(12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Then, the
특히, 오리피스(120)는 점성유체(105)로 채워진 케이싱(110)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싱(110)의 축 방향과 나란하게 관통홀(122)을 통공한다.In particular, the
이때, 관통홀(122)의 개수 및 직경은 한정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number and diameter of the throug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보강부(100)는 직렬로 댐핑력과 탄성력을 배치함으로써 감쇠력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seismic reinforcing
상세하게는, 압축부(130)는 상대적으로 하측인 칼럼(10)에 지지된 채 케이싱(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진력 등과 같은 외력 발생시 압축 작용하고, 인장부(140)는 거더(20)에 지지된 채 케이싱(1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신장 작용한다.In detail, the
더욱 상세히, 압축부(130)는 압축부시(132) 및 압축탄성부재(134)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압축부시(132)는 일측이 칼럼(10)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케이싱(11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어 지진력 등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케이싱(11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때, 압축부시(132)가 삽입되는 케이싱(110)의 틈새는 밀봉 처리되어 점성유체(105)의 누출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아울러, 압축탄성부재(134)는 케이싱(110)의 축 방향을 따라 압축부시(132)와 오리피스(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래서, 압축탄성부재(134)는 압축부시(132) 방향으로 이동되는 오리피스(120)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이때, 압축탄성부재(134)는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탄성계수를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mpression
또한, 압축부시(132)는 케이싱(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1스토퍼(136)를 구비한다. 제 1스토퍼(13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1스토퍼(136)는 압축부시(13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압축부시(132)는 케이싱(110)의 일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1걸림돌부(139)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걸림돌부(139)는 압축부시(132)와 함께 케이싱(110)의 일측으로 억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압축부시(132)는 칼럼(10) 방향으로 후진하는 케이싱(11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축 방향을 따라 제 1스토퍼(136)와 케이싱(110) 사이에 해당되는 부위 둘레면에 제 1완충부재(138)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제 1완충부재(138)는 제 1스토퍼(136)에 지지된 채 케이싱(110)을 탄성 지지한다. 제 1완충부재(13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The
아울러, 인장부(140)는 인장부시(142) 및 인장탄성부재(144)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인장부시(142)는 일측이 거더(20)측에 지지되고, 타측이 케이싱(110)의 개방된 타측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케이싱(11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이때, 인장부시(142)가 삽입되는 케이싱(110)의 틈새는 밀봉 처리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between the
그리고, 인장탄성부재(144)는 케이싱(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인장부시(142)와 오리피스(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케이싱(110) 내부에 구비된다. 그래서, 인장탄성부재(144)는 인장부시(142) 방향으로 이동되는 오리피스(120)를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tensile
이때, 인장탄성부재(144)는 코일 스프링으로 하고, 탄성계수를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tensile
또한, 인장부시(142)는 케이싱(11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2스토퍼(146)를 구비한다. 제 2스토퍼(14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스토퍼(146)는 인장부시(142)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인장부시(142)는 케이싱(110)의 타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2걸림돌부(149)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걸림돌부(149)는 인장부시(142)와 함께 케이싱(110)의 타측으로 억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인장부시(142)는 거더(20) 방향으로 전진하는 케이싱(11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축 방향을 따라 제 2스토퍼(146)와 케이싱(110) 사이에 해당되는 부위 둘레면에 제 2완충부재(148)를 구비한다.The
제 2완충부재(148)는 제 2스토퍼(146)에 지지된 채 케이싱(110)을 탄성 지지한다. 제 2완충부재(148)는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서처럼, 압축부(130)는 수직연결어댑터(150)에 의해 칼럼(10)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2, 6 and 7, the
여기서, 수직연결어댑터(150)는 칼럼(10)과 조립된 채 볼팅됨에 따라 조립성과 분해성이 용이하다.Here, as the
즉, 수직연결어댑터(150)는 수직브라켓(152), 수직블록(154) 및 수직결속부재(156)를 포함한다.That is, the
수직브라켓(152)은 칼럼(1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수직브라켓(152)은 칼럼(10)의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칼럼(10)은 제 1상부웹(12), 제 1하부웹(14) 및 제 1브릿지(16)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제 1상부웹(12)은 일측을 향하고, 제 1하부웹(14)은 타측을 향하며, 제 1브릿지(16)는 제 1상부웹(12)과 제 1하부웹(1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칼럼(10)은 'H'형강 형상으로 이뤄진다. 물론, 칼럼(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first
이에 따라, 수직브라켓(152)은 한 쌍으로 이뤄져 마주한 상태로 제 1하부웹(14) 양측의 상측을 감싸게 된다.Accordingly, the
물론, 수직브라켓(15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Of course, the
그리고, 수직블록(154)은 마주한 채 칼럼(10)의 제 1하부웹(14)을 감싼 수직브라켓(15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마주하는 수직브라켓(152)의 각 내측 일부는 수직블록(154)의 대응되는 둘레면이나 테두리에 접하여 지지된다.And, the
이때, 수직블록(15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수직블록(154)은 압축부(130)와 연결된다. 즉, 수직블록(154)은 압축부(130)의 압축부시(132)의 일측을 힌지 연결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수직결속부재(156)는 수직블록(154)을 감싸는 한 쌍의 수직브라켓(152)을 결속함으로써, 수직블록(154)과 수직브라켓(152)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직결속부재(156)는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수직블록(154)과 수직브라켓(152)을 나사 결합하는 볼트나 스크류로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ertical binding
한편, 한편, 도 1, 도 2, 도 8 및 도 9에서처럼, 인장부(140)는 수평연결어댑터(160)에 의해 거더(20)에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1, 2, 8 and 9, the
여기서, 수평연결어댑터(160)는 거더(20)과 조립된 채 볼팅됨에 따라 조립성과 분해성이 용이하다.Here, as the
즉, 수평연결어댑터(160)는 수평브라켓(162), 수평블록(164) 및 수평결속부재(166)를 포함한다.That is, the
수평브라켓(162)은 거더(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수평브라켓(162)은 거더(20)의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거더(20)는 제 2상부웹(22), 제 2하부웹(24) 및 제 2브릿지(26)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제 2하부웹(24)은 제 2상부웹(22)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2브릿지(26)는 제 2상부웹(22)과 제 2하부웹(24)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거더(20)는 'H'형강 형상으로 이뤄진다. 물론, 거더(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The second
이에 따라, 수평브라켓(162)은 한 쌍으로 이뤄져 마주한 상태로 제 2하부웹(24) 양측의 상측을 감싸게 된다.Accordingly, the
물론, 수평브라켓(16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Of course, the
그리고, 수평블록(164)은 마주한 채 거더(20)의 제 2하부웹(24)을 감싼 수평브라켓(16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마주하는 수평브라켓(162)의 각 내측 일부는 수평블록(164)의 대응되는 둘레면이나 테두리에 접하여 지지된다.And, the
이때, 수평블록(16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수평블록(164)은 인장부(140)와 연결된다. 즉, 수평블록(164)은 인장부(140)의 인장부시(142)의 타측을 힌지 연결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수평결속부재(166)는 수평블록(164)을 감싸는 한 쌍의 수평브라켓(162)을 결속함으로써, 수평블록(164)과 수평브라켓(162)의 임의적 분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수평결속부재(166)는 조립 및 분해 작업이 용이하도록 수평블록(164)과 수평브라켓(162)을 나사 결합하는 볼트나 스크류로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binding
한편, 수직연결어댑터(150)의 수직브라켓(152)은 칼럼(10)에 결속된 상태로 내진보강부(100)의 내진 작동시 변형이나 파손, 또는 칼럼(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찬가지로, 수평연결어댑터(160)의 수평브라켓(162)은 거더(20)에 결속된 상태로 내진보강부(100)의 내진 작동시 변형이나 파손, 또는 거더(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Likewise, the
그래서, 수직연결어댑터(150)와 수평연결어댑터(160)는 서포트부(200)에 의해 보강 지지됨이 바람직하다.So, it is preferable that the
여기서, 한편, 도 1, 도 2, 도 10 및 도 11에서처럼, 서포트부(200)는 수직지지대(210), 수평지지대(220) 및 구속어댑터(230)를 포함한다.Here,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2, 10 and 11, the
수직지지대(210)는 내진보강부(100)를 향하는 칼럼(10)의 내측에 구비된다. 이때, 수직지지대(210)는 칼럼(10)의 제 1하부웹(14)과 나란하게 배치된다.The
그리고, 수직지지대(210)는 타측이 수직어댑터의 수직블록(154)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수직지지대(210)는 수직체결부재(212)에 의해 수직블록(154)에 체결된다. 수직체결부재(212)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볼트나 스크류 등 나사 체결 요소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수평지지대(220)는 내진보강부(100)를 향하는 거더(20)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때, 수평지지대(220)는 거더(20)의 제 2하부웹(24)과 나란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수평지지대(220)는 타측이 수평연결어댑터(160)의 수평블록(164)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And, the
이때, 수평지지대(220)는 수평체결부재(222)에 의해 수평블록(164)에 체결된다. 수평체결부재(222)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볼트나 스크류 등 나사 체결 요소로 한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구속어댑터(230)는 칼럼(10) 또는 거더(20)에 고정 설치된다. 특히, 구속어댑터(230)는 칼럼(10)의 거더(20) 연결부위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구속어댑터(230)는 수직지지대(210)를 구속한다. 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내진보강부(100), 수평연결어댑터(160), 수직연결어댑터(150) 및 구속어댑터(230)는 직각 삼각 궤적을 따라 배치되어 안정적으로 서로 지지된다.Accordingly, the
편의상, 구속어댑터(230)는 거더(20)의 제 2하부웹(24)에 조립되는 것으로 도시된다.For convenience, the
특히, 구속어댑터(230)는 구속브라켓(232), 구속블록(234) 및 구속결속부재(236)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구속브라켓(232)은 거더(2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구속브라켓(232)은 거더(20)의 제 2하부웹(24) 양측 일부를 감싸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The
물론, 거더(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Of course, the
구속브라켓(232)은 한 쌍으로 이뤄져 마주한 상태로 제 2하부웹(24) 양측의 상측을 감싸게 된다. 구속브라켓(232)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그리고, 구속블록(234)은 마주한 채 거더(20)의 제 2하부웹(24)을 감싼 구속브라켓(232)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래서, 마주하는 구속브라켓(232)의 각 내측 일부는 구속블록(234)의 대응되는 둘레면이나 테두리에 접하여 지지된다.Then, the restraining
이때, 구속블록(234)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restraining
아울러, 구속블록(234)은 수직지지대(210)의 일측을 연결한다. 수직지지대(21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속블록(234)에 연결된다.In addition, the restraining
또한, 수평지지대(220)의 일측은 칼럼(10) 또는 구속블록(234)에 지지되거나 연결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그리고, 구속결속부재(236)는 한 쌍의 구속브라켓(232)과 구속블록(234)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속결속부재(236)는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나사나 스크류로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특히, 구속어댑터(230)의 구속브라켓(232)을 연결하는 칼럼(10) 또는 거더(20)는 보강력 증가를 위해 내부보강부재(240)를 내측에 구비한다.In particular, the
편의상, 내부보강부재(240)는 구속브라켓(232)을 연결한 거더(20)에 내부보강부재(240)를 구비한다.For convenience, the inner reinforcing
즉, 내부보강부재(240)는 제 2브릿지(26)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제 2상부웹(22)과 제 2하부웹(24)을 연결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향하는 내부보강부재(240)는 커넥팅바(242)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지지된다.That is, the
마찬가지로, 내부보강부재(240)는 제 2브릿지(26)를 기준으로 타측에서 제 2상부웹(22)과 제 2하부웹(24)을 연결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향하는 내부보강부재(240)는 커넥팅바(242)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지지된다.Similarly, the
물론, 내부보강부재(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f cours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from this.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칼럼(column) 20: 거더(girder)
100: 내진보강부 110: 케이싱
120: 오리피스 130: 압축부
132: 압축부시 134: 압축탄성부재
136: 제 1스토퍼 140: 인장부
142: 인장부시 144: 인장탄성부재
146: 제 2스토퍼 150: 수직연결어댑터
152: 수직브라켓 154: 수직블록
160: 수평연결어댑터 162: 수평브라켓
164: 수평블록 200: 서포트부
210: 수직지지대 220: 수평지지대
230: 구속어댑터 232: 구속브라켓
234: 구속블록 240: 내부보강부재10: column 20: girder
100: earthquake-resistant reinforcement 110: casing
120: orifice 130: compression unit
132: compression bushing 134: compression elastic member
136: first stopper 140: tension
142: tension bushing 144: tensile elastic member
146: second stopper 150: vertical connection adapter
152: vertical bracket 154: vertical block
160: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162: horizontal bracket
164: horizontal block 200: support
210: vertical support 220: horizontal support
230: restraint adapter 232: restraint bracket
234: restraint block 240: internal reinforcement member
Claims (15)
상기 내진보강부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며, 점성유체를 저장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력의 작용에 따라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는 오리피스;
상기 칼럼에 지지된 채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압축되는 압축부; 및
상기 거더에 지지된 채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구비되어 외력 발생시 신장되는 인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부는 수직연결어댑터에 의해 상기 칼럼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부는 수평연결어댑터에 의해 상기 거더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은 경사지게 배치된 채 축 방향으로 일측이 상기 수직연결어댑터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수평연결어댑터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수직연결어댑터와 상기 수평연결어댑터는 서포트부 및 상기 케이싱에 의해 보강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은 공간의 내부에 점성유체를 충진하여 동일한 공간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오리피스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축 방향으로 감쇄 작용하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케이싱의 동일한 공간 내부에서 상기 점성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축 방향으로 관통홀을 통공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칼럼측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상기 케이싱을 안내하는 압축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부는, 상기 거더측에 지지되고, 상기 케이싱의 개방된 타측에 삽입되어 외력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상기 케이싱을 안내하는 인장부시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시는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타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1걸림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장부시는 상기 케이싱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가장자리 둘레면에 제 2걸림돌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It includes a seismic reinforcement for supporting a girder (horizontal beam) with respect to a column (column) that is a vertical beam,
The seismic reinforcing portion, the casing having a space therein, open to both sides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stores a viscous fluid;
An orifice provided inside the casing and reciprocat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ing according to the action of an external force;
A compress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column and com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nd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irder and includes a tensile portion that is extended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he compres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olumn by a vertical connection adapter, the tens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girder by a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The casing is disposed obliquely, and one side is hinged to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so that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re reinforced by a support part and the casing. Become,
The casing acts to attenuate in the axial direction by filling the viscous fluid inside the space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orifice provided in the same space,
The orifice penetrates through holes in the axial direction to allow movement of the viscous fluid in the same space of the casing,
The compression unit is supported on the column side, and includes a compression bush which guides the casing which is inserted into one open side of the casing and is reciprocated by external force.
The tension portion is supported on the girder side, and includes a tension bush that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sing and guides the casing reciprocated by external force,
The compression bushing forms a first catching protrus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to prevent complete departure from one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ing, and the tension bushing prevents complete departure from the other sid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casing Seismic reinforc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cond catching protrusion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side to do.
상기 압축부는, 상기 압축부시와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리피스를 완충하는 압축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mpression unit,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compression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casing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ompression bushing and the orifice to buffer the orifice moved in the compression bushing direction.
상기 압축부시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축부시에는 제 1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3,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topper is provided in the compression bushing to prevent the compression bushing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sing.
상기 압축부시는 상기 케이싱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1스토퍼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제 1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pression bushing is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first buffer member between the first stopper and the ca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sing.
상기 인장부는, 상기 인장부시와 상기 오리피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장부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오리피스를 완충하는 인장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nsion portion,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tensile elastic member provided in the casing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tension bush and the orifice to buffer the orifice moved in the tension bushing direction.
상기 인장부시가 상기 케이싱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장부시에는 제 2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6,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stopper is provided in the tension bushing, so as to prevent the tension bushing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asing.
상기 인장부시는 상기 케이싱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 2스토퍼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해당되는 부위에 제 2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tension bushing is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second buffer member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topper and the ca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casing.
상기 칼럼을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수직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칼럼을 감싼 상기 수직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수직블록; 및
상기 수직브라켓과 상기 수직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수직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 pair of vertical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column;
A vertical block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vertical bracket surrounding the column while facing, and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unit; And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vertical bind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vertical bracket and the vertical block from each other.
상기 거더를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수평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거더를 감싼 상기 수평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인장부와 연결되는 수평블록; 및
상기 수평브라켓과 상기 수평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수평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 pair of horizontal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girder;
A horizontal block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bracket surrounding the girder and connected to the tension unit; And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omprising a horizontal bind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horizontal bracket and the horizontal block detachably from each other.
상기 칼럼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직연결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수직지지대;
상기 거더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수평연결어댑터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되는 수평지지대; 및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를 구속하는 구속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unit,
A vertical support which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column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vertical connection adapter;
A horizontal support disposed parallel to the girde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rizontal connection adapter; And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is fixed to the column or the gir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aining adapter for restraining the vertical support and the horizontal support.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를 감싸도록 형성된 한 쌍의 구속브라켓;
마주한 채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를 감싼 상기 구속브라켓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수직지지대를 연결하는 구속블록; 및
상기 구속브라켓과 상기 구속블록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하는 구속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restraint adapter,
A pair of restraint brackets formed to surround the column or the girder;
A restraining block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straining bracket surrounding the column or the girder while facing, and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And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training binding member for separating the restraining bracket and the restraining block from each other.
상기 칼럼 또는 상기 거더는 서로 구속되는 내부보강부재를 내측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장치.The method of claim 14,
The column or the girder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inner reinforcement member that is constrained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5243A KR102141342B1 (en) | 2013-09-27 | 2013-09-27 |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5243A KR102141342B1 (en) | 2013-09-27 | 2013-09-27 |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5086A KR20150035086A (en) | 2015-04-06 |
KR102141342B1 true KR102141342B1 (en) | 2020-08-05 |
Family
ID=5303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5243A KR102141342B1 (en) | 2013-09-27 | 2013-09-27 |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134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605051B (en) * | 2017-09-27 | 2019-06-28 | 西南交通大学 | Assembled beam-column attachment device and assembled architecture frame |
CN112095824A (en) * | 2019-06-18 | 2020-12-18 | 毓润(上海)生态科技有限公司 | Shock-absorbing structure is consolidated to building |
CN110847406B (en) * | 2019-11-26 | 2021-05-14 | 西安建筑科技大学 | Removable ripple viscous spring combination mild steel attenuator |
CN110965802B (en) * | 2019-12-09 | 2021-11-19 | 中国林业科学研究院木材工业研究所 | Reinforcing device and reinforcing method for wooden structure resident beam column node |
CN111455823B (en) * | 2020-04-30 | 2021-07-27 | 重庆交通大学 | Longitudinal beam falling prevention device |
CN112681640A (en) * | 2020-12-24 | 2021-04-20 |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 Shock absorption and isolation device for assembled building stairs |
KR102322356B1 (en) * | 2021-06-02 | 2021-11-04 | 이완섭 | Encaustic brics damper and seismic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of masonry structures using of the same |
KR102322358B1 (en) * | 2021-06-15 | 2021-11-04 | 이완섭 | Vibration control unit having hanger bolt |
IT202100029525A1 (en) * | 2021-11-23 | 2023-05-23 | Asdea S R L | Device for reinforcing structural joints between construction elements. |
CN114673255A (en) * | 2022-03-12 | 2022-06-28 | 李伟 | Effectual steel construction of resistance to compression shock attenuation |
CN114960949B (en) * | 2022-06-29 | 2024-04-09 | 西安建筑科技大学 | End rigidity lifting steel bar constraint round steel pipe member |
CN117846368B (en) * | 2024-03-08 | 2024-05-14 | 山东道恩工程建设有限公司 | Building structure reinforcing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219Y1 (en) * | 2004-05-13 | 2004-08-05 | 신영공업 주식회사 | simplicity sprinkler |
KR200358919Y1 (en) * | 2004-05-20 | 2004-08-11 | (주) 선구엔지니어링 | Reinforcement member for constructure capable of install constructure of variable distance-across |
JP2007146579A (en) * | 2005-11-30 | 2007-06-14 | Sanix Inc | Existing wooden building reinforcing structure |
JP2014159689A (en) * | 2013-02-19 | 2014-09-04 | Ohbayashi Corp |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building with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1154972A (en) * | 1987-12-10 | 1989-06-16 | Kajima Corp | Variable rigidity joining device for building frame |
-
2013
- 2013-09-27 KR KR1020130115243A patent/KR10214134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8219Y1 (en) * | 2004-05-13 | 2004-08-05 | 신영공업 주식회사 | simplicity sprinkler |
KR200358919Y1 (en) * | 2004-05-20 | 2004-08-11 | (주) 선구엔지니어링 | Reinforcement member for constructure capable of install constructure of variable distance-across |
JP2007146579A (en) * | 2005-11-30 | 2007-06-14 | Sanix Inc | Existing wooden building reinforcing structure |
JP2014159689A (en) * | 2013-02-19 | 2014-09-04 | Ohbayashi Corp | Vibration control device and building with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35086A (en) | 2015-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342B1 (en) | Seismic control brace device | |
KR101760680B1 (en) | Seismic reinforcing device | |
TWI472670B (en) | Method and structure for damping movement in buildings | |
Ju et al. | Component tests of buckling-restrained braces with unconstrained length | |
Usami et al. | A seismic upgrading method for steel arch bridges using buckling‐restrained braces | |
US9683365B2 (en) | Piston based self-centering brace apparatus | |
JP6099882B2 (en) | Seismic improvement method for sluice pillar of dam | |
CN103866882A (en) | Post-tensioned prestressing self centering steel plate shear wall structure | |
KR102069168B1 (en) | Dual damping earthquake-proof structure using high damping rubber and steel | |
Sharma et al. | Comparative study on a single-story RCC frame with large and small-scale magnetorheological damper subjected to seismic excitation | |
Wu et al. | Mechanical performance and damping effect of multi‐stage yield metal sleeve damper | |
Qi et al. | Smart retrofitting of irregular steel joints in traditional Chinese buildings by viscous dampers | |
CN110359728B (en) | Rectangular-section RC column active constraint reinforcing device | |
KR102174713B1 (en) | Seismic reinforcement device for underground structure | |
Köken et al. | Waste rubber damper using on steel beam to column connection | |
KR100977041B1 (en) | Haunch for resisting earthquake of structure | |
KR100982240B1 (en) | Haunch for resisting earthquake of structure | |
JP2007285060A (en) | Building with vibration control device | |
KR101034789B1 (en) | Haunch for resisting earthquake of structure and link for resisting earthquake used thereof | |
KR101011162B1 (en) | The structure a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for which aseismic reinforcement equipment and this were used | |
JP4959636B2 (en) | Damping member | |
JP2013039873A (en) | Seismic control beam and gate type beam including the seismic control beam | |
JP7409950B2 (en) | Vibration control device | |
KR101242972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partition wall using seismic control device | |
JP2014034834A (en) | Seismic isolation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