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935B1 -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935B1
KR102140935B1 KR1020190118605A KR20190118605A KR102140935B1 KR 102140935 B1 KR102140935 B1 KR 102140935B1 KR 1020190118605 A KR1020190118605 A KR 1020190118605A KR 20190118605 A KR20190118605 A KR 20190118605A KR 102140935 B1 KR102140935 B1 KR 10214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display
call
icons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704A (ko
Inventor
조시준
서석호
양해정
임경수
임은희
전진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8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93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누름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제 1 아이콘 그룹 중 상기 누름 동작이 수행된 아이콘인 제 1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 1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제 2 아이콘 그룹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아이콘에 대한 누름 동작 수행 중에 상기 제 1 아이콘의 드래그로 인하여 상기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콘인 제 2 아이콘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미디어 기기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MENU CONTROLLING METHOD OF MEDIA EQUIPMENT, APPARATUS THEREOF, AND MEDIUM STORING PROGRAM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스마트 폰 등의 각 종 미디어 기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 기기들은 사용의 편리성과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터치 스크린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미디어 기기에는, 소프트웨어 플랫폼(software flatform)의 범용성에 힘입은 어플리케이션의 보급으로 인하여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미디어 기기는 다 수의 메뉴를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를 원하는 경우 원하는 메뉴를 일일이 찾아 선택하고, 선택된 메뉴에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 항목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다른 메뉴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위 목록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다중 작업(multi tasking) 중에 이러한 메뉴의 선택은 여러 번의 화면 전환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디어 기기의 메뉴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외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하기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및 홈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제1 아이콘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제1 아이콘 상에서, 기능 아이템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과 연관된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과 상기 제1 아이콘을 상기 홈 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 중 특정 기능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특정 기능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터치 스크린; 및 홈 스크린상에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제1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제1 수신 호(incoming call)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수신 호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아이콘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수신 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에 포함된 상기 제1 수신 호와 관련된 정보상에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수신 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미디어 기기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n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동작의 수행 중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순서 차트(Message Sequence Chart; MSC)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이용되는 미디어(media) 기기의 메뉴(menu)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메뉴가 어디에 있는지를 일일이 찾아야 하고, 여러 번의 화면 전환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특히 아이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미디어 기기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원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아이콘 그룹(group)을 이용한다. 하나의 아이콘 그룹(이하, 제 1 아이콘 그룹이라 함)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아이콘 그룹(이하, 제 2 아이콘 그룹이라 함)은,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아이콘과 관련된 아이콘들, 예를 들어 하위 기능을 수행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한다, 즉,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 각각은, 자신의 기능과 관련된 제 2 아이콘 그룹을 갖는다.
사용자로부터 요청이 있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제 1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후,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이하, 제 1 아이콘 그룹에서 선택된 아이콘을 제 1 아이콘이라 함)되면, 미디어 기기는, 제 1 아이콘 그룹 중 제 1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고, 제 1 아이콘과 관련된 제 2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한다는 것은,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거나, 나머지 아이콘들의 불투명도를 제 1 아이콘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 1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후, 제 1 아이콘의 드래그(drag)로 인하여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이하, 제 2 아이콘 그룹에서 선택된 아이콘을 제 2 아이콘이라 함)되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여러 단계의 화면 전환을 거칠 필요 없이 아이콘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미디어 기기의 메뉴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동작 원리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요약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미디어 기기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미디어 기기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드래그가 가능한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 미디어 기기란, 미디어의 기록, 표시 및 재생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이 가능한 기기로서, 휴대 전화, 스마트 폰(smart phone), 네비게이션(navigation),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MP3(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 플레이어, 게임기, 태블릿(tablet), 넷북(netbook), 테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인터넷(internet) 접속이 가능한 통신 단말 및 방송 수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에서, 미디어란, 어떠한 정보를 담고 있는 매체로서, 텍스트(text), 오디오(audio), 이미지(image), 애니메이션(animation) 및 비디오(video)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2a 내지 도 2n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a 내지 도 2n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동작의 수행 중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101)에서 설정된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미디어 기기는, 단계(103)로 진행하여 설정된 제 1 아이콘 그룹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활성화 신호란, 제 1 아이콘 그룹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 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활성화 신호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기기의 일 측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생성되거나,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위치하는 특정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는 경우에 생성될 수 있다. 도 2c는 활성화 신호의 입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아이콘 그룹의 일 예를 보여준다.
한편, 미디어 기기의 일 측이란, 미디어 기기의 외관을 이루는 형상 중 소정 영역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미디어 기기의 전면, 후면, 상 측면, 하 측면, 좌 측면 또는 우 측면 등을 일컫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 그룹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 각각은 서로 다른 카테고리(category)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상기 카테고리에는, 인터넷 관련 카테고리, 통화 관련 카테고리, 메시지(message) 관련 카테고리, 전자 서적(e-book) 관련 카테고리, 오디오 관련 카테고리, 비디오 관련 카테고리, 메일(mail) 관련 카테고리, 텍스트 관련 카테고리, 일정 관련 카테고리 및 도움말 관련 카테고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테고리는, 설계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 및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미디어 기기는,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 그룹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설정된 영역에 고정되도록 디스플레이하거나,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 그룹의 불투명도를 설정된 범위에서 점차 증가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미디어 기기는,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 상에 상기 제 1 아이콘 그룹을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의 불투명도보다 제 1 아이콘 그룹의 불투명도를 더 높게 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과 단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g는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h는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의 불투명도보다 제 1 아이콘 그룹의 불투명도를 더 높게 하여 디스플레이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101) 및 단계(103)는, 미디어 기기의 설계자 또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기기의 설계자 또는 사용자는 상기 제 1 아이콘 그룹이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항상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계(103) 및 단계(105)는 생략될 수 있다.
단계(105)에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미디어 기기는, 단계(107)로 진행한다.
단계(107)에서, 미디어 기기는, 단계(105)에서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인지 판단하고,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109)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107a)로 진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한다는 것은,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의미한다. 누름 동작이란,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소정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역을 누르는 동작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누름 동작 이후에 뗌 동작 또는 누름 동작의 종료라는 기재가 없는 경우 누름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뗌 동작과 누름 동작의 종료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09)에서, 미디어 기기는, 제 1 아이콘 그룹에서 선택된 아이콘, 즉 제 1 아이콘을 제외하고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고, 제 1 아이콘과 관련된 제 2 아이콘 그룹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한다는 것은,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거나, 나머지 아이콘들의 불투명도를 제 1 아이콘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 1 아이콘과 구별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k에는 제 1 아이콘 그룹 중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한 상태에서 제 2 아이콘 그룹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를 일 예로서 도시하였다.
실시 예에 따라서, 예를 들어, 단계(101) 및 단계(103)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 그룹이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항상 표시되도록 설정하는 경우에는, 제 1 아이콘이 선택되더라도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제 2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제 2 아이콘 그룹을 제 1 아이콘과 인접하도록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이 다 수일 경우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제 2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아이콘이 제 1 아이콘과 가장 인접하여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이콘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단에 있을 때, 제 2 아이콘 그룹이 제 1 아이콘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에 가려진 제 2 아이콘 그룹을 보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제 1 아이콘의 드래그로 인하여 제 1 아이콘이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201) 외부로 이동되고, 설정된 시간 이상 누름 동작이 지속되는 경우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을 도 2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방법에 따라 재배열한다. 설정된 방법으로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을 재배열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을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상측에서부터 또는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배열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서, 제 2 아이콘 그룹과 제 1 아이콘 그룹은 계층적 관계에 있다. 즉,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은 제 1 아이콘에 대한 하위 계층의 아이콘이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콘이 통화 관련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아이콘 그룹은, 통화와 관련된 하위 계층의 기능인, 최근 통화 목록 표시, 최빈(最頻) 통화 목록 표시, 주소록 표시 및 통화 관련 도움말 표시 기능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 2 아이콘 그룹이 디스플레이된 이 후의 단계(111)에서,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미디어 기기는, 단계(113)로 진행한다.
단계(113)에서, 미디어 기기는, 단계(111)에서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인지 판단하고,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11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단계(113a)로 진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한다는 것은, 제 1 아이콘을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으로 드래그하거나, 제 1 아이콘을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으로 드래그한 이 후 누름 동작을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드래그 한다는 것은, 소정 아이콘에 대한 누름 동작을 지속하면서 해당 소정 아이콘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드래그 동작 이후에 뗌 동작 또는 드래그 동작의 종료라는 기재가 없는 경우 누름 동작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설정된 임계 값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드래그 동작만으로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미디어 기기는, 제 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겹치는 면적이 설정된 임계 값 이상인 경우 또는 제 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영역 간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 값 이하인 경우에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기 이전에 제 1 아이콘에 대한 누름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제 1 아이콘의 선택을 해제한다. 이러한 경우, 미디어 기기는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였던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제 1 아이콘에 대한 누름 동작이 있기 전의 디스플레이 상태로 복원한다. 따라서, 이 때, 사용자는 다시 제 1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15)에서, 미디어 기기는, 제 2 아이콘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하, 제 2 아이콘이라 함)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m에는 제 2 아이콘으로서 최근 통화 목록을 선택하는 것을, 도 2n에는 제 2 아이콘의 선택에 따른 기능 수행으로서 최근 통화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가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하고자 할 수도 있고, 또는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자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미디어 기기에서의 동작을 단계(105) 내지 단계(107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105)에서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07a)에서, 미디어 기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일 수 있다.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제 1 아이콘 그룹과 함께 표시된 특정 아이콘, 예를 들어 뒤로 가기 아이콘의 누름 동작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제 1 아이콘 그룹의 활성화 시와 마찬가지로 미디어 기기의 일 측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단계(107b)로 진행하여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단계(107c)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입력된 신호는,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미디어 기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된 신호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기능의 수행이 종료될 때 제 1 아이콘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에,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를 받은 후 통화가 끝난 경우에, 미디어 기기는, 단계(105)로 진행하여 새로운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 수행을 계속한다.
한편,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사용자가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제 1 아이콘 그룹을 다시 보고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아이콘 그룹에서 원하지 않는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다시 아이콘을 선택하고자 할 수 있다. 또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걸려오는 전화를 받고자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미디어 기기에서의 동작을 단계(111) 내지 단계(11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111)에서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진행한 단계(113a)에서, 미디어 기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인지 판단한다.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는, 예를 들어,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기 이전에 제 1 아이콘의 누름 동작이 종료된 경우 발생할 수 있고, 또는 제 1 아이콘 그룹과 함께 표시된 특정 아이콘, 예를 들어 뒤로 가기 아이콘의 누름 동작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라고 판단되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단계(113b)로 진행하여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제 1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전에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한다.
만약, 상기 입력된 신호가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미디어 기기는, 단계(113c)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입력된 신호는,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미디어 기기는, 상기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된 신호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기능의 수행이 종료될 때 제 1 아이콘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 후에,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를 받은 후 통화가 끝난 경우에, 미디어 기기는, 단계(111)로 진행하여 새로운 입력 신호에 따른 동작 수행을 계속한다.
한편, 제 1 아이콘 그룹과 제 2 아이콘 그룹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고, 자동으로 갱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제 1 아이콘 그룹과 제 2 아이콘 그룹을 자동으로 갱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지 않는 아이콘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빈도가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아이콘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미디어 기기는 해당 아이콘들을 제 1 아이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아이콘 그룹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미디어 기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 1 아이콘 그룹 및 제 2 아이콘 그룹을 갱신하는 경우 아이콘 목록의 선택 및 삭제와 관련된 내용 등을 사용자에게 가이드로서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도 1, 도 2a 내지 도 2n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따른 동작을 소프트웨어적인 관점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순서 차트(Message Sequence Chart; MSC)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105, 107, 109, 111, 113, 115)들의 동작 수행 시에 객체들이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대표적인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msg_q는 운영 체제(OS)의 message queue를, main_menu는 task_icon을 담고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task_icon1 및 task_icon2는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을, option_icon은 제 2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을 나타낸다.
단계(301)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누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button_press_event가 누름 동작이 수행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위치 정보와 함께 OS의 message_queue를 거쳐 main_menu에 전달된다.
단계(303)에서, main_menu는 전달된 위지 정보를 기반으로 어떠한 task_icon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선택된 task_icon 이외의 모든 task_icon들은 제거한다. 즉, 선택되지 않은 task_icon들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task_icon 1이 선택된 것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선택되지 않은 task_icon 2는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사라진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task_icon 2를 제거하는 대신 task_icon1과 구별되도록 그 불투명도를 달리하여 표시하는 등의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이 후, main_menu는 task_icon 1과 관련된 option_icon들을 생성한다.
단계(305)에서, 사용자가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서 task_icon 1을 드래그하면, 이에 따라 task_icon 1의 위치 좌표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좌표 변화와 관련된 정보는 message_queue로부터 main_menu에 전달되며, main_menu는 전달된 정보를 기반으로 task_icon 1의 디스플레이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task_icon 1이 어느 하나의 option_icon에 설정된 임계 값만큼 겹쳐지거나 설정된 임계 값만큼 가까워진 후 task_icon 1에 대한 누름 동작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된다.
이 후, 어느 하나의 option_icon이 선택되면, 단계(307)에서, main_menu는 디스플레이되던 아이콘들, 즉 task_icon 1, option_icon 1, option_icon 2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icon들은 더 이상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main_menu는 선택된 option_icon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방법을 MSC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뉴 제어 장치는, 제어부(410), 활성화부(420), 터치 스크린(430) 및 메모리부(440)를 포함한다.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에 제 1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한다.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이 설정된 디스플레이 영역의 일 측으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설정된 영역에 고정되도록 하거나, 제 1 아이콘 그룹의 불투명도를 설정된 범위에서 증가시키면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 상에 제 1 아이콘 그룹을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 때,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의 불투명도보다 제 1 아이콘 그룹의 불투명도를 더 높게 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 1 아이콘 그룹은, 활성화 신호와 무관하게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항상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410)는, 상기 특정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제 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할 수도 있고, 상기 특정 신호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기능의 수행이 종료될 때 제 1 아이콘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아이콘인 제 1 아이콘을 제외하고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고, 제 1 아이콘과 관련된 제 2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한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이 선택되더라도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시에, 제 2 아이콘 그룹을 제 1 아이콘과 인접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10)는,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의 사용 빈도를 고려하여 제 2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 2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 중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아이콘이 제 1 아이콘과 가장 인접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제 1 아이콘이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부로 이동되고, 설정된 시간 이상 누름 동작이 지속되는 경우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을 설정된 방법에 따라 재배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이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으로 드래그되거나, 제 1 아이콘이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으로 드래그된 이 후 누름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었다고 판단하고, 선택된 아이콘인 제 2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아이콘 그룹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설정된 임계 값, 예를 들어 아이콘 간에 서로 겹치는 영역의 면적 또는 아이콘 간의 최소 거리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중지하고, 제 1 아이콘 그룹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전에 사용자가 작업 중이던 화면으로 복귀한다.
또한, 제어부는, 제 2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 중에, 특정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예를 들어 걸려오는 전화에 대한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410)는, 상기 특정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중에 제 2 아이콘의 디스플레이를 계속할 수도 있고, 상기 특정 신호와 관련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후 해당 기능의 수행이 종료될 때 제 2 아이콘을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제 1 아이콘 그룹과 제 2 아이콘 그룹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갱신하거나 스스로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410)가 스스로 갱신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지 않는 아이콘들 중,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되는 빈도가 제 1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어느 하나의 아이콘의 사용 빈도보다 높은 경우, 미디어 기기는 해당 아이콘들을 제 1 아이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 아이콘 그룹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갱신하는 경우, 제어부(410)는 터치 스크린(430)을 통하여 아이콘 목록의 선택 및 삭제와 관련된 내용 등을 사용자에게 가이드로서 제공한다.
활성화부(420)는, 미디어 기기의 일 측에 위치하며, 제 1 아이콘 그룹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10)로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서, 활성화 신호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특정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430)은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활성화부(420)는 생략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430)은, 제어부(410)의 제어 하에, 제 1 아이콘 그룹 및 제 2 아이콘 그룹을 포함한 각 종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의 누름 동작, 드래그 동작 및 뗌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41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440)는, 제 1 아이콘 그룹 및 제 2 아이콘 그룹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아이콘 그룹 및 제 2 아이콘 그룹과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제 1 아이콘 그룹 및 제 2 아이콘 그룹에 속하는 아이콘들의 종류 및 상기 아이콘들의 사용 빈도 등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440)는, 각 종 연락처 정보, 통화 관련 정보, 일정 관련 정보, 텍스트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임의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그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다양한 운영 체제 또는 플랫폼을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다수의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들 중에서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고, 또한 프레임워크 또는 가상 머신에서 실행되는 실행가능 기계어 코드 또는 중간 코드로 컴파일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이상에서 논의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예를 들어,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로 구현될 수 있다.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홈 스크린에 복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제1 아이콘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응하는 제1 누름 동작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누름 동작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제1 아이콘 상에서, 기능 아이템의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제2 누름 동작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누름 동작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아이콘과 연관된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과 상기 제1 아이콘을 상기 홈 스크린에 함께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 중 특정 기능 아이템을 선택하기 위한 제3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특정 기능 아이템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자동으로 갱신되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갱신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이 전화 통화와 관련된 아이콘이면,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은 상기 전자 장치에서 최근 수신된 전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최근 수신된 전화와 관련된 정보는 최근 수신된 전화의 전화 번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 최근 수신된 전화와 관련된 정보는 최근 수신된 부재중 전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은 상기 제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상태와 다른 디스플레이 상태로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제1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와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을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이 상기 나머지 아이콘들 중 제1 아이콘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위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방법으로,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을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을 상기 홈 스크린상에서 상기 제1 아이콘의 위치에 따라 특정 방향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홈 스크린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을 상기 제1 아이콘의 하부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홈 스크린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을 상기 제1 아이콘의 상기 하부와 다른 위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이 전화 통화와 관련된 아이콘이면, 상기 복수의 기능 아이템들은 통화 관련 기능에 연관되며,
    상기 통화 관련 기능은, 최근 통화 목록, 최빈 통화 목록, 연락처 표시, 통화 관련 도움말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누름 동작 입력은 설정 시간 보다 작은 시간 동안의 누름 동작이며,
    상기 제2 누름 동작 입력은 상기 설정 시간 보다 긴 시간 동안의 누름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전자 장치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및
    홈 스크린상에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제1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아이콘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1 아이콘 상에서, 제1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제1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제1 수신 호(incoming call)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수신 호가 종료된 후, 상기 제1 아이콘 상에서 제2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수신 호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에 포함된 상기 제1 수신 호와 관련된 정보상에서 제3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터치 입력의 수신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수신 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1 수신 호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 수신 호의 발신자 및 발신자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및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콘에 인접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및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은,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유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제1 아이콘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위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및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은,
    상기 홈 스크린상에서 상기 제1 아이콘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라 특정 방향에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능 아이템은,
    최근 통화 목록, 최빈 통화 목록, 연락처 표시, 통화 관련 도움말 표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또는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이 디스플레이 되는 동안 수신되는 제2 수신 호에 상응하여,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또는 상기 제2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더 제어하는, 전자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은 제1 디스플레이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며, 상기 제1 기능 아이템 및 제2 기능 아이템은 제2 디스플레이 상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전자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아이콘 상에 제1 터치 입력이 수신될 때,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제1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시키고, 상기 전화 통화와 관련된 상기 제1 기능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더 제어하는,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나머지 아이콘들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나머지 아이콘들의 불투명도(opacity)를 상기 제1 아이콘의 불투명도 보다 더 낮게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90118605A 2019-09-26 2019-09-26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214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05A KR102140935B1 (ko) 2019-09-26 2019-09-26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605A KR102140935B1 (ko) 2019-09-26 2019-09-26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159A Division KR102027879B1 (ko) 2012-04-04 2012-04-04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04A KR20190113704A (ko) 2019-10-08
KR102140935B1 true KR102140935B1 (ko) 2020-08-04

Family

ID=68208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605A KR102140935B1 (ko) 2019-09-26 2019-09-26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9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927B1 (ko) *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KR101448641B1 (ko) * 2008-04-21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004463B1 (ko) * 2008-12-09 2010-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의 드래그를 이용한 메뉴 선택을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7706B1 (ko) * 2009-04-16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1040호(2009.10.26.)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66002호(2010.06.17.)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14779호(2010.10.26.) 1부.*
한국등록특허 제10-0774927호(2007.11.09.)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04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7879B1 (ko)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JP7028935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に対応す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と対話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115929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izing applications in a multitasking view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20220236861A1 (en) Operating method for multiple window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2020016706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9164964B (zh) 内容分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150780B2 (en) Updating display of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for managing workspaces in response to user input
KR10173383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작업 공간 관리
US10152192B2 (en) Scaling application windows in one or more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KR101460428B1 (ko) 폴더들을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US9292196B2 (en) Modifying the presentation of clustered application windows in a user interface
US20140237378A1 (en) System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ple personas on mobile technology platforms
EP2154603A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20100087834A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4007894A (zh) 便携式设备及其多应用操作方法
KR20200055807A (ko) 컴퓨팅 장치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11339032A (zh) 管理具有多页面的文件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AU2014312481A1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KR102140935B1 (ko) 미디어 기기의 메뉴 제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AU2019202690B2 (en) Manag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AU2013216607B2 (en) Managing workspaces in a user interface
CN118502697A (zh) 终端控制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