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799B1 -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799B1
KR102140799B1 KR1020170119658A KR20170119658A KR102140799B1 KR 102140799 B1 KR102140799 B1 KR 102140799B1 KR 1020170119658 A KR1020170119658 A KR 1020170119658A KR 20170119658 A KR20170119658 A KR 20170119658A KR 102140799 B1 KR102140799 B1 KR 102140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evice
smoking
smoking articles
smoking article
liquid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784A (ko
Inventor
문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70119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4Wick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85Maintenance, e.g. clea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흡연물품용 보조 장치에 있어서, 마우스피스; 마우스피스의 하단과 접경되고,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저장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하는 탄소충전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흡연물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An Auxiliary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Smoking Experience to a User}
본 개시는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담배와 같은 흡연물품(smoking article)이 연소되거나 가열될 때 생성되는 에어로졸(aerosol)에는 다양한 물질들이 포함되어 있다. 근래에 에어로졸에 포함된 물질들을 필터링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발전되어 왔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흡연물품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단과 접경되고,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하는 탄소충전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터부는 튜브 층, 특수구조물 층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으로 구성된 3중 튜브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수구조물 층은 미니파이프 형태로서,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특수구조물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상기 필터부, 상기 유로 및 상기 마우스피스 순서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저장부는 모세관 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은 상기 모세관 심지를 통해 상기 유로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액상 조성물은 유로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저장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상기 액체 저장부 및 상기 필터부 사이에 차단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 구조는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이 상기 필터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 가능한 공기 유통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통 채널은 필터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소 충전물질은 탄소, 활성 탄소 및 탄소질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품에 포함되는 상기 탄소 충전물질의 함량을 제 1 함량이라고 할 때, 상기 필터부는 상기 탄소 충전물질을 상기 제 1 함량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배터리 및 전기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기화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흡입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회로는 상기 흡입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puff)의 횟수 및 퍼프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 감지 센서는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입 감지 센서는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회로는 상기 퍼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교체 시기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 따른 흡연물품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최상단에 구비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단에 위치되고, 튜브 층, 특수구조물 층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을 포함하는 3중 구조이며,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여과시키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단과 접경되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3중 튜브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포함되는 공기 유통 채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흡연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퍼프(puff)"라 함은 사용자의 흡입을 의미하며, 흡입이란 사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 비강 내 또는 폐로 끌어 당기는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퍼프 정보"란 퍼프 강도, 퍼프 간격, 퍼프 횟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퍼프의 세기, 사용자의 퍼프와 퍼프 간의 시간 간격, 잔여 퍼프 가능 횟수 및 현재 총 퍼프 횟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단" 및 "하단"은 사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사용자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흡연하는 경우를 가정하였을 때, 사용자의 입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입에 가까운 쪽이 상단이고, 사용자의 입에 먼 쪽이 하단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흡연하는 경우 마우스피스는 사용자의 입에 가장 가까이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마우스피스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최상단에 해당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길이방향"이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가 마우스피스, 액체 저장부, 필터부 및 고정부를 나열된 순서대로 포함한다고 가정할 때, 길이방향은 마우스피스에서 고정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서, 길이방향은 우상단에서 좌하단으로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흡연물품(10)과 결합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이 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흡연물품(10)은 일반적인 궐련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인 궐련과 동일한 방식으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흡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흡연물품(10)을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삽입한 뒤, 흡연물품(10)의 하단에 불을 붙일 수 있다.
흡연물품(10)이 연소되는 경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필터 기능을 수행하므로, 에어로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될 수 있다.
다만,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된 입자 성분들이 과도하게 필터링되거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너무 적어지면, 사용자는 흡연물품(10)을 흡연함에 따른 맛, 풍미, 향미 등을 제대로 느끼지 못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연물품(10)을 흡연할 때 느낄 수 있는 맛이 조절될 수 있도록,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유통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통 채널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한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사용자가 다양한 맛, 풍미, 향미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 풍미 성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이용할 때, 멘솔, 과일향 등과 같은, 원하는 향미 성분을 선택할 수 있다.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가 에어로졸에 향미 성분 등을 제공하는 방법은 도 2 또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또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배터리 및 전기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및 전기회로를 이용하여 퍼프 카운팅, 알림 출력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부가적인 기능들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강화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맛, 풍미, 향미 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마우스피스(210), 액체 저장부(220),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0)는 사용자의 입에 의해 물려지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1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최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20)는 마우스피스(210)의 하단과 접경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220)는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체 저장부(220)는 액체 저장부(22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250)는 액체 저장부(220)는 저장된 액상 조성물을 유로(250)로 제공함으로써, 액체 저장부(220)를 통과하는 에어로졸에 다양항 향미와 풍미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220)는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비타민 혼합물을 유로(250)로 제공함으로써, 비타민 성분들이 유로(250)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 비타민 성분들은 사용자의 체내로 흡수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20)는 모세관 심지(capillary wic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 심지는 액체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액체 저장부(220)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을 유로(250)로 전달시킬 수 있다. 유로(250)로 전달된 액상 조성물은 유로(250)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 모세관 심지는 여러 가지의 다공성 또는 모세관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세관 심지는 세라믹 또는 흑연계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액체 저장부(220)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220)가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 형태라고 할 때, 원기둥의 옆면, 즉, 액체 저장부(220)의 외면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액체 저장부(220)에 남아 있는 액체 조성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2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2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로부터 분리되어 교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액체 저장부(220)에 남아 있는 액체 조성물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교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액체 저장부(220)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액체 저장부(220) 및 필터부(230) 사이에 차단 구조(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 구조(260)는 액체 저장부(220)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이 필터부(230)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 구조(260)는 액상 조성물이 필터부(230)에 포함되는 탄소 충전물질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필터부(230)의 필터링 기능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부(230)는 액체 저장부(220)의 하단 또는 차단 구조(260)의 하단과 접경할 수 있다. 또한, 필터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하는 탄소충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소 충전물질은 탄소, 활성 탄소 및 탄소질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소 충전물질은 코코넛계 활성 탄소, 너트 껍질, 핵과, 숯, 갈탄, 유기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활성 탄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탄소 충전물질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230)는 탄소 충전물질을 흡연물품(10)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함량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연물품(10)에 포함되는 탄소 충전물질의 함량을 제 1 함량이라고 할 때, 필터부(230)는 탄소 충전물질을 제 1 함량보다 많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함량은 흡연물품(10)에 포함되는 필터 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탄소 충전물질이 0.9% 내지 2.1% w/w만큼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물품(10)의 필터로부터 걸러지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필터부(230)를 통과하면서 걸러질 수 있다. 필터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40)는 필터부(230)의 하단과 접경될 수 있다. 고정부(240)는 흡연물품(1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품(10)이 고정부(240)에 의해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흡연물품(10)을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결합하여 흡연할 수 있다. 고정부(24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최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마우스피스(210), 액체 저장부(220), 차단 구조(260),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를 나열된 순서에 따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연물품(10)을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결합하여 흡연하는 경우,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필터부(230), 액체 저장부(220)에 포함된 유로(250) 및 마우스피스(210) 순서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필터부(230)를 통과하면서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제거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제거된 에어로졸은 액체 저장부(220)를 통과하면서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성분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필터부(230) 및 액체 저장부(220)를 통과한 에어로졸은 마우스피스(210)를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필터링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에 추가된 향미 성분들로부터 풍부한 맛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에 포함된 비타민 혼합물이 체내에 흡수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3중 튜브 필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튜브 층(310), 특수구조물 층(320)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330)으로 구성된 3중 튜브 필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필터부(230)는 탄소 충전물질 외에 도 3의 3중 튜브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의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필터부(230)는 튜브 층(310), 특수구조물 층(320)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330) 중 적어도 하나의 층만을 포함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튜브 층(310)은 튜브 형태, 즉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튜브 층(310)은 중공을 통해 공기 또는 에어로졸을 통과시킬 수 있다. 한편, 튜브 층(310)의 중공에는 탄소 충전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튜브 층(310)의 중공에 탄소 충전물질이 채워지는 경우, 튜브 층(310)은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할 수 있다.
특수구조물 층(320)은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여과시킬 수 있다. 특수구조물 층(320)은 관성 충돌 원리를 이용하여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자들(30)이 특수구조물 층(320)을 통과할 때, 입자들(30)의 진행경로가 특수구조물 층(320)의 구조에 의해 가로막힐 수 있다. 따라서, 입자들(30)의 일부는 관성력에 의해 특수구조물 층(320)의 구조 내에 침착될 수 있고, 입자들(30)의 다른 일부만이 특수구조물 층(320)을 통과할 수 있다.
특수구조물 층(320)은 입자들을 관성 충돌 원리를 이용하여 여과시키기 위해 미니 파이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수구조물 층(320)은 굵은 입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은 필터부(230)의 탄소 충전물질을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고, 필터부(230)의 특수구조물 층(320)을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다만, 앞선 순서는 예시에 불과할 뿐,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특수구조물 층(320)을 먼저 통과할 수 있다.
한편, 특수구조물 층(320)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할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구조물 층(320)의 내부가 보이므로, 사용자는 특수구조물 층(320)에 의해 여과된 물질들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330)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는 일반적인 담배의 필터 재료로 많이 사용된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330)은 필름, 토우(tow), 플레이크(flake), 섬유 및 고체를 비롯한 다수의 상이한 형상 및 형태로 가공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튜브 층(310), 특수구조물 층(320)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330)으로 구성된 3중 튜브 필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흡연물품(10)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포함되는 공기 유통 채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유통 채널(40)을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공기 유통 채널(40)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 모두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공기 유통 채널(40)은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 중 어느 일부에만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유통 채널(40)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다른 위치에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유통 채널(40)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통 채널(40)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며, 공기 유통 채널(40)은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 가능한 임의의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상태(410)의 공기 유통 채널(40), 제 2 상태(420)의 공기 유통 채널(40) 및 제 3 상태(430)의 공기 유통 채널(40)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1 상태(41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1 상태(41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물품용 보조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가 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3 상태(43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3 상태(43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물품용 보조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소가 될 수 있다.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2 상태(42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은 일부만이 개방될 수 있다. 제 2 상태(420)란 공기 유통 채널(40)이 일부만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도 4에 도시된 개방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 유통 채널(40)이 제 2 상태(420)에 있는 경우, 공기 유통 채널(40)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물품용 보조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최대량와 최소량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흡연물품용 제어장치(100)는 사용자가 공기 유통 채널(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통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통 제어수단은 사용자가 공기 유통을 제어하기 위해 편리한 임의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통 제어수단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차단 구조(260)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통 제어수단은 벤틸레이션(ventilation) 구조 또는 스위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유통 채널(40)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흡연물품(10)을 흡연함에 따라 느껴지는 맛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마우스피스(210), 액체 저장부(220), 필터부(230) 및 고정부(240) 외에 배터리(510) 및 전기회로(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51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510)는 전기회로(5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51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1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일 수 있으나,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510)는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전기회로(52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회로(520)는 배터리(510)뿐 만 아니라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기회로(52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전기회로(5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배터리(5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액체 저장부(220)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요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20)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은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되어 액체 저장부(220)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250)를 통해 기화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봉침(needle) 형태일 수 있고, 코일(coil) 형태일 수도 있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저장부(220)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가열 요소가 가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흡입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를 이용하여 흡연하는 경우, 전기회로(510)는 흡입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의 횟수, 퍼프의 강도 및 퍼프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흡입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 내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감지 센서는 액체 저장부(220)의 유로(250)에 구비될 수 있고,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가열 요소에 구비될 수도 있다.
흡입 감지 센서는 유로(250)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일 수 있고, 유로(250)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일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 흡입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다른 종류의 센서일 수 있다.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는 출력 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LED 표시창, LED 램프, 모터, 스피커, 온도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기 회로(520)는 흡입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획득된 퍼프 정보에 기초하여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교체 시기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회로(520)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누적된 퍼프의 횟수가 1보루(20갑) 분량의 흡연물품(10)에 대응될 경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100)의 교체 시기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1보루(20갑) 분량의 흡연물품(10)은 예시에 불과할 뿐, 교체가 요구되는 퍼프의 횟수는 임의의 다른 개수일 수 있다. 한편, 교체가 요구되는 퍼프의 횟수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전기 회로(52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흡연물품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단과 접경되고,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
    상기 액체 저장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중공에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하는 탄소 충전물질이 채워지는 튜브층 및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관성 충돌 원리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미니 파이프 형태의 특수구조물 층을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액체 저장부 및 상기 필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이 상기 필터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 구조; 및
    상기 필터부의 하단과 접경되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을 더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구조물 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것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은 상기 필터부, 상기 유로 및 상기 마우스피스 순서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사용자의 입으로 흡입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모세관 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조성물은 상기 모세관 심지를 통해 상기 유로로 전달되고, 상기 전달된 액상 조성물은 유로를 통해 확산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를 구성하는 재료의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것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로부터 착탈 가능한,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량을 조절 가능한 공기 유통 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통 채널은 필터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충전물질은 탄소, 활성 탄소 및 탄소질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품에 포함되는 상기 탄소 충전물질의 함량을 제 1 함량이라고 할 때, 상기 필터부는 상기 탄소 충전물질을 상기 제 1 함량보다 많이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배터리 및 전기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부는 상기 액체 저장부를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가열 요소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유로를 통해 기화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흡입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회로는 상기 흡입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puff)의 횟수 및 퍼프의 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퍼프 정보를 획득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감지 센서는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 센서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감지 센서는 상기 유로를 통해 흐르는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인,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는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회로는 상기 퍼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교체 시기에 대한 알림을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17. 흡연물품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최상단에 구비된 마우스피스;
    상기 마우스피스의 하단에 위치되고, 중공에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흡착하는 탄소 충전물질이 채워지는 튜브 층, 상기 흡연물품으로부터 생성된 에어로졸에 포함되는 입자들을 관성 충돌 원리를 이용하여 여과시키는 미니 파이프 형태의 특수구조물 층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층을 포함하는 3중 구조를 포함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하단과 접경되어 상기 흡연물품용 보조장치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흡연물품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KR1020170119658A 2017-09-18 2017-09-18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KR102140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58A KR102140799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658A KR102140799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84A KR20190031784A (ko) 2019-03-27
KR102140799B1 true KR102140799B1 (ko) 2020-08-03

Family

ID=6590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658A KR102140799B1 (ko) 2017-09-18 2017-09-18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7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6489B2 (en) 2019-08-20 2021-11-09 Isaac SUTTON Filter unit for electronic cigarettes
KR102385868B1 (ko) * 2019-12-18 2022-04-12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튜브필터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5371A (ja) * 2010-09-30 2012-04-19 Yoshino Kogyosho Co Ltd シガレットホルダ
JP2015013192A (ja) * 2008-10-23 2015-01-22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9068A (ja) * 1996-09-30 1998-04-21 Toshio Yamamoto ヤニ取り喫煙パイプ
KR20010025390A (ko) * 2000-12-21 2001-04-06 홍기상 원통형 합성수지 필터를 내장한 담배파이프
GB201410171D0 (en) * 2014-06-09 2014-07-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192A (ja) * 2008-10-23 2015-01-22 バットマーク・リミテッド 吸入器
JP2012075371A (ja) * 2010-09-30 2012-04-19 Yoshino Kogyosho Co Ltd シガレットホル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784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36040B2 (ja) エアロゾル供給デバイス
CN111787819B (zh) 具有多个气溶胶递送通道的气溶胶递送装置
CA2999688C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US20210244098A1 (en) Aerosol delivery devices including a selector and related methods
KR20190097289A (ko) 에어로졸 발생 디바이스 및 물품
KR20190097277A (ko) 에어로졸 발생 디바이스 및 물품
CN112930121B (zh) 包括文丘里元件的气溶胶生成系统
KR102489532B1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KR102140799B1 (ko) 사용자에게 향상된 흡연 경험을 제공하는 흡연물품용 보조장치
US2023006760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aerosol
JP2022501007A (ja) 多重媒質部を含む喫煙物品
JP7362770B2 (ja) 消耗品
EP4233586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comprising flavoring cartridge
RU27944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аэрозоля
KR20220003798A (ko) 과립형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흡연 물품
KR20230061635A (ko) 담배 로드,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이와 함께 사용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