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13B1 -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13B1
KR102140613B1 KR1020190085101A KR20190085101A KR102140613B1 KR 102140613 B1 KR102140613 B1 KR 102140613B1 KR 1020190085101 A KR1020190085101 A KR 1020190085101A KR 20190085101 A KR20190085101 A KR 20190085101A KR 102140613 B1 KR102140613 B1 KR 102140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moving object
park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태
Original Assignee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이디세이버 filed Critical (주)엘이디세이버
Priority to KR1020190085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06T7/254Analysis of motion involving subtraction of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은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객체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 상기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및 주차면에 구비되고, 각각이 조명 ID를 갖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영상 내에 이동객체를 추출한 후, 이동객체가 진행하는 방향 또는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위치에 인접한 조명유닛이 활성화되도록 무선제어하는 무선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in a Parking Lot Using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인구가 많은 백화점, 대형 쇼핑센터, 병원 등의 대형건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대형주차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최근 차량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서 주차시설이 크게 부족하게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많은 사람들이 몰리게 되어 주차공간이 턱없이 부족한 경우가 다반수이고, 주차를 위하여 대형주차시설 내부를 이리저리 돌아다니게 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주차면에 차량이 주차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주차 공간이 충분히 남아있는지를 운전자에게 표시하여 주차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 개발되어 널리 상용화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차 유도 시스템은 차량의 주차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주차면 각각에 설치되는 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주차 유도 시스템에 이용되는 센서는 비교적 고가이며, 그 유지 및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센서는 사람이나 카트 등 차량 이외의 객체를 차량으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도 빈번하였으며 오감지로 인한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보안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차시설에 CCTV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카메라 설비와 배선, 관리 PC를 설치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설비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설비가 복잡해지기 때문에 유지, 관리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827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은 차량통행영역 및 주차공간영역이 구획된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객체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 상기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및 주차면에 구비되고, 각각이 조명 ID를 갖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영상 내에 상기 이동객체를 추출한 후, 상기 이동객체가 진행하는 방향 또는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위치에 인접한 조명유닛의 턴온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유닛은 각각이 무선수신 ID를 갖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화면분할 후, 분할화면 내에서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이동객체 추출부; 상기 분할화면 내에 검출된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진행방향 판단부; 및 상기 이동객체에 인접한 조명유닛 및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에 따라 점등하기 위한 개별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점등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의 개별점등신호 및 개별 무선수신 ID가 테이블로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과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은 무선 제어부의 이동객체 추출부에서 전방위 카메라의 전방위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화면 상에 이동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진행방향 판단부에서 상기 검출된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점등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분할화면의 위치,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의 조명 ID를 추출하여 점등신호 및 조명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송유닛 각각에서 조명 ID와 무선수신 ID 간의 동일성을 판단한 후, 동일할 경우,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및 조명 ID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화면의 위치 및 이동객체의 위치가 주차통로영역 중 IN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객체가 위치한 지점 중 가장 인접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의 조명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객체의 현 위치에 인접한 조명 유닛부터 추출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 중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조명유닛들의 조명 ID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유닛의 개별점등신호 및 개별 무선수신 ID가 테이블로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과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객체에 인접한 조명유닛 및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에 따라 점등하기 위한 개별 점등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차통로영역인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고,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로 차영상(differential images)을 추출하여 전경영역을 분리하고 블랍 분석(blob analysis)를 통해 이동객체로 의심되는 다수의 픽셀덩어리(블랍)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분할화면 내에 추출된 다수의 픽셀덩어리(블랍)를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블랍의 경로(진행방향) 및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을 이용하면,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기반의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유닛의 턴온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제어와 이동객체 감지처리를 분리시킴으로써, 종래의 객체감지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조명유닛들의 오동작으로 인한 문제점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공간 내의 전방위 카메라 및 조명유닛이 배치된 일 예시도이다.
도 3은 전방위 화면을 5개로 분할화면으로 분리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분할화면의 위치 내에 이동객체가 검출될 경우,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S730의 흐름도이다.
도 11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차공간 내의 전방위 카메라 및 조명유닛이 배치된 일 예시도이고, 도 3은 전방위 화면을 5개로 분할화면으로 분리한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분할화면의 위치 내에 이동객체가 검출될 경우, 조명유닛이 점등되는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110), 복수 개의 조명유닛(120), 중계부(140) 및 무선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급한 주차장은 복수의 주차면이 복수의 열을 이루며 배치되는 실내 대형 주차장일 수 있고, 각각의 주차면은 하나의 차량이 주차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전방위 카메라(110)은 실내 또는 지하 주차 공간의 천장 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객체를 촬영할 수 있고, 주차영역에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위 카메라(110)은 복수의 주차면이 이루는 복수의 열 중 이웃하는 두 열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복수의 열 중 하나를 제1 열이라하고, 제1 열과 이웃하는 열을 제2 열이라고 한다면, 전방위 카메라는 제1 열과 제2 열 사이에 설치된다.
전방위 카메라(110)는 어란렌즈(Fisheye Lens)가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넓은 화각을 갖는 어안렌즈를 사용하면 전방위 카메라를 중심으로 전방위(360˚) 영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위 카메라(110)는 전방위 카메라가 설치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전방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역은 주차공간영역 및 차량통행영역을 포함한다. 주차공간영역은 주자창의 제1 열 및 제2 열의 주차면들의 영역이고, 차량통행영역은 제1 열과 제2 열 간의 공간을 의미한다.
전방위 카메라(110)에 의하여 촬영된 감시영상은 원거리 및 근거리에 따른 거리 비율을 조정하여 각 영역의 왜곡을 제거한 영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왜곡된 영상정보의 보정방법으로 보정계수의 적용을 통한 포워드 맵핑(forward mapping)과 이에 부수되는 보간법(interpolation)이 활용될 수 있으며, 미리 보정된 영상을 가정하고 이 영상의 점들이 왜곡 영상의 어느 점과 매칭이 되는지 찾는 방법인 인버스 맵핑(inverse mapping)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위 카메라(110)는 주차장에 배치된 복수의 주차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로 설치된다.
다음으로, 복수 개의 조명유닛(120)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영역 및 차량통행영역의 천장 및/또는 주차면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각각이 후술하는 무선 제어부가 각 조명유닛의 온/오프를 개별제어하기 위한 조명 ID를 갖는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유닛(120)은 전체 주차 구역 중 비어있는 구역으로 이동객체를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무선 제어부(130)는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영상 내에 이동객체를 추출한 후, 이동객체가 진행하는 방향 또는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위치에 인접한 조명유닛이 활성화되기 위한 무선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 제어부(130)는 이동객체 추출부(131), 진행방향 판단부(132) 및 점등신호 출력부(133)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개수로 화면분할 후, 분할화면 내에서 이동객체의 위치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연산량이 비교적 적은 소위 '가벼운 알고리즘(light-weight algorithm)'을 수행하여 전방위 촬영 영상에서 이동객체를 추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전방위 카메라 영상에 대해 전경 영역 분리(foreground segmentation)와 블랍 분석(blob analysis)을 수행하여 이동객체로 의심되는 다수의 픽셀 덩어리(블랍)을 추출한다. 또한,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이처럼 CCTV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이동객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동객체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 즉 객체스냅샷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상기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전방위 카메라 영상 내에서 변화하고 있는 필셀 덩어리를 탐지한 후, 이를 이동객체로 식별한다.
상기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로 차영상(differential images)을 추출하여 전경영역을 분리하고 블랍 분석(blob analysis)를 통해 이동객체로 의심되는 다수의 픽셀덩어리(블랍)을 추출한다.
상기 진행방향 판단부(132)는 분할화면 내에 추출된 다수의 필셀덩어리(블랍)를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블랍의 경로(진행방향) 및 위치를 판단한다.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133)는 이동객체에 인접한 조명유닛 및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기 설정된 간격 설정값에 따라 점등하기 위한 개별 점등 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133)는 설정부(133-1), 저장부(133-2) 및 통신부(133-3)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부(133-1)는 주차장의 주차공간영역 및 차량통행영역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점등유닛의 점등간격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될 수 있다.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부(133-1)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 각각이 개별 점등 신호를 수신 후 켜짐 시간을 설정한다.
저장부(133-2)는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의 개별점등신호 및 개별 무선수신 ID가 테이블로 저장한다.
통신부(133-3)는 복수 개의 점등유닛과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상기 중계부(140)는 전방위 카메라, 조명유닛과 무선제어부 간을 연결하는 것으로, 통신모듈 및 저장모듈로 구성된다. 통신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와 같은 저전력 근거리 통신수단으로 구성되어 전방위 카메라, 조명유닛, 무선제어부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저장모듈은 통신모듈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토대로 유형별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된 폴더에 이벤트를 기록한다.
이하에서는 이동객체의 위치에 따른 조명유닛의 점등패턴을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분할화면 #1에 물체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③ 값을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때 점등조명은 ②, ③ ,④ 개의 조명유닛이 점등된다.
분할화면 #2에 물체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12 조명유닛의 조명 ID값 및 12 조명유닛에 인접한 조명 유닛의 ID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점등조명은 8,9,10,11,12,13,14,15,16 9개의 조명유닛일 수 있다.
분할화면 #3에 물체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⑦ 조명유닛의 조명 ID 값 및 ⑦ 조명유닛에 인접한 조명 유닛의 ID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때, 점등조명은 ⑥⑦⑧ 3개의 조명일 수 있다.
분할화면 #4에 물체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9 조명유닛의 조명 ID 및 9 조명 유닛에 인접한 조명 유닛의 ID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때 점등조명은 5,6,7,8,9,10,11,12,13 9개의 조명유닛일 수 있다.
분할화면 #5에 물체가 감지되면 무선으로 10 조명유닛의 조명 ID및 10 조명 유닛에 인접한 조명유닛의 조명 ID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때 점등조명은 6,7,8,9,10,11,12,13,14 9개의 조명유닛일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조명유닛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될 수 있고,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S730의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S700)은 무선 제어부(130)의 이동객체 추출부(131)에서 실내 또는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전방위 카메라의 전방위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화면 상에 이동객체를 검출(S710)한다.
상기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전방위 카메라 영상에 대해 전경 영역 분리(foreground segmentation)와 블랍 분석(blob analysis)을 수행하여 이동객체로 의심되는 다수의 픽셀 덩어리(블랍)를 이동객체로 추정하여 추출한다. 또한, 이동객체 추출부(131)는 이처럼 전방위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이동객체들에 대하여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이동객체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 즉 객체스냅샷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S710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검출된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분할화면 내에 추출된 다수의 필셀덩어리(블랍)를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판단(S720)한다.
이후,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분할화면의 위치,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의 조명 ID를 추출하여 점등신호 및 조명 ID를 전송(S730)한다.
상기 S730 과정은 도 10을 참조, 상기 분할화면의 위치 및 이동객체의 위치가 주차통로영역 중 IN 영역을 판단(S731)되면, 상기 이동객체가 위치한 지점 중 가장 인접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의 조명 ID를 추출(S732)하고, 상기 이동객체의 현 위치에 인접한 조명 유닛부터 추출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 중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조명유닛들의 조명 ID를 추출(S733)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되고,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게 설정된다.
이후, 상기 복수 개의 전송유닛 각각에서 조명 ID와 무선수신 ID 간의 동일성을 판단한 후, 동일할 경우,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S740)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기반의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의 이동방향에 따른 조명유닛의 턴온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제어와 이동객체 감지처리를 분리시킴으로써, 종래의 객체감지센서의 오동작으로 인한 조명유닛들의 오동작으로 인한 문제점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110: 전방위 카메라
120: 조명유닛
130: 무선 제어부
131: 이동객체 추출부
132: 진행방향 판단부
133: 점등신호 출력부
133-1: 설정부
133-2: 저장부
133-3: 통신부
140: 중계부

Claims (8)

  1. 차량통행영역 및 주차공간영역이 구획된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프레임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촬영영역 내에 위치한 이동객체를 촬영하는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
    상기 지하주차 공간의 천장 및 주차면에 구비되고, 각각이 조명 ID를 갖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영상 내에 상기 이동객체를 추출한 후, 상기 이동객체가 진행하는 방향 또는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위치에 인접한 조명유닛의 턴온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조명유닛은 각각이 무선수신 ID를 갖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전방위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을 화면분할 후, 분할화면 내에서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를 추출하는 이동객체 추출부;
    상기 분할화면 내에 검출된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진행방향 판단부; 및
    상기 이동객체에 인접한 조명유닛 및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에 따라 점등하기 위한 개별 점등 신호를 제공하는 점등신호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의 개별점등신호 및 개별 무선수신 ID가 테이블로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과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는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기재된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무선 제어부의 이동객체 추출부에서 전방위 카메라의 전방위 영상을 분할한 후, 분할화면 상에 이동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진행방향 판단부에서 상기 검출된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점등신호 출력부에서 상기 이동객체가 검출된 분할화면의 위치, 상기 이동객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과 대응되는 복수 개의 조명유닛의 조명 ID를 추출하여 점등신호 및 조명 ID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전송유닛 각각에서 조명 ID와 무선수신 ID 간의 동일성을 판단한 후, 동일할 경우,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및 조명 ID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분할화면의 위치 및 이동객체의 위치가 주차통로영역 중 IN 영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동객체가 위치한 지점 중 가장 인접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의 조명 ID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객체의 현 위치에 인접한 조명 유닛부터 추출한 빈 주차면의 조명 유닛 중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는 조명유닛들의 조명 ID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신호 출력부는 상기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을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복수 개의 조명유닛의 개별점등신호 및 개별 무선수신 ID가 테이블로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점등유닛과 근거리 통신하는 통신부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객체에 인접한 조명유닛 및 상기 이동객체의 진행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조명유닛을 기 설정된 조명점등 간격 설정값에 따라 점등하기 위한 개별 점등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주차통로영역인 차량통행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4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고, 주차공간영역의 조명유닛은 조명 ID 수신값의 ± 1 값으로 조명이 켜지도록 설정되는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가우시안 혼합 모델(Gaussian mixture model)로 차영상(differential images)을 추출하여 전경영역을 분리하고 블랍 분석(blob analysis)를 통해 이동객체로 의심되는 다수의 픽셀덩어리(블랍)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분할화면 내에 추출된 다수의 픽셀덩어리(블랍)를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하여 블랍의 경로(진행방향) 및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인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의 동작방법.

  8. 삭제
KR1020190085101A 2019-07-15 2019-07-15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40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01A KR102140613B1 (ko) 2019-07-15 2019-07-15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101A KR102140613B1 (ko) 2019-07-15 2019-07-15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613B1 true KR102140613B1 (ko) 2020-08-03

Family

ID=72042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101A KR102140613B1 (ko) 2019-07-15 2019-07-15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61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104B1 (ko) * 2010-03-23 2010-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투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전방위 방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방위 방범 방법
KR20110038276A (ko)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922B1 (ko) * 2013-10-14 2014-01-14 브이씨에이 테크놀러지 엘티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18514920A (ja) * 2015-04-28 2018-06-07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エリア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8276A (ko)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스토커 시스템
KR100991104B1 (ko) * 2010-03-23 2010-11-01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투광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 전방위 방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방위 방범 방법
KR101271894B1 (ko) * 2012-07-04 2013-06-05 아마노코리아 주식회사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50922B1 (ko) * 2013-10-14 2014-01-14 브이씨에이 테크놀러지 엘티디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한 객체 추적 방법 및 장치
JP2018514920A (ja) * 2015-04-28 2018-06-07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エリア照明システム及び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0536B (zh) 利用人行横道识别结果的引导信息提供装置及方法
CN110345962B (zh) 基于检测到的停放车辆特性控制主车辆
KR101758576B1 (ko) 물체 탐지를 위한 레이더 카메라 복합 검지 장치 및 방법
US20180232583A1 (en) Systems for generating parking maps and methods thereof
US10235762B1 (en) Asset tracking systems
US20180165828A1 (en) Object Recognition Device and Object Recognition System
US103466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tracking a moving object
AU2015282374B2 (en) Vehicle position confirmation system of parking lot using imag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8412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001456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Video Stream
KR101355201B1 (ko) 시-공간적 특징벡터 기반의 차량인식을 활용한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및 단속방법
KR102387357B1 (ko) 바운딩 박스를 시공간상으로 매칭하여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500389A (ja) 駐車場内に存在する隆起した物体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538488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1대 다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US201403079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situation based on image using template
KR102140613B1 (ko) 영상처리정보에 기반한 주차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JP202009562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08227923A (zh) 一种基于体感技术的虚拟触控系统和方法
US10853947B2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detecting boundary lines included in captured images
JP6569416B2 (ja) 画像処理装置、物体認識装置、機器制御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34675A1 (en) Object tracking integration method and integrating apparatus
KR102109114B1 (ko) 보행자 인식 장치 및 방법
JP6453571B2 (ja) 立体物認識装置
KR20230140713A (ko) 주차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452460B1 (ko) Ptz 카메라를 통해 cctv 공간모델을 생성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