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472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472B1
KR102140472B1 KR1020180100512A KR20180100512A KR102140472B1 KR 102140472 B1 KR102140472 B1 KR 102140472B1 KR 1020180100512 A KR1020180100512 A KR 1020180100512A KR 20180100512 A KR20180100512 A KR 20180100512A KR 102140472 B1 KR102140472 B1 KR 102140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istory
registration
server
diam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3961A (ko
Inventor
송오성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4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아몬드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하여 높은 보안성 및 위변조 방지를 구현하고, 기존의 방식보다 보다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DIAMOND TRANSAC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아몬드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하여 높은 보안성 및 위변조 방지를 구현하고, 기존의 방식보다 보다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보석 시장은 그 규모가 매우 크며 고부가가치의 미래지향적 도심형 문화산업의 대표 산업으로 디자인, 패션과도 결합이 가능한 융합산업이다.
현재 국내 보석 시장은 천연보석의 유통 활성화 추진사업과 합성보석 및 처리보석의 다량 유입으로, 보석 감정/감별의 데이터를 이용한 감별 및 감별, 더 나아가 가치평가의 기본 데이터 구축이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특히 다이아몬드의 경우, 보석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품질은 채광량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보석학자 및 광물학자들은 천연 보석을 실험실에서 합성하여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보석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는 중품질에서 저품질의 보석을 화학적, 물리적으로 처리 후 유통시켜, 보석 산업과 소비자들을 기만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현재 주얼리 산업은 다이아몬드 등의 천연보석을 사용한 주얼리 제품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나, 천연보석, 합성보석,처리보석의 전문가 부족으로 천연보석의 사용이 미비한 실정이다. 전문가의 양성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되지만 보석 감정/감별 데이터 구축으로 주얼리 관련 업체 및 인력이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자인 개발, 제조, 데이터 도입/활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초적인 보석 감정/감별은 비파괴 검사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지만 파괴 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종종 발생된다. 그러나 다이아몬드의 경우, 희소하고 고가의 보석들이 대부분이다.
한편,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 10-1820938),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10-2007-003691), 및 특허문헌 3(한국등록특허 10-0448226)은 보석의 이력 관리 관련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 발명의 경우 보안성, 위변조성에 대한 취약점이 존재하고, 또한 사용자의 실제 보석거래와 관련된 정보적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820938 한국공개특허 10-2007-003691 한국등록특허 10-0448226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아몬드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하여 높은 보안성 및 위변조 방지를 구현하고, 기존의 방식보다 보다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열람권한을 갖는 경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부; 및 상기 이력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부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부;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등록하는 감정정보등록부; 및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을 등록하는 소유이력등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품질평가 정보,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정보, 및 상기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평가 정보는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정정보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정기관의 신뢰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상기 감정기관의 정보, 상기 신뢰도정보, 및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을 수행할 감정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감정기관의 정보, 신뢰도정보 및 감정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유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을 수행할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 상기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력등록부는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전체 혹은 일부에 기초하여 서버등록정보 및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에 기초한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력등록부는, 제3자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등록하는 공개이력등록부; 및 상기 서버에 의하여 권한이 부여된 자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비공개이력을 등록하는 비공개이력등록부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공개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비공개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열람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권한부여부는 상기 등록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할 개인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인키로 사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비공개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열람권한은 상기 개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검증한 후에, 검증결과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으로서,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단계; 및 상기 이력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부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단계;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단계; 및 상기 이력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부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하여 높은 보안성 및 위변조 방지를 구현하여 소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문가인 일반인에게도 보다 세부적인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을 통하여 위변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블러드 다이아몬드, 세금문제 등의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비공개적으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선별적 공개와 함께 정보의 무결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 기관에서 제공하는 방식 혹은 단순 서류 방식보다 보다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개정보 및 비공개정보 모두 위변조에 대한 무결성 확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감정소 모두 단일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통합적인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하면서 보다 정보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의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등록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정보등록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이력등록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이력조회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이력조회부의 정보제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등록부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등록부의 저장단계(S32)의 세부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조회부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서버(1000), 및 상기 서버(1000)에 연결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수입업자(A), 중간판매자(B), 소비자(C), 혹은 감정소(D)의 단말기가 될 수 있고, 상기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혹은 감정소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서버(1000)에 접속하여, 대상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거나 조회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는 일반적으로 수입업자에 의하여 국내에 수입되고, 이후 중간판매자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후 소비자들은 소비자들 사이에서의 중고거래를 수행하거나 혹은 다시 중간판매자에게 재판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현재 국내 연간 상당한 수의 다이아몬드 거래가 발생하고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감정소가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에 접속하여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보다 통합적이고 투명한 다이아몬드 정보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도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혹은 감정소는 상기 서버(1000)에 자신의 회원정보를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서버(1000)는 사용자가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혹은 감정소로 자신의 회원유형을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서버(1000)에 접속하여 조회할 수 있는 정보에서는 등록자의 회원유형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서버(1000)는 블록체인네트워크(E)에 중 1 이상의 노드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서버(1000)는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등록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록된 해당 정보의 전체 혹은 일부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해당 정보를 트랜잭션 형태로 등록한다.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는 공개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해당할 수도 있고, 혹은 다이아몬드 이력관리 시스템에 특화된 개인(PRIVATE)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해당할 수도 있다.
공개 블록체인네트워크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1000)는 최소한의 금액의 트랜잭션을 요청하면서,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트랜잭션과 관련된 정보로 변환하여 기입을 하거나 혹은 블록의 잔여 데이터필드에 다이아몬드의 정보를 기입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혹은 감정소의 단말기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과,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예로, 헤드-마운티드 디바이스(head-mounted device: HMD, 일 예로 'HMD'라 칭하기로 한다)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0)는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혹은 감정소와 인터페이스함에 있어서 별도의 앱이나 관리 프로그램으로 통하여 인터페이스를 하거나 혹은 웹브라우져 환경에서 인터페이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의 서버(1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0)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팅장치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장치는 프로세서,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운영체제실행코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구매자, 감정소 등의 사용자정보, 사용자들에 대한 비공개정보에 대한 열람권한 관련 정보, 및 등록된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져, 전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업로드를 하여 생성되고, 이후 사용자는 해당 서버(1000)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에서는 사용자등록부(1100), 이력등록부(1200), 공개이력조회부(1300), 비공개이력조회부(1400), 권한부여부(1500), 및 블록체인접속부(1600)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는 컴퓨팅장치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컴퓨팅장치를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를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자동화된 컴퓨팅장치를 구현하는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해, 그리고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등록부(1100), 이력등록부(1200), 공개이력조회부(1300), 비공개이력조회부(1400), 권한부여부(1500), 및 블록체인접속부(160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등록부(1100), 이력등록부(1200), 공개이력조회부(1300), 비공개이력조회부(1400), 권한부여부(1500), 및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다이아몬드 이력관리 시스템의 서버(1000)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는 서버(1000)의 실시형태 및 서비스 형태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등록부(1100)는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이용회원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용회원은 개인정보 등의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신청을 함으로써, 상기 서버(1000)의 이용회원으로 등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및 감정소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서버(1000)에 회원 등록을 하고, 서버(1000)에 정보를 등록하고, 서버(1000)에서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보다 정보 관리의 투명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등록부(1100)에 의한 회원 등록시 자신의 회원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및 감정소 중 1 이상으로 회원유형을 등록할 수 있고, 이후 사용자가 해당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에, 등록자의 회원유형 정보가 등록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력등록부는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다이아몬드에 대한 기본적인 4C정보(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 등의 등록자가 외부에 공개해도 되는 정보의 경우, 해당 정보의 일부가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블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블러드 다이아몬드 여부, 세금 여부, 이혼에 의한 다이아몬드인지 여부 등에 대한 민감한 사항의 경우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블록에서는 확인하지 못하고, 또한 열람권한을 갖는 사용자만 확인할 수 있도록 다른 방식으로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종의 등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은 공개정보 및 민감정보 모두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는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 혹은 공개정보에 대해서는 정보 일부를 서버(1000)의 블록체인에 분산하여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의 조회시 서버(1000)에 등록된 정보가 블록체인에 등록된 정보에 상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서버(1000)에 등록되어 사용자에게 조회되는 정보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준다.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1400)는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열람권한을 갖는 경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별도로 저장 및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시스템의 범용적인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권한부여부(1500)는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1400)에서 조회할 수 있는 비공개이력의 경우 최초 등록자에게 열람권한이 주어지고, 이후 등록자는 해당 열람권한을 상기 권한부여부(1500)를 통하여 제3자에게 줄 수 있다. 예를들어, 해당 다이아몬드의 양수인이 양도자에게 비공개이력에 대한 열람권한을 요청할 수 있고, 이 경우 양도자가 해당 비공개이력을 양수인에게 상기 권한부여부(1500)를 통하여 줄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상기 이력등록부(1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부(1200)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공개정보의 진위여부에 대한 검증 및 데이터에 대한 위변조 위험을 감소시키는 저장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력을 등록하는 경우 정보의 일부를 트랜잭션 형태로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하고, 이후 이력을 조회하는 경우에 해당 이력의 정당성 여부를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된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이력의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력등록부(1200)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제3자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등록하는 공개이력등록부(1210); 및 상기 서버(1000)에 의하여 권한이 부여된 자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비공개이력을 등록하는 비공개이력등록부(1220)는 포함한다.
상기 공개이력등록부(1210)에 의하여 등록되는 정보는 권한없는 제3자도 열람할 수 있는 정보에 해당한다. 대상다이아몬드의 소유자 등은 상기 서버(1000)에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서버(1000)는 해당 정보를 서버(1000)의 DB에 저장하고, 해당 정보에 대한 확실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해당정보의 일부 혹은 전체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를 통하여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한다. 따라서, 제3자는 상기 서버(1000)를 통하지 않더라도 블록체인네트워크의 거래장부(블록)를 획득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일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공개이력등록부(1220)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서버(1000)의 DB에 저장하고, 열람권한을 등록한 이용회원에게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공개이력등록부(1220)는 해당 민감정보에 대해 개인키를 부여하고, 개인키로 상기 민감정보 혹은 민감정보의 일부를 암호화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한다. 이후, 제3자는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는 없지만 해당 서버(1000)에서 확인한 민감정보에 대한 진위여부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등록하는 감정정보등록부(1211); 및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을 등록하는 소유이력등록부(1212)를 포함한다.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품질평가 정보,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정보, 및 상기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포함한다.
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서 중 출처나 출처의 신뢰성이 알기 어려운 경우가 있고, 일반인은 이와 같은 감정서를 오인 혼동하여 부당한 거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정정보의 경우, 4C 등의 품질평가 정보 뿐만 아니라, 해당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의 정보 및 해당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같이 저장함으로써, 일반인들도 보다 투명하게 해당 다이아몬드의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를 할 수 있다.
상기 품질평가 정보는 4C정보, 즉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품질평가 정보를 3개의 레벨로 구분하여 등록할 수 있다. 1단계 레벨의 경우 가장 기본적인 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인 캐럿정보(CARAT), 투명도정보(CLARITY), 색상정보(COLOR), 및 연마정보(CUT)를 포함한다.
2단계 레벨의 경우, 커팅 레벨, 형광성 혹은 인광성 정보, 플롯(PLOT) 정보를 포함한다.
3단계 레벨의 경우, 합성여부, 감별특성, 색상세부정보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관리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감정서에서 다루는 4C정보 외에 보다 세부적인 정보가 상기 감정정보등록부(1211)에 의하여 등록이 되고, 이후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거래대상 다이아몬드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정정보등록부(1211)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정정보등록부(1211)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1); 상기 감정기관의 신뢰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S12);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3); 상기 식별정보, 상기 감정기관의 정보, 상기 신뢰도정보, 및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1000)에 등록을 수행할 감정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S14);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1000)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1000)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S15); 상기 식별정보, 감정기관의 정보, 신뢰도정보 및 감정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6)를 수행한다.
이후,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미도시)를 수행한다.
상기 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는 다이아몬드에 부여된 일련번호, 사진, 혹은 다이아몬드의 판매번호 등의 다이아몬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감정기관의 신뢰도정보는 해당 감정기관의 상대적인 신뢰성 정보를 수치적으로 표현한 정보에 해당한다.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서 이미지, 대상 다이아몬드에 대한 레벨 혹은 항목별 입력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는 이후 공개이력조회부(1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도 7에 도시되는 조회 디스플레이화면에 도시되는 정보는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는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 중 일부에 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수치화된 4C정보(캐럿정보(CARAT), 투명도정보(CLARITY), 색상정보(COLOR), 및 연마정보(CUT)) 및 다이아몬드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는 상기 수치화된 4C정보 및 다이아몬드식별정보 외에 다른 세부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는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에 의하여 노드로 블록의 트랜잭션으로 등록되고, 등록된 블록은 상기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 전파되어 검증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유이력등록부(1212)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소유이력등록부(1212)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0);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21);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1000)에 등록을 수행할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S22); 상기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1000)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1000)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S23);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4)를 수행하고, 이후,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미도시)를 수행한다.
상기 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는 다이아몬드에 부여된 일련번호, 사진, 혹은 다이아몬드의 판매번호 등의 다이아몬드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소유이력정보는 등록날짜 및 등록소유자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는 이후 공개이력조회부(1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도 7에 도시되는 조회 디스플레이화면에 도시되는 정보는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는 상기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 중 일부 혹은 전체에 의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는 등록날짜, 등록소유자의 정보 및 다이아몬드식별정보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이력조회부(1300)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전체 혹은 일부에 기초하여 서버등록정보 및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1000)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1000)에 연결된 DB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블록체인등록정보는 제3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서버(1000)에 접속하지 않더라도 해당 다이아몬드에 대한 일부이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상기 서버(1000)에 접속하여 원하는 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에 기초한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는 감정정보 및 이력정보가 포함된 서버등록정보로부터 해당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은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화면의 일예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블록체인네트워크 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정보가 상기 블록체인네트워크 등록정보에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별한 후에, 서버등록정보의 검증 여부 결과를 제공한다.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블록의 경우 데이터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따라서 용량이 높을 수 있는 감정서 이미지 및 감정결과까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높은 위변조방지성 및 신뢰성을 이용하면서 동시에 보다 사용자에게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일부만을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하고, 기본적으로는 서버(1000)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해당 정보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저장된 정보에 상응하는 지 여부를 검증하여 검증결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보다 상세하게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정보가 감정결과인 경우에는,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대상정보가 거래이력인 경우에는,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등록자 정보; 등록일자 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이력조회부(1300)의 정보제공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개이력조회부(1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상단측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감정서의 이미지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감정서의 이미지 하측에는 전술한 레벨별로 대상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예를들어, 레벨1의 경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4C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하측에는 소유자의 소유이력 및 다이아몬드의 감정기관의 명칭, 일자 및 해당 감정기관의 신뢰도 정보가 도시된다.
한편, 상기 공개이력조회부(13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서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블록체인네트워크 등록정보가 서버(1000)의 DB에 저장된 해당 다이아몬드의 감정정보 및 소유이력에 상응하는 지 여부에 대한 결과가 도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감정출처, 감정출처기관의 신뢰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등록부(1220)의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이력등록부(1200)는, 제3자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등록하는 공개이력등록부(1210); 및 상기 서버(1000)에 의하여 권한이 부여된 자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비공개이력을 등록하는 비공개이력등록부(1220)는 포함한다.
상기 비공개이력등록부(1220)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0); 비공개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1);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서버(1000)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1000)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32); 및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열람권한을 부여하는 단계(S33);를 포함한다.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는 소유자 입장에서 권한없는 제3자가 열람하기가 불편할 수 있는 블러드 다이아몬드 여부, 결혼 관련 다이아몬드 여부 등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고, 비공개이력정보는 DB에 저장이 되면서 이후 조회시 해당 정보에 대한 열람권한을 가진 자만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적으로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에 대한 열람권한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부여가 되고, 이후 상기 서버(1000)의 상기 권한부여부(1500)는 상기 등록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등록부(1220)의 저장단계(S32)의 세부 수행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저장단계(S32)는,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할 개인키를 생성하는 단계(S40);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1); 및 상기 암호화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비공개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2);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블록체인접속부(1600)는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비공개등록정보의 경우에는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이 되도록 하되, 실질내용은 제3자가 확인을 할 수 없도록 하면서, 비공개등록정보에 대해서도 위변조 방지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공개이력정보의 등록자에게 부여되고, 이후 등록자에 의하여 제3자에게 양도가 될 수 있는 상기 열람권한은 상기 개인키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비공개이력이 등록되는 경우, 이후,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1400)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0);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1);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단계(S4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검증한 후에, 검증결과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비공개이력정보의 경우 제3자가 열람하지 않도록 비공개적으로 관리하되 이에 대한 진위성 확인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함으로써, 정보의 무결성을 도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41)는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의 해쉬값을 암호화여 암호화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이후 사용자가 열람하는 비공개이력정보에 대한 해쉬값에 대한 암호화정보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등록되어 있고, 이후 사용자가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조회하는 경우, 원문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공개이력조회부(14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1400)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만약 해당 사용자가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1400)는 비공개정보에 대해 조회를 요청한 사용자에게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정보(예를들어, 전화번호 혹은 서버(1000) 시스템 내에서의 아이디 정보)를 제공한다. 이후, 조회를 요청한 사용자는 해당 정보에 대한 열람권한을 갖는 등록자에게 연락을 취하여 열람권한을 요청할 수 있고, 이에 응하는 경우 등록자는 서버(1000)에 접속하여 상기 권한부여부(1500)를 통하여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에 대한 열람권한을 제3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블록체인에 의하여 높은 보안성 및 위변조 방지를 구현하여 소비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문가인 일반인에게도 보다 세부적인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는 블록체인을 통하여 위변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블러드 다이아몬드, 세금문제 등의 민감한 문제에 대해서는 비공개적으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대한 선별적 공개와 함께 정보의 무결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단일 기관에서 제공하는 방식 혹은 단순 서류 방식보다 보다 사용자에게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개정보 및 비공개정보 모두 위변조에 대한 무결성 확인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이아몬드 수입업자, 중간판매자, 소비자, 감정소 모두 단일 시스템을 이용함으로써 통합적인 시스템 운영을 가능하게 하면서 보다 정보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도 2에 따른 서버는 도 11에서 도시되는 컴퓨팅장치의 1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사용자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100)은 단일 혹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연산처리속도 향상을 위하여 GPU 및 TPU 형태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1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은 도 11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1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11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열람권한을 갖는 경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부;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부; 및
    상기 이력등록부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부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등록하는 감정정보등록부; 및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을 등록하는 소유이력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품질평가 정보,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정보, 및 상기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평가 정보는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부는,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전체에 기초하여 서버등록정보를 생성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일부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부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에 기초한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부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로부터 수신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수신한 블록체인등록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감정정보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소유이력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등록자 정보; 등록일자 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정정보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감정기관의 신뢰도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상기 감정기관의 정보, 상기 신뢰도정보, 및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을 수행할 감정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
    상기 감정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감정기관의 정보, 신뢰도정보 및 감정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상기 감정블록체인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유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등록을 수행할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 생성단계;
    상기 소유이력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 및 상기 소유이력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네트워크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킬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소유이력블록체인등록정보를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력등록부는, 제3자가 블록체인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일부를 확인할 수 있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등록하는 공개이력등록부; 및 상기 서버에 의하여 권한이 부여된 자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비공개이력을 등록하는 비공개이력등록부는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공개이력등록부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비공개이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등록한 사용자에게 열람권한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권한부여부는 상기 등록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장단계는,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할 개인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암호화하여 암호화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비공개등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부는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트랜잭션으로 등록시키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열람권한은 상기 개인키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비공개이력조회부는,
    이용회원의 비공개이력정보의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용회원이 해당 비공개이력정보의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회원이 열람권한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비공개이력정보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개인키로 상기 비공개등록정보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비공개이력정보를 검증한 후에, 검증결과를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시스템.
  13.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으로서,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단계; 및
    상기 이력등록단계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단계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단계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등록하는 감정정보등록단계; 및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을 등록하는 소유이력등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품질평가 정보,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정보, 및 상기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평가 정보는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단계는,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전체에 기초하여 서버등록정보를 생성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일부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단계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에 기초한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단계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접속단계로부터 수신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수신한 블록체인등록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감정정보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소유이력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등록자 정보; 등록일자 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
  14. 블록체인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서버에 의하여 수행되는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이력을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이력등록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비공개이력조회단계;
    이용회원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비공개이력을 열람할 수 있는 열람권한을 다른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권한부여단계; 및
    상기 이력등록단계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등록단계에 의하여 등록되는 이력과 관계되는 정보를 블록체인네트워크의 1 이상의 노드에 등록시키는, 블록체인접속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단계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감정정보를 등록하는 감정정보등록단계; 및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소유이력을 등록하는 소유이력등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정정보는 대상다이아몬드의 품질평가 정보, 감정을 수행한 감정기관정보, 및 상기 감정기관에 대한 신뢰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품질평가 정보는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등록단계는, 상기 이용회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전체에 기초하여 서버등록정보를 생성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 중 일부에 기초하여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버등록정보를 상기 서버에 포함된 DB 혹은 서버에 연결된 DB에 저장하고,
    상기 블록체인접속단계는, 연결될 수 있는 블록체인네트워크의 노드에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단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에 기초한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제공하고,
    상기 공개이력조회단계는,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블록체인등록정보를 상기 블록체인접속단계로부터 수신하고,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상기 서버등록정보 및 수신한 블록체인등록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서버등록정보의 검증결과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등록정보는,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감정정보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및 대상다이아몬드의 캐럿정보, 투명도정보, 색상정보, 및 연마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수신한 상기 대상다이아몬드에 대한 정보가 상기 소유이력인 경우에는, 대상다이아몬드의 식별정보; 등록자 정보; 등록일자 정보를 포함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80100512A 2018-08-27 2018-08-27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2140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12A KR102140472B1 (ko) 2018-08-27 2018-08-27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12A KR102140472B1 (ko) 2018-08-27 2018-08-27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61A KR20200023961A (ko) 2020-03-06
KR102140472B1 true KR102140472B1 (ko) 2020-08-03

Family

ID=6980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12A KR102140472B1 (ko) 2018-08-27 2018-08-27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7057B (zh) * 2021-04-01 2024-05-07 成都埃克森尔科技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钻石供应链优化方法
CN113868560A (zh) * 2021-10-18 2021-12-31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汽车保养信息查询方法及相关装置
KR102524323B1 (ko) * 2021-11-10 2023-04-21 한국조폐공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nft를 공증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증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26B1 (ko) 2001-05-02 2004-09-10 주식회사 젬마텍 보석의 이력관리 시스템
US20070005486A1 (en) 2005-06-30 2007-01-04 Collectors Universe, Inc. Process for verifying, labeling and rating diamonds and other gemstones from mine to market
KR20100100385A (ko) * 2009-03-06 2010-09-15 박영 인터넷을 이용한 자산감정평가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784219B1 (ko) * 2016-06-15 2017-10-12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기관 제증명서류 위변조 검증시스템 및 방법
KR101908712B1 (ko) * 2016-10-05 2018-10-1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101820938B1 (ko) 2017-06-02 2018-01-22 주식회사 코리아주얼리허브 클라우드 기반의 온라인 보석 감별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A Invertino LAB, Decision Tree로 보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실제 사례(2018.07.23.)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61A (ko)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60399B2 (en) Customized view of restricted information recorded into a blockchain
US111889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 card verification via blockchain
US1163107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wallet provisioning
US1125708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device-assisted transactions
JP2010533344A (ja) 識別認証および保護アクセスシステム、構成要素、および方法
KR10214047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US11962682B2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CN108370315A (zh) 带加密的安全计算机集群
EP357165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on via a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US11121877B2 (en) Secure transmiss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s via blockchain
US20220270725A1 (en) Blockchain architecture,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facilitating electronic health record maintenance, sharing and monetization using a decentralized health information platform including a non-fungible token function and security protocols
CN110383240A (zh) 用于容器化的安全计算资源的方法和装置
WO2020047116A1 (en) Techniques for data access control utilizing blockchains
Carter et al. Openpharma blockchain on fhir: An interoperable solution for read-only health records exchange through blockchain and biometrics
AU2020101898A4 (en) MHOC- Blockchain Technology: Medicine and Healthcare Observation Care using Blockchain Technology
TWM569002U (zh) Medical record sharing system
WO2021172437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ing program, system, method, and program
US202302739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entity specific data assets
US20230105171A1 (en) Identity Vaul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s for Event Processing
Chowdhury et al. A decentralized blockchain-based model to secure confidential medical information
Garon Navigating through the Cloud–Legal and Regulatory Management for Software as a Service
Mooney et al. Send your smart cards to graduate sch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