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200B1 -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200B1
KR102140200B1 KR1020190044240A KR20190044240A KR102140200B1 KR 102140200 B1 KR102140200 B1 KR 102140200B1 KR 1020190044240 A KR1020190044240 A KR 1020190044240A KR 20190044240 A KR20190044240 A KR 20190044240A KR 102140200 B1 KR102140200 B1 KR 10214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alpha wave
alpha
base sheet
resonance c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종석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김현우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9004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 A61N2/008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for pain treatment or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3Magnetisable or magnetic paints or lacqu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파동이 녹음된 마그네틱층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층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 또는 환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시트가 구비되어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생체전기(生體電氣, bioelectricity)를 통해 마그네틱층에 녹음된 알파파 발산수단이 발산되어 환부의 치료 및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갖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Alfa wave resonance chip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파동이 녹음된 마그네틱층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층을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 또는 환부에 부착할 수 있도록 점착시트가 구비되어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생체전기(生體電氣, bioelectricity)를 통해 마그네틱층에 녹음된 알파파 발산수단이 발산되어 환부의 치료 및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갖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파파(alpha wave)는 사람이 휴식 상태에서 나타나는 주파수를 표현한 것으로, 8~13Hz 의 주파수를 가지며 눈을 뜨고 안정시의 건강한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나타나며, 주로 후두부(後頭部)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腦)는, 감정, 정서, 고민, 행복, 행동, 분노, 수면, 명상에 따라 뇌파가 변하며, 외는 외부의 정보를 ‘파동’의 형태로 수신하고, 다시 파동의 형태로 발신한다.
이러한 뇌파는 그 진동폭 즉, 주파수에 따라 델타, 세타, 알파, SMR, 베타, 하이베타, 감마로 분류된다.
델타(Delta)는 0.5~4Hz의 주파수를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깊은 숙면 상태에서 나타나며, 젖먹이, 유아 등에서도 흔히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성장 호르몬의 분출을 유도한다.
세타(Theta)는 4~7.5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벼운 명상이나 수면 중에 나타나는 뇌파로서, 지각(知覺)과 꿈의 경계상태로 불린다.
알파(Alpha)는 8~13Hz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상과 같은 편안한 상태에서 나타나며, 스트레스 해소 및 집중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알파파는 면역력 증가, 적절한 호르몬 분비 등을 촉진하여 몸과 마음이 편안한 상태로 유도한다.
베타(Beta)는 나타내는 주파수에 따라 로우베타와 하이베타로 분류되는데, 로우베타의 경우 14~20Hz의 주파수를 나타내며, 하이베타의 경우 21~30Hz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로우베타의 경우 각성활동과 인지활동을 할 때 주로 나타나고, 하이베타의 경우 긴장, 흥분 상태 등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있을 때 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하이베타가 오래 지속되면 초조해지고 학습효율도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감마(Gamma)는 40Hz이상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장 최근에 발견된 뇌파 대역으로 현재 원인 및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상기와 같이 분류되는 뇌파의 종류에서 뇌파는 알파파일 때 능력이 가장 높게 발휘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졸음과 긴장에 치우치지 않은 미드알파(9~11Hz) 상태일 때 두뇌활성화는 최적 상태가 되며, 이는 학습능률의 향상, 기억력과 집중력의 향상, 스트레스 해소 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알파파는 일반적으로 알려지기로는 클래식 음악과 자연의 소리 중 파도소리와 새소리 등에서 자연적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클래식 음악 중 비발디의 [사계], 베토벤의 [전원교향곡] 등 자연의 소리와 닮은 물리적인 파동을 지닌 음악을 들을 때 발생한다.
이러한 뇌파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정신을 안정시키고 육체의 긴장을 이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35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15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157호 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 중에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3516호는, 알파파유도 전기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1[Hz] 내지 50[Hz]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7[Hz] 내지 14[Hz] 범위내에서 선택된 주파수 및 연속적으로 조절되는 출력전압을 귀의 미주신경 이개가지에 인가하여 알파파를 유도함으로써 해당 주파수 및 출력전압에 대응하여 안정상태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체온 및/또는 혈당에 대응하여 미주신경 이개가지에 안기되는 자극 주기 및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알파파를 활용하여 뇌파의 동기화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도록 구성되나, 전기자극기의 크기가 대형이고 이러한 전문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 병원에서 이를 취급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가 이를 사용하기에는 이동하는 거리, 가격 등의 부담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들은 모두 특정한 장소 및 장치에서만 알파파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자유롭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사용자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영구자석을 환부에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통증이 있는 자리는 세포들의 기능이 저하되어 혈액의 흐름이 느려져 혈액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철성분이 침체되어 혈액 순환을 방해하여 통증이 발생한다. 영구자석은 이러한 철성분을 활성화시킴으로서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통증을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나, 통증의 발생 부위 또는 발생 범위 또는 통증의 경중(輕重)에 따라서 영구자석의 크기 즉 자력의 세기를 보다 강하게 해야만 원활한 혈액 순환을 도모할 수 있으나, 자력이 다른 정상적인 세포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로 인한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351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315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61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알파파가 녹음된 마그네틱층이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틱층을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하기 위한 점착시트가 포함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이고, 상기 마그네틱층으로부터 발산되는 알파파 진동을 통해 환부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정신적인 안정을 유도할 수 있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갖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안하되, 연속된 공정을 통해 일정한 크기를 갖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제조할 수 있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마그네틱층과;
상기 마그네틱층의 노출된 일면을 보호하도록 적층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층은,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으로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 중 어느 하나가 녹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층은,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각각에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파동이 독립적으로 녹음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에는, 상기 마그네틱층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단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시트는,
탄성력을 가진 천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베이스시트에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틱 페인트를 도포하는 페인트 도포단계와;
도포된 마그네틱 페인트를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페인트 건조단계와;
건조된 마그네틱 페인트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단계와;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코팅액 건조단계와;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용 헤드를 통해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 및
상기 점착시트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 도포단계에서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도포되고,
상기 녹음 단계에는,
복수 개의 녹음용 헤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의 녹음용 헤드를 통해 서로 다른 알파파 발신수단을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알파파 진동을 사용자의 환부에 전달하여 혈액 흐름을 개선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분해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의 제조 단계를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실험자에게 부착한 후 실험자의 뇌파를 측정한 데이터를 표현한 그래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1)은,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되어 환부의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10)와;
상기 베이스시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마그네틱층(20)과;
상기 마그네틱층(20)의 노출된 일면을 보호하도록 적층되는 코팅층(30);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층(20)은,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으로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40) 중 어느 하나가 녹음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시트(10)는, 얇은 필름 형태로 이루어지되 일면은 표면이 매끄러운 편평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마그네틱층(20)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도포되도록 하고, 타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으로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표면 거칠기를 높게 형성한다.
이러한 베이스시트(10)는 상기의 조건을 만족하면 소재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볍고 성형이 용이한 천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시트(10)의 일면에는 점착성 수지가 도포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점착성 수지는 베이스시트(10)의 형성 단계에서 베이스시트를 점착성 수지에 침지(沈漬)시킨 후 건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성 수지는 베이스시트가 사용자의 피부에 점착되고, 소정의 힘을 통해 피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수용성 폴리비닐알콜(PVA), 폴리비닐 피롤리돈(PVP) 등의 고분자 화합물을 응용하여 피막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층(20)은 상기 베이스시트(10)의 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녹음된 알파파 발산수단(40)을 사용자의 피부, 환부로 전달하는 것으로, 마그네틱 페인트를 일정한 두께로 도포한 뒤 이를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형성하고, 녹음용 헤드를 통해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진동으로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40) 중 어느 하나를 녹음시킨 것이다.
상기 알파파 발산수단(40)을 통해 발산되는 알파파 진동은 사용자의 체내에서 발산되는 알파파와 공명하는 것으로, 특히 통증완화 및 근골격계 질환의 원인인 근육의 긴장 상태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근골격계 질환은 근육을 긴장시켜 이를 축소시키는데, 예를 들어 골반을 잡고 있는 근육인 둔근, 요방형근 등이 긴장으로 인해 길이가 수축되면 골반뼈 좌우 장골능 위치가 변위되고, 이로 인해 고관절의 위치도 변위된다. 따라서 상기 근육과 연결되어 있는 다리를 골반측으로 들어올리게 되어 양 다리 길이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러한 차이가 심해지거나 장시간 지속되면 이는 척추의 휘엄짐을 유발하여 전체 신체의 균형이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다리 길이의 차이는 어느 하나의 다리에 체중이 집중되고, 걷거나 뛰는 동작이 불균형하고 이런 상태가 지속될수록 길이가 짧은 다리측의 골반이 더 뒤로 돌게 되어 길이 차이는 점차 심해지게 되며, 이는 무릎과 허리의 통증 발생에 대한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그네틱층(20)은 알파파 발산수단(4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알파파를 전달하고, 이는 사용자의 체내에서 발산되는 알파파와 공명(共鳴)을 발생하여 증폭되고, 이러한 알파파를 통해 사용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골반과 다리뼈를 연결하는 고관절 및 주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좌우 골반의 밸런스를 회복시키고, 두 다리의 길이를 동일하게 만들어 척추를 바르게 유지 또는 회복시키며 신경의 압박을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을 회복 및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코팅층(30)은 상기 마그네틱층(20)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얇은 피막 형태로 이루어지되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코팅용 수지의 도포 후 건조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통해 알파파가 발산되는 것을 측정한 데이터를 하기의 표 1에 기재하였다.
No. 성명 성별/나이 소요시간(min) 사용 전 사용 후 결과(효과)
01 김경미 여/34세 1분 44% 50% 6%P 상승
02 박성길 남/52세 3분 40% 50% 10%P 상승
03 고규석 남/45세 25분 35% 51% 16%P 상승
04 권도연 여/49세 1분 31% 36% 5%P 상승
05 김은경 여/51세 3분 6% 19% 13%P 상승
06 이영자 여/54세 9분 53% 56% 3%P 상승
07 이상헌 남/71세 25분 40% 51% 9%P 상승
08 윤철동 남/32세 27분 35% 38% 3%P 상승
09 오세이 여/32세 1분 58% 68% 10%P 상승
10 염석균 남/71세 18분 59% 64% 5%P 상승
평균 - - 11.3분 40.1% 48.3% 8%P 상승
상기 표 1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실험자는 남녀 각각 5인이며, 연령은 32~71세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소요시간은 실험자의 뇌파를 측정한 시간이며, 최소 1분에서 최대 27분이며, 이러한 측정 시간의 차이는 실험자의 뇌파가 변화되는 시간이 개인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사용 전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신체에 부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측정한 뇌파 중 알파파의 수치이며,
사용 후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신체에 부착한 후의 상태를 측정한 뇌파 중 알파파의 수치이다.
여기서 알파파 측정에 사용된 장비는 오라컴(auracom) 또는 오라큐(aura-Q)의 생체정보측정기(AR2000)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장비를 통해 측정한 결과값은 실험자마다 개인별 차이는 있으나 3~15%로 향상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평균 8%P가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1의 식별번호 1번인 실험자 김경미(가명, 여성 34세, 측정시간 1분)의 상태를 도 4를 통해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는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하기 전 상태를 측정한 것이고, (b)는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이후의 상태를 측정한 것이다.
도 4의 (a)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기 실험자의 활력도는 ‘53’이며, 안정도는‘44’로 측정되었다.
여기서 상기 안정도가 실험자의 뇌파에서 나오는 알파파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상태에서 측정한 결과인 도 4의 (b)를 확인하면,
상기 실험자의 활력도는 ‘47’이며, 안정도는 ‘50’으로 측정되었다.
즉, 상기 실험자 식별번호 1번은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후 뇌파에서 발산되는 알파파의 수치가 6%P 향상된 결과가 측정되었다.
한편, 동일한 측정장비를 통해 측정한 오행활성도는 실험자의 신체 기관의 활성 상태를 수치로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실험자 식별번호 1의 경우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하기 전 상태에서 오행활성도가 평균 ‘93’으로 측정되었고,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이후의 오행활성도는 ‘84’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오행활성도는 실험자의 신체 내부 장기의 움직임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측정된 결과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이후 실험자의 신체가 알파파로 인해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3은 다른 실험자들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실험자가 상기 표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파파 공명 칩을 부착한 이후의 측정된 신체내의 알파파의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오행활성도도 수치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그네틱층(20)은,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각각에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진동이 개별적으로 녹음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0)에는,
상기 마그네틱층(2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단선(11)이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마그네틱층(20)을 상호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 배치하고, 상기 절단선(11)을 통해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마그네틱층(20)은 신체 내에 흐르는 생체전기와 연동하여 파동이 발산된다.
여기서 생체전기(bioelectricity, 生體電氣)는, 동물이나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체전기와 마그네틱층(20)에 녹음된 알파파 발산수단이 공명 되면서 알파파 발산수단으로부터 발산된 알파파가 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알파파 공명 칩의 제조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베이스시트에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틱 페인트를 도포하는 페인트 도포단계(S20)와;
도포된 마그네틱 페인트를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페인트 건조단계(S30)와;
건조된 마그네틱 페인트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단계(S40)와;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코팅액 건조단계(S50)와;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용 헤드를 통해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S60); 및
상기 베이스시트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시트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베이스시트가 권취된 권취기로부터 베이스시트를 일정한 속도 및 장력을 유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권취기와 상기 베이스시트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밸트 등은 공지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페인트 도포단계는, 일정한 속도 및 장력을 가지면서 이동하는 베이스시트의 상면에 마그네틱 페인트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마그네틱 페인트(magnetic Pain)는 자기(磁氣)페인트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액상에 자철광이 함유된 것으로, 건조 후 경화 상태에서 자성(磁性)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마그네틱 페인트는 색상 안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색상 안료에 의해 자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별도의 색상 안료를 첨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그네틱 페인트는 용매를 기반하는 형태와 수성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분될 수 있는데, 용매를 기반으로 하는 형태는 에어 브러쉬를 이용하여 광고 패널 등과 같이 표면이 큰 대상체를 도장하는데 적합하고, 수성 형태 즉 액상 형태의 경우는 핸드 메이드, 전시 스탠드 등 상대적으로 표면이 적은 대상체에 롤러 또는 붓을 이용하여 도장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는 용매 형태, 액상 형태 중 어느 형태도 사용 가능하며, 이는 베이스시트의 폭, 길이 및 마그네틱 페인트에 의해 형성되는 마그네틱층의 면적(직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페인트 건조단계는, 베이스시트에 도포된 마그네틱 페인트를 건조하여 경화시키는 단계로서, 이때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히터에 의한 직접가열 또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통한 간접가열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액 도포단계는 건조된 마그네틱 페인트를 보호하는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코팅액은 건조 후 경화시 얇은 피막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코팅액 건조단계를 통해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시켜 마그네틱 페인트를 보호하는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건조 방법은 열풍, 히터가 구비된 건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온에서 자연 건조, 송풍팬을 통한 바람 건조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음,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는,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용 헤드를 통해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파파 발신수단을 녹음하는 단계로서, 상기 녹음용 헤드는 잔류 자화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마그네틱 페인트에 포함된 자성체를 전류를 흘려 자기적인 정보를 입혀 정보를 기록한다.
이러한 녹음용 헤드는, 마그네틱 페인트의 배열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로 배열되며, 다수 개의 녹음용 헤드가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녹음용 헤드는 서로 다른 정보를 녹음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페인트가 3열로 배열되면, 녹음용 헤드는 이에 대응하여 3개가 배열되고, 각각의 녹음용 헤드를 통해 녹음되는 정보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파동을 개별적으로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각각 다른 알파파가 겹치지 않도록 녹음된 마그네틱 페인트는, 각 녹음용 헤드를 통해 녹음된 알파파의 세기를 다르게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면 중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마그네틱 테이프에 녹음된 알파파의 세기는 약, 중, 강으로 구분하여 녹음하고, 사용자는 원하는 세기의 마그네틱 테이프가 배치된 부분을 절취하여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절단단계는 상기의 단계를 통해 성형된 알파파 공명 칩을 포장, 운반을 위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절단되는 형태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마그네틱 테이프를 중심에 두고 원형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알파파 공명 칩 제조방법에서 상기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 이후에 알파파 공명 칩을 점착성 패드에 부착하는 단계(S61)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점착성 패드에 알파파 공명 칩을 일체로 배치하여 휴대성을 높이고 상기 점착성 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알파파 파동 공명 칩
10 : 베이스시트
20 : 마그네틱층
30 : 코팅층
40 : 알파파 발산수단

Claims (6)

  1. 유연성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10)와;
    상기 베이스시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마그네틱층(20)과;
    상기 마그네틱층(20)의 노출된 일면을 보호하도록 적층되는 코팅층(30);을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틱층(20)은,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으로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40) 중 어느 하나가 녹음되고,
    상기 알파파 발산수단(40)은 신체 내에 흐르는 생체전기와 연동하여 파동이 발산되어 사용자의 신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층(20)은,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각각에 자연의 소리, 클래식 음악, 알파파 파동이 독립적으로 녹음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0)에는,
    상기 마그네틱층(20)을 개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절단선(1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10)는,
    탄성력을 가진 천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알파파 파동 공명 칩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필름 형태로 이루어진 베이스시트를 준비하는 단계(S10)와;
    상기 베이스시트에 길이 방향으로 마그네틱 페인트를 도포하는 페인트 도포단계(S20)와;
    도포된 마그네틱 페인트를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페인트 건조단계(S30)와;
    건조된 마그네틱 페인트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단계(S40)와;
    도포된 코팅액을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코팅액 건조단계(S50)와;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용 헤드를 통해 자연의 소리 또는 클래식 음악 또는 알파파 파동(8~13Hz)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S60); 및
    상기 베이스시트를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절단단계(S7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페인트 도포단계(S20)에서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도포되고,
    상기 녹음 단계(S60)에는,
    복수 개의 녹음용 헤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각의 녹음용 헤드를 통해 서로 다른 알파파 발신수단을 마그네틱 페인트에 녹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파 발산수단을 녹음하는 단계 이후에 알파파 공명 칩을 점착성 패드에 부착하는 단계(S6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파파 파동 공명 칩 제조방법.
KR1020190044240A 2019-04-16 2019-04-16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KR102140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40A KR102140200B1 (ko) 2019-04-16 2019-04-16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240A KR102140200B1 (ko) 2019-04-16 2019-04-16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200B1 true KR102140200B1 (ko) 2020-07-31

Family

ID=71834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240A KR102140200B1 (ko) 2019-04-16 2019-04-16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2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335U (ko) * 1989-08-01 1991-03-26
KR20030000757A (ko) * 2001-06-27 2003-01-06 코바스전자주식회사 알파파발생장치가 내장된 뇌파동조 헤드밴드
KR200325734Y1 (ko) * 2003-05-24 2003-09-17 김기조 자기 밴드
JP2003348697A (ja) * 2002-05-27 2003-12-05 Artist Bureau:Kk アルファ波の誘発法およびアルファ波の誘発法用記録媒体
KR100553516B1 (ko) 2002-06-24 2006-02-20 정종필 알파파유도 전기자극기
KR200426157Y1 (ko) 2006-06-21 2006-09-08 김석진 알파파 유도기능을 가지는 전기스텐드
KR20080023800A (ko) * 2006-09-12 2008-03-17 변인택 인체의 기혈조절용 기파스
KR101053157B1 (ko) 2008-05-02 2011-08-02 주식회사 새턴바스 알파파 발생수단을 구비한 비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0335U (ko) * 1989-08-01 1991-03-26
KR20030000757A (ko) * 2001-06-27 2003-01-06 코바스전자주식회사 알파파발생장치가 내장된 뇌파동조 헤드밴드
JP2003348697A (ja) * 2002-05-27 2003-12-05 Artist Bureau:Kk アルファ波の誘発法およびアルファ波の誘発法用記録媒体
KR100553516B1 (ko) 2002-06-24 2006-02-20 정종필 알파파유도 전기자극기
KR200325734Y1 (ko) * 2003-05-24 2003-09-17 김기조 자기 밴드
KR200426157Y1 (ko) 2006-06-21 2006-09-08 김석진 알파파 유도기능을 가지는 전기스텐드
KR20080023800A (ko) * 2006-09-12 2008-03-17 변인택 인체의 기혈조절용 기파스
KR101053157B1 (ko) 2008-05-02 2011-08-02 주식회사 새턴바스 알파파 발생수단을 구비한 비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1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brain wave stimulation
US9295854B2 (en) Light and bioelectric therapy pad
US20200338334A1 (en) Fibrous Connective Tissue Healing System
US20210346711A1 (en) Systems and Methods of Modulating Functionality of an Animal Brain Using Arrays of Planar Coils Configured to Generate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and Integrated into Headwear
US1151776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reating medical conditions using arrays of planar coils configured to generate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and integrated into clothing
US11020603B2 (en) Systems and methods of modulating electrical impulses in an animal brain using arrays of planar coils configured to generate 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and integrated into clothing
US9737683B2 (en) Lucid dream stimulato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20170151442A1 (en) Hair loss regrowth and hair treatment device
US11344738B2 (en) Acupuncture device and method using magnetic fields to stimulate acupuncture needles
JP2019537490A (ja) 患者の回復を補助するための治療テープ
JP2018512049A (ja) 周波刺激機器
CN112912136B (zh) 用于疗法性地治疗人体和动物体的感应式施加器线圈设备
KR102140200B1 (ko) 알파파 파동 공명 칩 및 그 제조방법
CN104436406A (zh) 一种感应式头戴音乐睡眠仪
WO2015111092A1 (ja) 医療用シート材の加工方法
EP0470767B1 (en) Massaging mattresses or pillows
US20200206526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ducing improvement of cerebral circulation
US20070276456A1 (en) Band for Curing Human Body
KR20210064108A (ko) 파동중첩형 미세전류 생체인가 장치
KR102502372B1 (ko) 자기장 및 광을 이용한 피부 자극 키트 및 피부 자극 기기
US20210290954A1 (en) Wrinkle Repair System
JP7463362B2 (ja) 電場による転移性疾患患者における多発性腫瘍の治療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3883639B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applying frequency and peak voltage having inverse relationship
CN213589532U (zh) 一种场效应理疗垫
KR101314309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