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123B1 -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123B1
KR102140123B1 KR1020160143230A KR20160143230A KR102140123B1 KR 102140123 B1 KR102140123 B1 KR 102140123B1 KR 1020160143230 A KR1020160143230 A KR 1020160143230A KR 20160143230 A KR20160143230 A KR 20160143230A KR 102140123 B1 KR102140123 B1 KR 102140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ing
battery
jig
jig body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280A (ko
Inventor
정종모
안정애
황동국
옥종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43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1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52Removing gases inside the secondary cell, e.g. by absorption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는, 각형의 전지가 장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그바디부와 함께 상기 전지가 장착되는 공간에 진공을 형성하는 지그탑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펀칭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이나 타측에서 상기 전지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수용가능한 매니폴드부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APPARATUS FOR COLLECTING INNER GAS IN SECONDARY ELECTRIC CEL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를 형성하여 각형 타입의 이차전지를 수용하고, 수용된 각형의 이차전지에 원터치로 구멍을 뚫어 배출된 이차전지의 가스를 신속하게 포집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방전과 역방향인 충전과정을 통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한 전지이며, 그 종류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금속 전지, 리튬-이온(Ni-ion)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Li-Ion Polymer Battery)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 중 높은 에너지밀도와 전압을 가지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튬 이차전지는 고온에서 노출되었을 때 발화/폭발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과충전, 외부단락, 침상(nail) 관통, 국부적 손상(local crush) 등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큰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에도, IR 발열에 의해 전지가 가열되면서 발화/폭발의 위험성이 있다. 한 예로서, 전해액 전극 사이의 반응 결과, 가스가 발생하여 전지 내압이 상승하게 되어, 일정 압력 이상에서 리튬 이차전지가 폭발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 내에서 반응에 따라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소 등의 다양한 종류의 가스가 발생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내부 발생 가스는 조건에 따라 충전되면서 다시 원래의 물질로 돌아갈 수 있는 가역적인 것도 있지만 대개는 전지 내에서 기체 상태로 남아 내압을 높이고, 전지가 부풀어 오르도록 하는 스웰링 현상을 유발시킨다.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는 두께가 커져 전지가 장착되도록 설계된 전자전기 기기에 잘 장착될 수 없거나, 불룩하게 튀어나온 외관 때문에 불량으로 판단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잃게 된다.
따라서, 이차전지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포집하여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경우, 원형의 전지에 구멍을 뚫어 가스를 포집하도록 다수 개의 지그바디를 연결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였다. 이에, 각형의 전지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으며, 각 지그바디를 연결하기 위하여 작업공정의 증가하였고, 연결부의 기밀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은 이차전지를 뚫기 위해, 핸들을 회전하여야 하였으므로 조작성 및 신속성이 저하되며, 지그바디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를 형성하여 각형의 이차전지를 수용하고, 수용된 각형의 이차전지에 원터치로 구멍을 뚫어 배출된 이차전지의 가스를 신속하게 포집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는, 각형의 전지가 장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그바디부와 함께 상기 전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그탑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펀칭부; 및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이나 타측에서 상기 전지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수용가능한 매니폴드부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 상부는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탑부의 상면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탑부의 하부는 상기 지그바디부와 결합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탑부의 결합면에는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면과의 결합 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부는, 상기 지그바디부의 수용홈에서 왕복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로드; 상기 로드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로 작용하는 가이드; 상기 본체에 연결된 펀칭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기밀성을 위한 기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팁은 상기 전지의 단락 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하며, 상기 스프링의 강성과 길이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팁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은, 각형의 전지를 지그바디부에 장착하는 단계;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를 결합하며,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전지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의 전, 후에 상기 지그 바디부를 매니폴드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스는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확산되어 상기 매니폴드부로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펀칭부의 펀칭 헤드가 눌려지는 단계; 상기 펀칭부의 펀칭팁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어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펀칭부의 펀칭팁이 원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팁은 상기 스프링의 강성과 길이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칭팁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의 쇼트(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터치로 펀칭부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각형 전지 및 두께가 커져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의 가스도 신속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로 전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가스 포집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가 매니폴드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가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펀칭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가 매니폴드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는 이차전지 내부의 가스분석을 위해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를 통해 가스를 포집하고, 포집된 가스는 매니폴드부(10)와 연결된 가스분석장치(13)를 통해 분석된다.
즉, 매니폴드부(10)의 진공펌프(11)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 연결되어, 이차전지가 장착된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를 진공상태로 형성한다. 이후, 펀칭부를 통해 이차전지를 뚫어 가스를 포집한 후 가스분석장치(13)를 통해 가스를 분석하게 된다.
가스분석장치(13)는 질량분석기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스분석의 정확성 또는 정밀성을 높이기 위해 다른 분석장치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가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는, 각형타입의 전지가 장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110);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그바디부(110)와 함께 상기 전지(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그탑부(120);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에서 상기 전지(200)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펀칭부(130); 및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이나 타측에서 상기 전지(200)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수용가능한 매니폴드부(10)로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지그바디부(110)는 상부의 오목한 홈부에 전지(200)가 안착되는 것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그바디부(110)의 상부는 지그탑부(120)와 결합하게 된다.
지그바디부(110)의 일측 상부는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부(119)를 포함한다. 이에, 지그탑부(120)는 펀칭부(1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바디부(110) 보다 그 길이가 작도록 형성되어, 펀칭부(130)가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에서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면서도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100)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지그바디부(110)와 지그탑부(120)는 볼트와 같은 체결장치(113)에 의해 상하로 결합될 수 있다.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이나 타측에는 펀칭부(130)를 통해 분출된 가스를 매니폴드부(10)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40)로 이송하기 위한 배출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지그바디부(110)에서 전지(200)가 삽입되는 공간은 펀칭부(130)가 작동 시 전지(200)가 이동하지 않도록 전지(20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전지(200)의 크기보다 전지(2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큰 경우 테프론(Teflon)과 같은 고정장치로 전지(200)를 고정할 수 있으나, 스탑퍼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전지(200)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그탑부(120)의 상면은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때, 지그탑부(120)의 하부는 상기 지그바디부(110)와 결합하는 결합면(127) 및 결합면(127)에 의해 둘러싸이는 오목부(150)를 포함한다.
이에 오목부(150)에 의해 전지가 부푸는 경우, 즉 두께가 커져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어, 전지가 원래의 형상을 온전하게 유지하는 경우는 물론 전지의 크기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전지의 가스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결합면(127)은 지그바디부(110)의 상면(119)와 결합하며, 결합면(127)에는 지그바디부(110)와의 결합 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125)가 형성된다.
기밀부(125)는 지그바디부(110)의 상면에 형성된 기밀부 결합홈(118)과 결합하여 기밀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밀부 결합홈(118)이 형성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진 기밀부(125)가 지그바디부(110)의 상면에 놓이고 체결장치(113)를 통해 지그바디부(110)와 지그탑부(120)를 체결함으로써 기밀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펀칭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펀칭부(130)는,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수용홈(117)에서 왕복운동하는 본체(136), 본체(136)에 연결된 로드(132), 로드(132)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며, 본체(136)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로 작용하는 가이드(134), 본체(136)에 연결된 펀칭팁(139)을 포함한다.
로드(132)는 펀칭헤드(131)에 연결되며, 펀칭헤드(131)를 누름으로써, 로드(132) 및 본체(136)가 이동하면서, 펀칭팁(139)는 전지(200)에 홈을 형성하면서 가스를 분출시키게 된다.
펀칭부(130)는 펀칭부 고정핀(138)에 의해 지그바디부(110)의 일측에 고정된다.
본체(136)는 로드(132)와 연결된 부분은 펀칭팁(139)과 연결된 부분보다 그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본체(136)와 연결된 펀칭팁(139)이 다시 돌아올 때,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외부로 본체와 로드가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136)의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가이드(134)에 의해 멈춰지게 된다.
본체(136)의 외주면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밀부(135)가 형성되며, 기밀부(135)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의 O-r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펀칭부(130)는 상기 본체(136)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136)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7)을 더 포함한다.
스프링(137)은 미리 설정된 강성(스프링 상수)와 미리 설정된 길이에 따라 펀칭팁(139)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하며, 이에 펀칭팁(139)은 예를 들어 2mm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으나 전지(200)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펀칭팁(139)은 가이드(134)로부터의 스프링(137)의 최대 압축거리만큼 최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펀칭팁(139)의 이동거리는 도 5와 같이 전지(200)의 단부로부터 양극전극(230)까지의 영역(240)까지만 이동할 수 있다.
펀칭팁(139)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200) 커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200)에 구멍을 뚫을 때, 단락 방지를 위해 펀칭팁(139)의 두께는 전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1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의 쇼트(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터치로 펀칭부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각형 전지 및 두께가 커져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의 가스도 신속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로 전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가스 포집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은, 각형의 전지(200)를 지그바디부(110)에 장착하는 단계(S100); 지그바디부(110)와 지그탑부(120)를 결합하며, 지그바디부(110)와 지그탑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S200); 매니폴드부(10)와 지그바디부(110)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단계(S300); 펀칭부(130)를 작동하는 단계(S400); 상기 전지(200)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매니폴드부(10)와 지그바디부(110)를 연결하여 결합하는 단계(S300)는, 펀칭부(130)를 작동하는 단계(S400)의 전,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S500)에서, 가스는 지그바디부(110)와 지그탑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확산되어 상기 매니폴드부(10)로 포집된다.
상기 펀칭부(130)를 작동하는 단계(S400)는, 펀칭부(130)의 펀칭 헤드(131)가 눌려지는 단계; 펀칭부(130)의 펀칭팁(139)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어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펀칭부의 펀칭팁(139)이 원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펀칭부(130)는, 상기 지그바디부(110)의 수용홈(117)에서 왕복운동하는 본체(136), 본체(136)에 연결된 로드(132), 로드(132)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며, 본체(136)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로 작용하는 가이드(134), 본체(136)에 연결된 펀칭팁(139)을 포함한다.
본체(136)는 로드(132)와 연결된 부분은 펀칭팁(139)과 연결된 부분보다 그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본체(136)와 연결된 펀칭팁(139)이 다시 돌아올 때,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의 외부로 본체와 로드가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136)의 외경보다 내경이 작은 가이드(134)에 의해 멈춰지게 된다.
본체(136)의 외주면에는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밀부(135)가 형성되며, 기밀부(135)는 예를 들어 고무재질의 O-r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137)은 미리 설정된 강성(스프링 상수)와 미리 설정된 길이에 따라 펀칭팁(139)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하며, 이에 펀칭팁(139)은 예를 들어 2mm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거리가 제한될 수 있으나 전지(200)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펀칭팁(139)은 가이드(134)로부터의 스프링(137)의 최대 압축거리만큼 최대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펀칭팁(139)의 이동거리는 도 5와 같이 전지(200)의 단부로부터 양극전극(230)까지의 영역(240)까지만 이동할 수 있다.
펀칭팁(139)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200) 커버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200)에 구멍을 뚫을 때, 단락 방지를 위해 펀칭팁(139)의 두께는 전지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1mm 이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의 쇼트(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터치로 펀칭부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가스를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각형 전지 및 두께가 커져 스웰링이 일어난 전지의 가스도 신속하게 포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로 전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가스 포집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면서도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매니폴드부
100: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110: 지그바디부
120: 지그탑부
130: 펀칭부
140: 연결부

Claims (15)

  1. 각형의 전지가 장착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지그바디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지그바디부와 함께 상기 전지가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지그탑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펀칭부; 및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이나 타측에서 상기 전지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수용가능한 매니폴드부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는,
    상기 지그바디부의 수용홈에서 왕복운동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된 로드;
    상기 로드의 왕복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본체의 일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스탑퍼로 작용하는 가이드;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된 펀칭팁;을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펀칭팁은 상기 전지의 단락 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길이로 이동하며, 상기 스프링의 강성과 길이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 상부는 단차지도록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탑부의 상면은 상기 지그바디부의 일측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탑부의 하부는 상기 지그바디부와 결합하는 결합면; 및
    상기 결합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탑부의 결합면에는 상기 지그바디부의 상면과의 결합 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기밀성을 위한 기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팁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의 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10. 각형의 전지를 지그바디부에 장착하는 단계;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를 결합하며,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진공으로 형성하는 단계;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전지로부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는,
    상기 펀칭부의 펀칭 헤드가 눌려지는 단계;
    상기 펀칭부의 펀칭팁이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어 상기 전지의 일측에 홈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펀칭부의 펀칭팁이 원 위치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펀칭부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펀칭팁은 상기 스프링의 강성과 길이에 의해 이동거리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를 작동하는 단계의 전,후에 상기 지그 바디부를 매니폴드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된 가스를 포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가스는 지그바디부와 지그탑부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으로 확산되어 상기 매니폴드부로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팁의 단부의 직경은 상기 전지의 커버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방법.
KR1020160143230A 2016-10-31 2016-10-31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2140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0A KR102140123B1 (ko) 2016-10-31 2016-10-31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230A KR102140123B1 (ko) 2016-10-31 2016-10-31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80A KR20180047280A (ko) 2018-05-10
KR102140123B1 true KR102140123B1 (ko) 2020-07-31

Family

ID=6218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230A KR102140123B1 (ko) 2016-10-31 2016-10-31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1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646B1 (ko) * 2018-05-21 2020-07-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방전 겸용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20200004745A (ko)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이차전지 내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
KR102397294B1 (ko) 2019-04-26 2022-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내부가스 포집 장치
KR20210103764A (ko)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내부가스 포집 장치
KR102489530B1 (ko) * 2020-12-28 2023-01-17 주식회사 비츠로셀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초소형 비축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10B1 (ko) * 2015-05-26 2016-07-08 이현철 소형 2차 전지 가스추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527B1 (ko) * 2014-12-31 2017-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내부 가스 포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310B1 (ko) * 2015-05-26 2016-07-08 이현철 소형 2차 전지 가스추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280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123B1 (ko)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2160703B1 (ko)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2133646B1 (ko) 충방전 겸용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JP7006787B2 (ja) ガス捕集装置及び方法
KR100686841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705308B1 (ko) 전극 탭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EP2919295A1 (en) Battery pack and internal component arrangement within the battery pack for cordless power tool system
EP0473745A4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748362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2154900B1 (ko)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20060111838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26210A (ko) 배터리 모듈용 스트랩,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스트랩 압착용 지그
KR102145107B1 (ko) 이차전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20210069832A (ko) 원통형 전지셀의 진동 테스트 지그 및 진동 테스트 장치
KR102160339B1 (ko) 충방전 겸용 파우치형 이차전지 발생가스 실시간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JP6821026B2 (ja) 安全で高エネルギーのusb充電可能な電池
JP3731142B2 (ja) 試験用非水系電池セル
KR100601538B1 (ko) 이차 전지
KR101805243B1 (ko) 블록형 폴리머 배터리 및 블록형 폴리머 배터리 제조 방법
EP3805743A1 (en) Battery measurement apparatus using x-rays
KR100601544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60028725A (ko) 이차전지 관통 시험 장치 및 관통 시험 방법
KR20160087696A (ko) 이차 전지
CN212542513U (zh) 一种新型抗冲击锂电池
KR102397315B1 (ko) 이차전지 내부가스 포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