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153B1 - Lumbar protec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umbar protec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153B1
KR102139153B1 KR1020190094215A KR20190094215A KR102139153B1 KR 102139153 B1 KR102139153 B1 KR 102139153B1 KR 1020190094215 A KR1020190094215 A KR 1020190094215A KR 20190094215 A KR20190094215 A KR 20190094215A KR 102139153 B1 KR102139153 B1 KR 10213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ailbone
lumbar
seat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2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관우
Original Assignee
이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우 filed Critical 이관우
Priority to KR1020190094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1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A47C27/14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 A47C27/146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with projections, depressions or cavities on the outside surface of the mattress or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ar protection apparatus implemented to form a tailbone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a user′s tailbo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ilbone in a seat such as a chair or a cushion. The lumbar protection apparatus comprises: a seat unit form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the tailbone insertion unit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ilbon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unit, and for inserting the user′s tailbone.

Description

요추 보호 장치{Lumbar protecting Apparatus}Lumbar protect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요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에서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하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요추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umbar protec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to a lumbar protection device implemented to form a tailbone insertion part for inserting the tailbone of a us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user's tailbone in a seat such as a chair or cushion. will be.

인간의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추의 끝에 꼬리뼈(尾骨)가 붙어 있는데, 꼬리뼈는 과도한 노동이나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을 경우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이러한 통증을 미추통(coccygodinia)이라고 한다.The human spine is composed of the cervical spine, thoracic vertebra, and lumbar spine. The tailbone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lumbar spine, and the tailbone causes severe pain when sitt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or excessive labor. It is called (coccygodinia).

미추통은 항문 뒤쪽의 꼬리뼈 부근이 움직일 때 이 부위가 아픈 질환으로 꼬리뼈 단독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많은데, 오래 앉아 있어야 하는 공장 근로자, 비서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눈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는 등 꼬리뼈에 충격을 준 일이 있거나, 직업이나 취미 상 꼬리뼈 쪽에 계속해서 자극을 주는 경우(승마 등), 분만, 난산 등의 산과적 병력, 척추의 관절염이나 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인이 있는 사람들에서 꼬리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의 긴장이나 수축이 심할 때 통증이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is is a painful disease of the tailbone when the area around the tailbone at the back of the anus moves. It is not a problem with the tailbone alone. It is about twice as many as men, but from people with jobs such as factory workers and secretaries who have to sit long. It happens often. And if you have had a shock on the tailbone, such as slipping on a snowy road, opening a booty, or if you continue to irritate the tailbone for work or hobbies (e.g., horseback riding), obstetric history of childbirth, dyscalculation, arthritis or disease of the spine, etc. This may also be the cause. It is known that people with these causes pain when the muscles attached to the tailbone are severely strained or contracted.

이러한 요추통의 치료를 위해 진통제나 근육 이완제를 복용할 수도 있고, 그래도 호전되지 않으면 꼬리뼈 주변의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를 주사할 수도 있으며, 환자는 척추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꼬리뼈를 잘라내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방사선 검사 상 꼬리뼈 부위에 확실한 병변이 있을 경우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추통의 원인이 확연하여 그에 적당한 치료를 통하여 완치되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추통의 반복 재발에 따른 고통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Pain relievers or muscle relaxants may be used to treat these lumbar pain pains. If the condition still does not improve, local anesthetics or steroids may be injected to relax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and the patient may exercise to strengthen the muscles around the spine. It is good to do it, and it is also important to correct the wrong posture. In particular, in some cases, surgery is performed to cut the tailbone, but this is only done when there is a certain lesion in the tailbone area on a radiographic examination. Therefore, except in some cases where the cause of lumbar pain is obvious and is cured through appropriate treatment, daily life is often difficult due to the pain caused by recurrence of lumbar pain.

한국등록특허 제10-0654918호(2006.11.30. 등록)는 골반 보호용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방 양단에 대칭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1쌍의 베이스 힌지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높이로 유지되는 고정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베이스; 베이스 힌지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대 힌지가 하방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1쌍의 좌대 받침대; 베이스와 좌대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베이스에 대하여 좌대 받침대를 탄성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프링; 및 좌대 받침대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좌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을 고려하여 골반의 간격에 맞게 한 쌍의 좌대 간격을 일정한 거리로 설정하여 중심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골반 건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사용자의 골반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미골에 대한 압박을 해소하여 미골에 발생되는 통증을 억제할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54918 (Registered on Nov. 30, 2006) discloses a chair for pelvic protection, having at least one pair of base hinges symmetrical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base plate, and maintained at a preset height A base mounted on the top of the fixing part; At least one pair of pedestal bases, which are hinged to the base hinges and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base; A spring that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base and the base stand are hinged, and elastically maintains the base stand against the bas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nd that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tand base.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onditions of the users who use the chair, the pair of pedestal intervals can be set to a certain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pelvic spacing to move up and down in the center to promote pelvic health of the user. In this way, the pelvis of the user sitting in the chair for a long tim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and the pressure on the coccyx can be relieved to suppress pain generated in the coccyx.

한국등록특허 제10-1000825호(2010.12.07. 등록)는 힌지기능과 스프링기능을 겸하여 갖춘 판스프링 힌지가 구비됨으로써, 등받이가 사용자의 자세변화에 따라 틸팅되어 허리의 전체면적을 받쳐주게 되므로, 장시간 의자생활에도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요추보호기능을 갖는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등받이 후방으로 돌출부가 발생되지 않아 점유공간을 최소화하며 소음발생이 없도록 한 요추 보호 의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좌대의 프레임인 좌판과, 좌판의 하방에 고정되고 등판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결합되며 등받이의 프레임인 등판을 포함하여 되고, 지지대에 등판이 틸팅 가능토록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판스프링체에 힌지부가 만곡형태로 밴딩되며 힌지부의 일단부가 등판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의 타단부가 지지대에 고정되는 지지대 고정부를 포함하는 판스프링 힌지가 구비되어지며, 등판에 판스프링 힌지의 힌지부 간섭방지를 위한 관통공 또는 요홈(이하, '관통공'이라 총칭함)이 형성되고, 관통공은 좌대 상부로부터의 높이가 수직 상 200~170㎜에 위치되어지고, 판스프링 힌지는 판스프링체의 높낮이 상 중간에 힌지부가 '⊃'형태로 돌출되게 밴딩되고, 힌지부의 상부는 등판에 고정되는 등판 고정부로 되며, 하부는 지지대 고정부로 이루어지며, 판스프링 힌지는 지지대 고정부가 등판고정부에 비하여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힌지부의 상하가 차등 밴딩됨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00825 (registered on December 12, 2010) is equipped with a pan spring hinge equipped with both a hinge function and a spring function, so that the backrest is tilted according to the user's posture change to support the entire area of the waist. Disclosed is a lumbar protection chair that has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lumbar spine so that it does not overhang the waist even during a long chair life,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manufacturing cost with a simple configuration, minimizes the occupied space by not generating a protrusion behind the backrest, and prevents noise. It i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chair comprising a seat plate, which is a frame of a seat plate, a support plate fixed to a lower side of the seat plate and supporting a back plate, and a back plate which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and is a frame of a backrest,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ack plate is tiltable on the support plate. In the plate spring body, the hinge portion is bent in a curved shape, one end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is installed to be movable on the back plate,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ate spring hinge including a support fixing portion fixed to the support plate, and is provided on the back plate. Through-holes or recesses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through-holes') for preventing interference of the hinge portion of the plate spring hinge are formed, and the through-holes are positioned at a height of 200 to 170 mm from the top of the base and plate The spring hinge is bent so that the hinge portion protrudes in the form of'형태' in the middle of the height of the plate spring body,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portion is a back plat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back plate, and the lower portion is made of a support portion fixing portion, and the plate spring hing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inge are differentially bent so that the support fixing portion is positioned rearward compared to the back fixing por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에 있어 부족한 점이 많아, 꼬리뼈 주변 근육의 탄력 저하로 인하여 허리 협착증, 요통 등이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꼬리뼈가 긴 경우에,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에 앉는 것이 꼬리뼈에 의해 매우 불편하며, 자세가 삐딱하게 되면서 근육통, 협착증, 통증 등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many shortcomings in strengthening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in that lumbar stenosis, back pain, etc. still occur due to the decrease in elasticity of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especially when the tailbone is long, Sitting in a seat such as a chair or cushion is very uncomfortable due to the tailbone, and the posture becomes sluggish, causing muscle pain, stenosis, and pain.

한국등록특허 제10-0654918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54918 한국등록특허 제10-1000825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0082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에서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하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요추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dis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and implemented to be able to form a tailbone insertion portion for inserting the tailbone of the us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ilbone of the user in a seat such as a chair or cushion. One is to provide a lumbar protection devi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좌석부; 및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 꼬리뼈를 삽입해 주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를 포함하는 요추 보호 장치를 제공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formed to allow the user to sit; And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seat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ilbone, provides a lumbar protection device including a tailbone insertion unit for inserting the user's tailbon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꼬리뼈 삽입부는, 사용자 꼬리뼈 또는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 또는 요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tailbone inser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hrough hole or a groove having a size capable of inserting a user's tailbone or a peripheral muscle of the tailbon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전립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 전립선을 안착시켜 주기 위한 전립선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ostate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and further includes a prostate seating unit for seating the user's prostat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립선 안착부는, 통기성 구조의 메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state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mesh shape of a breathable structur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립선 안착부는, 사용자 전립선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ostate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hape of the user's prostat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 둔부를 안착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둔부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buttocks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and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buttocks seaters for seating the user's buttocks.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둔부 안착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이 더 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ide is formed deeper than the front s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둔부 안착부는, 전방 측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liquely inclined toward the front s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둔부 안착부는, 다층 구조 또는 계단식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tepped structur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둔부 안착부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수축하여 사용자 체중을 분산시켜 주기 위한 우레탄 폼이나 스펀지 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urethane foam or a sponge foam for dispersing the user's weight by contracting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요추 또는 사용자의 허리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 요추 또는 사용자 허리의 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요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lumbar or the user's lower back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the lumb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lumbar or the lower portion of the user's waist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 공기를 입력해 주거나 압축 공기를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공기 입출력부; 및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 입출력부에서 압축 공기를 입력하거나 출력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마사지해 주기 위한 마사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comprises: an air input/output unit for compressing external air to input compressed air or to output compressed air to the outside; And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seat port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muscles of the user's tailbone, by expanding or contracting in response to the compressed air input or output from the air input and output portion to massage the surrounding muscles of the user's tailbon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ssage portion for giv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입출력부는, 외부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 공기를 상기 마사지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압축기; 및 상기 마사지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흡입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put and output unit,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external air to input compressed air to the massage unit; And an inhaler for sucking compressed air from the massage unit and outputting it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입출력부는, 연결관을 통해 상기 마사지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put and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massage unit through a connecto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마사지부는, 상기 공기 입출력부로부터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팽창되거나 상기 공기 입출력부에 의해 압축 공기를 출력하여 수축되는 복수 개의 공기 팩이나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ssa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lurality of air packs or tubes that are compressed by receiving compressed air from the air input/output unit or expanded or contracted by outputting compressed air by the air input/output unit.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상기 좌석부의 하부 면에 상기 연결관을 삽입하기 위한 관 삽입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ipe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pip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상기 마사지부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에 온열을 제공하기 위한 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sa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eating unit for generating heat to provide heat to the muscles of the user's tailbone.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요추 보호 장치는,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의자에 상기 좌석부를 탈부착시켜 주기 위한 탈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etachable portio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at to the chai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탈부착부는, 상기 좌석부의 너비에 따라 이에 대응한 사이즈로 상기 좌석부의 양측을 각각 밴딩시켜 주는 다관절 탄력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multi-joint elastic band that bands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in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eat portion.

본 발명의 효과로는,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에서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하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요추 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에 앉아 있는 동안에도 꼬리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의 긴장이나 수축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허리 협착증, 요통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As an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implemented to form a tailbone insert for inserting the tailbone of the us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ilbone of the user in a seat such as a chair or cushion, the user sits in the seat It is possible to relieve tension or contraction of muscles attached to the tailbone even while there is, and also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ack stenosis and lower back pain by conveniently performing exercise to strengthen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without discomfort.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좌석에 앉을 때에 꼬리뼈 부분을 꼬리뼈 삽입부에 삽입함으로써, 꼬리뼈가 긴 경우에도 좌석에 앉는 것이 불편하지 않으며,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하여 근육통, 협착증, 통증 등의 발생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the tailbon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ailbone insertion portion, so that even when the tailbone is long, it is not uncomfortable to sit in the seat, and the occurrence of muscle pain, stenosis, pain, etc., is also possible. It has a preventa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4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ample.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ampl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hird example.
4 is a view illustrat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urth exampl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practice.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s can be variously changed and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In addition, the purpose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an effec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although they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neighboring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refer to the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ponents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 combination is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and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y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otherwise defined. The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요추 보호 장치를 제4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irst example,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econd example, and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third example,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umbar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ourth example.

도 1을 참조하면, 요추 보호 장치(100)는, 좌석부(110), 꼬리뼈 삽입부(1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100 includes a seat portion 110 and a tailbone insertion portion 120.

좌석부(110)는, 예를 들어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eat unit 110 is a seat such as a chair or a cushion, and is formed to allow a user to sit.

꼬리뼈 삽입부(12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았을 때에, 좌석부(110)에서 사용자의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해 준다.The tailbone insertion unit 120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tailbone in the seat unit 110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unit 110, and inserts the user's tailbone.

일 실시 예에서, 꼬리뼈 삽입부(120)는, 사용자의 꼬리뼈 또는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삽입시킬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 관통공 또는 요홈일 수 있으며, 이에 해당 관통공 또는 요홈에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삽입시켜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의 긴장이나 수축을 완화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ailbone insertion unit 120 may be a through hole or a groove having a size capable of inserting the user's tail bone or the peripheral muscle of the tail bone, and thus the peripheral muscle of the user's tail bone in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or groove. Insertion can relieve tension or contrac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의자, 방석 등과 같은 좌석부(110)에서 꼬리뼈에 대응하는 위치에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하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12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아 있는 동안에도 꼬리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의 긴장이나 수축을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허리 협착증, 요통 등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at, such as a chair, cushion, etc. to form a tailbone insertion unit 120 for inserting the user's tailbon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ailbone By implementing, the user can alleviate the tension or contraction of the muscles attached to the tailbone while sitting in the seat portion 110, and also perform the exercise to strengthen the muscles around the tailbone without any discomfort, so that the waist I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stenosis and low back pai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을 때에 꼬리뼈 부분을 꼬리뼈 삽입부(120)에 삽입함으로써, 꼬리뼈가 길더라도 좌석부(110)에 앉는 것이 불편하지 않으며, 똑바로 앉을 수 있도록 하여 근육통, 협착증, 통증 등의 발생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the tailbone portion into the tailbone insertion portion 120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portion 110, it is inconvenient to sit in the seat portion 110 even if the tailbone is long It does not do so, so that you can sit upright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muscle pain, stenosis, and pai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립선 안착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may further include a prostate seating portion 130.

전립선 안착부(13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았을 때에, 좌석부(110)에서 사용자의 전립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전립선을 안착시켜 준다.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110, the prostate seating unit 13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prostate in the seat unit 110 to seat the user's prostate.

일 실시 예에서, 전립선 안착부(130)는, 사용자의 전립선 형태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형성시켜 사용자의 전립선을 부드럽게 안착시킴과 동시에, 오랫동안 앉아 있어도 땀이 생기지 않도록 통기성 구조의 메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ostate seating unit 130 is form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shape of the user's prostate, so that the user's prostate is gently seated, and may have a mesh shape of a breathable structure to prevent sweating even when sitting for a long time.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둔부 안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둔부 안착부(14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았을 때에, 좌석부(110)에서 사용자의 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시켜 준다.The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buttocks in the seating portion 110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ing portion 110 to seat the user's buttocks.

일 실시 예에서, 둔부 안착부(140)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이 더 깊도록 형성하거나, 전방 측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사용자 둔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so that the rear side is deeper than the front side, or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ward the front side, so that the user's buttocks are seated stably.

일 실시 예에서, 둔부 안착부(140)는, 전방측보다 후방 측이 더 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다층 구조 또는 계단식 구조로 형성시켜, 사용자 둔부 뒷부분(즉, 사용자 꼬리뼈)으로 체중이 실리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is form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or a stepped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at the rear side is formed deeper than the front side, so that the user's buttocks rear portion (that is, the user's tailbone) can carry the weight. Can.

일 실시 예에서, 둔부 안착부(140)는, 우레탄 폼, 스펀지 폼 등과 같은 연질로 형성시켜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수축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분산시켜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sponge foam, and the like to shrink according to the user's weight to disperse the user's weigh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추 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1, may further include a lumbar support 150.

요추 지지부(15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았을 때에, 좌석부(110)에서 사용자의 요추(또는, 사용자 허리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요추(또는, 사용자 허리의 하부)를 지지해 준다.The lumbar support 150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lumbar vertebra (or lower portion of the user's waist) in the seat 110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110, so that the user's lumbar (or user) Lower part of the waist).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둔부 안착부(140)에 의해서 사용자 둔부 뒷부분(즉, 사용자 꼬리뼈)으로 체중이 실리도록 함과 동시에, 요추 지지부(150)에 의해서 사용자의 요추(또는, 사용자 허리의 하부)를 지지해 줌으로써, 똑바로 앉은 자세를 유지시켜 요추 보호 내지 요추 교정을 유도해 줄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user to put the weight on the back of the user's buttocks (ie, the user's tailbone) by the buttocks seating portion 140, and at the same time, the user's lumbar support 150 By supporting the lumbar spine (or lower part of the user's waist), a straight sitting posture can be maintained to induce lumbar protection or lumbar cor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입출력부(160), 마사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2,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put/output unit 160 and a massage unit 170.

공기 입출력부(160)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시켜 해당 압축된 공기를 마사지부(170)로 입력해 주거나 마사지부(170)로부터 압축 공기를 외부로 출력해 준다.The air input/output unit 160 compresses external air to input the compressed air to the massage unit 170 or outputs compressed air from the massage unit 170 to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입출력부(160)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시켜 해당 압축된 공기를 마사지부(170)로 입력해 주기 위한 압축기와, 마사지부(170)로부터 압축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흡입기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put/output unit 160 compresses external air to input the compressed air to the massage unit 170, and sucks compressed air from the massage unit 170 to the outside. An inhaler for outputting may be provided.

일 실시 예에서, 공기 입출력부(160)는, 연결관(167)을 통해 마사지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ir input/output unit 160 may be connected to the massage unit 170 through a connector 167.

마사지부(170)는, 사용자가 좌석부(110)에 앉았을 때에, 좌석부(110)에서 사용자의 꼬리뼈 주변 근육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공기 입출력부(160)에서 압축 공기를 입력하거나 출력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마사지해 줌으로써,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의 긴장이나 수축을 완화시켜 주거나,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110, the massage unit 17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uscle around the user's tailbone in the seat 110, and inputs or outputs compressed air from the air input/output unit 160. In response, by expanding or contracting in response to this, by massaging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tension or contrac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can be relieved or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can be strengthened.

일 실시 예에서, 마사지부(170)는, 공기 입출력부(160)로부터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팽창되거나 공기 입출력부(160)에 의해 압축 공기를 출력하여 수축되는 복수 개의 공기 팩이나 튜브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ssage unit 170 may be a plurality of air packs or tubes that receive compressed air from the air input/output unit 160 to expand or contract by outputting compressed air by the air input/output unit 160. .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좌석부(110)의 하부 면에 연결관(167)을 삽입하기 위한 관 삽입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at portion 110, the tube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connecting pipe 167 on the lower surfac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not shown in the drawing) further provided Ca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3, may further include a warming unit 180.

온열부(180)는, 마사지부(170)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에 온열을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의 긴장이나 수축을 완화해 줄 수 있다.The heating unit 18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sage unit 170 to generate heat, thereby providing heat to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thereby reducing tension or contraction of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요추 보호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Lumbar protec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portion 190.

탈부착부(190)는, 좌석부(1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의자 등에 좌석부(110)를 탈부착해 준다.The detachable portions 190 ar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10 to detach and attach the seat portion 110 to a chair or the like.

일 실시 예에서, 탈부착부(190)는, 좌석부(110)의 너비에 따라 이에 대응한 사이즈로 좌석부(110)의 양측을 각각 밴딩시켜 주는 다관절 탄력 밴드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tachable portion 190 may be a multi-joint elastic band that bands both sides of the seat portion 110 in a size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eat portion 11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ng method, and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100: 요추 보호 장치
110: 좌석부
120: 꼬리뼈 삽입부
130: 전립선 안착부
140: 둔부 안착부
150: 요추 지지부
160: 공기 입출력부
170: 마사지부
180: 온열부
190: 탈부착부
100: lumbar protection device
110: seat
120: tailbone insert
130: prostate seating
140: buttocks seat
150: lumbar support
160: air input and output unit
170: Massage Department
180: warm part
190: detachable part

Claims (5)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된 의자 좌석부; 및 사용자가 상기 의자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꼬리뼈를 삽입해 주기 위한 꼬리뼈 삽입부; 사용자가 상기 의자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전립선을 안착시켜 주기 위한 전립선 안착부; 및 사용자가 상기 의자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둔부를 안착시켜 주기 위한 복수 개의 둔부 안착부; 똑바로 앉은 자세를 유지시켜 요추 보호 및 요추 교정을 유도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상기 의자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사용자의 요추 또는 사용자의 허리 하부를 지지해 주기 위한 요추 지지부; 외부의 공기를 압축시켜 압축 공기를 입력해 주거나 압축 공기를 외부로 출력해 주기 위한 공기 입출력부; 및 사용자가 상기 의자 좌석부에 앉았을 때에, 상기 공기 입출력부에서 압축 공기를 입력하거나 출력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팽창하거나 수축하여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을 마사지해 주기 위한 마사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사지부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열을 발생시켜 사용자 꼬리뼈의 주변 근육에 온열을 제공하기 위한 온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둔부 안착부는, 전방 측보다 후방 측이 더 깊도록 형성하며, 다층 구조 또는 계단식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보호 장치.
A chair seat formed to allow a user to sit; And a tailbone insert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tailbone of the user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of the chair. A prostate seating unit for seating the user's prostate when the user sits in the chair seat; And a plurality of buttocks seating portions for seating the buttocks of the user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seat. A lumbar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lumbar spine or the user's lower back when the user sits in the chair seat to maintain the upright sitting posture to induce lumbar protection and lumbar correction; An air input/output unit for inputting compressed air by compressing external air or outputting compressed air to the outside; And a massage unit for massaging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by inflating or contracting in response to input or output of compressed air from the air input/output unit when the user sits in the seat of the chair;
I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ssage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 heating portion for generating heat to provide heat to the muscles around the user's tailbone;
The lumbar seating portion, the lumbar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ide is formed deeper than the front side, it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teppe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립선 안착부는,
통기성 구조의 메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 보호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state seating portion,
Lumbar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sh shape of a breathable structure.
삭제delete
KR1020190094215A 2019-08-02 2019-08-02 Lumbar protecting Apparatus KR1021391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15A KR102139153B1 (en) 2019-08-02 2019-08-02 Lumbar protec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215A KR102139153B1 (en) 2019-08-02 2019-08-02 Lumbar protec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153B1 true KR102139153B1 (en) 2020-07-29

Family

ID=7189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215A KR102139153B1 (en) 2019-08-02 2019-08-02 Lumbar protec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54B1 (en) * 2022-05-31 2023-05-26 정병운 Heating apparatus having multi-fun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18B1 (en) 2005-10-14 2006-12-06 김선환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KR100665931B1 (en) * 2006-07-26 2007-01-09 김용진 A cushion for a chair
KR20090114811A (en) * 2008-04-30 2009-11-04 김정인 Seat Cushion
KR101000825B1 (en) 2008-04-11 2010-12-13 이두형 Lumbar protecting chiar
KR20140089107A (en) * 2013-01-04 2014-07-14 이상철 Human body technology cushion
KR20190079903A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리라이브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18B1 (en) 2005-10-14 2006-12-06 김선환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KR100665931B1 (en) * 2006-07-26 2007-01-09 김용진 A cushion for a chair
KR101000825B1 (en) 2008-04-11 2010-12-13 이두형 Lumbar protecting chiar
KR20090114811A (en) * 2008-04-30 2009-11-04 김정인 Seat Cushion
KR20140089107A (en) * 2013-01-04 2014-07-14 이상철 Human body technology cushion
KR20190079903A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리라이브 Smart cushion for good posture maintenance and kegel exerci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654B1 (en) * 2022-05-31 2023-05-26 정병운 Heating apparatus having multi-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0236B2 (en) An orthopedic chair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0654918B1 (en) Chair for protecting of pelvis
US7090303B2 (en) Rehabilitation training and exercise chair
KR101922773B1 (en) Pelvic posterior tilt stop seat cushion and backrest for stroke patients
KR102139153B1 (en) Lumbar protecting Apparatus
JP2023500176A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device for wheelchairs
KR100826365B1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capable of setting displacement angle
KR101514685B1 (en) Sitting cushion for scoliosis
KR100940126B1 (en) Portable knee chair
KR102164336B1 (en) Seat for posture correction
JP2006068025A (en) Lumbago relieving assist for chair
KR20190066131A (en) Rectangular cushion
US20160095768A1 (en) Post-Operative Assistive Device
JP2008110096A (en) Backrest and seat part for chair for welfare
KR20090048281A (en) Chair for protecting pelvis capable of setting displacement angle
KR101879490B1 (en) spine protector
KR200336048Y1 (en) cushion
KR20060109602A (en) Hip-up cushion
JP3038326U (en) Foam synthetic resin cushion material
KR20230012827A (en) Cusion for chair
US20220226174A1 (e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ion apparatus for wheeling chairs
TW202402257A (en) An adjustable anatomical support and seat cushion apparatus for wheelchairs
KR200463547Y1 (en) Seating aids device
KR20100015101A (en) A posture correction assistance means
KR20240058297A (en) A waist supporting sitting chair with portable sitting 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