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43B1 -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 Google Patents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643B1
KR102138643B1 KR1020200027706A KR20200027706A KR102138643B1 KR 102138643 B1 KR102138643 B1 KR 102138643B1 KR 1020200027706 A KR1020200027706 A KR 1020200027706A KR 20200027706 A KR20200027706 A KR 20200027706A KR 102138643 B1 KR102138643 B1 KR 10213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fastened
rail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랑
Original Assignee
딥스원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딥스원테크(주) filed Critical 딥스원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2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01Wall mounting or suspension arrangements for blackboar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4Black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볼트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영상기기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어 수업 집중도가 증가하며, 칠판 사용에 지장이 없고, 영상기기를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 환경미화가 개선되며, 기존 칠판을 철거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칠판 프레임부에 레일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외부구조물을 설치한 것이어서 교체와 수리가 편리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프레임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여 프레임부가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영상기기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고,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영상기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며, 또한 벽면 상태, 칠판 구조, 영상기기 크기와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칠판 프레임에 존재하는 이물질, 판서도구, 지우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제어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APPARATUS FOR INSTALLING MOVABLE FLAT PANNEL DISPLAY TV ON THE BOARD AND BOARD HAV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칠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칠판에 영상기기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필요시 좌우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으며, 수업 집중도가 향상되도록 한 장치와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은 학교의 교실은 물론이고 학원의 강의실이나 회사의 사무실 등에서 수업이나 강의 내용을 설명하거나 회의 또는 프리젠테이션 발표를 하는데 사용된다. 보통의 칠판은 기재층과 시트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시트층의 바탕색에 따라 크게 녹색 칠판과 흰색 칠판으로 구분되며, 그 재질에 따라 합판을 사용한 목재 칠판과 강판을 사용한 철재 칠판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수업이나 강의를 하기 위하여 영상기기와 같은 보조도구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TV, 모니터 등의 영상기기를 칠판과 별도로 준비된 보조탁자 위에 올려 놓은 채 수업을 하였고, 이로 인하여 칠판과 영상기기가 서로 분리되어 영상기기와 연계하여 강의하는 것이 곤란하였고, 강의에 대한 집중력이 분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도 1a와 같이 주칠판이 있던 자리 중앙에 평면으로 이루어진 TV, 모니터 등의 영상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영상기기가 주칠판의 중앙부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주칠판의 중앙부를 칠판으로 활용할 수 없어 불편하고, 다른 교육 자료를 게시할 공간도 부족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 1b와 같이 칠판 일측에 TV, 모니터 등의 영상기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업자가 영상기기를 향해 고개를 옆으로 돌린 상태로 시청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화면이 잘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하며, 수업 집중도가 떨어지고, 영상기기를 칠판 옆에 설치하여 교실의 환경미화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도 1c와 같이 영상기기로써 강의나 프리젠테이션용으로 프로젝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화이트보드보다 녹색칠판을 더 선호하고 있고, 도 1d와 같이 프로젝터를 녹색칠판에 설치한 경우 프로젝터의 빔의 투영된 영상의 밝기와 선명도가 저하되고, 실내가 밝은 경우 내용이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최근 TV의 화질 향상과 대형화로 프로젝터의 필요성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강의실 등의 전방 벽면에 위치되고, 상부틀체와 하부틀체 및 측부틀체로 이루어지는 틀체부와, 틀체부의 전방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메인칠판과, 상부틀체와 하부틀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안내되어 메인칠판의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칠판들이 구비되는 개폐칠판에 있어서, 보조칠판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된 장식틀체에는 트인창이 형성되어 그 후면에 부착되는 벽면 티브이의 화면이 트인창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고, 장식틀체의 후면으로 벽면 티브이를 상, 하로 지지하는 지지후레임들을 설치하고, 지지후레임의 벽면 티브이를 브라켓트로 유동 방지하도록 고정하며, 장식틀체의 후면에 고정되는 지지후레임은 고정브라켓트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장식틀체와 틀체부 사이에는 슬라이드레일을 설치하여 장식틀체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벽면 티브이를 구비한 칠판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장식틀체를 반복 슬라이드 이동하여 사용하는 경우 TV의 무거운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여 TV가 기울어지거나 칠판이 흔들리거나 칠판 프레임이 뒤틀릴 수 있고, 내구성이 떨어지며, 다양한 TV의 크기와 형상에 맞는 맞춤식 설치가 곤란하고, 칠판 사용 중 이물질이 하측 슬라이드레일로 낙하되거나, 판서도구, 지우개 등이 하측 슬라이드레일에 놓인 경우, 장식틀체가 잘 이동되지 않거나, 이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TV 이동을 위한 구조물이 모두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교체와 수리가 불편하여 유지 보수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틀체부와 장식틀체 및 슬라이드레일이 일체화되어 있어 기존 칠판을 모두 철거한 후에 새롭게 칠판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증가하고,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칠판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8964호(2012.07.2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필요시 영상기기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어 수업 집중도가 증가하며, 칠판 사용에 지장이 없고, 영상기기를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 환경미화가 개선되며, 기존 칠판을 철거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목적이 있다.
또한, 종래처럼 칠판 프레임부에 레일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외부구조물을 설치한 것이어서 교체와 수리가 편리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프레임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여 프레임부가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영상기기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고,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영상기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벽면 상태, 칠판 구조, 영상기기 크기와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칠판 프레임에 존재하는 이물질, 판서도구, 지우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제어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볼트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시 영상기기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어 수업 집중도가 증가하며, 칠판 사용에 지장이 없고, 영상기기를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 환경미화가 개선되며, 기존 칠판을 철거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처럼 칠판 프레임부에 레일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외부구조물을 설치한 것이어서 교체와 수리가 편리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프레임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여 프레임부가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영상기기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고,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영상기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벽면 상태, 칠판 구조, 영상기기 크기와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칠판 프레임에 존재하는 이물질, 판서도구, 지우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제어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기술에 따른 칠판이 설치된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레일지지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고정부와 레일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전방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후방이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관절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를 체결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지지부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장치가 설치된 칠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는 칠판에 영상기기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필요시 좌우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으며, 수업 집중도가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 고정부(100), 레일지지부(200), 레일부(300), 이동지지부(400), 보조지지부(500) 및 전동부(6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현재 교실, 강의실, 사무실 등에 다양한 구조를 갖는 칠판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중에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칠판은 판서가 이루어지는 칠판부(10)와 칠판부(10)의 외곽 테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칠판부(10)는 프레임부(20) 내측에 전방면을 향해 설치되는 주칠판(11)과, 상·하부프레임(21,23)에 형성된 레일홈에 의해 안내되어 주칠판(11) 앞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1개 내지 복수 개의 보조칠판(12)을 포함하고, 보조칠판(12) 중에 일부는 게시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프레임부(20)는 칠판부(10)의 상하측 테두리에 구비되고 레일홈이 형성된 상·하부프레임(21,23)과, 칠판부(10)의 양측 테두리에 구비된 측부프레임(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이동 장치를 설치하기 전에 설치 및 이동 공간 확보를 위해 보조칠판(12)의 전체 또는 일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2a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프레임부(20)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프레임(21) 상측에 고정 설치되어 레일지지부(200)를 고정 지지하고, 종래의 레일구조체와는 달리 하부프레임(23) 하측에는 별도로 설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고정부(100)는 L자 형상을 갖는 상부브라켓(110)이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벽면 상태가 고르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1개의 상부브라켓(110)을 상부프레임(21) 상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하는 것보다는 복수 개의 상부브라켓(110)을 서로 이격시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영상기기(P)는 칠판부(10) 중앙까지만 이동시키면 되고 타측 끝단까지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고정부(100) 등 본 발명의 장치는 칠판부(10)의 2/3 지점까지만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브라켓(110)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 설치되되, 고정홀(111a)이 관통 형성된 수직판(111)에 고정나사(111b)가 체결되어 벽면에 고정되고, 수직판(111) 하부에 직교 연결된 수평판(112)이 상부프레임(21) 상에 안착되어 체결되며, 수평판(112)은 장공 형상의 복수 개의 수평홀(112a)이 형성되어 벽면의 울퉁불퉁한 상태, 칠판 구조나 크기 및 시공 상황에 따라 지지체(210)의 체결 위치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고, 수평판(112) 양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어 수직판(111)에 연결된 날개판(113)이 구비되고, 날개판(113)에도 장공 형상의 날개홀(113a)이 단수 또는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편(201)의 체결 위치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다.
도 2b를 참고하면, 상기 레일지지부(200)는 "┌┐" 형상을 갖는 지지체(210)가 상부브라켓(110)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체(210)는 복수개가 설치되며, 상부브라켓(110)의 수평판(112)과 상부프레임(21)을 관통하여 하측의 수평판체(31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체(210)는 수평판(112)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편(211)과, 지지편(211)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수평판(112)의 수평홀(112a)과 상부프레임(21)을 관통하여 레일부(300)와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전·후방지지볼트(212,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지지편(211)은 전·후방지지볼트(212,2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된 채 별도로 준비된 후 시공시 전·후방지지볼트(212,213)의 상단부에 지지편(211)을 체결하고 너트 등으로 단속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지지볼트(212,213)를 장공 형상의 수평홀(112a)에 체결 위치를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어, 벽면 상태, 칠판 구조나 크기 및 시공 상황에 따른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다만 설치후 지지체(2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지지편(211)의 중간에 "└┘" 형상을 갖도록 고정편(20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편(201)은 상부브라켓(110) 내측에 밀착 게재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 2c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편(201)은 수평 방향의 하부판(202)과 하부판(202)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되고 고정홀(203a)이 관통 형성된 측부판(203)으로 이루어지되, 하부판(202)은 상부브라켓(110)의 수평판(112) 위에 안착되고, 양쪽 측부판(203)은 고정볼트(204)가 고정홀(203a)과 날개판(113)의 날개홀(133a)을 관통하여 고정너트(205)로 단속 체결되어 사용 중 지지체(210)가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더불어, 고정볼트(204)에는 와셔링(206)이 개재된 채 체결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부브라켓(110) 및 고정편(201)은 빗살 내지 격자 무늬의 엠보돌기가 반복 형성되어 서로 밀착 고정되어 마찰력에 의해 유동을 방지하며, 와셔링(206)에도 빗살 내지 격자 무늬의 엠보돌기가 반복 형성되어 고정편(201)의 측부판(203)과 밀착 고정되므로 지지체(2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레일부(300)는 상부프레임(21) 하측에 수평판체(310)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대략 칠판부(10)의 2/3 지점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판체(310)는 상부프레임(21)을 관통하여 내려온 전·후방지지볼트(212,213)를 통해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양쪽에 날개편이 형성된 체결구(220)가 구비되고, 일측 날개편(221)은 나사홀이 형성되어 전·후방지지볼트(212,213)의 하부와 체결되어 고정너트(223)로 고정되고, 타측 날개편(222)은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부에 각각 구비된 타측 날개편(222) 사이에 수평판체(310)의 단부가 삽입 결합되고, 타측 날개편(222)과 수평판체(310)는 고정피스(222a)로 체결되어 수평판체(310)가 영상기기(P)의 좌우 이동시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게 설치되므로 전·후방레일체(320,33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방지지볼트(212,213)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후방의 체결구(220)의 위치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수평판체(31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고, 시공시 프레임부(20) 위에서 전·후방지지볼트(212,213)와 수평판체(310)의 타공 위치를 맞추지 않아도 되고,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며, 수평판체(310)를 체결구(220)에 끼워 결합하면 되므로 시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수평판체(310)는 하부에 전·후방레일체(320,330)가 결합되고, 전·후방레일체(320,330)는 칠판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고, 내부에 내측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 전·후방레일(321,331)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전·후방이동부재(410,42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양 단부에 전·후방이동부재(410,4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지부(400)는 전·후방레일(321,331)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좌우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410,420)가 각각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410)는 영상기기(P)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P)를 지지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므로, 영상기기(P)의 하중을 지지하고, 영상기기(P)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어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후방이동부재(410,420)는 영상기기의 크기나 형상에 맞춰 높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전방이동부재(410)는, 상부에 롤러(411a)가 형성되어 전방레일(321)에 걸려진 상태로 전방레일(32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는 전방행거(411)가 구비되고, 전방행거(411)의 하측에 전방상부편(412)이 결합되며, 그 하측에 전방중간편(413)이 전방상부편(412)과 관절부재(41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하측에 전방하부편(414)이 전방중간편(413)과 관절부재(41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때 좌우 한쌍의 전방행거(411)는 서로 이격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전방행거(411)는 복수 개의 행거홀(411b)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전방상부편(412)은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홀(412a)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시공자는 행거홀(411b)과 상부홀(412a)의 결합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부재(412b)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영상기기(P)의 설치 높이와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후방이동부재(420)는 상부에 롤러(421a)가 형성되어 후방레일(331)에 걸려진 상태로 후방레일(331)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는 후방행거(421)가 구비되고, 후방행거(421)의 하측에 후방상부편(422)이 결합되며, 그 하측에 후방중간편(423)이 후방상부편(422)과 관절부재(42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하측에 후방하부편(424)이 후방중간편(423)과 관절부재(42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상기 후방하부편(424)은 전방하부편(414)에 비하여 하측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좌우 한쌍의 후방행거(421)는 서로 이격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후방행거(421)는 복수 개의 행거홀(421b)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후방상부편(422)은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홀(422a)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며, 시공자는 행거홀(421b)과 상부홀(422a)의 결합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부재(422b)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영상기기(P)의 설치 높이와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c를 참고하면, 관절부재(415,425)는, 전·후방이동부재(410,42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되, 제1관절편(416,426)은 중앙홀(416a,426a)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홀(416a,426a) 주변에 복수 개의 접속홈(416b,426b)이 형성되며, 제2관절편(417,427)은 중앙홀(417a,427a)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홀(417a,427a) 주변에 복수 개의 접속돌기(417b,427b)가 형성되어 접속홈(416b,426b)에 삽입 접속되며, 제1관절편(416,426)과 제2관절편(417,427)은 중앙홀들을 관통한 접속부재(418,428)를 통해 접속되어 체결된다. 일례로, 전방이동부재(410)의 전방상부편(412) 하부에 제1관절편(416)이 형성되고, 전방중간편(413) 상부에 제2관절편(417)이 형성되어 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전방중간편(413) 하부에 제1관절편(416)이 형성되고, 전방하부편(414) 상부에 제2관절편(417)이 형성되어 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더불어, 일례로 후방이동부재(420)가 후방상부편(422) 하부에 제1관절편(426)이 형성되고, 후방중간편(423) 상부에 제2관절편(427)이 형성되어 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되고, 후방중간편(423) 하부에 제1관절편(426)이 형성되고, 후방하부편(424) 상부에 제2관절편(427)이 형성되어 서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접속된다.
이와 같이, 관절부재를 통해 전·후방이동부재(410,420)의 접속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영상기기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맞춤식 설치가 가능하고, 영상기기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기기가 기울어짐이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P)의 후면에는 양쪽에 복수 개의 베사홀들이 일정 간격을 갖고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후방하부편(414,424)에 복수 개의 결합홀(414a,424a)들이 세로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414b,424b)를 결합홀(414a,424a)과 베사홀에 체결하여 영상기기(P)를 전·후방이동부재(410,420)와 결합시킨다.
이때, 일실시예로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영상기기(P)와 전·후방이동부재(410,420)의 사이에 별도의 접속브라켓(430)을 게재시킨 채 결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영상기기(P)에 체결된 접속브라켓(430)에 전방하부편(414)을 결합부재(414b)를 통해 결합하고, 전방하부편(414)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후방하부편(424)을 결합부재(424b)를 통해 접속브라켓(430)에 체결할 수 있으며, 접속브라켓(430)과 후방하부편(424) 사이에 1개 또는 복수 개의 링 형상의 유격조절재(424c)를 결합부재(424b)에 게재시켜 후방하부편(424)을 밀착시키고, 영상기기(P)의 설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도 5a를 참고하면 전·후방하부편(414,424)에 결합부재(414b,424b) 체결시 손잡이(440)를 개재시켜 결합하면 사용자가 손잡이(440)를 잡고 영상기기를 쉽고 편리하게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일실시예로 상기 손잡이(440)는 일측이 결합부재(414b,424b)에 의해 체결되는 연결판(441)과, 연결판(441)의 타측에 연결된 핸들(4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보조지지부(500)는 전·후방이동부재(410,4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영상기기(P)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영상기기(P)가 대형이거나 하중이 클 경우 보조지지부(50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지지부(500)는, 보조레일(510)이 복수 개의 상부브라켓(110)의 단부를 따라 체결되어 상부프레임(21) 상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보조이동부재(530)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때 보조레일(510)의 양측부에 조절볼트(515)가 고정너트(515a)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고정너트(515a)는 보조레일(5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되어 보조레일(5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조절볼트(515)는 상부브라켓(110)의 수평판(112)과 체결되며, 이러한 조절볼트(515)와 고정너트(515a)를 이용하여 보조레일(510)의 양쪽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맞출 수 있다.
또한, 1개 또는 한쌍의 보조행거(520)가 보조레일(510)에 걸려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보조행거(520)는 상부에 롤러(521)가 형성되고, 보조이동부재(530)는 상부가 보조행거(520)와 결합되고 하부는 영상기기(P)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조행거(520)는 복수 개의 행거홀(미도시)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보조이동부재(530)는 상부에 복수 개의 상부홀(미도시)이 수직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 개의 결합홀(미도시)이 관통 형성되어 영상기기(P)와 체결될 수 있으며, 시공자는 행거홀과 상부홀의 결합 위치를 선택하여 결합부재(533)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영상기기(P)의 설치 높이와 수평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조이동부재(530)는 여러 편으로 구성되어 관절부재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고, 관절부재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8a를 참고하면, 상기 전동부(600)는 영상기기(P)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전·후방레일체(320,330)는 전·후방레일(321,331) 상측 공간에 회전스크류(6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회전스크류(620)는 전·후방레일체(320,330)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61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전·후방행거(411,421) 상부에 이동블럭(630)이 연결 형성되고, 이동블럭(630)은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홀에 회전스크류(620)가 관통 체결되어 회전스크류(62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이동블럭(630)에 연결된 전·후방이동부재(410,420)도 함께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다른 실시예로 도 8b를 참고하면, 이동블럭(630)은 상부에 "T" 형상을 갖도록 연결바(631)를 통해 안내편(632)이 연결되고, 전·후방레일체(320,330)는 회전스크류(620) 상측 공간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통로(650)가 형성되고, 가이드통로(650)는 전·후방레일체(320,330)의 내측공간과 안내홀(미도시)을 통해 연통되며, 가이드통로(650)에 안내편(632)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고, 이로써 이동블럭(630)이 안내편(632)을 통해 가이드통로(650)에 지지되면서 안내되어 진동이나 흔들림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더불어, 전·후방레일체(320,330)의 양단부 내측면에 리미트스위치(640)가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640)는 이동블럭(630)의 터치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면 구동모터(610)의 작동을 정지시켜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610)는 프레임부(20)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유선 제어되거나 리모컨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는 필요시 영상기기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시청각 교육이 가능하고,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고 편한 자세로 시청할 수 있어 수업 집중도가 증가하며, 칠판 사용에 지장이 없고, 영상기기를 프레임부 내측에 설치하여 실내 환경미화가 개선되며, 기존 칠판을 철거하지 않고도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또한 종래처럼 칠판 프레임부에 레일을 형성한 것이 아니라 외부구조물을 설치한 것이어서 교체와 수리가 편리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프레임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감소하여 프레임부가 흔들리거나 뒤틀리지 않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영상기기의 수평과 수직 상태를 맞출 수 있고, 이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영상기기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며, 또한 벽면 상태, 칠판 구조, 영상기기 크기와 형상에 맞게 설치할 수 있어 맞춤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칠판 프레임에 존재하는 이물질, 판서도구, 지우개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칠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유선 또는 무선 제어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칠판부 11. 주칠판
12. 보조칠판 20. 프레임부
21. 상부프레임 22, 측부프레임
23. 하부프레임 100. 고정부
110. 상부브라켓 111. 수직판
111a. 고정홀 111b. 고정나사
112. 수평판 112a. 수평홀
113. 날개판 113a. 날개홀
200. 레일지지부 201. 고정편
202. 하부판 203. 측부판
203a. 고정홀 204. 고정볼트
205. 고정너트 206. 와셔링
210. 지지체 211. 지지편
212. 전방지지볼트 213. 후방지지볼트
220. 체결구 221. 일측 날개편
222. 타측 날개편 222a. 고정피스
223. 고정너트 300. 레일부
310. 수평판체 320. 전방레일체
321. 전방레일 330. 후방레일체
331. 후방레일 400. 이동지지부
410. 전방이동부재 411. 전방행거
411a. 롤러 411b. 행거홀
412. 전방상부편 412a. 상부홀
412b. 결합부재 413. 전방중간편
414. 전방하부편 414a. 결합홀
414b. 결합부재 415. 관절부재
416. 제1관절편 416a. 중앙홀
416b. 접속홈 417. 제2관절편
417a. 중앙홀 417b. 접속돌기
418. 접속부재 420. 후방이동부재
421. 후방행거 421a. 롤러
421b. 행거홀 422. 후방상부편
422a. 상부홀 422b. 결합부재
423. 후방중간편 424. 후방하부편
424a. 결합홀 424b. 결합부재
424c. 유격조절재 425. 관절부재
426. 제1관절편 426a. 중앙홀
426b. 접속홈 427. 제2관절편
427a. 중앙홀 427b. 접속돌기
428. 접속부재 430. 접속브라켓
440. 손잡이 441. 연결판 442. 핸들
500. 보조지지부 510. 보조레일
515. 조절볼트 515a. 고정너트
520. 보조행거 521. 롤러
530. 보조이동부재 533. 결합부재
600. 전동부 610. 구동모터
620. 회전스크류 630. 이동블럭
631. 연결바 632. 안내편
640. 리미트 스위치 650. 가이드통로
P. 영상기기

Claims (9)

  1. 삭제
  2.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나사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브라켓은, 복수 개가 서로 이격 설치되되, 고정홀에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판과, 수직판에 연결되어 상부프레임에 체결되고 장공 형상의 복수 개의 수평홀이 형성된 수평판과, 양측에 입설되고 장공 형상의 날개홀이 형성된 날개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수평판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편과, 지지편의 전·후방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며 수평홀과 상부프레임을 관통하는 전·후방지지볼트와, 지지편 중간에 형성되고 하부판과 하부판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 측부판으로 이루어지며 상부브라켓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의 양쪽 측부판은 날개판과 고정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지지체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라켓 및 고정편은 엠보돌기가 반복 형성되어 서로 밀착 고정되고, 고정볼트에는 엠보돌기가 반복 형성된 와셔링이 개재되어 지지체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지지볼트는, 양쪽에 날개편이 형성된 체결구의 일측 날개편과 체결되어 너트로 고정되고, 타측의 상·하부 날개편 사이에 수평판체가 삽입 결합되며, 체결구의 위치를 조절하여 수평판체의 수평 상태를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5.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나사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이동부재는, 전방레일에 걸려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복수 개의 행거홀이 형성된 전방행거와, 복수 개의 상부홀이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전방행거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상부편과, 전방상부편과 관절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접속되는 전방중간편과, 전방중간편과 관절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접속되어 영상기기 후면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전방하부편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이동부재는, 후방레일에 걸려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복수 개의 행거홀이 형성된 후방행거와, 복수 개의 상부홀이 형성되어 결합부재를 통해 후방행거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상부편과, 후방상부편과 관절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접속되는 후방중간편과, 후방중간편과 관절부재를 통해 각도 조절 가능하게 접속되어 영상기기 후면과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후방하부편을 포함하며,
    전·후방하부편에 결합부재 체결시 손잡이를 개재시켜 결합하여 손잡이를 잡고 영상기기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재는, 전·후방이동부재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되,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홀 주변에 복수 개의 접속홈이 형성된 제1관절편과,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고, 중앙홀 주변에 복수 개의 접속돌기가 형성되어 접속홈에 삽입 접속되는 제2관절편과,
    제1·2관절편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접속부재를 포함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7.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나사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후방이동부재의 전방에 설치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부브라켓의 단부에 체결되어 상부프레임 상측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보조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보조레일과,
    보조레일에 걸려진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복수 개의 행거홀이 형성된 보조행거와,
    복수 개의 상부홀이 형성되어 보조행거에 대해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영상기기의 후면에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 결합되는 보조이동부재, 및
    보조레일의 양측에 체결되어 보조레일의 양쪽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8. 칠판부 외곽에 형성된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 상측에 L자 형상의 상부브라켓이 고정나사에 의해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
    "┌┐" 형상의 복수 개의 지지체가 이격되어 상부브라켓에 체결되고, 지지체가 상부브라켓과 프레임부의 상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수평판체를 지지하는 레일지지부;
    상부프레임 하측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수평판체가 지지체를 통해 지지되고, 수평판체 하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방레일체가 각각 결합되며, 전·후방레일체는 내측에 전·후방레일이 각각 형성되어 전·후방이동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전·후방레일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체결되는 한쌍의 전·후방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전·후방이동부재는 영상기기의 후면에 체결되어 영상기기를 지지한 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이동지지부를 포함하되,
    영상기기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전동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동부는, 전·후방레일체 내측에 회전스크류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회전스크류는 전·후방레일체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며, 전·후방행거 상부에 이동블럭이 연결 형성되고, 이동블럭은 체결홀이 관통 형성되어 체결홀에 회전스크류가 관통 체결되어 회전스크류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이동블럭에 연결된 전·후방이동부재도 함께 좌우로 이동시키며, 전·후방레일체 양단부 내측면에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되고, 리미트스위치는 이동블럭의 터치에 의해 접촉이 감지되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좌우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프레임부에 설치된 스위치에 의해 유선 제어되거나 리모컨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장치가 설치된 칠판.
KR1020200027706A 2020-03-05 2020-03-05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KR10213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06A KR102138643B1 (ko) 2020-03-05 2020-03-05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706A KR102138643B1 (ko) 2020-03-05 2020-03-05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643B1 true KR102138643B1 (ko) 2020-07-28

Family

ID=71831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706A KR102138643B1 (ko) 2020-03-05 2020-03-05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994B1 (ko) * 2021-11-05 2021-12-16 딥스원테크(주) 영상기기가 설치되는 칠판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621A (ja) * 1992-03-14 1993-10-05 Brother Ind Ltd ハンガーコンベア
JP2515557Y2 (ja) * 1993-06-14 1996-10-3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物品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レールの支持装置
KR101168964B1 (ko) 2009-12-09 2012-07-27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KR20150130824A (ko) * 2014-05-14 2015-11-24 정진호 영상표시기기의 이동식 거치대
KR101953126B1 (ko) * 2018-02-20 2019-02-28 유상말 장면 변환기능을 갖는 무대 커튼용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4621A (ja) * 1992-03-14 1993-10-05 Brother Ind Ltd ハンガーコンベア
JP2515557Y2 (ja) * 1993-06-14 1996-10-3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物品搬送装置における走行レールの支持装置
KR101168964B1 (ko) 2009-12-09 2012-07-27 한국흑판교재주식회사 슬라이드식 벽면티브이를 구비한 칠판
KR20150130824A (ko) * 2014-05-14 2015-11-24 정진호 영상표시기기의 이동식 거치대
KR101953126B1 (ko) * 2018-02-20 2019-02-28 유상말 장면 변환기능을 갖는 무대 커튼용 구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994B1 (ko) * 2021-11-05 2021-12-16 딥스원테크(주) 영상기기가 설치되는 칠판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694B2 (en) Adjustable mounting cart for a whiteboard and projector
US9016648B2 (en) Mounting system for an electronic teaching board
US7874538B2 (en) Adjustable lectern system
US96643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 interactive/flat panel display device
KR102138643B1 (ko) 칠판에 설치되는 영상기기 슬라이드 이동 장치 및 그 장치가 설치된 칠판
US20030164431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a display panel
US20120200834A1 (en) Projector arm assembly for whiteboard stand
US8167256B1 (en) Mounting bracket for classroom board
US11089698B2 (en) Rapid access display housing
US8128241B2 (en) Short-throw projector mounting system
KR20170007493A (ko)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US20040160763A1 (en) Projection display system and projector
KR100806540B1 (ko) 멀티미디어강의대용 높낮이조절형 거치대
KR200261248Y1 (ko) 스크린 겸용 화이트 칠판.
WO2021047269A1 (zh) 显示屏装置
KR102339994B1 (ko) 영상기기가 설치되는 칠판 구조물
JP5190007B2 (ja) 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
JP5360396B2 (ja) ボードを着脱可能に備えた間仕切り装置
JP2017102427A (ja) 曲面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US201502080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 display
JP3323477B2 (ja) スクリーンを兼ね備えた黒板
CA2713016A1 (en) Projector arm assembly for whiteboard stand
KR200496368Y1 (ko) 대형 전자칠판 조립대
CN210662022U (zh) 双面屏支架
KR102353122B1 (ko) 칸막이 승강식 강의실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