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615B1 -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615B1
KR102138615B1 KR1020130124787A KR20130124787A KR102138615B1 KR 102138615 B1 KR102138615 B1 KR 102138615B1 KR 1020130124787 A KR1020130124787 A KR 1020130124787A KR 20130124787 A KR20130124787 A KR 20130124787A KR 102138615 B1 KR102138615 B1 KR 10213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irect
bluetooth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546A (ko
Inventor
홍승표
장성식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415046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2755411B1/en
Priority to US14/151,173 priority patent/US9699638B2/en
Priority to CN201410010217.0A priority patent/CN103916987B/zh
Publication of KR2014009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통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RGED DEVICE INFORMATION}
본 발명은 장치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와 같은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휴대 단말기는 이동통신 기능 지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기능 등을 지원한다.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술한 다양한 기능을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를 검색 및 연결을 통해서 파일 전송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 장치 검색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들을 검색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검색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에 따라 서비스 검색을 위해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정확한 검색 방식을 학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각 연결 방법에 따라 수신된 정보들을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하기 때문에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동시에 지원하는 장치의 경우 블루투스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서로 다른 장치로 표시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제1 무선 통신과 블루투스와 같은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좀 더 명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1 무선 통신 및 제2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통합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제1 무선 통신 장치 정보와 상기 수신된 제2 무선 통신 장치 정보를 통합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제1 무슨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와 블루투스와 같은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쉽게 통합된 장치 정보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합된 장치 정보들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어부(10),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 저장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10)는 장치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데, 특히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 저장부(60)를 제어한다.
제어부는(10)는 복수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복수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장치를 스캔하고, 하나 이상의 장치가 스캔되면 스캔된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장치 정보는 스캔된 장치의 이름, 스캔된 장치에서 지원하는 무선 통신 연결 정보, 스캔된 장치에서 지원하는 무선 통신의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제1 무선 통신 및 블루투스와 같은 제2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다수의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0)는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 장치 스캔을 수행한다. 제1 무선 통신 장치가 스캔되면 제어부(10)는 제1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장치 정보는 장치 이름, 제1 무선 통신 연결 정보, 제1 무선 통신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장치가 스캔되면 제어부(10)는 제1 무선 통신과 제2 무선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장치 정보는 장치 이름, 제1 무선 통신 연결 정보, 제2 무선 통신 연결 정보, 제1 무선 통신 이름, 제2 무선 통신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으면 제어부(10)는 서브통신 모듈(30) 내 근거리 통신 모듈(32)을 통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스캔을 수행한다. 하나 이상의 장치가 스캔되면 제어부(10)는 근거리 통신 모듈(32)을 통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수신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의 장치명,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와이파이 다이렉트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가 블루투스도 함께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 장치 정보에는 해당 장치에 대한 블루투스 정보를 더 포함한다. 이때, 블루투스 정보에는 장치 이름, 블루투스 이름, 블루투스 MAC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서비스 검색 동작은 P2P(Peer to Peer)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들에 대한 리스트, P2P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하나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 P2P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복합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 P2P 서비스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에서 변경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예로, 장치 정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P2P 표준에 따라 서비스 검색 질의 프레임(service discover query frame) 내의 GAS 초기 요청 프레임(Generic Advertisement Service initial request frame) 내 벤더 특정 바디(Vendor specific body)에 포함되어 전송되는데, 이때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의 장치 이름, 블루투스 MAC 주소, 블루투스 장치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정보는 상기의 GAS 초기 요청 프레임에 포함시켜 전송되는 것 이외에 다른 방법들로 전송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요청 장치는 검색 단계에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 P2P IE (Peer to Peer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2P IE에는 벤더 특정 속성(vendor specific attribute) 필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요청 장치는 해당 필드에 블루투스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명령어를 파싱(parsing)할 수 있는 응답 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이 수신되면 블루투스 정보를 P2P IE에 담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요청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검색 과정에서 블루투스 정보까지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제3 실시 예로, 요청 장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서 P2P IE의 벤더 특정 속성 필드에 디폴트로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시켜 애드버타이즈먼트(Advertisement)한 후 상대방의 장치로 자신의 장치에 대한 블루투스 맥 주소(Bluetooth MAC address)를 알릴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주소를 포함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 또는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응답 장치는 벤더 특정 속성 필드를 파싱하여 요청 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주소와 블루투스 주소를 바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보다 빠르게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주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제4 실시 예로, 장치 검색 과정 이후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WPS 정보(Push button, Keypad, Display 등)을 교환하기 위해 장치들은 선택적으로 프로비전 검색 요청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quest)와 프로비전 검색 응답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sponse)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비전 요청 프레임에는 P2P IE가 포함되며, 요청 장치는 P2P IE의 벤더 특정 속성 필드에 블루투스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시켜 응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비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를 파싱할 수 있는 응답 장치는 블루투스 정보를 P2P IE에 포함시킨 프로비전 응답 메시지를 요청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이전 단계에서 블루투스 정보까지 함께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수신된 장치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하고, 제1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한 후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 스캔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0)는 수신된 장치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하고, 와이파이 서비스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와이파이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 시 와이파이 연결이 계속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장치 스캔을 수행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부는 대기 상태로 진입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대기 상태에서 연결 대기를 잠시 중지하기 위한 멈춤 상태로 전환하여 블루투스 장치 스캔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은 2~3초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가 스캔되면 제어부(10)는 스캔된 하나 이상의 장치로부터 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이때, 장치 정보는 장치명, 제2 무선 통신 연결 정보, 제2 무선 통신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 및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통합하여 통합된 장치 정보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성한 후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서 표시한다.
다시 말해서,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가 스캔되면 제어부(10)는 근거리 통신 모듈(32)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이때, 장치 정보는 장치 이름, 블루투스 MAC 주소, 블루투스 이름 등을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멈춤 상태에서 와이파이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10)는 저장부(60)에 저장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와 함께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 그리고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통합한다. 이후 제어부(10)는 통합된 장치 정보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서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치는 한번 검색했던 장치와 다시 조우하는 로컬리티(Locality)를 가지기 때문에 이러한 로컬리티를 기반으로 한번 획득한 장치의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정보를 캐시(cache)함으로써 장치 검색 시 매번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프로브 메시지, 프로비전 메시지, 서비스 검색 메시지를 추가로 운용하지 않고 바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MAC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캐시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프로브 요청 또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를 검색하고, 서비스 검색(Service discovery) 과정을 통해 검색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들의 블루투스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획득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들의 장치 정보 및 블루투스 Mac 주소를 상위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캐시를 이용하는 경우, 장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프로브 요청 또는 응답 메시지를 통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를 검색하고, 서비스 검색 과정을 통해 검색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들의 블루투스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장치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를 대응시켜 자신의 캐시에 추가할 수 있다. 다음 검색 과정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가 검색되면 장치는 캐시를 검색하고, 캐시에서 해당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블루투스 MAC 주소가 검색되면 서비스 검색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위 어플리케이션에 해당 장치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캐시에 해당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블루투스 MAC 주소가 검색되지 않으면 장치는 서비스 검색 과정을 통해 해당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로 블루투스 주소를 문의(query)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브 메시지를 활용하여 장치에서 획득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를 다른 장치에게도 공유할 수 있다.
요청 장치는 프로브 요청 메시지 내 P2P IE 의 벤더 특정 속성 필드에 상대방의 장치에 캐시하고 있는 모든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 페어 정보를 요청하는 명령어를 포함시켜 응답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응답 장치는 응답 장치에서 캐시하고 있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 페어 정보를 프로브 응답 메시지의 벤더 특정 속성 필드에 포함시켜 요청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브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요청 장치는 상대방의 장치가 가지고 있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 페어 정보를 자신의 캐시에 저장할 수 있다.
비교 결과 동일한 장치 정보인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장치를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블루투스를 함께 지원함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일치하는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스캔 장치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만을 지원함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20)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을 통해 장치가 외부 장치와 연결되도록 한다. 이동통신 모듈(20)은 장치에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않음), 스마트폰(도시되지 않음),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서브통신 모듈(30)은 무선랜 모듈(31)과 근거리통신 모듈(3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모듈(31)만 포함하거나, 근거리통신 모듈(32)만 포함하거나 또는 무선랜 모듈(31)과 근거리통신 모듈(32)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랜 모듈(31)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도시되지 아니함)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31)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한다. 근거리통신 모듈(32)은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장치와 화상형성장치(도시되지 아니함)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장치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입출력 모듈(50)은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및 키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이동통신 모듈(20), 서브통신 모듈(30), 디스플레이부(40), 입출력 모듈(5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장치 또는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저장부(6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와, 함께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 및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라는 용어는 저장부(60), 제어부(10) 내 롬, 램 또는 장치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비휘발성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와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201단계에서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하기 위해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을 수행한다.
202단계에서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203단계로 진행하고,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201단계에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검색을 수행한다.
20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수신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 이러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는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이며, 이러한 장치 정보는 장치 이름,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 주소, 와이파이 다이렉트 이름을 포함한다. 또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가 블루투스를 함께 지원하는 경우 장치 정보는 블루투스 MAC 주소, 블루투스 이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20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연결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이때, 대기 상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에 대한 연결을 기다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2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일정 시간 동안 연결 대기 상태를 중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3초 동안 와이파이 다이렉트 서비스 연결 대기 상태를 멈출 수 있다.
206단계에서 제어부(10)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블루투스 서비스 검색을 수행한다.
207단계에서 제어부(10)는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면 208단계로 진행하고,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서비스 검색을 수행한다.
208단계에서 제어부(10)는 수신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저장부(60)에 저장한다.
209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저장된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정보와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통합하여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서로 비교한다. 비교 결과 동일한 장치 정보인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장치를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블루투스를 함께 지원함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와 일치하는 블루투스 장치 스캔에 의해서 수집된 블루투스 장치 정보가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해당 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만을 지원함을 나타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통합된 장치 정보들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서 휴대폰, 타블렛 등과 같은 장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301), 장치 이름(302), 지원하는 네트워크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303)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0)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 B,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모두를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 B/W,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장치인 경우 W와 같은 아이콘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와 블루투스와 같은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쉽게 통합된 장치 정보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무선 통신을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블루투스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로팅 입력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어부 및 저장부(또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저장부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장치 정보 제공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장치 정보 제공 장치가 기설정된 장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장치 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장치 정보 제공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장치 정보 제공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장치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10: 제어부
20: 이동 통신 모듈
30: 서브 통신 모듈
40: 디스플레이부
50: 입출력 모듈
60: 저장부

Claims (24)

  1.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 또는 제2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 중 제1 전자 장치에 관련된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과 관련되고,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것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만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무선 통신의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대기 상태에서 연결 대기를 잠시 중지하기 위한 멈춤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에 의한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에 의한 상기 제2 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멈춤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이름,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와이파이 다이렉트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이름, 블루투스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블루투스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검색 질의 프레임(service discover query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이 수행된 후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프로비전 검색 요청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서비스 검색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정보가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정보가 이전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이전에 저장된 제1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장치.
  13.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검색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 중 제1 전자 장치에 관련된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무선 통신과 관련되고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것을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 및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오브젝트와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통신만을 지원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표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무선 통신의 서비스 연결을 위한 대기 상태로 진입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대기 상태에서 연결 대기를 잠시 중지하기 위한 멈춤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를 검색하기 위한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에 의한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 스캔에 의한 상기 제2 정보가 수신된 이후, 상기 멈춤 상태에서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은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이름, 와이파이 다이렉트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와이파이 다이렉트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장치의 이름, 블루투스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블루투스 이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검색 질의 프레임(service discover query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다이렉트 장치의 서비스 검색이 수행된 후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프로비전 검색 요청 프레임(Provision Discovery Request frame)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서비스 검색에 의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정보가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하나 이상의 제1 통신 장치의 상기 제1 정보가 이전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 이전에 저장된 제1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정보 제공 방법.
KR1020130124787A 2013-01-09 2013-10-18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3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50463.9A EP2755411B1 (en) 2013-01-09 2014-01-0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evice information on a wireless device supporting Wi-Fi Direct and Bluetooth communication
US14/151,173 US9699638B2 (en) 2013-01-09 2014-01-09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evice information
CN201410010217.0A CN103916987B (zh) 2013-01-09 2014-01-09 用于提供集成的装置信息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680 2013-01-09
KR1020130002680 2013-0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46A KR20140090546A (ko) 2014-07-17
KR102138615B1 true KR102138615B1 (ko) 2020-08-11

Family

ID=51738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787A KR102138615B1 (ko) 2013-01-09 2013-10-18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6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267B1 (ko) 2014-11-25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네트워크 구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6579882B2 (ja) * 2015-09-24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084A1 (en) 2003-11-04 2005-05-05 Seppo Pohja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ttendance of entities associated with content creation
US20100150112A1 (en) 2008-12-15 2010-06-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US20120208462A1 (en) * 2011-02-11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covering wireless devices thereof
US20120297229A1 (en) * 2011-05-20 2012-11-22 Microsoft Corporation Auto-connect in a peer-to-peer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6084A1 (en) 2003-11-04 2005-05-05 Seppo Pohja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attendance of entities associated with content creation
US20100150112A1 (en) 2008-12-15 2010-06-1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US20120208462A1 (en) * 2011-02-11 2012-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covering wireless devices thereof
US20120297229A1 (en) * 2011-05-20 2012-11-22 Microsoft Corporation Auto-connect in a peer-to-pe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46A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96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device information
US996781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WIFI list
KR10185669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US20160295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ccess
CN105517103A (zh) 基于智能终端设备的网络接入的方法和装置
CN105163366A (zh) 无线网络连接方法和装置
JP6154964B2 (ja) ルータ設定インターフェイス表示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653552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540184A (zh) 设备联网方法及装置
CN104394263A (zh) 接入点列表展示方法及装置
CN104202624B (zh) 传输图片的方法及装置
CN104853406A (zh) 服务集标识ssid提供方法、获取方法和装置
CN105049416A (zh) 一种接入wifi网络的方法及装置
KR102173242B1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KR101684203B1 (ko) 스트림 미디어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294040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4320830A (zh) 无线设备列表的显示方法和装置、无线设备及其广播方法
JP2017503285A (ja) アップグレード方法、装置、設備、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4158854B (zh) 资源共享方法及装置
CN105491632A (zh) 无线接入点的切换方法及装置
CN104811904A (zh) 联系人设置方法及装置
US10057756B2 (en) Terminal detec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138615B1 (ko) 통합적인 장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4618987B (zh) 接入网络的方法及装置
CN105188024A (zh) 接入网络的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