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09B1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09B1
KR102138509B1 KR1020130097838A KR20130097838A KR102138509B1 KR 102138509 B1 KR102138509 B1 KR 102138509B1 KR 1020130097838 A KR1020130097838 A KR 1020130097838A KR 20130097838 A KR20130097838 A KR 20130097838A KR 102138509 B1 KR102138509 B1 KR 10213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ndensed water
fin
ai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857A (ko
Inventor
조은준
서범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7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0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6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refrigerant piping outside the heat exchanger within the unit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냉매튜브 및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마련된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는 주거공간, 레스토랑 또는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는 압축기와 실내 열교환기와 팽창밸브 및 실외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냉매의 순환 방향에 따라 실내 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실외 공간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실외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 열교환기와 송풍팬 및 상기 압축기와 실내기를 연결하는 각종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실내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핀-튜브 방식을 가질 수 있으며, 냉매가 유동하기 위한 복수의 냉매튜브가 복수의 핀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될 경우 열교환기의 표면에 발생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하여 열교환기의 하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의 하부로 갈수록 응축수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고 풍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응축수의 두께에 따라 열교환기의 영역별로 열교환 효율이 달라지게 되고,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량이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풍량이 유지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핀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를 소정의 체적 및 질량을 갖는 물방울로 응집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매튜브 및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 및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에 돌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으로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냉매튜브 및 상기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공기토출구 측에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한 드레인 팬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를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방울로 응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핀을 따라 흐르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에는, 상기 돌기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수용홈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열교환기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열교환기의 하부로 갈수록 표면을 유동하는 응축수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핀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를 소정의 체적 및 질량을 갖는 물방울로 응집시킴으로써, 열교환기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에 의하여 열교환기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기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풍량이 유지될 수 있으며,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일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3)와 실내 열교환기(11)와 팽창밸브(15) 및 실외 열교환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13)는 저온 저압의 냉매를 응축할 수 있는 고온 고압의 냉매 상태로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압축기(1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3)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 병렬로 마련될 수도 있고, 직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는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와 응축기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와 증발기의 기능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11) 측에는 실내 팬(16)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 측에는 실외 팬(17)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사이클과 난방 사이클이 전환되도록 냉매의 순환방향을 절환시키기 위한 유로절환밸브(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절환밸브(14)는 4방(Four-way) 밸브일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3)에서 냉매와 함께 토출되는 오일을 다시 압축기(13)로 되돌려보내기 위한 오일 분리기(도시되지 않음)와 증발기에서 증발하기 않은 냉매를 분리하여 액상 냉매가 압축기(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분리기(Accumulator, 도시되지 않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에는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 센서 등 공조 공간의 상태정보 및 공기조화장치(10)의 상태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냉매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열교환기(11)와 실외 열교환기(12)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일 수 있고,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기능(냉매의 증발과 응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를 구성하는 열교환기(12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는 도 1을 통하여 설명한 공기조화장치(10)의 실외기(O)를 지칭할 수도 있고, 실내기(I)를 지칭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기(I)와 실외기(O)는 열교환기(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송풍팬(실내 팬, 실외 팬)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100)의 작동 모드(난방 모드 또는 냉방 모드)에 따라 실내기(I)와 실외기(O)의 해당 열교환기는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 작동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내 열교환기(이하, '열교환기'라고도 함)를 기준으로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증발기(공기조화장치의 냉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덕트형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된 열교환기(120)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130)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드레인 팬(140)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공기흡입구(111) 및 공기토출구(112)가 각각 마련된다. 상기 공기흡입구(111)와 상기 공기토출구(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면(예를 들어, 전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111)와 상기 공기토출구(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태양으로, 상기 공기흡입구(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기 공기흡입구(111)는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공기토출구(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120)는 상기 공기흡입구(111) 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20)는 냉매가 유동하기 위한 냉매튜브(121) 및 상기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핀(1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20)는 복수의 냉매튜브(121) 및 상기 냉매튜브(121)들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핀(122)은 소정의 간격에 따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튜브(12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핀(122)은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공기토출구(112)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풍팬(120)은 공기흡입구(111)를 통해 외부 공기를 상기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키고, 열교환기(120)를 통과한 공기를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시키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20)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열교환기(120) 표면에는 응축수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드레인 팬(140)은 상기 열교환기(12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레인 팬(140)은 상기 열교환기(120) 하부에 위치되며, 중력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120)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상기 열교환기(120) 표면에서 발생한 응축수(C)의 유동방향(P)을 상기 열교환기(120) 또는 상기 핀(122)의 길이방향이라 지칭한다. 상기 응축수(C)는 중력의 영향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기(120 또는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응축수(C)는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핀(122)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핀(12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C)의 유동(P)은 상기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120)의 하부로 갈수록 응축수(C)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여기서, 응축수(C)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 풍량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열전달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120) 표면의 응축수(C)의 두께 증가에 따라 냉매 튜브(121)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100)는 제품의 하우징(110) 규격에 따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120)의 전면 열교환 면적이 정해지게 된다.
이때 공기의 유입량에 비해 열교환 면적이 작으면 작을수록 압력 손실에 의하여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하우징(110) 공간 내에서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열교환기(120)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120)의 단수가 늘어날수록, 하방으로 유동하는 응축수(C)의 두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100)는 냉매튜브(121) 및 냉매튜브(121)를 지지하기 위한 핀(122)을 포함하는 열교환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핀(122)에는, 상기 열교환기(120)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123)이 마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12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C)의 유동(P)은 상기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상기 열교환기(120)의 하부로 갈수록 응축수(C)의 두께는 두꺼워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핀(122)에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123)이 마련된다.
즉, 응축수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응축수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의 유동은 인접하는 2개의 수용홈(123)들 사이의 영역마다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홈(12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3)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응축수(C)의 유동방향(P)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3)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고,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120)의 하부로 갈수록 응축수(C)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20)의 하부로 갈수록 인접하는 2개의 수용홈(123)들 사이의 간격이 작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120)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과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A)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핀(12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핀(122)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과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A)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열교환기(120)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과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A)이 직교하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A)을 기준으로 열교환기(120) 전방부를 유입부(A1)로 지칭하고, 후방부를 토출부(A2)로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23)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A2)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용홈(123)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A1) 및 토출부(A2)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홈(123)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A2) 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용홈(123)은 상기 핀(123)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23)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방향(A)의 반대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3)을 통해 핀(12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C)의 유동(P)은 상기 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 영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23)을 통해 응축수 유동방향(P)에 따라 응축수의 흐름이 정체되고, 연속적인 흐름이 차단되는 구간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123)에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에 돌기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24)는 상기 핀(122)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를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방울(W)로 응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23)을 통해 응축수 유동방향(P)에 따라 응축수의 흐름이 정체되고, 연속적인 흐름이 차단되는 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응축수(물)의 특성상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방울(W)로 응집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124)에 집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핀(122)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가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하여 상기 핀(1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소정의 체적 및 질량을 갖는 물방울(W)로 응집된 상태에서는 열교환기(12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에 의하여 상기 핀(122)으로부터 더욱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부(124)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124)는 상기 수용홈(123)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핀(122)에는, 상기 돌기부(124)의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123)이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24) 측에는 물방울(W)로 응집된 상태의 응축수가 집중되며, 상기 돌기부(124)가 상기 수용홈(123)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돌출됨으로써 상기 집중된 응축수가 수용홈(12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부(124)는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돌기부(124) 측에 응축수(C)가 소정의 체적 및 질량을 갖는 물방울(W)로 응집되기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수용홈(123)은,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P)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으로 편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응축수가 수용홈(123) 내부에 고여있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열교환기(220, 330)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도 4 및 도 5의 수용홈(223, 323) 및 돌기부(224, 324)는 도 3을 통하여 설명한 수용홈(123) 및 돌기부(124)와 그 기능 및 구조가 동일하며, 다만 수용홈과 돌기부의 형성 위치와 핀(222, 322)의 구조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열교환기(220)는 복수의 냉매튜브(221)와 상기 냉매튜브(221)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2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222)은 1열짜리 핀(222-1, 222-2)이 복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방향(A)을 기준으로 유입부(A1) 측의 핀을 제1 핀(222-1)이라 지칭하고, 토출부(A2) 측의 핀을 제2 핀(222-2)이라 지칭한다.
전술한 수용홈(223)은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열교환기(2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 및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핀(222-1)에는 수용홈이 마련되지 않고, 제2 핀(222-2)에만 수용홈(223)이 마련될 수 있다.이때, 제2 핀(222-2)에는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 및 토출부 측에 각각 수용홈(22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유입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과 토출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은 제2 핀(222-2)의 길이방향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회전 대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열교환기(320)는 복수의 냉매튜브(321)와 상기 냉매튜브(321)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3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핀(322)은 2열짜리 통 핀(322-1, 322-2)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열교환기(320)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방향(A)을 기준으로 유입부(A1) 측의 핀을 제1 핀(322-1)이라 지칭하고, 토출부(A2) 측의 핀을 제2 핀(322-2)이라 지칭한다.
전술한 수용홈(323)은 열교환기(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열교환기(32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 및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핀(322-1)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부 측에만 수용홈(323)이 마련되고, 제2 핀(222-2)에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토출부 측에만 수용홈(323)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핀(322-1)에 마련된 수용홈과 제2 핀(322-2)에 마련된 수용홈은 열교환기(32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L)을 기준으로 회전 대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공기조화장치 11: 실내 열교환기
12: 실외 열교환기 13: 압축기
14: 사방밸브 15: 팽창밸브
100: 공기조화장치 110: 하우징
120: 열교환기 121: 냉매 튜브
122: 핀 123: 수용홈
124: 돌기부 130: 송풍팬
140: 드레인 팬

Claims (14)

  1. 냉매튜브 및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 측에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마련되고,
    상기 토출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으로 향할수록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에 가까워지도록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유입부 및 상기 토출부 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에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에 돌기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냉매튜브 및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 유동을 단속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마련되고,
    토출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에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에 돌기부가 마련되며,
    상기 돌기부는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측에 마련된 수용홈은, 상기 토출부 측을 향할수록 상기 응축수의 유입부 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공기흡입구 및 공기토출구가 각각 마련된 하우징;
    상기 공기흡입구 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냉매튜브 및 상기 냉매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상기 공기토출구 측에 배치된 송풍팬;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집하기 위한 드레인 팬을 포함하며,
    상기 핀에는, 상기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동 시, 상기 핀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 중 일부를 소정의 체적을 갖는 물방울로 응집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핀에는, 상기 돌기부의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핀을 따라 흐르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수용홈의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자유단부 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130097838A 2013-08-19 2013-08-19 공기조화장치 KR10213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38A KR102138509B1 (ko) 2013-08-19 2013-08-19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838A KR102138509B1 (ko) 2013-08-19 2013-08-19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57A KR20150020857A (ko) 2015-02-27
KR102138509B1 true KR102138509B1 (ko) 2020-08-13

Family

ID=52579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838A KR102138509B1 (ko) 2013-08-19 2013-08-19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7085B1 (es) * 2016-08-30 2018-12-11 Francisco Javier Porras Vila Formación de gotitas de agua, con intercambiadores de cal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5421U (ja) * 1983-04-01 1984-10-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冷却器
JPH10339595A (ja) * 1997-06-10 1998-12-22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857A (ko) 201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0237B2 (en) Refrigeration cycle comprising a common condensing section for two separate evaporator-compressor circuits
US8307669B2 (en) Multi-channel flat tube evaporator with improved condensate drainage
US10655894B2 (en) Refrigeration cycle of refrigerator
US20150107286A1 (en) Heat pump
US9696095B2 (en) Heat exchanger utilizing device to vary cross section of header
JPWO2018154806A1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KR20170031556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EP3062037B1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ing said heat exchanger
KR101837046B1 (ko) 열교환기
US7073347B2 (en) Evaporator for a refrigeration system
US20190346158A1 (en) Heat exchanger unit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2138509B1 (ko) 공기조화장치
JP2008117035A (ja) 自動販売機
US11629896B2 (en)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KR20130023487A (ko) 마이크로 채널 열교환기를 갖는 히트펌프용 증발기
KR101669970B1 (ko) 공기조화장치
KR20120054346A (ko) 냉매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70029317A (ko)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KR101822898B1 (ko) 하이브리드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CN205192050U (zh) 蒸发皿组件及具有该蒸发皿组件的冰箱
JP2018059710A (ja) 冷凍装置
KR102148722B1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JP7209821B2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8048769A (ja) 熱交換器
KR20150098141A (ko) 열교환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