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472B1 -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472B1
KR102138472B1 KR1020190121289A KR20190121289A KR102138472B1 KR 102138472 B1 KR102138472 B1 KR 102138472B1 KR 1020190121289 A KR1020190121289 A KR 1020190121289A KR 20190121289 A KR20190121289 A KR 20190121289A KR 102138472 B1 KR102138472 B1 KR 102138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steel
diameter
tunn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2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남현
Original Assignee
미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47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47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iable pipe diameter and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the same, wherein the tunnel roof frame includes: first steel pipes arranged on a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curved in an arch shape, and coupled to upper ends of column frames; second steel pipe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s to be arranged on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teel pipes, curved in the arch shape, and coupled to the column frames in lower ends of portions in which the column frames and the first steel pipes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connecting steel pipes arrang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s and the second steel pipes and respectively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s and the second steel pipe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s and the second steel pipes allows the inner pipe diameter to increase toward the lower portion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arch shape so as to reduce its weight and increase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Description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diameters and soundproof tunnels including them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서, 자중을 줄여서 스팬을 늘릴 수 있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nd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the same, and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iable diameter to increase the span by reducing its own weight and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the same. .

방음터널은 소리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 터널로서, 주로 소음의 차단이 목적이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에서 그 소음을 듣는 사람이 있는 장소 사이에 설치하며, 도로 옆에 설치하는 대형 방음터널 등이 대표적이다.Soundproof tunnels are tunnels that are installed to block sound, and are mainly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noise, so they are installed between places where people hear those noises, and large soundproof tunnels installed next to roads. It is representative.

도로변에 설치하는 방음터널 중에는 강관(Steel Pipe)을 이용하여 건설하는 방음터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설하는 방음터널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였다.Among the soundproof tunnels installed along the road, various types exist, such as soundproof tunnels constructed using steel pipes and soundproof tunnels constructed using concrete.

그런데, 강관을 이용하여 건설하는 방음터널은 직경이 일정한 파이프를 절곡시켜 아치형 구조를 이루었다. 그런데, 방음터널의 아치형 구조의 최상단부에 걸리는 하중은 방음터널의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However, the soundproof tunnel constructed using steel pipes was formed by arching a pipe with a constant diameter. However, the load applied to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arched structure of the soundproof tunnel is applied with a relatively very small load than the other parts of the soundproof tunnel.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중이 가장 크게 걸리는 아치의 하단부와 동일한 직경의 강관을 이용하여 아치의 상단부까지 설계하였다. 이에 따라, 강관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강관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고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자중이 다시 증가하여, 방음터널의 아치형 구조의 최상단에 걸리는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필요한 강관의 직경의 길이보다 매우 긴 직경을 가진 강관을 사용하여 방음터널을 제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Nevertheless, the upper part of the arch was designed by using a steel pipe of the same diameter as the lower end of the arch that had the greatest load.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increases by the self-weight of the steel pipe itself, and the weight increases again as the diameter increases, and the diameter is muc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required to withstand the load applied to the top of the arched structure of the soundproof tunnel. There was a problem in producing a soundproof tunnel using a steel pipe having a.

강관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방음터널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원가가 상승하였으며, 강관의 무게가 증가하여 운반 비용이 상승하였고, 강관을 이용하여 방음터널을 현장 제작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하중이 증가하여 보다 큰 장비를 사용하여 설치 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강관의 자중이 증가함에 따라 방음터널의 폭의 길이에 대한 스팬(span)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increased, the cost required to manufacture the soundproof tunnel increased, the weight of the steel pipe increased,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ncreased, and the load required for the field production of the soundproof tunnel using the steel pipe increased, resulting in a larger The use of equipment has increased installation costs. In addition, as the self-weight of the steel pip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n of the width of the soundproof tunnel is limited.

한국특허 제10-0956307호 (공고일: 2010. 05 .10.)Korean Patent No. 10-0956307 (Announcement date: 2010. 05.10.) 한국특허 제10-1250270호 (공고일: 2013. 04. 03.)Korean Patent No. 10-1250270 (Announcement date: 2013. 04. 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음터널의 상단에 설치되는 터널 지붕 골조를 이루는 강관의 관경을 변화시켜, 자중을 줄일 수 있고, 방음터널의 스팬을 증가시키기 용이한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tube diameter of the steel pipe forming the tunnel roof frame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oundproof tunne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lf-weight, easy to increase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It is to provide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nd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는 방음터널의 지붕 측에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강관, 제1 강관의 하부에 제1 강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과 제1 강관이 결합되는 영역의 하단에서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강관, 및 제1 강관 및 제2 강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강관을 포함하고, 제1 강관 및 제2 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중을 줄이고 방음터널의 스팬(span)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치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증가한다.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pipe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is curved in an arc shape and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support frame and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first steel pipe. The second steel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t the bottom of the region where the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teel pipe are combined, and the first steel pipe And a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second steel pipes,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s and the second steel pipes decreases the self-weight and increase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so as to go from the top of the arch to the bottom of the inner pipe. The diameter increas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의 내관의 직경은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원추형을 이루는, 관경이 변화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inner pipes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the tunnel roof frame using the steel pipe having a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ical, conical shape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Can chan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pipe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hes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form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and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t can be made larger than the radi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의 1.25 내지 1.75 일 수 있다.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n the tunnel roof frame using the steel pipe having a varying tub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1.25 to 1.75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연결 강관은, 제1 강관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가, 제2 강관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the roof structure of a tunnel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steel pipe has a length of an inner pipe diameter of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and a length of an inner pip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It can be sh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일단은 지주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강관에 연결되며, 제1 강관 및 제2 강관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주프레임에 전달하는 보조 강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pipe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connected to a prop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econd steel pipe, 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to the prop frame It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eel pipe to transm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보조 강관은 연결 강관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tunnel roof framing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teel pipe may be disposed to be coaxial wit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steel pip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의 아치 상단부에서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보다 크며, 제2 곡률반경은 제2 강관의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the tunnel roof frame using the steel pipe with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rch,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grea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지면의 도로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을 도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강관을 더 포함하고, 제3 강관은 제1 강관의 아치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아치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the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tub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trut frames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on the ground and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road. The steel pip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teel pipe, and the third steel pipe may have an arcuate structure to achie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서 제3 강관은 아치의 상단에서의 관경이 아치의 하단에서의 관경보다 작은 원추형일 수 있다.In the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changing tub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teel pipe may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at the top of the arch is smaller than that at the bottom of the ar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은 지면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바닥부, 바닥부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하여 연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프레임, 및 도로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고, 터널 지붕 골조는, 방음터널의 지붕 측에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강관, 제1 강관의 하부에 제1 강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과 제1 강관이 결합되는 영역의 하단에서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강관, 및 제1 강관 및 제2 강관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강관을 포함하고, 제1 강관 및 제2 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중을 줄이고 방음터널의 스팬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치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증가한다.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pipe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floor, the floor, which extends parallel to the road's traveling direction, and is vertical to the ground. It includes a support frame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tunnel roof frame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frames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road, the tunnel roof frame being disposed on the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curved in an arcuate shape, and A first steel pipe coupled to the top, a second steel pip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 at the bottom of the first steel pipe, bent in an arc shape,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t the bottom of the region where the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teel pipe are combined, and 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includes a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reduces the self-weight and increase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In order to do this, the diameter of the inner tube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arch to the botto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 따르면, 제1 강관 및 제2 강관이 아치형 구조의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구조를 통해, 터널 지붕 골조의 강관의 직경에 의한 자중을 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음터널을 경량화 시킬 수 있고, 터널 지붕 골조의 자중이 가벼워짐으로써, 방음터널의 스팬(span)이 길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tunnel roof framing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of the tunnel roof frame is reduced thr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decreases toward the top of the arcuate structure. Can reduce the self-weight. Through this, the soundproof tunnel can be made lighter, and the weight of the tunnel roof frame can be reduced, so that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can be lengthe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에 따르면, 제1 강관의 관경이 제2 강관의 관경보다 작아질 수 있으므로, 터널 지붕 골조의 전체 하중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같은 관경을 가진 강관을 이용하여 방음터널의 스팬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방음터널의 자중이 줄어들 수 있으며, 재료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having varying pipe diamet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ipe diameter of the first steel pipe may be smaller than the pipe diameter of the second steel pipe, the overall load of the tunnel roof skeleton can be reduced. Through thi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can be further increased by using a steel pipe having the same diameter. In addition, the self-weight of the soundproof tunnel can be reduc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due to material sav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에 따르면, 제2 강관과 지주프레임 사이에 보조 강관을 포함함으로써, 지주프레임이 측하중으로 인해 내경이 증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측하중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는 지주프레임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pip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n auxiliary steel pipe between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prop frame, the prop frame has an increased inner diameter due to side load That can be reduced. 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ut frame, which may increase due to sid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의 전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의 A-A 및 B-B 단면과 C-C를 절단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front portion of the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diameter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A and BB cross-sections and CCs of a tunnel roof frame are cut using steel pipes having a varying diameter shown in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transformations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thu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include' or'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possibilities of field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is cas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의 전면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의 A-A 및 B-B 단면과 C-C를 절단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front portion of the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diameter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A and B-B cross-section and a C-C cut of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changing tube diameter shown in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300)를 포함하는 방음터널(1000)은 바닥부(100), 지주프레임(200) 및 터널 지붕 골조(300)를 포함한다. The soundproof tunnel 1000 including the tunnel roof frame 300 using a steel pipe having a changing tube dia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100, a holding frame 200, and a tunnel roof frame 300 do.

바닥부(100)는 지면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즉, 도로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로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닥부(100)는 콘크리트 등으로 기초가 세워질 수 있다. 지주프레임(200)이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기초가 된다.The bottom portion 100 is installed to extend to the ground parallel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That is, it extend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ad. It can be placed on either side of the road. The base 100 may be built of concrete or the like. The holding frame 200 is a foundation that can be firmly supported against the ground.

지주프레임(200)은 바닥부(100)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하여 연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주프레임(200)은 방음터널(1000)의 양측에 배치되어 방음터널(1000)의 지주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주프레임(200)은 도로의 연장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주프레임(200)은 도로의 연장방향으로 방음이 필요한 부분까지 복수로 구비되어 방음터널(1000)을 연장시킬 수 있다.The holding frame 2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100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Holding frame 2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serve as a holding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The holding frame 20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ad (x-axis direction). The holding frame 20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arts to a portion where sound insulation is require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road to extend the soundproof tunnel 1000.

터널 지붕 골조(300)는 도로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지주프레임(200) 사이를 연결한다. 그리고, 터널 지붕 골조(300)는 방음터널(1000)의 지붕 및 천정을 이룰 수 있다. 터널 지붕 골조(300)는 제1 강관(310), 제2 강관(320) 및 연결 강관(330)을 포함한다.The tunnel roof frame 300 connects between the support frames 200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road. In addition, the tunnel roof frame 300 may form a roof and a ceiling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The tunnel roof frame 300 includes a first steel pipe 310, a second steel pipe 320, and a connecting steel pipe 330.

제1 강관(310)은 방음터널(1000)의 지붕 측에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200)의 상단에 결합된다. 제2 강관(320)은 제1 강관(310)의 하부에 제1 강관(310)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200)과 제1 강관(310)이 결합되는 영역의 하단에서 지주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연결 강관(330)은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을 각각 연결한다.The first steel pipe 310 is disposed on the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is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holding frame 200. The second steel pipe 320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at the bottom of the first steel pipe 310, bent in an arc shape, and the lower end of the region where the holding frame 200 and the first steel pipe 310 are combined. In the holding frame 200 is combined. 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and connects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respectively.

이때,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중을 줄이고 방음터널(1000)의 스팬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치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증가한다. 구체적으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 중 적어도 하나는 아치형의 상단부, 즉 아치형의 최상단에서는 내관의 직경이 가장 좁고, 아치형의 하단으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커진다. 즉,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내관의 직경은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원추형을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inner tube from the top of the arch to the bottom in order to reduce the self-weight and increase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has the narrowest diameter of the inner tube at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shape,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shape,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ipe in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shape. That is, the diameters of the inner pip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may be conical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은 아치의 상단 부분 즉 A-A 단면과 가까운 부분에서의 제1 강관(310)의 아치 상부측 내경(310a)은, 아치의 최하단에 가까운 부분 즉 B-B 단면에 가까운 부분에서의 제1 강관(310)의 아치 하부측 내경(310b)보다 짧다. 또한, 도 3의 (c)를 참조하면, 제2 강관(320)은 아치형 구조의 상부측 내경(320c)이 하부측 내경(320d)보다 작은 원추형을 이룰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have an upper diameter inside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31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arch, that is, the portion close to the AA cross section ( 310a) is shorter than the inner diameter 310b of the lower portion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310 in a portion close to the lowermost portion of the arch, that is, a portion close to the BB cross section. 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3, the second steel pipe 320 may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upper inner diameter 320c of the arcuate structure is smaller than the lower inner diameter 320d.

즉,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 중 적어도 하나가 아치형 구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관경이 늘어난다. 다시 말해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 중 적어도 하나는 아치형 구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관경이 줄어든다. 이는,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형 구조의 최상단에는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에 요구되는 하중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다. 자중에 의한 무게 또는 외력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가 해당 위치에서는 작다.That is,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ncreases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rcuate structure. In other words,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arcuate structure. This ha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load required for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at the uppermost ends of the arcuate structur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The magnitude of the weight due to the self-weight or the load applied by the external force is small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이러한 구조를 통해, 터널 지붕 골조(300)는 강관의 직경에 의한 자중을 줄일 수 있다. 강관의 직경에 의한 자중을 줄임으로써 방음터널(1000)을 경량화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터널 지붕 골조(300)의 자중이 가벼워짐으로써, 지주프레임(200)과 지주프레임(200) 사이의 거리인 방음터널(1000)의 폭(y축 방향)이 넓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음터널(1000)의 스팬(span)이 길어질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the tunnel roof frame 300 can reduce its own weight due to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By reducing the self-weight due to the diameter of the steel pipe, the soundproof tunnel 1000 can be made lighter. In addition,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the width (y-axis directio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which is a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support frame 200, may be widened. Through thi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be increased.

또한, 제1 강관(310)의 내관의 길이가 제2 강관(320)의 내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같은 y축 방향에서 z축으로 단면을 비교하였을 때, 제1 강관(310)의 내관의 길이가 제2 강관(320)의 내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Specifically, when comparing cross-sections along the z-axis in the same y-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310a)이 제2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320a)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A-A 단면에서 제1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310a)은 제2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320a)보다 작다. 그리고, 도 3의 (b)는 도 2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B-B 단면에서 제1 강관 아치 하부측 내경(310b)은 제2 강관 아치 하부측 내경(320b)보다 작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first steel pipe arch upper side inner diameter 310a may be smaller than the second steel pipe arch upper side inner diameter 320a. FIG. 3(a)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A of FIG. 2. At this time, in the cross section A-A, the inner diameter 310a of the first steel pipe arch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320a of the second steel pipe arch. And, Figure 3 (b)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B-B of FIG. At this time, in the B-B cross section, the first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arch 310b is smaller than the second inner diameter of the steel pipe arch 320b.

이는, 터널 지붕 골조(300)의 구조에서 제1 강관(310)의 하중이 연결 강관(330)을 통해 제2 강관(320)으로 전달되며, 제1 강관(310)은 자중 및 제1 강관(310) 상부에서 인가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관경을 가지면 된다. 그리고, 제2 강관(320)은 제1 강관(310)에서 전달되는 하중 및, 제2 강관(320)의 자중을 견뎌야 하므로 관경이 더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설계 등을 통하여 제1 강관(310)의 관경이 제2 강관(320)의 관경보다 작아질 수 있으므로, 터널 지붕 골조(300)의 전체 하중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음터널(1000)의 스팬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음터널(1000)의 자중이 줄어들 수 있으며, 재료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This, the load of the first steel pipe 310 in the structure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through 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the first steel pipe 310 is self-weight and the first steel pipe ( 310) It is sufficient to have a pipe diameter that can withst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top. In addition, the second steel pipe 320 must withst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lf-weight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so that the diameter of the pipe is preferably larger.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first steel pipe 310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through design or the like, thereby reducing the overall load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Through thi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self-weight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be reduced, and cost reduction due to material savings can also be achieved.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arch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form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and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강관(310)의 내관의 중심을 연결한 선인 제1 강관의 중심선(310l)이 이루는 제1 곡률반경이, 제2 강관(320)의 내관의 중심을 연결한 선인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이 이루는 제2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강관의 중심선(310l)이 이루는 원의 중심과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이 이루는 원의 중심이 연결 강관(330) 중 수직 연결 강관(331)과 같은 축 상에 배치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urvature radius formed by the center line 310l of the first steel pipe, which i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inner pip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indicates the center of the inner pipe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It can be seen that the connecting line is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formed by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ed by the center line 310l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center of the circle formed by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are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 331 among the connecting steel pipes 330.

제1 곡률반경이 제2 곡률반경보다 커짐으로써,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의 상단부에서 지주프레임(200)쪽으로 갈수록 제1 강관(310)과 제2 강관(3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강관(310)과 제2 강관(320) 사이의 이격거리는 아치의 최상단부에서 가장 짧고, 지주프레임(200)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As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becomes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move toward the holding frame 200 from the upper ends of the arch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 May be farther away. Specifical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s the shortest at the uppermost end of the arch, and may be formed more and more far toward the holding frame 200.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2 강관(320)에서 지주프레임(200)에 전달되는 측하중은 제2 강관(320)이 제1 강관(310)보다 지주프레임(200)의 하단쪽에 결합됨으로써, 지주프레임(200)의 단면적이 커지지 않아도, 제2 강관(320)의 측하중 및 축하중이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 강관(310)에 인가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연결 강관(330)을 통하여 제2 강관(320)에 전달하고, 제2 강관(320)에 인가되는 하중은 안정적으로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Through this structure, the side loa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teel pipe 320 to the holding frame 200 is the second steel pipe 32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frame 200 than the first steel pipe 310, the holding fram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200 is not large, the side load and the axial load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holding frame 200. That is, the load applied to the first steel pipe 310 is stably transmitt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through 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and the load appli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is stably the holding frame 200. Can be delivered to

한편,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의 1.25 내지 1.75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의 비율은 3 : 2를 이루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곡률반경인 R1값이 9000이라면, 제2 곡률반경인 R2값은 6000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곡률반경과 제2 곡률반경의 비율을 통해, 터널 내부의 공간을 최대화하면서, 동시에 제1 강관(310), 제2 강관(320) 및 지주프레임(200) 간의 연결구조가 안정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제2 강관(320)은 제1 강관(310)과 제2 강관(320) 자체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다. 또한, 제1 강관(310)의 하중 및 자중을 줄일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장스팬 구조가 가능하다.Meanwhile,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may be 1.25 to 1.75 of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Specifically, the ratio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to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most preferably 3:3. For example, i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R1 is 9000,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R2 may be 6000. Through the ratio of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while maximizing the space inside the tunnel,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the second steel pipe 320, and the holding frame 200 will be stable. Can. In addition, the second steel pipe 320 can effectively withstand the load applied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tself. In addition, since the load and the weight of the first steel pipe 310 can be reduced, a cost reduction and a long span structure are possible.

연결 강관(330)은 제1 강관(310)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가, 제2 강관(320)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강관(330)은 제1 강관(310)과 제2 강관(320)의 아치 구조의 최상단에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을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 강관(331),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 구조에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을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 연결 강관(332)을 포함한다.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31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is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at the top of the arch structure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n an oblique direction in the arch structure of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 331,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which connect the steel pipe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 332.

이때, 수직 연결 강관(331) 및 사선 연결 강관(33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강관(310)에서부터 제2 강관(320)으로 갈수록 관경이 두꺼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연결 강관(331)이 제1 강관(310)과 연결되는 부분의 수직 연결 강관(331)의 관경보다, 제2 강관(320)과 연결되는 부분의 수직 연결 강관(331)의 관경이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강관(330) 부재의 자재를 줄일 수 있으며, 하중이 집중되는 곳에 관경을 더 두껍게 배치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 331 and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 332 may have a larger diameter as it goes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Specifically, the pipe diameter of the vertical connection steel pipe 331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than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connection steel pipe 331 of the portion where the vertical connection steel pipe 331 is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310 This can be thicker. Through this,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steel pipe 330 member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al diameter can be increased by arranging the pipe diameter thicker where the load is concentrated.

한편, 터널 지붕 골조(300)는 보조 강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강관(340)은 일단이 지주프레임(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강관(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강관(340)은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지주프레임(200)에 전달하는 보조 강관(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unnel roof frame 3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eel pipe 340.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320. In addition,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steel pipe 340 through which load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are transmitted to the holding frame 200.

보조 강관(340)은 제2 강관(320)에 의하여 지주프레임(200)에 집중될 수 있는 측하중에 대하여 지주프레임(200)의 하단쪽에 수직하중으로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에 의하여 전달되는 하중은 제2 강관(320)의 아치형 구조의 최하단에서 지주프레임(200)에 전달된다. 이때, 지주프레임(200)의 축방향 기준으로 제2 강관(320)과 지주프레임(200)의 만나는 각도가 크므로, 지주프레임(200)에는 축하중 보다는 측하중이 크게 된다. 이때, 지주프레임(200)의 축방향 기준으로 보조 강관(340)은 보조 강관(340)과 지주프레임(200)이 만나는 각도가, 제2 강관(320)이 지주프레임(200)과 만나는 각도보다 작다. 이에 따라, 보조 강관(340)은 제2 강관(3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지주프레임(200)에 측하중보다 축하중이 더 많도록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주프레임(200)이 측하중으로 인해 내경이 증가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즉, 측하중으로 인해 증가할 수 있는 지주프레임(200)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transmit the vertical load to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frame 200 with respect to the side load that can be concentrated on the holding frame 200 by the second steel pipe 320. Specifically, the load transmitted by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frame 200 at the bottom of the arcuate structure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At this time, since the angle between the second steel pipe 320 and the holding frame 200 is large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of the holding frame 200, the side load is greater in the holding frame 200 than during the celebration. At this tim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200,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has an angle at which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and the support frame 200 meet, than the angle at which the second steel pipe 320 meets the support frame 200. small. Accordingly,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transmit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second steel pipe 320 to the prop frame 200 such that there is more axial load than side loa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rease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ding frame 200 due to the side load. That i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rut frame 200 that can be increased due to the side load.

이때, 보조 강관(340)은 연결 강관(330)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 상에 놓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 연결 강관(332) 중 보조 강관(340)과 인접한 사선 연결 강관(332)은 보조 강관(340)과 동축 상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보조 강관(340)과 동축 상에 놓이는 사선 연결 강관(332)은 최외곽 사선 연결 강관(332)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강관(310)의 하중이 사선 연결 강관(332) 및 보조 강관(340)을 통해 지주프레임(200)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보조 강관(340) 역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관경이 증가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be disposed to be coaxial wit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steel pipes 330.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among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s 332,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s 332 adjacent to the auxiliary steel pipes 340 may be coaxial with the auxiliary steel pipes 340. At this time,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and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 332 disposed coaxially may be the outermost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 332. Through this, the load of the first steel pipe 310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holding frame 200 through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 332 and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In addition,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may also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pip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붕 골조(300)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터널(1000)은 아치형 구조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면서 관경이 증가하는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으로 인해 터널 지붕 골조(300) 및 방음터널(1000)의 자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방음터널(1000)의 스팬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강관(340)을 통해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에서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되는 측하중을 축하중으로 전달함으로써, 지주프레임(200)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Tunnel roof fram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undproof tunnel 1000 including the same due to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whose diameter increases while go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arched structure The self-weight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and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be reduced. Also, through this,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may be increased. In addition, by transmitting the side load transmitted from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through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to the holding frame 200 as a celebration, the size of the holding frame 200 can be reduced. hav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설명되는 터널 지붕 골조는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보조 강관(340)이 없으며 제2 강관(320')이 이루는 제2 곡률반경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nnel roof framing described in FIG. 4 is different from only the second curvature radius formed by the second steel pipe 320 ′ without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when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in FIGS. 1 to 3. Is the same and similar, and thus a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터널(1000')은 제2 곡률반경이 제2 강관(320')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즉,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 상단부에서 제1 곡률반경은 제2 곡률반경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 곡률반경은 제2 강관(320')의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In the soundproof tunnel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That is,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forms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at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Also,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구체적으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룬다. 제1 강관의 중심선(310l)은 원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강관(310)은 제1 강관의 중심선(310l)이 이루는 원의 호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은 타원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이 이루는 타원은 제1 강관의 중심선(310l)이 이루는 원의 내부에 포함된 타원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rch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form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respectively. The center line 310l of the first steel pipe may form a circle. That is, the first steel pipe 310 may be a circular arc formed by the center line 310l of the first steel pipe. Also,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may form an ellipse. At this time, the ellipse formed by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may be an ellipse included inside the circle formed by the center line 310l of the first steel pipe.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이 타원을 이룸으로써, 제2 강관(320')은 아치형 구조의 최상단에서의 제2 곡률반경보다, 아치형 구조의 하단에서 이루는 제2 곡률반경이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곡률반경은 제2 강관(320')의 위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As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forms an ellipse, the second steel pipe 320' may have a larger second radius of curvature at the bottom of the arched structure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at the top of the arched structure. have. Therefore,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320'.

제2 강관의 중심선(320'l)이 타원을 이룸으로써, 아치형 구조의 최상단에서 제1 강관(310)과의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아치형 구조의 하단에서 제1 강관(310)과의 사이의 거리가 더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아치형 구조의 하단에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과의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아치형 구조의 하단에서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이 이루는 이격거리보다 더 길어진다.As the center line 320'l of the second steel pipe forms an ellips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t the lower end of the arcuate 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t the top end of the arcuate structure. The distance can be further apart.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at the bottom of the arcuate structure,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first at the bottom of the arcuate structure in FIGS. 2 It is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formed by the steel pipe 320'.

이를 통해, 제2 강관(320')이 지주프레임(200)과 만나는 위치가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에서의 실시예보다 아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2 강관(320')으로부터 지주프레임(200)에 가하는 하중의 방향이 축방향으로 좀 더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는 터널 지붕 골조(300) 및 방음터널(1000')은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의 보조 강관(340)이 없어도 이와 유사할 효과를 낼 수 있다.Through this,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steel pipe 320' meets the holding frame 200 is disposed below the embodiment in FIGS. 1 to 3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direction of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frame 200 from the second steel pipe 320' may be more concentrated in the axial direction. Accordingly, the tunnel roof frame 300 and the soundproof tunnel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similar effects without the auxiliary steel pipe 340 in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제3 강관(350)을 더 포함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described in FIG. 5 differs only in that it further includes the third steel pipe 350 when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and since other components are the same and similar,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지붕 골조(300) 및 방음터널(1000'')은 대각선 방향에 배치된 지주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제3 강관(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unnel roof frame 300 and the soundproof tunnel 10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teel pipe 350 connecting the strut frame 200 disposed in the diagonal direction.

제3 강관(350)은 지면의 도로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200)을 도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도로의 연장방향, 또는 도로의 방향인 x축으로 복수의 지주프레임(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지주프레임(200)은 도로의 폭 방향인 y축으로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제3 강관(350)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지주프레임(200)을 연결할 수 있다.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trut frames 200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on the ground and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crossing the direction of the road.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strut frames 200 are disposed in an x-axis that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ad or a direction of the road. Then, the holding frame 200 is disposed facing each other in the y-axis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ad.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connect the strut frame 200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이때, 제3 강관(350)은 제1 강관(310)의 아치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아치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강관(350)은 아치형 구조를 가진다. 제3 강관(350)이 지주프레임(200)과 만나는 위치는, 제2 강관(320)이 지주프레임(200)과 만나는 위치에 인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강관(350)의 아치형 구조의 상단부는 제1 강관(310)과 x축 방향으로 이격된 다른 제1 강관(310)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4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강관(350)은 2개의 서로 교차하는 제3 강관(351, 352)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have an arcuate structure to achie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310. Specifically, the third steel pipe 350 has an arcuate structure. The location where the third steel pipe 350 meets the holding frame 200 may be adjacent to the location where the second steel pipe 320 meets the holding frame 200. And, the upper end of the arcuate structure of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be combined with a horizontal frame 410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another first steel pipe 310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be combined with two third steel pipes 351 and 352 intersecting each other.

또한, 제3 강관(350)은 아치의 상단에서의 관경이 아치의 하단에서의 관경보다 작은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강관(310) 및 제2 강관(32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제3 강관(350) 역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3 강관(350)의 아치형 상부에서 제3 강관(350)에 가해지는 하중이 크지 않으므로, 자중을 줄이고 터널 지붕 골조(300)의 스팬을 길게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at the top of the ar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at the bottom of the arch. That is, similar to the shapes of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second steel pipe 320,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also be formed in a conical shape. This is to reduce the self-weight and lengthen the span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because the load applied to the third steel pipe 350 from the arched upper portion of the third steel pipe 350 is not large.

제3 강관(350)은 터널 지붕 골조(300) 상단에 도로의 연장방향인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중이 있는 경우, 즉, 제1 강관(310)과 인접한 제1 강관(310) 사이의 터널 지붕 골조(300) 상단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third steel pipe 350 has a loa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ad, at the top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that is,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310 and the adjacent first steel pipe 310.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prop frame 200.

구체적으로, 도로의 연장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격된 지주프레임(200)과 지주프레임(200) 사이의 구간에 터널 지붕 골조(300) 상단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터널 지붕 골조(300)에 배치된 수평프레임(400)만으로는 충분한 하중을 견디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제3 강관(350)은 해당 구간에서 터널 지붕 골조(300) 상단에 가해지는 하중을 인접한 지주프레임(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풍력 등으로 방음터널(1000'')의 x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각 지주프레임(200)들이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op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in the section between the support frame 200 and the support frame 200 spaced apart in the x-axis direction, which is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road, the tunnel roof frame 300 is disposed The horizontal frame 400 alone may not be able to withstand a sufficient load. At this time, the third steel pipe 350 may transmit the load applied to the top of the tunnel roof frame 300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to the adjacent holding frame 200.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llow the support frame 200 to be distributed to support the load applied in the x-axis direction of the soundproof tunnel 1000 ″ by wind power or the like.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sai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1000', 1000'' : 방음터널 100 : 바닥부
200 : 지주프레임 300 : 터널 지붕 골조
310 : 제1 강관 310a : 제1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
310b : 제1 강관 아치 하부측 내경 310l : 제1 강관의 중심선
320 : 제2 강관 320l : 제2 강관 중심선
320a : 제2 강관 아치 상부측 내경 320b : 제2 강관 아치 하부측 내경
320c : 제2 강관 상부측 내경 320d : 제2 강관 하부측 내경
330 : 연결 강관 331 : 수직 연결 강관
332 : 사선 연결 강관 340 : 보조 강관
350 : 제3 강관 400 : 수평프레임
1000, 1000', 1000'': Soundproof tunnel 100: Floor
200: prop frame 300: tunnel roof frame
310: the first steel pipe 310a: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teel pipe arch
310b: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teel pipe arch 310l: centerline of the first steel pipe
320: second steel pipe 320l: second steel pipe center line
320a: 2nd steel pipe arch upper side inner diameter 320b: 2nd steel pipe arch lower side inner diameter
320c: inner diameter of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teel pipe 320d: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eel pipe
330: connecting steel pipe 331: vertical connecting steel pipe
332: diagonal connecting steel pipe 340: auxiliary steel pipe
350: third steel pipe 400: horizontal frame

Claims (11)

방음터널의 지붕 측에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강관;
상기 제1 강관의 하부에 상기 제1 강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제1 강관이 결합되는 영역의 하단에서 상기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강관;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강관; 및
하단부가 상기 제2 강관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만나는 위치에 인접하여 연결되고, 지면의 도로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을 도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강관은 상기 제1 강관과 상기 제2 강관의 아치 구조의 최상단에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 강관과,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아치 구조에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 연결 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사선 연결 강관은 상기 수직 연결 강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강관과 상기 제2 강관의 끝단을 향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3 강관의 상단부는 상기 제1 강관의 아치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아치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중을 줄이고 방음터널의 스팬(span)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치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증가하되, 상기 수직 연결 강관(331)의 위치에서 최소이고 상기 제1강관(310) 또는 상기 제2강관(320)의 끝단에서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 first steel pipe disposed on the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coupled to the top of the prop frame;
A second steel pi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 under the first steel pipe,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t a lower end of an area where the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teel pipe are combined;
A connecting steel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respectively; And
A third part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ding fram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on the ground, and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the direction of the road. Including steel pipe,
The connecting steel pipe is a vertical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end of the arch structur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the arch structure includes a diagonal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a diagonal direction,
A plurality of the diagonally connected steel pip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s and towar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The upper end of the third steel pipe forms an arcuate structure to achie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order to reduce the self-weight and increase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the diameter of the inner pipe in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rcuate shape, but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 331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minimum in the position and the maximum at the end of the first steel pipe 310 or the second steel pipe 3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내관의 직경은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원추형을 이루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diameter of the inner pipes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s conical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itions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a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s having a changing diame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상기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곡률반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arch of the second steel pipe respectively form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larger than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tunnel roof framing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곡률반경의 1.25 내지 1.75배 인,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3,
The first radius of curvature is 1.25 to 1.75 times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diamet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강관은,
상기 제1 강관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가, 상기 제2 강관과 연결되는 부분의 내관 직경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steel pipe,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dia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steel pipe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inner pipe diameter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제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지주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강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강관 및 제2 강관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지주프레임에 전달하는 보조 강관을 더 포함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olding fram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teel pipe, and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teel pipe that transmit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to the holding frame, the steel pipe having a changing pipe diameter Used tunnel roof framing.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강관은 상기 연결 강관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The method of claim 6,
The auxiliary steel pipe is disposed to be coaxial wit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steel pipes,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varying diame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아치는 각각 제1 곡률반경 및 제2 곡률반경을 이루며,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아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곡률반경은 상기 제2 곡률반경보다 크며,
상기 제2 곡률반경은 제2 강관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arch of the second steel pipe respectively form a first radius of curvature and a second radius of curvature,
The first curvature radius at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s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radius,
The second radius of curv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eel pipe, tunnel roof framing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강관은,
아치의 상단에서의 관경이 아치의 하단에서의 관경보다 작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steel pipe,
Tunnel roof framing using steel pipes with varying diamet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at the top of the arc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at the bottom of the arch.
지면에 도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설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에 설치되고,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프레임; 및
도로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주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지붕 골조는,
방음터널의 지붕 측에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상기 지주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강관;
상기 제1 강관의 하부에 상기 제1 강관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아치형으로 굴곡되며 상기 지주프레임과 상기 제1 강관이 결합되는 영역의 하단에서 상기 지주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강관; 및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강관; 및
하단부가 상기 제2 강관과 상기 지주프레임의 만나는 위치에 인접하여 연결되고, 지면의 도로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프레임을 도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강관은 상기 제1 강관과 상기 제2 강관의 아치 구조의 최상단에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수직한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연결 강관과,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의 아치 구조에서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을 사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사선 연결 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사선 연결 강관은 상기 수직 연결 강관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서 시작하여 상기 제1 강관과 상기 제2 강관의 끝단을 향하여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3 강관의 상단부는 상기 제1 강관의 아치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아치형 구조를 이루며,
상기 제1 강관 및 상기 제2 강관 중 적어도 하나는, 자중을 줄이고 방음터널의 스팬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아치형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관의 직경이 증가하되, 상기 수직 연결 강관(331)의 위치에서 최소이고 상기 제1강관(310) 또는 상기 제2강관(320)의 끝단에서 최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경이 변화하는 강관을 이용한 터널 지붕 골조를 포함하는 방음터널.
A floor portion extending and installed parallel to a road traveling direction on the ground;
A holding frame installed on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And a tunnel roof frame connecting between the support frames facing each other around the road,
The tunnel roof framing,
A first steel pipe disposed on the roof side of the soundproof tunnel, curved in an arcuate shape,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A second steel pip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eel pipe under the first steel pipe, bent in an arcuate shape, and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at a lower end of an area where the support frame and the first steel pipe are combined; And
A connecting steel pip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respectively; And
A third part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ding fram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the road on the ground, and connected in a diagonal direction across the direction of the road. Including steel pipe,
The connecting steel pipe is a vertical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top end of the arch structur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and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the arch structure includes a diagonal connecting steel pipe connecting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a diagonal direction,
The diagonal connecting steel pipes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s, and a plurality of the steel pipes are arranged towar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The upper end of the third steel pipe forms an arcuate structure to achieve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arch of the first steel pipe,
At least one of the first steel pipe and the second steel pipe, in order to reduce the self-weight and increase the span of the soundproof tunnel, the diameter of the inner pipe increases from the top of the arch to the bottom, but at the position of the vertically connected steel pipe 331 Soundproof tunnel including a tunnel roof frame using a steel pipe with a varying diamet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he minimum and the maximum at the end of the first steel pipe (310) or the second steel pipe (320).
KR1020190121289A 2019-10-01 2019-10-01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KR10213847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289A KR102138472B1 (en) 2019-10-01 2019-10-01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289A KR102138472B1 (en) 2019-10-01 2019-10-01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472B1 true KR102138472B1 (en) 2020-07-28

Family

ID=7183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289A KR102138472B1 (en) 2019-10-01 2019-10-01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47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86B1 (en) 2021-02-23 2021-12-17 한인근 Soundproof Tunnel Roof Structure Without Disparity
KR102631889B1 (en) 2023-08-18 2024-01-31 주식회사 지음 Tent frame with improved rigidity and tent house using the fr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194A (en) * 1999-06-30 2001-01-16 Geostr Corp Hollow structure
KR100956307B1 (en)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KR101250270B1 (en) 2009-10-29 2013-04-03 임근성 Vinylhouse structure in reinforcing pipe and method thereof
KR20130084431A (en) * 2012-01-17 2013-07-25 최성준 Truss arch type roof frame for sound froof tunnel
KR101985949B1 (en) * 2018-07-13 2019-06-05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Soundproof tunnel structu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194A (en) * 1999-06-30 2001-01-16 Geostr Corp Hollow structure
KR101250270B1 (en) 2009-10-29 2013-04-03 임근성 Vinylhouse structure in reinforcing pipe and method thereof
KR100956307B1 (en) 2010-01-29 2010-05-10 주식회사 아성엠엔에스아이 Tunnel type prefabricated pavillion structure with iron frame
KR20130084431A (en) * 2012-01-17 2013-07-25 최성준 Truss arch type roof frame for sound froof tunnel
KR101985949B1 (en) * 2018-07-13 2019-06-05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Soundproof tunnel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86B1 (en) 2021-02-23 2021-12-17 한인근 Soundproof Tunnel Roof Structure Without Disparity
KR102631889B1 (en) 2023-08-18 2024-01-31 주식회사 지음 Tent frame with improved rigidity and tent house using the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472B1 (en) Tunnel roof frame using steel pipe with varying diameter of tube and sound barrier having the same
US9726153B2 (en) Wind turbine tower assembly
JP5457289B2 (en) Large span roof structure building
KR102008888B1 (en) Dry support assembly for water tank
JP2010001602A (en) Composite structure building consisting of suspension floor and string beam
JP6983857B2 (en) Truss restraint buckling restraint brace
CN103255836B (en) Bamboo cable structure unit
KR101377692B1 (en) A circulating path system having both rope and rail
JP2019127800A (en) Truss beam
JP7169174B2 (en) Building
CN204418372U (en) The steel beam column venue be made up of arch component space tubular truss
JP2008240466A (en) Reinforcing structure of building structure having overhead travelling crane
JP3972635B2 (en) Tunnel structure
KR102115518B1 (en) Long span frame structure
CN107795184A (en) The truss bearing platform structure of three pipe sleeve-type chimneys
JP6476367B1 (en) Pentagon ramen structure
CN213234005U (en) Support column and support system
CN216552692U (en) Fold-line-shaped single truss and four-side slope three-dimensional truss structure system thereof
CN110468958A (en) The grid structure of irregularity boundary
JP6451383B2 (en) Horizontal structure
CN115874709B (en) Double-group floor cantilever inclined truss-suspension cable supporting combined large-span corridor and assembly method
CN114032752B (en) Main tower grating suitable for separated catwalk and main tower side anchoring method
JP2020143497A (en) Space truss structure
KR102570291B1 (en) Reinforcement assembly and roof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KR101911521B1 (en) High-stength lattice having horizontal-spa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