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710B1 -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 Google Patents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710B1
KR102137710B1 KR1020180107960A KR20180107960A KR102137710B1 KR 102137710 B1 KR102137710 B1 KR 102137710B1 KR 1020180107960 A KR1020180107960 A KR 1020180107960A KR 20180107960 A KR20180107960 A KR 20180107960A KR 102137710 B1 KR102137710 B1 KR 102137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na
uterine smooth
smooth myoma
microrna
my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686A (ko
Inventor
구승엽
김용진
김윤영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710B1/ko
Priority to US16/565,443 priority patent/US11767560B2/en
Publication of KR2020002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12Q1/688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18Prognosis of disease develo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78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miRNA, siRNA or ncRN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nc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시 향후 자궁평활근종의 성장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microRNA를 제공하여, 치료가 필요한 자궁평활근종을 성장 초기에 확인하여 치료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Diagnostic method for endometrial cavity distorting uterine leiomyoma using microRNA}
본 발명은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분리된 생체 시료 내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의 진단용 조성물; 및 분리된 생체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miRNA의 발현량이 감소할 경우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거나 동반할 자궁평활근종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체의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자궁은 평활근으로 이루어진 자궁체부와 점막조직의 자궁내막으로 구성되어 자궁경부 부위에서 질과 연결되며, 난소 및 난관을 자궁부속기로 가지고 있는 여성 기관이다. 배란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에 반응하여 월경 유발하고, 수정된 배아를 착상시켜 분만 전까지 임신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자궁근종으로 흔히 불리는 자궁평활근종은 자궁의 평활근에서 발생하여 과량의 세포외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을 생성하여 근종 (fibroid)를 형성하는 질환이다. 자궁평활근종은 가임기 여성의 80%에서 발견되며, 약 30%의 여성은 자궁평활근종에 의한 증상을 호소할 정도로 유병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며 월경통, 부정출혈, 월경과다와 함께 불임 및 유산, 조산의 원인이 된다. 특히, 가임기 여성에서의 난임/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월경통, 월경과다, 성교통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자궁내막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자궁평활근종은 변형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심한 자궁평활근종 관련 증상뿐 아니라 수정된 배아에 대한 자궁내막의 착상력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2).
자궁근종의 발병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설명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나, 생화학적 기전, 유전적인 영향, 정상 자궁근육의 변형 (transformation) 유발 등의 설명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정상 근육세포의 평활근종으로의 변형에 대한 연구는 아직 유전자 연구 단계의 초기연구들이긴 하나 향후 자궁평활근종 치료의 새로운 전략 개발을 위해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추세이다.
자궁평활근종의 진단은 주로 초음파 검사, CT나 MRI 등의 방사선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혈액검사 등을 통한 진단방법은 없다. 특히, 진단된 자궁평활근종이 성장하며 자궁내막의 형태변형을 유발할 지에 대한 예후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며,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나 CT, MRI 등의 방사선 검사를 통해 성장과정을 추적 관찰하는 방법이 유일하다.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유발하는 자궁근종의 경우, 가능한 크게 성장하기 전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적관찰은 3-6개월의 주기로 이루어지지만 형태 유발이 시작된 이후에야 비로소 치료에 대한 판단이 시작되기 때문에, 치료결정을 위한 판단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마이크로RNA (microRNA)는 단백질 생성을 위한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작은 크기의 RNA를 말하며, 전사 이후 (post-transcription) 단계의 단백질 생성의 미세한 조절을 담당하는 후성유전학 (epigenetics)적인 연구 주제로 진단 및 치료 영역의 새로운 전략 수립과 맞물려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임상적인 의미가 큰 '자궁내막의 형태 변형'에 따른 마이크로 RNA 발현 양상에 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시 향후 자궁평활근종의 성장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는 miRNA를 개발하여, 치료가 필요한 자궁평활근종을 성장 초기에 확인하고 치료 결정에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분리된 생체 시료 내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분리된 생체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miRNA의 발현량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자궁평활근종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생체 시료 내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생체 시료는 분변, 혈액, 혈장, 혈청, 림프액, 뇌척수액, 분리된 조직, 분리된 세포, 타액, 소변 등이 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혈액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생체 시료는 분리된 생체 시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miRNA (microRNA, 마이크로RNA)란 식물, 동물, 바이러스 등에서 발견되는 약 22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작은 비발현 RNA 분자로, RNA 침묵과 전사 이후의 유전자 발현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병의 발병 여부, 발생 정도를 판단하는 데에 마이크로 RNA가 활용되고 있으나,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및/또는 자궁평활근종에서의 자궁내막 형태변형의 판단에 대해 활용된 바는 없으며, 본 발명자에 의해 최초로 규명되었다. 또한,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및/또는 자궁평활근종에서의 자궁내막 형태변형의 판단과 관련하여 혈액 샘플 등 간단한 방법으로 이를 진단하는 방법은 최초로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은 자궁평활근종 자체를 진단하는 것일 수 있으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궁내막의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인지를 진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은 자궁내막의 형태변형 여부 및 이의 예후를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궁평활근종(자궁평활근육종)이란 자궁의 평활근에서 발생하여 과량의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을 생성하여 근종 (fibroid)을 형성하는 질환이다. 이러한 자궁평활근종에서 수반될 수 있는 자궁내막의 형태 변형은 자궁평활근종의 증상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자궁내막의 착상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자궁평활근종은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거나 동반할 가능성이 있는, 혹은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수반하는 자궁평활근종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miRNA의 발현량 확인을 통해 자궁평활근종 혹은 이의 자궁내막 형태변형 여부를 조기에 검진할 경우, 효과적이고 신속한 치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용어 "진단"이란, 병리 상태의 존재, 특징, 질병의 진행 경과, 치료 시 질환의 치료 효과 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진단은 자궁평활근종 자체의 진단 혹은 이의 자궁내막 형태변형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궁평활근종 조직 내 miRNA의 발현 양상을 통해, 자궁평활근종의 발병 여부 및 자궁내막의 형태변형의 동반 유무를 분석한 결과, 먼저 자궁평활근종이 발병할 경우 microRNA-29a, microRNA-29b, microRNA-29c, microRNA-197 및 microRNA-200c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3).
또한,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에서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평활근종에 비해 microRNA-29c와 microRNA-200c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도 5). 이에, 상기 miRNA-29c 또는 miRNA-200c의 발현량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거나 동반할 자궁평활근종으로 진단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발명은 자궁평활근종 환자의 신체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분석 및 비교함으로써, 자궁평활근종 환자의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여부를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
상기 miRNA는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및/또는 자궁평활근종에서의 자궁내막 형태변형의 판단에 이용될 수 있는 miRNA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miRNA-29a, miRNA-29b, miRNA-29c, miRNA-197 및 miRNA-200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miRNA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miRNA-29c 또는 miRNA-200c인 것일 수 있다. 상기 miRNA-29c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miRNA-200c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란 상기 miRNA의 발현수준을 확인 또는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miRNA를 증폭 또는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수단을 의미하며, 시료에 포함된 표적 miRNA의 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제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생체 시료 내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약, 제제, 기구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miRNA 수준을 검출하는 제제는 상기 mi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또는 프로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키트는 자궁평활근종이 발생한 개체의 조직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수준을 측정하여 자궁내막 형태변형 여부 또는 예후를 진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miRNA를 검출하기 위한 제제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한 종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 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도 있다.
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혈액을 원심분리하거나, 농축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에 사용되는 기재는 생체 시료 접촉 시 이의 접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발색단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존의 자궁근종 진단 키트들과 함께 사용하는 것, 예컨대 복합 키트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분리된 생체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miRNA의 발현량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자궁평활근종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혹은 자궁평활근종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생체 시료, miRNA, 자궁평활근종, 자궁내막 형태변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아울러, 상기 miRNA는 miRNA-29c 또는 miRNA-200c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다시 말해 자궁평활근종이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거나 동반할지 여부를 진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자궁평활근종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자궁평활근종의 성장 초기에 향후 성장패턴을 예상하여 치료 방침 결정에 지침이 될만한 지표를 개발하는 것은 의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불임률이 증가함에 따라 불임 원인 중 하나인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자궁근종을 초기에 진단하는 지표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혈액검사를 통해 자궁평활근종의 성장 패턴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에서, 본 발명은 자궁평활근종의 진단 시 향후 자궁평활근종의 성장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microRNA를 제공하여, 치료가 필요한 자궁평활근종을 성장 초기에 확인하여 치료 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자궁내막의 구조와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자궁평활근종 및 수술 소견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정상자궁근층에 대한 자궁평활근종에서의 microRNA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miRNA 작용제 또는 억제제 처리시 자궁평활근 특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 및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평활근종의 miRNA 발현량을 비교한 것이다.
도 6은, 자궁내막평활근 성장패턴을 예측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자궁평활근종 조직 내 miRNA 발현량 측정 및 비교
자궁평활근종 조직의 miRNA의 발현 양상을 통해, 자궁내막의 형태변형의 동반 유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 15 증례와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평활근종 11 증례로부터 microRNA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발현량 검출의 대상이 되는 microRNA는 microRNA-15b, -29a, -29b, -29c, -197 및 -200c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각의 microRNA의 서열은 다음 표 1과 같다.
microRNA 서열 서열목록
miR-15b tagcagcacatcatggtttaca 서열번호 1
miR-29a tagcaccatctgaaatcggtt 서열번호 2
miR-29b tagcaccatttgaaatcagtgtt 서열번호 3
miR-29c tagcaccatttgaaatcggt 서열번호 4
miR-197 ttcaccaccttctccacccagc 서열번호 5
miR-200c taatactgccgggtaatgatgga 서열번호 6
수술 중 획득된 자궁평활근종 조직을 1 x 1 cm 의 크기로 자른 뒤 외과용 칼날(surgical blade)을 이용하여 잘게 균질화(homogenization)하였다. 잘라진 조직 절편을 수집한 후, HBSS를 제거한 후 Trizol(Invitrogen)을 첨가하여 R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RNA를 정량하여 각 샘플에서 추출된 RNA의 양을 0.5 ug으로 동량화(normalization)한 후, Express SYBR® Green ERTM kit(Invitrogen)를 이용하여 cDNA 합성을 위해 역전사 시켰다. 역전사 시킨 후, miScript II RT Kit(Qiagen)를 이용하여 miR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정상자궁근층에 대한 자궁평활근종에서의 micro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microRNA-15b의 경우 그 발현이 증가한 반면 (>1.0), 다른 종류의 microRNA인 microRNA-29a, -29b, -29c, -197, 및 200c의 경우 발현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0).
따라서, 자궁평활근종이 발병할 경우 microRNA-29a, -29b, -29c, -197, 및 200c의 발현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으며, 해당 microRNA 를 이용하여 자궁평활근종을 진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miRNA의 작용제 또는 억제제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 변화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자궁평활근종 진단에 유의한 miRNA를 확인하였는바, 이와 관련하여 자궁평활근 세포에 해당 miRNA의 작용제 (mimic) 및 억제제 (inhibitor)를 이입시켜 자궁평활근 특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잘게 균질화(homogenization)된 자궁평활근종 조각을 모아 1 mg/ml of Collagenase I(Invitrogen)을 처리하여 37℃ 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된 조직 조각을 70 μm cell strainer를 이용하여 걸러준 후,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수집된 세포는 배양액에 부유하여 배양접시에 부착시켰다. 배양액은 DMEM/F12 without phenol red, 20% fetal bovine serum (FBS), 1% insulin-transferrin-selenium (ITS), 50 U/ml penicillin-streptomycin (all purchased from Invitrogen) 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틀 간격으로 교체되었다.
microRNA-15b, microRNA-29c, microRNA-197 및 microRNA-200c의 작용제(mimics)와 억제제(inhibitors)를 자궁평활근세포에 이입할 경우 자궁평활근 특성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이 변화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10 μM의 miR-200c 작용제(mimics) 및 억제제(inhibitors)를 배양된 자궁평활근 세포에 이입 한 후 48시간 이후에 수집하여 miRNA 및 목표 유전자 (Progesterone receptor (P-Rc)α, P-Rcβ, Estrogen (E)-Rcα, E-Rcβ,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2, -9,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1, TIMP-2) 발현 양상 변화를 q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microRNA-15b의 경우에는 작용제를 처리할 때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고 억제제를 처리할 때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지만, 반대로 microRNA-29c, microRNA-197 및 microRNA-200c의 경우에는 작용제를 처리할 때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고 억제제를 처리할 때 유전자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도 4).
이러한 결과는, 상기 실시예 1과 일치하는 결과로서, microRNA-29c, microRNA-197 및 microRNA-200c 로 자궁평활근종을 진단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자궁평활근종 진단을 위한 miRNA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를 통하여 자궁평활근종 자체의 진단을 위한 microRNA를 선별하였는바, 추가적으로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을 진단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여,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과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평활근종의 miRNA 발현량을 RT-PCR을 이용하여 분석 및 비교하였다. 실험 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에서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지 않은 자궁평활근종에 비해 microRNA-29c와 microRNA-200c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microRNA-29c와 microRNA-200c 이외의 다른 miRNA의 경우 발현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더라도 그 유의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도 6과 같이 자궁평활근종 환자의 신체 시료, 예컨대 혈액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분석 및 비교함으로써, 자궁평활근종 환자의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여부 혹은 가능성을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Kore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Diagnostic method for endometrial cavity distorting uterine leiomyoma using microRNA <130> KPA180476-KR <160> 6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15b <400> 1 tagcagcaca tcatggttta ca 22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29a <400> 2 tagcaccatc tgaaatcggt t 21 <210> 3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29b <400> 3 tagcaccatt tgaaatcagt gtt 23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29c <400> 4 tagcaccatt tgaaatcggt 20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197 <400> 5 ttcaccacct tctccaccca gc 22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iR-200c <400> 6 taatactgcc gggtaatgat gga 23

Claims (15)

  1. 분리된 생체 시료 내 miRNA의 발현량을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조성물로서,
    상기 miRNA는 miRNA-29c 또는 miRNA-200c인 것이며,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은 자궁내막의 형태변형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은 자궁내막의 형태변형 여부의 예후 예측을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RNA-29c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RNA-200c는 서열번호 6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것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는 혈액인 것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miRNA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쌍 또는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제인 것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RNA-29c 또는 miRNA-200c의 발현량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하거나 동반할 자궁평활근종으로 진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1항, 제3항, 및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궁평활근종 진단용 키트.
  12. 분리된 생체 시료로부터 miRNA의 발현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miRNA의 발현량이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자궁평활근종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궁내막 형태변형을 동반한 자궁평활근종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으로서,
    상기 miRNA는 miRNA-29c 또는 miRNA-200c인 것이며,
    상기 자궁평활근종 진단은 자궁내막의 형태변형 여부를 포함하는 것인, 정보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시료는 혈액 것인, 방법.
KR1020180107960A 2018-09-10 2018-09-10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KR102137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60A KR102137710B1 (ko) 2018-09-10 2018-09-10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US16/565,443 US11767560B2 (en) 2018-09-10 2019-11-15 Diagnostic and treatment method for endometrial cavity distorting uterine leiomyoma using microR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60A KR102137710B1 (ko) 2018-09-10 2018-09-10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86A KR20200029686A (ko) 2020-03-19
KR102137710B1 true KR102137710B1 (ko) 2020-07-28

Family

ID=6995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960A KR102137710B1 (ko) 2018-09-10 2018-09-10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67560B2 (ko)
KR (1) KR102137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44A (ko) 2020-12-14 2022-06-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결핵항산균 감염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비결핵항산균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6379B (zh) * 2021-12-09 2023-05-12 浙江大学 抗血液肿瘤药物活性成分的获得方法及其用途
WO2023102859A1 (zh) * 2021-12-09 2023-06-15 浙江大学 抗血液肿瘤药物活性成分的获得方法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910A1 (en) * 2001-09-28 2004-02-05 Zhiming Zhang Use of cyr61 in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human uterine leiomyomas
US8314220B2 (en) * 2007-01-26 2012-11-20 Agilent Technologies, Inc. Methods compositions, and kits for detection of microRNA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med Pharmacother, 71: 1-6 (2015.02.18.)*
Endocr Relat Cancer, 19(4): 541-556 (2017.12.20.)*
Fertil Steril, 106(3): 766-772 (2016.09.0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544A (ko) 2020-12-14 2022-06-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비결핵항산균 감염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및 비결핵항산균 감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86A (ko) 2020-03-19
US11767560B2 (en) 2023-09-26
US20200131575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mquist et al. Endometrial BCL6 testing for the prediction of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s: a cohort study
Baczyk et al. Complex patterns of GCM1 mRNA and protein in villous and extravillous trophoblast cells of the human placenta
Campo et al. Infertility and adenomyosis
JP5117852B2 (ja) 乳癌の予後診断方法およびキット
Choussein et al. Mullerian dysgenesi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KR102137710B1 (ko) MicroRNA를 이용한 자궁내막 형태변형 유발 평활근종 진단법
KR20170063519A (ko) 불임 및 관련 병리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2089559B1 (ko) 난소의 fsh에 대한 반응성의 진단 또는 예측용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CN109852684B (zh) hsa_circ_0003764作为标志物在制备宫腔粘连诊断制剂中的应用
JP6281873B2 (ja) 新規癌マーカーおよびその利用
RU263652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ерсонального &#34;окна имплантации&#34; у женщин на основе анализа транскрипционного профиля генов
O’Brien et al. Upregulation of PSCDBP, TLR2, TWIST1, FLJ35382, EDNRB, and RGS12 gene expression in human myometrium at labor
Hiraoka et al. Current perspectives on endometrial receptivity: A comprehensive overview of etiology and treatment
US11149315B2 (en) Method for predicting cervical shortening and preterm birth
US20220244272A1 (en) In vitro test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endometriosis and/or uterine adenomyosis
Kuang et al. CXCL14 inhibits trophoblast outgrowth via a paracrine/autocrine manner during early pregnancy in mice
JP2014532394A (ja) 尿の分析により腎臓マーカーを定量する方法
Celik et al. Receptivity-based uterine fibroid surger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Chen et al. Genome-wide analysis of cervical secretions obtained during embryo transfer reveals the association between deoxyribonucleic acid methylation and pregnancy outcomes
CN109593845A (zh) miRNA作为诊断子宫内膜异位症的标记物的用途
Mekan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determinants of repeated implantation failure
RU2567037C1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степени риска развития инфекционно-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у новорожденных, рожденных от матерей с внутриутробной инфекцией
Li et al. Transcriptomic changes in eutopic endometrium and ectopic lesions during endometriosis progression in a mouse model
RU280680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тактики лечения инфертильности, ассоциированной с папилломавирусной инфекцией у мужчин
WO2023176923A1 (ja) 着床能の検出方法および着床障害の予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