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623B1 -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 Google Patents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623B1
KR102137623B1 KR1020200007835A KR20200007835A KR102137623B1 KR 102137623 B1 KR102137623 B1 KR 102137623B1 KR 1020200007835 A KR1020200007835 A KR 1020200007835A KR 20200007835 A KR20200007835 A KR 20200007835A KR 102137623 B1 KR102137623 B1 KR 10213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antenna
rear moving
repeater
horizonta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07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에 관한 것으로, 중계기 본체와 제1 안테나를 수평회전, 전후이동 및 틸팅시키는 수평회전부와 전후이동부 및 틸팅부를 포함하여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를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모터로서 전후이동 작동과 틸팅 작동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이 간소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Repeater Integration Booth for Broadband Communication Channel Expansion}
본 발명은 통신 분야 기술 중에서,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를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모터로서 위치이동 작동과 수직회전 작동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중계기 부스와 안테나와 전후이동부와 틸팅부의 중량에 의하여 장치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에 관한 것이다.
중계기의 안테나는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여러 사업자의 전파가 혼재한 상황에서 자기 사업자의 신호만을 받아들여야 하는 도너 안테나의 경우 방향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존의 중계기는 기기 내부에 도너 및 서비스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어 방향의 제어가 불가능하다.
최근의 무선 통신 서비스는 광대역통신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의 발전으로 인하여 해당 통신채널이 광대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양호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기존의 중계기가 도너 및 서비스 안테나의 서비스 방향이 원하지 않는 방향 및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 효율적인 중계를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고속의 광대역 무선 데이터 통신은 안테나의 방향 및 위치를 정확하게 포인팅해야 하며 특히, 광대역으로 통신채널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안테나 방향의 조정 및 정확한 재정렬이 적절한 통신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578호(2014.01.24. 공고)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는 수평으로 분할하여 안테나를 배치하고 수직으로 다시 영역을 분할하여 배치하여 도너 방향의 전파를 구분하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의 9개를 부착하여 도너 전파가 방사되는 방향을 빔 폭이 좁은 제1 안테나로 영역을 분할하여 배치하고 각 안테나가 담당하는 영역을 나누는 복수개의 제1 안테나와, 복수개의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측정부로부터 측정한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복수개의 제1 안테나의 방향을 변경하는 안테나조향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에 대한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측정부을 제어하며 최상의 통신품질을 갖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1 안테나의 방향을 안테나조향부를 제어하여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여러 방향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안테나의 방향을 최적의 방향으로 변경함과 동시에, 안테나의 위치를 최적의 위치로 이동시켜 통신품질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도와주고, 일정 주기 간격으로 안테나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정하여 변화된 무선 환경을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통신 음영 지역에 간섭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위치이동 작동과 수직회전 작동을 위하여 각각 위치이동 구동모터와 수직회전 구동모터를 사용하고, 각각의 전동계통을 통해 위치이동 구동모터와 수직회전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위치이동 작동과 수직회전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므로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전후 이동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된 가이드브라켓, 상기 제1 안테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브라켓 레일홈 안내되는 롤러 의하여 제1 안테나 지지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나, 가이드브라켓 자체도 수직회전축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회전부와 위치이동부의 구성요소들의 하중이 수직 회전축에 모두 걸리게 되어 수직회전축의 처짐변형에 의하여 작동불능 상태로 될 염려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101254호(공개일: 2008년 11월 21일), 발명의 명칭: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내장된 일체형 중계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44721호(공개일: 2009년 05월 07일), 발명의 명칭: "안테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05427호(공개일: 2009년 01월 14일), 발명의 명칭: "간섭제거 중계기용 안테나 구조 및 안테나 제어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578호(2014.01.24. 공고)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를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모터로서 위치이동 작동과 수직회전 작동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중계기 부스와 안테나와 전후이동부와 틸팅부의 중량에 의하여 장치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되도록 한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분할된 2 이상의 다수 영역을 다시 2 이상의 수직 다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9 개의 안테나를 평면형상으로 배열 부착하고 도너 전파가 방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빔 폭이 좁은 안테나로 도너 방향의 전파를 각각 구분 수신하도록 배치하여 각 안테나가 담당하는 영역을 분할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안테나(302);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측정부(330);
상기 측정부(330)로부터 측정한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는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 및 위치에 대한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상기 측정부(330)를 제어하며, 최상의 통신품질을 갖는 방향 및 위치가 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는 상기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통합부스(300)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5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352)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35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조향부(400)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상기 장착 프레임(353)의 하면에 장착되는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에 맞물리는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와, 상기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에 중계기 본체(301)가 장착되는 수평회전 프레임(4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부(420)는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장착되는 위치이동 구동모터(421)와, 상기 위치이동 구동모터(4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위치이동 구동기어(422)와, 상기 위치이동 구동기어(422)에 맞물리는 위치이동 종동기어(423)와,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며 상기 위치이동 종동기어(423)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위치이동 암나사축(424)과, 상기 위치이동 종동기어(423)의 내주면과 위치이동 암나사축(424)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위치이동 전자클러치(425)와, 상기 위치이동 암나사축(424)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위치이동 수나사축(426)과, 상기 위치이동 수나사축(426)의 선단에 결합되는 위치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위치이동 가동힌지편(428)과, 상기 고정힌지편(427)과 가동힌지편(428)을 연결하는 위치이동 힌지핀(42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위치이동 암나사축(424)은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베어링(Br)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틸팅부(430)는 상기 전후이동부(4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위치이동 종동기어(423)에 맞물리는 틸팅 입력기어(431)와,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를 관통하는 틸팅 원형축(432)과, 상기 틸팅 원형축(43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틸팅 사각축(433)과,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의 내주면과 틸팅 원형축(432)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틸팅 전자클러치(434)와, 상기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틸팅 사각축홀(435a)이 후반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틸팅 암나사부(435b)가 형성된 틸팅 중공축(435)과, 상기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는 틸팅 수나사축(436)과, 상기 틸팅 수나사축(436)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원호형 안내장공(437a)이 형성된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틸팅 가동힌지편(438)과, 상기 틸팅 안내힌지편(437)의 원호형 안내장공(437a)과 틸팅 가동힌지편(438)에 끼워지는 틸팅 힌지핀(439) 및, 상기 위치이동 가동힌지편(428)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 중공축(4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지지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틸팅 중공축(435)은 틸팅 지지판(440)에 베어링(4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틸팅 지지판(440)의 하단에는 제1 안테나(302)의 틸팅 반경에 대응하여 상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틸팅 안내레일(451)이 형성된 틸팅 안내판(4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안테나(302)의 하단에는 상기 틸팅 안내레일(451)에 안내되는 틸팅 안내롤러(452)가 구비되며,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회전 프레임(414)에 후단이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틸팅 지지판(440)과 틸팅 안내판(450)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위치이동 안내레일(461)이 형성된 위치이동 안내판(460)이 구비되고,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면에는 상기 위치이동 안내레일(461)에 안내되는 위치이동 안내롤러(562)가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에 의하면 중계기 본체와 제1 안테나를 수평회전, 위치이동 및 틸팅시키는 수평회전부와 전후이동부 및 틸팅부를 포함하여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를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하나의 모터로서 위치이동 작동과 틸팅 작동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아울러 틸팅 안내레일과 틸팅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제1 안테나의 틸팅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전후이동 안내레일에 안내되는 전후이동 안내롤러를 구비하여 전후이동 안내레일과 전후이동 안내롤러는 제1 안테나의 전후이동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전후이동 안내판은 수평회전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부와 틸팅부의 하중을 지탱하여 전후이동부와 틸팅부 및 제1 안테나와 중계기 본체를 포함하는 중계기 통합부스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통합부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통합부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중계기 본체와 안테나의 수평회전 작동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중계기 본체와 안테나의 전후이동 작동을 보인 측면도,
도 7은 중계기 본체와 안테나의 틸팅 작동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는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내장되어 있거나 외측에 고정되어 있어 안테나의 서비스 방향이 원하지 않는 방향에 고정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중계기는 광대역으로 통신 채널을 확장해야 하는 경우 안테나 방향 및 위치의 조정 및 정확한 재정렬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여러 방향으로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통신품질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안테나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의 안테나 신호를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하여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통합부스(300)는 제1 안테나(302), 제1 듀플렉서(310), 순방향 RF 모듈(312), 제1 저출력 증폭기(314), 제1 아이솔레이터(316), 제1 커플러(318), 제2 듀플렉서(320), 제2 안테나(304), 역방향 RF 모듈(322), 제2 저출력 증폭기(324), 제2 아이솔레이터(326), 제2 커플러(328), 측정부(330), 제어부(340) 및 안테나조향부(400)를 포함한다.
순방향 채널의 경우, 기지국(100)으로부터 중계기 통합부스(300)로 전송된 RF 신호는 제1 안테나(302)를 통해 제1 듀플렉서(310)로 전달되며, 제1 듀플렉서(310)는 제1 안테나(302)를 통해 전달된 RF 신호를 고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순방향 신호 및 역방향 신호로 분리한 후 순방향 신호를 순방향 RF 모듈(312)로 전달한다.
순방향 RF 모듈(312)은 순방향 신호를 지정된 신호 레벨로 증폭하거나 감쇄하여 제1 저출력 증폭기(314)로 전달하고, 제1 저출력 증폭기(314)는 순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제1 아이솔레이터(316)로 전달한다.
제1 아이솔레이터(316)는 증폭된 순방향 신호를 제1 커플러(318) 방향으로 통과시켜 제1 커플러(318)로 전달하고, 제1 커플러(318)는 제1 아이솔레이터(316)로부터 전달된 순방향 신호를 제2 듀플렉서(320)로 전달한다.
제2 듀플렉서(320)는 순방향 신호를 제2 안테나(304)로 전달하여 단말기(200)로 송출하게 된다.
역방향 채널의 경우, 단말기(200)로부터 중계기 통합부스(300)로 전송된 RF 신호는 제2 안테나(304)를 통해 제2 듀플렉서(320)로 전달되며, 제2 듀플렉서(320)는 제2 안테나(304)를 통해 전달된 RF 신호를 고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여 순방향 신호 및 역방향 신호로 분리한 후 역방향 신호를 역방향 RF 모듈(322)로 전달한다.
역방향 RF 모듈(322)은 역방향 신호를 지정된 신호 레벨로 증폭하거나 감쇄하여 제2 저출력 증폭기(324)로 전달하고, 제2 저출력 증폭기(324)는 역방향 신호를 증폭하여 제2 아이솔레이터(326)로 전달한다.
제2 아이솔레이터(326)는 증폭된 역방향 신호를 제2 커플러(328) 방향으로 통과시켜 제2 커플러(328)로 전달하고, 제2 커플러(328)는 제2 아이솔레이터(326)로부터 전달된 역방향 신호를 제1 듀플렉서(310)로 전달한다.
제1 듀플렉서(310)는 역방향 신호를 제1 안테나(302)로 전달하여 기지국(100)으로 송출하게 된다.
제1 안테나(302)는 2 개 이상의 복수개 도너 안테나로 이루어지며 도너 방향의 180도 공간을 다수의 안테나가 각각의 해당 안테나 빔폭으로 나누어 해당 공간으로 송신 및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담당하도록 배열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도너 안테나는 원호 형상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면 형상으로 배열 할 수 있다.
도너 방향은 무선신호가 전송되는 순방향 중에서 송신국이 위치하는 방향을 도너 방향이라고 하기로 한다.
이렇게 제1 안테나(302)는 임의로 정해진 평면의 공간영역을 수평으로 균등하게 분할하고 다시 수직으로 균등분할하며 각각 분할된 영역에 안테나를 배치하여 각각 해당된 공간영역의 도너 방향으로 전파를 구분하여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설치한다.
제1 안테나(302)는 도너 안테나로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분할된 9 개의 영역에 도너 방향 전파가 송수신되도록 각각 담당하는 빔 폭이 좁은 복수개의 도너 안테나로 이루어진다.
제1 안테나(302)를 구성하는 다수의 안테나는 각 안테나가 담당하는 공간 영역이 구분되어 나누어지고 각 안테나 중에서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안테나가 선택되어 해당 중계기의 도너 방향 빔 패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선택되어 진다.
제2 안테나(304)는 서비스 안테나로서 도너 안테나인 제1 안테나(302)의 반대 방향에 고정하고 서비스 각을 넓게 해야 하므로 별도의 방향을 제어하지 않아도 된다.
측정부(330)는 제1 듀플렉서(310)로부터 전달받은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무선신호의 통신품질을 측정한다.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는 무선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Ec/Io), 수신신호강도(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수신 신호 코드 전력(Received Signal Code Power, RSCP), CINR(Carrier to Interface Ratio) 등이 있다.
CINR의 측정은 파일럿 신호의 파워를 측정함으로서 이루어지고, 신호 대 잡음비는 기지국(100)에서 전송되는 파일럿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일 수 있다.
제어부(340)는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여 기설정된 각도만큼 제1 안테나(302)의 상하 및 좌우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 안테나(302)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고, 측정부(330)를 통해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각도는 5도 - 20도 범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특정한 각도를 나타낸다.
제어부(340)는 측정부(330)로부터 모든 방향에 대해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여 최적의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안테나 위치를 설정한다.
즉, 제어부(340)는 제1 안테나(302)를 상하 좌우 방향에 따라 균일한 각도 단위로 회동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제1 안테나(302)의 전후 방향 위치를 제어하고, 각각의 제어된 위치에서 통신품질을 측정 및 분석하여 최적의 무선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위치를 검출 설정한다.
제어부(340)는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여 검출한 안테나 위치로 제1 안테나(302)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구성은 상술한 선행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5578호)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 중계기 통합부스(300)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5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352)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353) 상에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조향부(400)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안테나(302)를 포함한 중계기 전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상기 장착 프레임(353)의 하면에 장착되는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에 맞물리는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와, 상기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에 중계기 본체(301)가 장착되는 수평회전 프레임(4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회전 구동모터(411)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하며, 모터축이 장착 프레임(353)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수평회전 구동기어(412)는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의 모터축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회전 종동기어(414)는 수평회전 구동기어(413)와 맞물려서 회전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353)은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하면이 수직 프레임(352)의 상단에 고정결합되고, 상면에 수평회전 프레임(414)의 하단부가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와 수평회전 종동기어(413)는 수평회전 프레임(414)의 내부 공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수평회전 구동모터(411)가 구동되면 모터축에 결합된 수평회전 구동기어(412)가 회전하고 수평회전 구동기어(411)에 맞물린 수평회전 종동기어(413)가 회전하면서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에 하단이 결합된 수평회전 프레임(414)이 회전하여 수평회전 프레임(414)의 상단에 결합된 중계기 통합부스(300)와 제1 안테나(302)를 수평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안테나(302)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하의 설명에서 회전과 회동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전후이동부(42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안테나(302)를 포함한 중계기 전체를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킨다.
상기 전후이동부(420)는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와, 상기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와, 상기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에 맞물리는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와,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며 상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전후이동 암나사축(424)과, 상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내주면과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와, 상기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전후이동 수나사축(426)과, 상기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의 선단에 결합되는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과, 상기 고정힌지편(427)과 가동힌지편(428)을 연결하는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은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베어링(Br)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는 통상적으로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외주면과, 회전축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설치되어 회전축과 회전체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하여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에 전달되게 하는 접속모드와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단절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접속모드로 작동하면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에 전달되어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와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단절모드로 작동하면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에 전달되지 않아 전후이동 종동기어(423)는 회전하나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부(42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접속모드로 작동하면,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 전후이동 종동기어(423),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를 통해 전달되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이 회전하게 되고,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의 암나사부에 나사물림된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며,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의 선단에 결합된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및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통해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에 연결된 제1 안테나(302)가 전방으로 이동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틸팅부(43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안테나(302)를 포함한 중계기 전체를 상하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틸팅부(430)는 상기 전후이동부(4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에 맞물리는 틸팅 입력기어(431)와,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를 관통하는 틸팅 원형축(432)과, 상기 틸팅 원형축(43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틸팅 사각축(433)과,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의 내주면과 틸팅 원형축(432)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틸팅 전자클러치(434)와, 상기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틸팅 사각축홀(435a)이 후반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틸팅 암나사부(435b)가 형성된 틸팅 중공축(435)과, 상기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는 틸팅 수나사축(436)과, 상기 틸팅 수나사축(436)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원호형 안내장공(437a)이 형성된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틸팅 가동힌지편(438)과, 상기 틸팅 안내힌지편(437)의 원호형 안내장공(437a)과 틸팅 가동힌지편(438)에 끼워지는 틸팅 힌지핀(439) 및, 상기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 중공축(4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지지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팅 전자클러치(434)는 통상적으로 중심부에 설치되는 회전축의 외주면과, 회전축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회전체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설치되어 회전축과 회전체 사이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전자식 클러치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틸팅 전자클러치(434)는 제어부(340)의 제어에 의하여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에 맞물려 회전하는 틸팅 입력기어(431)의 회전력이 틸팅 원형축(432)에 전달되게 하는 접속모드와 틸팅 입력기어(431)의 회전력이 틸팅 원형축(432)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단절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접속모드로 작동하면 틸팅 입력기어(431)의 회전력이 틸팅 원형축(432)에 전달되어 틸팅 입력기어(431)와 틸팅 원형축(432)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며,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단절모드로 작동하면 틸팅 입력기어(431)의 회전력이 틸팅 원형축(432)에 전달되지 않아 틸팅 입력기어(431)는 회전하나 틸팅 원형축(432)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 틸팅 중공축(435)은 틸팅 지지판(440)에 베어링(4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틸팅부(430)는 제어부(3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접속모드로 작동하면,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회전력이 틸팅 입력기어(431)와 틸팅 전자클러치(434)를 통하여 전달되어 틸팅 원형축(432)과 틸팅 사각축(433)이 회전하게 되며, 틸팅 사각축(433)이 틸팅 사각축홀(435a)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는 틸팅 중공축(435)이 회전하게 되고,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틸팅 수나사축(436)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전 또는 후퇴하게 되며, 틸팅 수나사축(436)에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틸팅 가동힌지편(438) 및 틸팅 힌지핀(439)으로 연결된 제1 안테나(302)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1 안테나(302)는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및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중심으로 틸팅하게 된다.
또한 상기 틸팅 지지판(440)의 하단에는 제1 안테나(302)의 틸팅 반경에 대응하여 상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틸팅 안내레일(451)이 형성된 틸팅 안내판(4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안테나(302)의 하단에는 상기 틸팅 안내레일(451)에 안내되는 틸팅 안내롤러(452)가 구비된다.
상기 틸팅 안내레일(451)과 틸팅 안내롤러(452)는 제1 안테나(302)의 틸팅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회전 프레임(414)에 후단이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틸팅 지지판(440)과 틸팅 안내판(450)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이동 안내레일(461)이 형성된 전후이동 안내판(460)이 구비되고,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면에는 상기 전후이동 안내레일(461)에 안내되는 전후이동 안내롤러(562)가 구비된다.
상기 전후이동 안내레일(461)과 전후이동 안내롤러(562)는 제1 안테나(302)의 전후이동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전후이동 안내판(460)은 수평회전 프레임(414)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부(420)와 틸팅부(430)의 하중을 지탱하여 전후이동부(420)와 틸팅부(430) 및 제1 안테나(302)와 중계기 본체(301)를 포함하는 중계기 통합부스(300)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틸팅 중공축(435)은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에 결합된 지지편(441)에 고정되어 전후이동 수나사축(426)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의 진퇴작동에 연동하여 진퇴하게 된다.
상기 틸팅 중공축(435)은 지지편(441)에 형성된 결합공에 관통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틸팅 중공축(435)의 틸팅 사각축홀(435a)에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틸팅 중공축(435)이 전후이동 수나사축(426)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의 진퇴작동에 연동하여 진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틸팅 중공축(435)의 틸팅 사각축홀(435a)에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틸팅 사각축(433)의 회전력이 틸팅 중공축(435)에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안테나조향부(400)를 구성하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340)가 수평회전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수평회전 구동모터(411)가 구동되고,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와 이에 맞물려 있는 수평회전 종동기어(413)가 수평회전하게 되며, 수평회전 종동기어(413)가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회전 프레임(414)이 수평회전하게 되고, 수평회전 프레임(414)에 장착되어 있는 중계기 본체(301)와 제1 안테나(302) 및 제2 안테나(304)가 수평회전하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제어부(340)가 전후이동 제어 신호와 틸팅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전후이동 작동과 틸팅 작동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이동부(420)의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후이동부(420)의 작동과 틸팅부(430)의 작동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모터에 의하여 전후이동부(420)와 틸팅부(43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340)가 전후이동 작동 제어 신호만 출력하면, 전후이동 구동모터(421)가 구동되고,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접속모드로 작동되며, 틸팅 전자클러치(434)나 단절모드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접속모드로 작동하고 있으므로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 전후이동 종동기어(423),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를 통하여 전달되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이 회전하게 되고, 전후이동 암나사축(424)과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이 진퇴하면서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통해 제1 안테나(302)를 밀고 당기게 되어 제1 안테나(302)가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된다[도 6 참조].
또한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단절모드로 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에 맞물려 있는 틸팅 입력기어(431)가 회전하지만 틸팅 원형축(432)과 틸팅 사각축(433) 및 틸팅 중공축(435)은 회전하지 않게 되어 틸팅 작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틸팅 중공축(435)은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에 틸팅 지지판(440)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틸팅 중공축(435)의 후단에 형성된 틸팅 사각축홀(435a)에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부(420)에 의한 위치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틸팅 중공축(435)의 전후방향 이동이 틸팅 사각축(433)과 틸팅 입력기어(431)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제어부(340)가 틸팅 작동 제어 신호만 출력하면, 전후이동 구동모터(421)가 구동되고,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단절모드로 작동되며,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접속모드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단절모드로 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를 통하여 전달되어 전후이동 종동기어(423)가 회전하지만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에는 전달되지 않아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은 회전하지 않게 되고, 위치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접속모드로 작동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와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와 틸팅 입력기어(431) 및 틸팅 전자클러치(434)를 통하여 전달되어 틸팅 원형축(432)과 틸팅 사각축(433)이 회전하게 되고, 틸팅 사각축(433)이 틸팅 사각축홀(435a)에 끼워져 있으므로 틸팅 중공축(435)이 회전하게 되고,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틸팅 수나사축(436)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틸팅 가동힌지편(438) 및 틸팅 힌지핀(439)을 통하여 제1 안테나(302)를 전후방향으로 밀고 당기게 되며, 제1 안테나(302)가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및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중심으로 틸팅하게 된다[도 7 참조].
이때 틸팅 안내힌지편(437)에는 수직원호형 안내장공(437a)이 형성되고 틸팅 힌지핀(439)이 수직원호형 안내장공(437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틸팅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어부(340)가 전후이동 작동 제어 신호와 틸팅 작동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전후이동 구동모터(421)가 구동되고,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와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모두 접속모드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가 접속모드로 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 전후이동 종동기어(423),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를 통하여 전달되어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이 회전하게 되고, 전후이동 암나사축(424)과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이 진퇴하면서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통해 제1 안테나(302)를 밀고 당기게 되어 제1 안테나(302)가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되며, 틸팅 전자클러치(434)가 접속모드로 되어 있으므로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이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와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와 틸팅 입력기어(431) 및 틸팅 전자클러치(434)를 통하여 전달되어 틸팅 원형축(432)과 틸팅 사각축(433)이 회전하게 되고, 틸팅 사각축(433)이 틸팅 사각축홀(435a)에 끼워져 있으므로 틸팅 중공축(435)이 회전하게 되고,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어 있는 틸팅 수나사축(436)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틸팅 가동힌지편(438) 및 틸팅 힌지핀(439)을 통하여 제1 안테나(302)를 전후방향으로 밀고 당기게 되며, 제1 안테나(302)가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 및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중심으로 틸팅하게 된다.
즉,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후이동부(420)의 전후이동 작동과 틸팅부(430)의 틸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어부(340)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 및 위치에 대한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최상의 통신품질을 갖는 방향 및 위치로 제1 안테나(302)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340)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를 제어하여 모든 방향의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측정부(330)를 제어하고, 영역이 분할되어 배치된 각각의 제1 안테나(302) 중 통신품질이 가장 좋은 방향 및 위치를 선택하여 중계기의 빔 패턴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기지국 300: 중계기 통합부스
302: 제1 안테나 304: 제2 안테나
310: 제1 듀플렉서 312: 순방향 RF 모듈
314: 제1 저출력 증폭기 316: 제1 아이솔레이터
318: 제1 커플러 320: 제2 듀플렉서
322: 역방향 RF 모듈 324: 제2 저출력 증폭기
326: 제2 아이솔레이터 328: 제2 커플러
330: 측정부 340: 제어부
400: 안테나조향부 410: 수평회전부
411: 수평회전 구동모터 412: 수평회전 구동기어
413: 수평회전 종동기어 414: 수평회전 프레임
420: 전후이동부 421: 전후이동 구동모터
422: 전후이동 구동기어 423: 전후이동 종동기어
424: 전후이동 암나사축 425: 전후이동 전자클러치
426: 전후이동 수나사축 427: 전후이동 고정힌지편
428: 전후이동 가동힌지편 429: 전후이동 힌지핀
430: 틸팅부 431: 틸팅 입력기어
432: 틸팅 원형축 433: 틸팅 사각축
434: 틸팅 전자클러치 435: 틸팅 중공축
436: 틸팅 수나사축 437: 틸팅 안내힌지편
438: 틸팅 가동힌지편 439: 틸팅 힌지핀
440: 틸팅 지지판 450: 틸팅 안내판
451: 틸팅 안내레일 452: 틸팅 안내롤러
460: 전후이동 안내판 461: 전후이동 안내레일
462: 전후이동 안내롤러

Claims (1)

  1. 수평으로 분할된 2 이상의 다수 영역을 다시 2 이상의 수직 다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9 개의 안테나를 평면형상으로 배열 부착하고 도너 전파가 방사되는 방향을 향하여 빔 폭이 좁은 안테나로 도너 방향의 전파를 각각 구분 수신하도록 배치하여 각 안테나가 담당하는 영역을 분할시키는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로부터 수신한 무선신호의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측정부(330);
    상기 측정부(330)로부터 측정한 통신품질 관련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는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 및 위치에 대한 통신품질 파라미터를 측정하도록 상기 측정부(330)를 제어하며, 최상의 통신품질을 갖는 방향 및 위치가 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제1 안테나(302)의 방향 및 위치를 변경하는 상기 안테나조향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300)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통합부스(300)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51)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352)의 상단에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353) 상에 설치되고,
    상기 안테나조향부(400)는 수평회전부(410)와, 전후이동부(420) 및 틸팅부(430)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회전부(410)는 상기 장착 프레임(353)의 하면에 장착되는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모터(411)에 의하여 회전하는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와, 상기 수평회전 구동기어(412)에 맞물리는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와, 상기 수평회전 종동기어(413)에 하단이 결합되어 상부로 연장되며 상단에 중계기 본체(301)가 장착되는 수평회전 프레임(4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부(420)는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장착되는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와, 상기 전후이동 구동모터(421)에 의하여 회전하는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와, 상기 전후이동 구동기어(422)에 맞물리는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와, 상기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설치되며 상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를 관통하고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전후이동 암나사축(424)과, 상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의 내주면과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이동 전자클러치(425)와, 상기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의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전후이동 수나사축(426)과, 상기 전후이동 수나사축(426)의 선단에 결합되는 전후이동 고정힌지편(42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과, 상기 고정힌지편(427)과 가동힌지편(428)을 연결하는 전후이동 힌지핀(429)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후이동 암나사축(424)은 중계기 본체(301)의 전면에 베어링(Br)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틸팅부(430)는 상기 전후이동부(4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전후이동 종동기어(423)에 맞물리는 틸팅 입력기어(431)와,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를 관통하는 틸팅 원형축(432)과, 상기 틸팅 원형축(43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틸팅 사각축(433)과, 상기 틸팅 입력기어(431)의 내주면과 틸팅 원형축(432)의 외주면 사이에 설치되는 틸팅 전자클러치(434)와, 상기 틸팅 사각축(433)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틸팅 사각축홀(435a)이 후반부에 형성되고 내주면에 틸팅 암나사부(435b)가 형성된 틸팅 중공축(435)과, 상기 틸팅 암나사부(435b)에 나사물림되는 틸팅 수나사축(436)과, 상기 틸팅 수나사축(436)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원호형 안내장공(437a)이 형성된 틸팅 안내힌지편(437)과, 상기 제1 안테나(302)의 후면에 고정되는 틸팅 가동힌지편(438)과, 상기 틸팅 안내힌지편(437)의 원호형 안내장공(437a)과 틸팅 가동힌지편(438)에 끼워지는 틸팅 힌지핀(439) 및, 상기 전후이동 가동힌지편(428)에 결합되어 상기 틸팅 중공축(435)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틸팅 지지판(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틸팅 중공축(435)은 틸팅 지지판(440)에 베어링(44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틸팅 지지판(440)의 하단에는 제1 안테나(302)의 틸팅 반경에 대응하여 상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틸팅 안내레일(451)이 형성된 틸팅 안내판(450)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안테나(302)의 하단에는 상기 틸팅 안내레일(451)에 안내되는 틸팅 안내롤러(452)가 구비되며,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부에는 상기 수평회전 프레임(414)에 후단이 결합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틸팅 지지판(440)과 틸팅 안내판(450)을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전후이동 안내레일(461)이 형성된 전후이동 안내판(460)이 구비되고,
    상기 틸팅 안내판(450)의 하면에는 상기 전후이동 안내레일(461)에 안내되는 전후이동 안내롤러(562)가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KR1020200007835A 2020-01-21 2020-01-21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KR10213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35A KR102137623B1 (ko) 2020-01-21 2020-01-21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835A KR102137623B1 (ko) 2020-01-21 2020-01-21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623B1 true KR102137623B1 (ko) 2020-07-24

Family

ID=7189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835A KR102137623B1 (ko) 2020-01-21 2020-01-21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5409A1 (en) * 2022-05-03 2023-11-09 Ubicquia, Inc.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onor and service antennas theref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54A (ko)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세스텍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내장된 일체형 중계기
KR20090005427A (ko) 2007-07-09 2009-01-14 센싱테크 주식회사 간섭제거 중계기용 안테나 구조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20090044721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안테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
KR101355578B1 (ko) 2013-08-02 2014-01-24 이광휘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254A (ko)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세스텍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가 내장된 일체형 중계기
KR20090005427A (ko) 2007-07-09 2009-01-14 센싱테크 주식회사 간섭제거 중계기용 안테나 구조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20090044721A (ko) 2007-11-01 2009-05-07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안테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
KR101355578B1 (ko) 2013-08-02 2014-01-24 이광휘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5409A1 (en) * 2022-05-03 2023-11-09 Ubicquia, Inc. Wireless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onor and service antennas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9049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lift system having the same
KR101100688B1 (ko) 안테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중계기 및 셀 최적화 방법
JP4588790B2 (ja) Rf中継器
KR201801098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 링크 셋업 방법 및 장치
KR102137623B1 (ko) 광대역 통신채널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부스
US20080246663A1 (en) Antenna Arrangement
US83859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verage in a cellular network
CA2976401A1 (en) Signal booster for a controllable antenna system
KR10074819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백홀 빔 형성의 조정
KR101355578B1 (ko) 광대역 통신채널의 확장을 위한 중계기 통합박스
CN102204014A (zh) 无线网络的有源天线装置、网络设备和接入点
US20210247431A1 (en) Test device and a test method
KR20090044721A (ko) 안테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 중계기 및 그 방법
CN111865371B (zh) 多天线无线设备mimo测试装置
KR100323593B1 (ko) 지향성안테나의통화권제어장치및그방법
KR20160079421A (ko) 안테나 장치
KR100891484B1 (ko) 무선통신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아이솔레이션 확보 제어방법
KR200346327Y1 (ko) 양방향 안테나 내장형 구조를 갖는 무선 중계기
CN107852184B (zh) 用于补偿线路和/或耦合损耗的补偿器
KR102504415B1 (ko) 5G용 28GHz의 빔포밍 및 빔스티어링 안테나가 적용된 인빌딩 중계장치
KR200346274Y1 (ko) 아이솔레이션 스펙트럼 측정장치를 내장하는 알 에프 중계시스템
CA3098084C (en) Bi-directional high power user equipment
KR20040016491A (ko) 안테나 빔폭 가변에 따른 고정 이득 안테나 시스템 및이를 이용한 안테나의 이득 고정방법
JPH0294896A (ja) 遠隔操縦装置
KR20020035670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출력 및 수신 감도 측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