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327B1 -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327B1
KR102137327B1 KR1020180167355A KR20180167355A KR102137327B1 KR 102137327 B1 KR102137327 B1 KR 102137327B1 KR 1020180167355 A KR1020180167355 A KR 1020180167355A KR 20180167355 A KR20180167355 A KR 20180167355A KR 102137327 B1 KR102137327 B1 KR 102137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humbnail
providing
real
strea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39A (ko
Inventor
황준태
구양하
윤경로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3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3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8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providing answers, e.g. v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 방법은,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Mouseover)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Live Thumbnai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LIVE THUMBNAIL OF STREAMING VIDEO}
아래 실시예들은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인터넷 동영상이라 하면 대부분 VOD(Video On Demand)를 떠올렸지만 최근에는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동영상의 시장 점유율 또한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Thumbnail)은 해당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요약, 브라우징(browsing), 또는 탐색(searching)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을 원래의 크기 보다 작게 정지 영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처럼, 보통 썸네일은 동영상의 형식이 아닌 정지 영상의 형식으로써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함축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썸네일을 정지 영상의 형식이 아닌 현재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의 형식으로 제공하여야 사용자들의 흥미를 크게 유발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 형식의 썸네일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시청을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 방법은,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Mouseover)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Live Thumbnail)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제1 횟수만큼의 반복된 마우스오버로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제1 횟수가 미리 설정해 놓은 제2 횟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라이브 썸네일 또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제1 횟수로 누적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장 응답에 따라 상기 어느 한 영상을 상기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1 시간동안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Mouse Cursor)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남긴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를 상기 어느 한 동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점, 댓글, 및 좋아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 장치는,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Mouseover)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상기 마우스오버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Live Thumbnail)을 제공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우스 오버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제1 횟수만큼의 반복된 마우스오버로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제1 횟수가 미리 설정해 놓은 제2 횟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라이브 썸네일 또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제1 횟수로 누적하는 계수기(Counter)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기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기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스트리밍 제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장 응답에 따라 상기 어느 한 영상을 상기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제1 횟수로 누적하는 계수기(Counter)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기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기와,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스트리밍 제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상기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1 시간동안 제공한 후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Mouse Cursor)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남긴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고, 상기 평가를 상기 어느 한 동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점, 댓글, 및 좋아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스트리머가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실시간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터넷 동영상 제공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들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썸네일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고 해당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입장을 유도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사용자가 썸네일 제공 장치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남기는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실시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스트리머가 실시간 스트리밍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실시간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최근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 분야는 꾸준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을 수 있다. 사용자들은 더 이상 전통적인 매체인 TV로만 영상을 접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PC(Personal Computer), 및 Tablet PC 등 다양한 장치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분야는 크게 VOD(Video On Demand) 시장과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송 시장으로 나뉠 수 있다. 현재까지의 콘텐츠 공급량으로 보면, VOD 시장의 점유율이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시장의 점유율보다 우세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시장은 실시간 영상 촬영 및 영상 송출 장비의 발달과 다양한 인터넷 콘텐츠가 맞물려 그 수요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일 수 있다.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시장은 스트리머(11)가 사용하는 고화질의 인터넷 스트리밍 장비의 발전과, 사용자들(19)이 사용하는 모바일(Mobile) 장치 등의 발전으로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15)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져 관련 시장도 크게 성장했을 수 있다. 스트리머(11)는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15)을 하는 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머(11)는 최근 인터넷 상에서 범람하는 천문학적인 양의 정보 및 지식들을 가공하여 영상 콘텐츠로 재생산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양질의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 시장은 스트리머들이 생산해내는 양질의 영상 콘텐츠들로 인해 크게 성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Thumbnail; 22)은 해당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요약, 브라우징(browsing), 또는 탐색(searching) 등의 목적으로 인터넷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을 원래의 크기 보다 작게 정지 영상으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즉, 인터넷 동영상에 쓰이는 썸네일은 보통 동영상의 형식이 아닌 정지 영상의 형식으로써 인터넷 동영상에 대한 함축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의 경우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썸네일을 정지 영상의 형식이 아닌 현재 스트리밍되는 동영상의 형식으로 제공하여야 사용자들의 흥미를 크게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경우 스트리머(11)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실시간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스트리머(11)는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관련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을 미리 제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들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되는 영상을 정지 영상 썸네일이 아닌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로 미리 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머와 사용자가 상호 소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썸네일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은 사용자 장치(100),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한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는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썸네일(이하,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제공하는 서비스로 인해 사용자는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 컨텐츠를 이용할 때 직접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의 페이지에 입장하지 않고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 상에서 먼저 컨텐츠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라이브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스트리밍 동영상 컨텐츠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라이브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스트리밍 컨텐츠를 고르는데 낭비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라이브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머 및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플랫폼의 입장에서는 사용자의 스트리밍 동영상 시청 유도를 통해 잠재적인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 기능을 웹 플레이어에 구현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은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이하, Grading System)을 웹 플레이어에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구현하는 Grading System의 경우에는 평가 결과를 제출하는 Back-End Server와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시스템(30)이 구현하는 Grading System은 Javascript, Video.js, 및 Node.js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썸네일 제공 장치(200)로부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라이브 썸네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0)는 PC(또는 데스크탑), 랩탑(laptop) 컴퓨터, 이동 전화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obile internet device(MID)),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EDA(enterprise digital assistant),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ND(personal navigation device 또는 portable navigation device), 휴대용 게임 콘솔(handheld game console), e-북(e-book),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smar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또는 스마트 밴드(smart band)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행위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Pointer)의 이동 정보를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PC의 포인팅 장치인 마우스(Mouse)를 이동함에 따라 이동하는 마우스 커서(Cursor)의 이동 정보를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00)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와 같이 터치 방식으로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에 대한 행위를 입력받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이동하는 포인터 등의 이동 정보를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포인터를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의 썸네일 영역에 포함시킨 마우스오버(Mouseover)에 대한 신호를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포인터의 이동 정보는 마우스오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썸네일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포인터의 이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서버(300)에 포인터의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라이브 썸네일 생성에 필요한 스트리밍 데이터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라이브 썸네일 생성에 필요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스트리밍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브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라이브 썸네일을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남긴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저장하고,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가 사용자의 평가를 스트리밍 동영상과 함께 제공함으로써, 스트리머와 이용자 간의 피드백을 통해 스트리머가 콘텐츠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이용자 맞춤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Grading System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고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평가를 하고 싶을 때, 동영상의 재생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비동기적 방법으로 평점을 제출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Grading System을 통해 스트리머나 이용자들은 평점이나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의 순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CSS와 Javascript, 및 JQuery를 이용해 독자적인 그래픽 UI(User Interface)와 시각적인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만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 표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라이브 썸네일 및 사용자가 남긴 평가의 제공을 영상 오픈 api인 Video.js를 따라 Node.js를 이용해 구현하고, 세부적인 표현은 CSS와 JQuery를 함께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Wowza Streaming engine 과 DASH 기술을 채택하여 실시간 웹 플레이어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는 Javascript를 활용하고, Video.js, Node.js 등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DASH(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란 MPEG에서 만든 HTTP 웹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고품질로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일 수 있다. DASH는 스트리밍의 기준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플랫폼과 장치들에 단일적이고 통합적인 스트리밍 데이터의 전달로 기존의 미디어 전달의 복잡성을 해결했을 수 있다. DASH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전송률, 해상도 따위의 파라미터를 달리하여 작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이용자의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전송률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기술이다. 컨텐츠를 전송할 때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콘텐츠 전송을 동적으로 하기 때문에 최적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기술이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의 상세한 동작에 관하여는 도 4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서버(300)는 사용자 장치(100)로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Wowza Streaming Server의 Wowza streaming engine 서비스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Wowza Streaming Server의 Wowza streaming engine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 장치(100)가 Html 5에서 제공하는 오픈 라이브러리 Video.js를 이용해 기본적으로 웹에서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Wowza Streaming Engine이란 실시간 스트리밍 솔루션일 수 있다.
서버(300)가 이용하는 Wowza Streaming Engine을 통해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가 플랫폼에 얽매여 있는 것과 달리 독자적인 스트리밍 서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Wowza Streaming Engine를 통해 라이브 영상이나 VOD 영상을 다양한 프로토콜, 다양한 장치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는 썸네일 제공 장치(200)의 스트리밍 데이터 요청이 있는 경우 썸네일 제공 장치(200)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썸네일 제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수신기(220), 및 컨트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220)는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를 수신할 수 있다. 마우스오버를 수신한다는 것은 실시간 스트리밍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의 썸네일 영역에 포인터가 포함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수신기(220)는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동영상들의 라이브 썸네일 제작에 필요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기(220)는 사용자가 남긴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마우스오버에 응답하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마우스 오버에 응답하여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데이터가 추출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사용자가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반복된 마우스오버로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경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가 미리 설정해 놓은 라이브 썸네일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라이브 썸네일 또는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라이브 썸네일을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동안 제공한 후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사용자의 포인터 및/또는 마우스 커서(Mouse Cursor)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역을 벗어난 경우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중단하고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영상 썸네일은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을 송출하는 스트리머가 미리 저장해놓은 영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지 영상 썸네일은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에서 추출한 정지 영상일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사용자가 남긴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기록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는 사용자가 남긴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스트리밍 동영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점, 댓글, 및 좋아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240)의 상세한 동작은 도 5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40)는 계수기(242), 판단기(244), 썸네일 제공기(246), 및 스트리밍 제공기(248)을 포함할 수 있다.
계수기(242)는 사용자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누적할 수 있다. 계수기(242)는 누적한 라이브 썸네일 제공 횟수를 판단기(244)로 전송할 수 있다.
판단기(244)는 라이브 썸네일 제공 횟수가 미리 정해놓은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기(244)는 판단 결과를 썸네일 제공기(246) 또는 스트리밍 제공기(248)로 전송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기(246)는 라이브 썸네일 제공 횟수가 미리 정해놓은 라이브 썸네일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제공기(248)는 라이브 썸네일 제공 횟수가 미리 정해놓은 라이브 썸네일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스트리밍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제공기(248)는 스트리밍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제공기(248)는 라이브 썸네일 제공 횟수가 미리 정해놓은 라이브 썸네일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한 경우 스트리밍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 제공기(248)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에 사용자가 입장 응답을 한 경우 스트리밍 동영상을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트리밍 제공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를 통한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으로의 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61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00)를 통한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의 열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62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에 포함된 스트리밍 동영상들의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63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 중에서 어느 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한 경우 어느 한 스트리밍 동영상의 썸네일 영역에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할 수 있다(64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현재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65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현재 사용자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한 경우 팝업창을 생성 후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입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66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현재 사용자가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우스오버된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라이브 썸네일을 재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670).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영역에 마우스오버되지 않고 포인터가 썸네일 영역을 이탈한 경우(680), 해당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690).
도 7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a) 및 (b)는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을 나타낸다. (a)에서,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의 A tv(730)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735), B tv(750)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755), 및 C tv(770)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775)을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포인터(710)가 B tv(750)의 정지 영상 썸네일 영역에 마우스오버된 경우, 마우스오버에 응답하여 B tv(750)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759)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은 썸네일 제공 장치가 사용자에게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고 해당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입장을 유도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a)는 스트리밍 동영상 목록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트리밍 동영상인 B tv(830)를 나타낸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B tv(830)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835)을 제공할 수 있다.
(b)에서,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스트리밍 동영상 썸네일 영역에 포인터(810)가 마우스오버된 경우 B tv(850)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855)을 제공할 수 있다.
(c)에서,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현재 사용자가 B tv(850)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 제한 횟수를 초과한 경우 팝업창을 생성 후 B tv(850)에 대한 페이지에 입장을 유도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870).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B tv(850) 페이지 입장 여부를 결정(872, 875)할 수 있다.
(d)에서,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B tv(850) 페이지 입장을 선택한 경우 B tv(850)에 대한 페이지로 이동하여 B tv(850) 단독 페이지에서 해당 스트리밍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890).
도 9는 사용자가 썸네일 제공 장치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남기는 일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스트리밍 동영상에 남긴 평가를 서버(300)에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가 포인터(910)를 통해 평점(930)을 선택하고, 평점(930)을 제출(950)한 경우 평점(930)을 서버(300)에 기록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및 다른 사용자들이 남긴 평점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평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970). 다른 예를 들어,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사용자들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남길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가 제공하는 Grading System은 스트리밍 동영상의 재생 편의를 위하여 Javascript의 Formdata와 Ajax를 이용하여 비동기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썸네일 제공 장치(200)는 Grading System과 스트리밍 동영상의 제공을 비동기적으로 구현함으로써, Grading System과 스트리밍 동영상을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영상이 Redirection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Mouseover)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Live Thumbnail)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제1 횟수만큼의 반복된 마우스오버로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제1 횟수로 누적하는 단계;
    상기 제1 횟수가 제2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에 상기 사용자가 응답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상기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1 시간동안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간이 지난 경우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Mouse Cursor)가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남긴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를 상기 어느 한 동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점, 댓글, 및 좋아요를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방법.
  10.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되는 동영상들의 목록 중에서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마우스오버(Mouseover)를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마우스오버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실시간 동영상으로 제공되는 라이브 썸네일(Live Thumbnail)을 제공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마우스 오버에 응답하여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의 스트리밍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제1 횟수만큼의 반복된 마우스오버로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경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해 마우스오버하여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받은 횟수를 제1 횟수로 누적하는 계수기(Counter);
    상기 제1 횟수가 제2 횟수를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판단기;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기; 및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스트리밍 제공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제1 횟수가 상기 제2 횟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의 단독 페이지에 입장을 권유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장 응답에 따라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상기 단독 페이지에서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제공기는,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을 팝업(Pop-up)창을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하여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15. 삭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라이브 썸네일을 제1 시간동안 제공한 후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Mouse Cursor)가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라이브 썸네일의 제공을 중단하고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정지 영상 썸네일을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남긴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고,
    상기 평가를 상기 어느 한 실시간 스트리밍 동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는,
    상기 어느 한 동영상에 대한 평점, 댓글, 및 좋아요를 포함하는
    썸네일 제공 장치.
KR1020180167355A 2018-12-21 2018-12-21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Active KR102137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5A KR102137327B1 (ko) 2018-12-21 2018-12-21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55A KR102137327B1 (ko) 2018-12-21 2018-12-21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39A KR20200077939A (ko) 2020-07-01
KR102137327B1 true KR102137327B1 (ko) 2020-07-23

Family

ID=7160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55A Active KR102137327B1 (ko) 2018-12-21 2018-12-21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234A (ko) * 2021-03-23 2022-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미리보기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및 저장 매체
WO2022212802A1 (en) * 2021-04-02 2022-10-06 Loop Now Technologies, Inc. Inline frame based video rendering within brows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03B1 (ko) * 2006-07-06 2008-04-04 엔에이치엔(주) 온라인 광고 효과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616177B1 (ko) * 2014-03-03 2016-05-12 (주)엠팩토리 인터넷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39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6848B2 (ja) 動画コンテンツのハイライト映像を抽出して提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7710199B (zh) 用于在内容列表中提供内容的系统和方法
EP3346719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a media asset
US201903332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augmented video content
GB2516745A (en) Placing unobtrusive overlays in video content
US9171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n automatic license for mashups
CN103108248A (zh) 一种互动式视频的实现方法和系统
US10419384B2 (en) Social network-defined video events
US108459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serting additional content into a list of content
KR102137327B1 (ko) 스트리밍 동영상의 라이브 썸네일 제공 시스템
US20140282000A1 (en) Animated character conversation generator
CN111316661A (zh) 非线性内容呈现和体验的管理
KR102201021B1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KR20200056859A (ko) 동영상 콘텐츠의 미리보기 동영상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US11856245B1 (en) Smart automatic skip mode
KR20140032687A (ko) 선호도를 반영한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60041038A (ko) 핫 씬 서비스 시스템, 핫 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37842B1 (ko) 툴바를 통해 웹사이트에서 추출한 동영상을 인코딩, 저장하는 방법 및 클라우드 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2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007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06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2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