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297B1 -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 Google Patents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297B1
KR102136297B1 KR1020190054608A KR20190054608A KR102136297B1 KR 102136297 B1 KR102136297 B1 KR 102136297B1 KR 1020190054608 A KR1020190054608 A KR 1020190054608A KR 20190054608 A KR20190054608 A KR 20190054608A KR 102136297 B1 KR102136297 B1 KR 10213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organic solar
layer
insulating 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현
Original Assignee
박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현 filed Critical 박규현
Priority to KR1020190054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421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1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heterojunctions between organic semiconductors and inorganic semiconductors
    • H01L51/0001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25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L2031/0344Organic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11Of specified metal oxide composition, e.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compositions such as ITO, ZnOx
    • Y10S977/812Perovskites and superconducting composition, e.g. BaxSr1-xTiO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태양전지부 및 상기 유기태양전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복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복합시트는 에어가 충진된 복수의 에어포켓을 갖는 에어포켓층과, 상기 에어포켓층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을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는 유기태양전지부 상에 단열복합시트가 구비됨으로써 창문의 내부에 설치 시 전지 효율을 확보함과 동시에 단열성을 높여 겨울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ORGANIC SOLAR CELL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ON}
본 발명은 광전지로서의 기능 외에도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는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지로 공해가 적고 자원이 무한적이며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지고 있으므로 미래의 유력한 대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태양전지는 주로 실리콘이 사용되는데, 실리콘 재질의 태양전지는 20%의 에너지 전환효율과 20년 이상의 긴 수명을 갖지만 제조 공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실리콘 재질을 대체할 수 있는 그래핀을 활용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와 같은 재료에 대한 개발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은 페로브스카이트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페로브스카이트 내 불순물로 작용하는 금속할로겐화합물을 반응시켜 제거함으로써 단락 전류값 및 광전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를 적용한 태양전지를 광전지로서의 기능 외에 다른 기능도 함께 탑재하여 좀 더 다양한 분야에 보다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794988 B
본 발명은 광전지로서의 기능 외에도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는 유기태양전지부 및 상기 유기태양전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복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복합시트는 에어가 충진된 복수의 에어포켓을 갖는 에어포켓층,
상기 에어포켓층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기태양전지부 및 상기 단열복합시트 사이에는 접착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0.01~2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포켓층은 복수의 수납부가 구비된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포켓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세트산비닐(vinylacet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태양전지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광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활성층의 상면은 상기 제1 단열층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열층은 아연(Zn), 주석(Tin), 백금(Pt), 금(Au), 니켈(Ni), 구리(Cu), 철(Fe), 망간(Mn), 은(Ag), 지르코늄(Zr), 티타늄(Ti), 인(In), 루비듐(Ru), 팔라듐(Pd), 로듐(Rh), 로렌슘(Ir), 오스뮴(Os), 탄소(C),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태양전지부 상에 단열복합시트가 구비됨으로써 창문의 내부에 설치 시 전지 효율을 확보함과 동시에 단열성을 높여 겨울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단열복합시트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완화 또는 외부 요소와의 접촉이 차단되어 유기태양전지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창문에 부착된 본 발명의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의 구성 및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창문에 부착된 본 발명의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1000)는 통상 창문(1)에 부착형으로 제공되어 태양으로부터 생성된 빛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유기태양전지부(100)와 유기태양전지부(1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방음 및 단열 성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단열복합시트(2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유기태양전지(100)는 기판(110), 기판(110) 상에 제1 전극(120), 광전 변환을 위한 광활성층(130), 제2 전극(140)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다.
기판(110)은 빛이 일차적으로 입사되는 영역으로 빛의 투과율이 우수하면서도 태양전지 내의 내부 단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10)은 석영 또는 유리와 같은 무기 기판 또는 폴리노보넨(poly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비스페놀에이폴리설폰(bisphenol-Asulfone), 폴리이미드(polyimid),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렌(polyethylenenaphthalene),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polyethylenesulfonat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으나 유연하면서도 높은 화학적 안정성, 기계적 강도 및 광투과도를 갖는 재질라면 그 사용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기판(11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10~2000㎛, 바람직하게는 50~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1000㎛일 수 있고, 필름 또는 시트 형태일 수 있다. 기판(110)은 용액 캐스팅 또는 필름 압출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 코팅 또는 코로나, 아르곤,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오존 처리, 반응 기체를 유입한 이온빔 처리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주택, 빌딩 등의 창문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점착층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점착층은 기판의 전체 면적과 동일한 면적, 즉 100%를 차지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20~7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0%를 차지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되는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점착력의 정도에 따라 20~100%의 비율 범위내에서 조정하여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점착층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메틸에틸케톤(methylethylketone), 톨루엔(toluene),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및 충진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조성물로 한정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120)은 기판(110) 상에 열증착법, 진공증착법 중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광활성층(130)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층으로, 투명도가 높은 것이 좋으며, 투명전극, 작업전극 또는 반도체 전극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20)은 인듐 틴 옥사이드(ITO; indium-tin oxide),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TO; fluorine-doped tin oxide), 알루미늄이 도핑된 산화아연(ZnO-Al2O3), 갈륨이 도핑된 아연산화물, 산화알루미늄주석(ATO; aluminium-tin oxide), 산화아연(ZnO), 그래핀(graphene)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인듐 틴 옥사이드(ITO; indium-tin oxide)일 수 있으나,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물질이라면 그 사용에 크게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1 전극(120)은 하기 후술할 제2 전극(140)과는 상이한 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전극(120)이 양극이면 제2 전극(140)은 음극일 수 있고, 반대로 제1 전극(120)이 음극이면 제2 전극(140)은 양극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전극(120)은 양극이고, 제2 전극(140)은 음극이다.
광활성층(130)은 제1 전극(120) 상에 스핀코팅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밴드갭이 작은 유기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활성층(130)은 PBDTTTC(poly[4,8-bis-alkyloxybenzo[1,2-b:4,5-b']dithiophene-2,6-diyl-alt-[alkyl thieno[3,4-b]thiophene-2-carboxylate]-2,6-diyl), PTB7 (Poly[[4,8-bis[(2-ethylhexyl)oxy]benzo[1,2-b:4,5-b']dithiophene-2,6-diyl][3-fluoro-2-[(2-ethylhexyl)carbonyl]thieno[3,4-b]thiophenediyl]]), PCPDTBT (poly[2,6-(4,4-bis-(2-ethylhexyl)-4H-cyclopenta[2,1-b;3,4-b'] dithiophene)-alt-4,7-(2,1,3-benzothiadiazole)]), PC61BM [6,6]-phenyl-C61-butyric acid methyl ester), PC71BM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제2 전극(140)은 광활성층(130) 상에 열증착법, 진공증착법 중 선택되는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전층, 금속전극 또는 상대전극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140)은 아연(Zn), 주석(Tin), 백금(Pt), 금(Au), 니켈(Ni), 구리(Cu), 철(Fe), 망간(Mn), 은(Ag), 지르코늄(Zr), 티타늄(Ti), 인(In), 루비듐(Ru), 팔라듐(Pd), 로듐(Rh), 로렌슘(Ir), 오스뮴(Os), 탄소(C), 알루미늄(Al)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일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140)은 50~100nm의 두께로 설계함으로써 투명성을 확보하면서도 기판(110)면에 입사되는 광뿐만 아니라 제2 전극(140)면에 입사되는 광을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메쉬(mesh), 또는 그리드 패턴(grid pattern)으로 형성하거나 금속 와이어를 메쉬 또는 그리드 형태로 배치함으로써 격자(lattice) 내부로 광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열복합시트(200)는 유기태양전지부(100) 상에 적층형성되며, 에어가 충진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갖는 에어포켓층(210) 및 에어포켓층(21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단열층(220) 및 제2 단열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층은 접착, 점착, 접촉, 융착, 열융착, 열접합, 압축, 고정 등의 결합관계에 의해 층과 시트를 쌓는 것을 총칭할 수 있다.
단열복합시트(200)는 유기태양전지부(100)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복합시트(200)의 수가 증가할수록 단열성능도 함께 높아질 수 있으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으므로 그 수를 10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2~3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좋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10이상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단열복합시트(200)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거나 외부 요소와의 접촉을 차단시킴으로써 플렉서블하고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유기태양전지부(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태양전지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우선, 에어포켓층(210)은 복수의 수납부가 구비된 포켓부(212), 포켓부(212)의 수납부에 형성되며, 에어가 충진된 다수의 에어포켓(211)을 포함한다. 포켓부(212)는 복수 개의 반원구조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포켓부(212)의 구조 또는 배열은 유기태양전지의 사용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예로 창문에 부착되는 경우 반원구조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반원구조에서 볼록한 영역은 제1 단열층(220)과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수납부에 형성된 에어포켓(211)은 제2 단열층(230)과 접촉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어포켓(211)은 포켓부(212) 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포켓부(212)의 구조에 의해 에어포켓층(21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내충격성이 좋고 방음 및 단열 효과가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에어포켓층(210)의 양면에는 각각 제1 단열층(220)과 제2 단열층(230)이 점착, 접착, 접촉, 열접합, 융착, 열융착, 압축, 고정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단열층(230)은 제1 단열층(220) 또는 에어포켓층(210)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외부충격을 1차 적으로 받는 부분이므로 제1 단열층(220) 또는 에어포켓층(210)보다 강도가 더 높은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에어포켓층(210), 제1 단열층(220) 및 제2 단열층(23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세트산비닐(vinylacet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폴레에틸렌(polyethylene)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단열층(220)과 제2 단열층(230)의 두께를 동일하게 도시하고 있지만 최외곽에 위치하는 제2 단열층(230)의 두께를 단열 또는 충격 완화를 위해 제1 단열층(220)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열층(220)과 제2 단열층(230)은 각각 0.02~0.1t의 두께를 가지며 제1 단열층(220)에 대한 제2 단열층의 두께비는 1~3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기태양전지부(100) 및 단열복합시트(200) 간에는 접착층(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300)은 유기태양전지부(100)의 제2 전극(140)과 단열복합시트(200)의 제1 단열층(220) 사이에 구비되어 유기태양전지부(100)와 단열복합시트(200) 간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긴밀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00)은 제2 전극(140) 또는 제1 단열층(220)의 전체 면적과 동일한 면적, 즉 100%를 차지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2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80%를 차지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되는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접착력의 정도에 따라 20~100%의 비율 범위 내에서 조정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테두리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일정한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접착층(300)은 용제형, 에멀젼형, 감압, 제습성, 중축합형, 무용제형, 필름형, 핫멜트형 등 온도변화에 따라 접착력을 가지거나 고체 또는 액체 등 다양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00)은 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지 외에 충진제, 용매, 및 다양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충진제는 칼슘,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콘의 산화물이나 무기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용매는 친수성 용매 및 소수성 용매를 포함하고, 친수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등을 포함하며, 소수성 용매는 톨루엔, 헥산, 헵탄, 씨클로 헥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은 통상 5 내지 2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일 수 있다. 두께가 5㎛ 미만이면, 접착력을 안정적으로 발현시키기 어려워 유기태양전지부(100)와 단열복합시트(200)가 분리되기 쉽고, 20㎛ 초과하면,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이 나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접착층(300)의 전기적 특성은 제한되지 않으며, 비전도성, 반도체, 전도체 등의 특성을 지닐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는 유기태양전지부(100) 및 유기태양전지부(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복합시트(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기태양전지(100)는 기판(110), 기판(110)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는 제1 전극(120), 광활성층(130)을 포함하고, 단열복합시트(400)는 에어포켓층(410), 에어포켓층(41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단열층(420) 및 제2 단열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단열복합시트(400)에서 제1 단열층(420)은 광활성층(130)의 상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구비되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세트산비닐(vinylacet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아연(Zn), 주석(Tin), 백금(Pt), 금(Au), 니켈(Ni), 구리(Cu), 철(Fe), 망간(Mn), 은(Ag), 지르코늄(Zr), 티타늄(Ti), 인(In), 루비듐(Ru), 팔라듐(Pd), 로듐(Rh), 로렌슘(Ir), 오스뮴(Os), 알루미늄(Al), 그래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Al) 또는 그래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1 단열층(420)은 제2 전극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 가능하여 제2 전극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전지의 두께를 매우 얇게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기태양전지부(100) 상에 단열복합시트(200)가 구비됨으로써 창문의 내부에 설치 시 전지 효율을 확보함과 동시에 단열성을 높여 겨울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유기태양전지부
200, 400: 단열복합시트
300: 접착층

Claims (7)

  1. 유기태양전지부; 및
    상기 유기태양전지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복합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복합시트는 에어가 충진된 복수의 에어포켓을 갖는 에어포켓층;과
    상기 에어포켓층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을 포함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로서,
    상기 유기태양전지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1전극 및 광활성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광활성층의 상면에 제1 단열층이 직접적으로 접촉되게 적층되며,
    상기 제1 단열층 상면에는 에어포켓층 및 제2 단열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광활성층과 제1 단열층 사이에 5~20㎛ 두께를 갖는 접착증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1 단열층 및 제2 단열층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아세트산비닐(vinylacetate)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단열층은 아연(Zn), 주석(Tin), 백금(Pt), 금(Au), 니켈(Ni), 구리(Cu), 철(Fe), 망간(Mn), 은(Ag), 지르코늄(Zr), 티타늄(Ti), 인(In), 루비듐(Ru), 팔라듐(Pd), 로듐(Rh), 로렌슘(Ir), 오스뮴(Os), 알루미늄(Al), 그래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켓층은 복수의 수납부가 구비된 포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포켓은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54608A 2019-05-10 2019-05-10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KR102136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08A KR102136297B1 (ko) 2019-05-10 2019-05-10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608A KR102136297B1 (ko) 2019-05-10 2019-05-10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297B1 true KR102136297B1 (ko) 2020-07-21

Family

ID=71832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608A KR102136297B1 (ko) 2019-05-10 2019-05-10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2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25A (ko) * 2009-05-15 2010-1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면 태양 전지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2856A (ko) * 2015-07-26 2017-02-03 김경환 점착식 보온 단열 포장재
KR101794988B1 (ko) 2016-04-28 2017-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페로브스카이트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태양전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3425A (ko) * 2009-05-15 2010-11-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양면 태양 전지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2856A (ko) * 2015-07-26 2017-02-03 김경환 점착식 보온 단열 포장재
KR101794988B1 (ko) 2016-04-28 2017-11-08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페로브스카이트 광흡수층 제조방법 및 이를 적용한 태양전지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099997A (ja) 透明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透明電極を用いた電子デバイス
CN103460433A (zh) 用于敏感元件的封装的多层部件
JP2012064645A (ja) 有機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21692A1 (en) Flexible Transparent-Semitransparent Hybrid Solar Window Membrane Module
KR101705468B1 (ko) 양면형 태양전지
CN102939665A (zh) 太阳能电池组件
JP2010021498A (ja) 薄膜太陽電池、太陽電池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構造体
JP2013168672A (ja) 膜状太陽電池及び太陽電池パネル
US201703173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parent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JP6072586B2 (ja) 遮断熱機能を有する太陽光発電フィルム
JP6094572B2 (ja) 有機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有機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791156B2 (ja) 有機光電変換素子及び有機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791168B2 (ja) 光電変換素子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27634A (ja) 有機光電変換素子
JP201209474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425735A (zh) 电子装置
KR102136297B1 (ko) 단열기능을 갖는 유기태양전지
JP2016186156A (ja) 太陽電池一体型壁材
KR101948993B1 (ko) 유기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
CN105870230A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
JP2011254073A (ja) ロールスクリーンシステム
JP2015194072A (ja) 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6058606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7069395A (ja) 有機薄膜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948994B1 (ko) 유기태양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