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103B1 -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 Google Patents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103B1
KR102136103B1 KR1020180165055A KR20180165055A KR102136103B1 KR 102136103 B1 KR102136103 B1 KR 102136103B1 KR 1020180165055 A KR1020180165055 A KR 1020180165055A KR 20180165055 A KR20180165055 A KR 20180165055A KR 102136103 B1 KR102136103 B1 KR 102136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e jacket
seat
vehicle
life
j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190A (ko
Inventor
김현정
이관훈
임아영
박수미
임지훈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8Inflatable equipment characterised by the gas-generating or inflation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2Refl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72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29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 B63C2009/0041Inflation devices comprising automatic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activated by presence of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2009/0023Particular features common to inflatable life-saving equipment
    • B63C2009/007Inflation devices comprising manual activation means, e.g. for puncturing gas-generatin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가 개시된다.  구명 조끼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사람의 목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을 중심으로 복수의 경계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경계들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Life Jacket Fixed To The Seat Of Vehicle}
아래의 설명은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가 들어가지 않은 구명 조끼를 이동 수단의 좌석에 보관하여 위급 시, 보다 쉽게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우는 12시간 내에 80mm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경우를 말한다. 단시간에 많은 비가 오는 것을 강우 또는 집중호우라고 하고, 반드시 단시간에 한하지 않고 총 강수량이 많은 것을 호우라고 한다. 홍수 및 침수 등의 피해를 발생하게 하는 정도의 많은 비를 가리킨다.
호우는 정확한 예보가 어렵고, 좁은 지역에 순식간에 내리기 때문에 피해가 크다. 보통 한 시간에 20~30mm의 비가 내리면 우산을 써도 비에 젖게 되고, 하수구가 넘치기 시작한다. 그리고, 시간당 30mm - 50mm의 비에는 허술한 축대가 붕괴되기 시작하고 산사태의 발생 가능성도 증가한다. 더욱이, 2000년대에는 1시간에 50mm 이상의 폭우는 1년 평균 10.2일 발생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호우 시, 부득이하게 운전을 해야 하는 경우, 시야가 잘 확보되지 않으며, 길이 미끄럽기 때문에 차량 간의 전복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는 증가하는 폭우로 인해 시내 주요 저지대가 침수되는 상황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 피해도 또한 적지 않게 발생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침수했을 때, 비상탈출망치를 이용해 차량에서 탈출을 시도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영을 못하는 경우 그래도 인명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차량 내 구명 조끼가 구비되어 있더라도,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과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이 많다.
그리고, 구명 조끼의 부력재는 다소 딱딱하여서 신체 활동이 불편하여 착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후자의 공기 팽창식 구명조끼의 경우에는 가볍고 착용이 간편하며 부력이 크지만, 에어튜브 및 에어유니트가 날카로운 것에 긁히거나 찔리면 쉽게 손상 및 파손됨으로 위급상황 시, 재역할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긴급 상황 시,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구명 조끼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위급 상황에서 구호 장비의 사용 기회 확대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해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위급 상황 발생시, 이동 수단의 좌석에서 꺼내어, 보다 쉽게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o2 카트리지를 사용한 자동 팽창 방식의 구명 조끼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매뉴얼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직관적인 구조를 통한 구명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상단에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갖는 구명 조끼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 조끼의 일부분은 외력에 의해 폴딩됨으로써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명 조끼 외피는, 중앙 부분에 폴딩될 수 있는 경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를 중심으로 폴딩되면 상기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밀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물 감지 여부에 따라 카트리지에 의해 자동으로 팽창되는 구명 조끼 내피-상기 카트리지는 Co2 가스가 압축된 실린더와 연결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 외피는, 상기 구명 조끼 내피가 자동으로 팽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손잡이가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 외피는, 상기 구명 조끼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목 보호 쿠션; 및 사고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야광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가운데 부분이 폴딩될 수 있어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부 영역은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체결 부재가 배치된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되는 구명 조끼 외피; 및 상기 구명 조끼 외피의 안쪽으로 밀착 배치되는 구명 조끼 내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위급 상황에서 구호 장비의 사용 기회 확대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해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위급 상황 발생시, 이동 수단의 좌석에서 꺼내어, 보다 쉽게 착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는 Co2 카트리지를 사용한 자동 팽창 방식의 구명 조끼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매뉴얼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직관적인 구조를 가지는 구조 장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적용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의 좌석의 좌석에 폴딩된 구명 조끼가 밀착되어 고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의 좌석의 좌석에 밀착되기 위해 폴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적용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구명 조끼(101)는 해상 또는, 기상 이변에 의한 사고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명 조끼는 버스, 배, 비행기 등의 대중 교통 수단과 같은 이동 수단(102)의 비상 보관함 또는, 트렁크 등 일정 공간 상에 보관되어 있어, 위급 상황 시, 사용자는 구명 조끼를 보관하는 장소 또는 공간으로 이동한 후, 착용해야 한다. 이는 사용자의 생명을 보호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로 나타난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제안하는 구명 조끼(101)는 위급 상황에 적응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명 조끼(101)는 버스, 배와 같이 침수 가능성이 있는 교통수단과 같은 이동 수단에 배치된 좌석(100)에서 등받이의 커버처럼 씌울 수 있는 구조로 제안될 수 있다.
즉, 평소에서는 이동 수단의 좌석(100)의 일부 영역을 덮는 커버로 활용되다가, 이동 수단이 침수/침몰되는 상황과 같이 긴급 상황인 경우에 좌석(100)에서 이탈되어 구명 조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세하게, 구명 조끼(101)는 이산화탄소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수단의 좌석(100)의 등받이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일자로 펼쳐진 구명 조끼(101)의 일부 영역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다.
구명 조끼(101)에 배치된 체결 부재를 통해 구명 조끼(101)가 폴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 구명 조끼(101)는 외력에 의해 폴딩된 후, 구명 조끼(101)에 배치된 벨크로, 고리, 버튼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101)는 이동수단의 좌석(100)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구명 조끼(101)이 폴딩되어 가로 형태로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배치되어 밀착된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구명 조끼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명 조끼(101)의 중앙 부분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폴딩될 수 있는 경계를 가진다. 그리고, 구명 조끼(101)가 폴딩되어 이동 수단의 좌석에 장착될 경우, 구명 조끼(101)에서 사용자의 목이 통과하는 개방 영역에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구명 조끼(101)는 폴딩된 상태로 이동 수단(102)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씌워 좌석(100)의 커버로 사용하면서도 구명 조끼(101)를 보다 쉽게 발견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위급 시, 이동 수단의 좌석(100)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여 구명 조끼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명 조끼(101)는 Co2카트리지를 이용한 자동 팽창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어린 아이, 노인 등의 구별 없이 보다 쉽게 착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이동 수단은 호우, 태풍 등의 기상 이변에 의한 침수가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수단이 침수됨에 따른, 탈출을 시도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이동 수단이 침수된 높이 또는,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안전을 위한 구명 조끼(101)를 착용할 수 있다.
여기서, 구명 조끼(101)는 이동 수단에 탑승한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적응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이동 수단의 좌석(100)의 커버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103)는 이동 수단의 좌석(100)의 커버로 사용 중인 구명 조끼(101)를 꺼내어, 착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명 조끼(101)는 위급 상황에서 구호 장비의 사용 기회 확대 및 사용성 증대를 위해 이동 수단의 좌석(100)에 밀착하여 보관함으로써, 위급 상황 발생시, 이동 수단의 좌석에서 꺼내어, 보다 쉽게 착용 가능한 구명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명 조끼(101)는 자동 팽창 방식을 활용함에 따라 별도의 매뉴얼 없이도 사용이 가능한 직관적인 구조를 통한 구명 조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구명 조끼는 Co2 카트리지(207)를 사용한 자동 팽창 방식의 조끼로써, 구명 조끼의 부력재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줄고, 폴딩(접이)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명 조끼는 구명 조끼 외피(201), 구명 조끼 내피(202), 벨크로(203), 벨크로 고정띠(206), 수동 손잡이(204), GPS 장치(205), Co2 카트리지(207), 야광 반사판(208)로 구성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201)는 물과의 접촉에 따른 건조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네오플랜 원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네오플랜 원단은 흡습성이 낮은 재질로 면과 다르게, 구김이 가지 않으며, 강도/내추성(구김의 성질)이 향상되는 특징을 갖는다. 특히, 네오플랜 원단은 물의 원단 침투가 어려움에 따라, 구명 조끼의 재질로 매우 적합한 원단이다. 이에, 구명 조끼 외피(201)는 네오플랜 원단으로 구현됨에 따라, 구명 조끼의 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201)는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되기 위해 사용자의 목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 영역을 가진다. 그리고, 구명 조끼 외피(201)는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될 수 있도록 좌석의 등받이의 상단을 중심으로 분리될 수 있는 경계를 가진다. 여기서, 경계 부분은 구명 조끼 외피(201)의 앞면 중앙부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 외피(201)가 폴딩되면, 구명 조끼 외피(201)의 상단과 하단은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의 양쪽 끝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명 조끼 외피(201)가 폴딩된 이후에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된 결과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구명 조끼 외피(201)는 사용자의 목이 통과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폴딩될 수 있는 경계를 중심으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명 조끼 외피를 가로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명 조끼 외피의 앞면의 중앙 부분에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 외피의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면서도 세로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앞면과 뒷면의 상단 부분에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을 중심으로 앞면의 한 부분은 뒷면의 한 부분과 계속 연결되나, 앞면의 나머지 부분은 뒷면의 나머지 부분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즉, 앞면의 나머지 부분은 뒷면의 나머지 부분과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구명 조끼를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하는 경우, 또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서 이탈시켜 사용자가 구명 조끼를 착용할 때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201)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경계를 중심으로 폴딩되어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될 수 있다.
구명 조끼의 앞면과 뒷면의 길이가 다른 경우, 앞면의 길이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서 전체 영역에 대응하고, 뒷면의 길이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서 일부 영역에 대응한다. 한편, 구명 조기의 앞면과 뒷면 모두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폴딩의 기준선이 되는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수단의 좌석은 전부 동일한 크기를 가지지만,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신체 크기는 다르다. 그래서, 위급 상황일 때, 이동 수단의 좌석에서 구명 조끼가 이탈되어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을 위해 도 9의 3번 과정에서 볼 수 있듯이, 구명 조끼의 앞면과 뒷면의 일부분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이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될 때도 편의성이 제공된다.
구명 조끼 외피(201)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GPS 장치는 구명 조끼 내피(202)가 팽창하면, 즉각적으로 동작하여 구명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GPS 장치는 장치에 내장된 배터리 또는, 수면의 움직임에 의한 에너지로부터 구명 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구명 확률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구조자는 구명 조끼로부터 발생된 구명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여 구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조자는 구명 신호에 따른 이동 수단의 탑승자 전원에 대한 위치 확인이 가능함에 따라, 구조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명 조끼 외피(201)는 구조자들이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야광 반사판(208)이 배치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201)는 구명 조끼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목 보호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구명 조끼 내피(202)는 구명 조끼 외피(201)의 안쪽으로 밀착 배치될 수 있다. 구명 조끼 내피(202)는 Co2 카트리지(207)와 연결된다. Co2 카트리지(207)는 수동으로 작동하여 Co2 가스가 확산되면서 팽창하거나 또는 물 감지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팽창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Co2 카트리지(207)는 부력재로 폴리에텔린을 사용함에 따라, 구명 조끼 내피(202)의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Co2 카트리지(207)는 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터져 구명 조끼 내피(202)를 팽창시킬 수 있다. 구명 조끼 내피(202)는 Co2 카트리지(207)에 의해 자동으로 팽창됨에 따라, 부력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Co2 카트리지(207)가 물에 접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팽창하지 않는 경우, 구명 조끼는 구명 조끼 외피(201)에 배치된 수동 손잡이를 이용하여 Co2 카트리지(207)를 구성하는 실린더를 터트릴 수 있다. 실린더가 터지면, 구명 조끼는 팽창하면서, 부력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구명 조끼는 이동 수단을 탑승한 상태에서 발생된 사고에 따른 사용자의 접근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명 조끼는 구명 조끼 외피(201)의 전면과 후면에 배치된 벨크로(203) 및 벨트로 고정띠(206)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는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의 좌석의 좌석에 폴딩된 구명 조끼가 밀착되어 고정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를 살펴보면, 구명 조끼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의 커버로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자세하게, 구명 조끼는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구명 조끼는 구명 조끼에 개방되어 있는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해 폴딩될 수 있다. 구명 조끼는 구명 조끼에 배치된 체결 부재에 의해 폴딩된 상태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태가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구명 조끼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오플랜 원단으로 구현된 조끼로써, 폴딩이 용이함에 따라, 커버로의 활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의 (b)를 살펴보면, 구명 조끼는 상단에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갖는 구명 조끼 외피를 포함할 수 있다. 구명 조끼의 상단은 그 형태가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는, 상단을 중심으로 체결 부재가 배치된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되고, 앞면과 뒷면은,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구명 조끼는 물에서의 부력을 상승하기 위하여, 구명 조끼의 어깨 부분에 부력재를 삽입할 수 있다. 구명 조끼는 부력재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의 좌석의 좌석에 밀착되기 위해 폴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구명 조끼는 체결 부재가 배치된 앞면과 뒷면으로 구분되는 구명 조끼 외피 및 구명 조끼 외피의 안쪽으로 밀착 배치되는 구명 조끼 내피를 포함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는 폴딩이 용이한 네오플랜 원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명 조끼는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개방되어 있고, 일부 영역을 중심으로 외력에 의해 폴딩되어 구명 조끼가 이동 수단의 좌석에 밀착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구명 조끼는 위급 상황 시, 이동 수단의 좌석에서 이탈되어, 상태를 고정시킨 체결 부재가 해제될 수 있다. 체결 부재가 해제되면, 구명 조끼는 외력이 가해진 반대 방향으로 펼쳐지면서, 사용자에게 착용한 원래의 상태로 회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래의 상태로 회복된 구명 조끼를 착용함으로써, 위험한 외부 상황으로부터 자신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후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실제 예시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동일한 도면 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구명 조끼는 앞면(A면, B면)과 뒷면(C면, D면)으로 구성되는 구명 조끼 외피(501), 구명 조끼 내피(502), 고정 부재인 벨크로(503)와 벨크로 접착선(505), 손잡이(504) 및 야광 반사판(5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구명 조끼 외피(501)에서 사용자의 목이 통과하는 개방 영역의 주변에 목을 보호하기 위한 쿠션(507)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 외피(501)의 앞면에 배치된 벨크로 접착선(505)이 확장되어 뒷면에 배치된 벨크로(5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510)는 구명 조끼가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하기 위해 구명 조끼가 폴딩되는 경우, 폴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도 한다. 또한, 구명 조끼 내피(502)의 일부분에는 Co2 카트리지(513)와 상비약 등의 응급처치 키트를 내장하기 위한 주머니(514)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구명 조끼 외피(501)를 폴딩하기 위한 기준선인 경계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구명 조끼 외피(501)에서 앞면을 구성하는 양쪽면인 A면과 B면을 구분하기 위해, 경계(508)가 구명 조끼 외피(501)의 앞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경계(508)를 기준으로 구명 조끼 외피(501)가 외력에 의해 폴딩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 외피(501)의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기 위해, 경계(509)가 앞면의 상단과 뒷면의 상단에 형성된다. 경계(509)를 기준으로 구명 조끼 외피(501)가 외력에 의해 폴딩될 수 있다.
한편, 구명 조끼 외피(501)의 뒷면을 구성하는 양쪽 면인 C면과 D면을 구분하기 위해, 구명 조끼 외피(501)의 뒷면의 중앙 부분에 경계(5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명 조끼 내피(502)에서도 구명 조끼 외피(501)의 경계(508)에 대응하는 경계(5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명 조끼 외피(501)의 앞면과 뒷면 각각에 형성된 경계(508)와 경계(511)를 중심으로 폴딩되고,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는 경계(509)를 중심으로 폴딩됨으로써 구명 조끼 외피(501)는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명 조끼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의 1번 과정을 살펴보면,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구명 조끼가 밀착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도 5 내지 도 8에서 구명 조끼 외피에 형성된 복수의 경계들을 중심으로 폴딩되었을 때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된 결과를 나타낸다. 만약에, 침수와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면, 도 9의 2, 3번 과정에 따라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있는 구명 조끼가 경계를 중심으로 다시 분리된 후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다. 도 9의 4-6번 과정은 사용자가 구명 조끼를 착용한 이후에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구명 조끼에 있어서,
    상단에 사람의 목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 영역을 갖는 구명 조끼 외피; 및 물 감지 여부에 따라 카트리지에 의해 자동으로 팽창되는 구명 조끼 내피-상기 카트리지는 Co2 가스가 압축된 실린더와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구명 조끼는,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1 경계와 상기 앞면 및 뒷면의 좌우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2 경계가 외력에 의해 순서대로 폴딩됨으로써 이동수단의 좌석의 등받이 부분에 밀착되고,
    상기 구명 조끼의 앞면과 뒷면을 구분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1 경계의 일부분은, 상기 구명 조끼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명 조끼 외피의 일영역에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GPS 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GPS 장치는 상기 구명 조끼 내피의 팽창 여부에 연동하여 즉각적으로 구명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명 조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조끼 외피는,
    중앙 부분에 폴딩될 수 있는 경계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계를 중심으로 폴딩되면 상기 이동 수단의 좌석의 등받이에 밀착될 수 있는 구명 조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조끼 외피는,
    상기 구명 조끼 내피가 자동으로 팽창되지 않을 경우, 상기 카트리지와 연결된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한 수동 손잡이가 배치되는 구명 조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조끼 외피는,
    상기 구명 조끼를 착용한 사용자의 목을 보호하기 위한 목 보호 쿠션; 및
    사고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야광 반사판;
    을 포함하는 구명 조끼.
  6. 삭제
  7. 삭제
KR1020180165055A 2018-12-19 2018-12-19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KR102136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55A KR102136103B1 (ko) 2018-12-19 2018-12-19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055A KR102136103B1 (ko) 2018-12-19 2018-12-19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90A KR20200076190A (ko) 2020-06-29
KR102136103B1 true KR102136103B1 (ko) 2020-07-22

Family

ID=7140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055A KR102136103B1 (ko) 2018-12-19 2018-12-19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957B1 (ko) * 2011-03-16 2012-09-13 김재홍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JP2013177018A (ja) * 2012-02-01 2013-09-09 Tsutomu Hayakawa ライフジャケット
KR101918093B1 (ko) * 2017-05-31 2018-11-13 주식회사 렌소이스코리아 접이식 구명 조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125B1 (ko) * 2005-11-04 2007-12-07 김고명 구명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957B1 (ko) * 2011-03-16 2012-09-13 김재홍 팽창튜브와 부력재를 복합시킨 구명조끼
JP2013177018A (ja) * 2012-02-01 2013-09-09 Tsutomu Hayakawa ライフジャケット
KR101918093B1 (ko) * 2017-05-31 2018-11-13 주식회사 렌소이스코리아 접이식 구명 조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190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867B1 (en) Emergency self-inflating flotation device
JP3075650U (ja) 高さの低い浮きカラー
JPS6141646A (ja) 救命装置
US6551159B1 (en) Automotive underwater evacuation system
US9205900B2 (en) Harness assembly having a deployable inflatable life raft attached thereto
KR101182898B1 (ko) 콤팩트한 휴대형 구명조끼
US8720751B2 (en) Lifesaver backpack
US20140051309A1 (en) Personal floatation device
US4673366A (en) Exposure suit with an attached lifejacket
CA2805051A1 (en) Manual/automatic inflatable water survival device
US20150197323A1 (en) Wearable and buoyant life saving apparatuses
EP2293973B1 (en) Object location device
US2859457A (en) Life rafts
US7104858B1 (en) Emergency supplemental flotation device
KR102136103B1 (ko) 이동 수단의 좌석에 고정되는 구명 조끼
KR101919954B1 (ko) 물 감지센서 및 타이머가 장착된 휴대용 구명조끼
EP2417015B1 (en) Marine safety device
KR20170086284A (ko) 휴대용 인명 구조장치
CN103735028A (zh) 一种落水救助书包
US20220281573A1 (en) Personal Flotation Device
KR101961773B1 (ko) 목을 리프팅해줄 수 있는 구명조끼
KR20110002172U (ko) 구명 조끼에 장착하는 조난표시용 기구
JP3183998U (ja) 救命具
JP2005319858A (ja) 救命浮き輪
TWM619462U (zh) 水上求生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