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938B1 - Ice making device - Google Patents

Ice ma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938B1
KR102135938B1 KR1020190098973A KR20190098973A KR102135938B1 KR 102135938 B1 KR102135938 B1 KR 102135938B1 KR 1020190098973 A KR1020190098973 A KR 1020190098973A KR 20190098973 A KR20190098973 A KR 20190098973A KR 102135938 B1 KR102135938 B1 KR 102135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ice
cell
making apparatus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00119A (en
Inventor
이동훈
김동정
손주현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8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938B1/en
Publication of KR2019010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119A/en
Priority to KR1020200070863A priority patent/KR1022731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9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4Level of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tray forming an upper shape; A lower tray forming a lower shape; A driving unit for driving any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cell formed by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that freezes ice from the cell; It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Description

제빙 장치{Ice making device}Ice making devic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making apparatus for a refrigerator.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하는 가전 기기이다. 최근에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되어 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빙 장치의 경우, 제빙을 위한 급수 메카니즘이 구비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 제빙을 위한 급수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제어 요소라 할 수 있다. 특히, 구형(求刑)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기의 경우 급수량이 매우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예컨대, 급수량이 미달할 경우 정확한 구형 얼음 제조가 불가능해지고, 급수량이 초과할 경우 제빙 과정에서 부피 팽창으로 인하여 제빙 트레이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stores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In recent years, it is common that an ice-making apparatus for making ice is installed in a refrigerator. In the case of an ice-making apparatus,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making must be provided, and among them, it is a very important control element to precisely control the water supply amount for ice-mak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n ice maker manufacturing spherical ice, the amount of water supply must be controlled very precisely. For example, if the water supply amount is insufficient, accurate spherical ice production is impossible, and if the water supply amount exceeds, the ice tray is destroyed due to volume expansion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defrosting a conventional refrigerator.

도 1을 참조하면, 급수원(1)에 급수 유로가 연결되고, 급수 유로 상에 개폐밸브(2)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2)의 출구측에는 유량 센서(3)가 장착되며, 상기 급수 유로의 단부는 제빙기(5)의 급수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유량 센서(3)와 밸브(2)는 마이콤(4)에 전기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 wate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1, and an on-off valve 2 is mounted on the water supply passage. In addition, a flow sensor 3 is mounted on the outlet side of the opening/closing valve 2, and an end of the water supply passage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of the ice maker 5. In addition, the flow sensor 3 and the valve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om 4 so as to be electrically controllable.

상기 유량 센서(3)는 일반적으로 플로미터가 사용되며, 플로미터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펄스 수에 따라 급수 유량에 계산된다. 그리고,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마이콤(4)으로부터 밸브 잠금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밸브(2)가 닫히게 된다. The flow sensor 3 is generally a flow meter, and is calculated for the water supply flow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uls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flow meter. Then, 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a valve lock signal is output from the micom 4, and the valve 2 is closed.

기존의 제빙기 급수 방법 중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마이콤(4)에서 미리 설정해 둔 시간 동안 급수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예컨대 급수 시간을 5초로 설정하면, 급수원의 수압에 관계없이 무조건 5초간 급수를 하게 된다. As another method of supplying water to an existing ice machine, a method of supplying water for a time set in advance in the mycomer 4 is used. For example, if the water supply time is set to 5 seconds, water is supplied for 5 seconds unconditionally regardless of the water pressure in the water source.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급수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control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시간 제어의 경우, 압력에 따른 급수 편차를 고려할 방법이 없으므로, 실제 제빙 트레이에서 공급받는 유량은 압력에 따라 큰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First, in the case of time control, there is no way to consider the water supply devia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rate supplied from the actual ice-making tray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pressure.

둘째, 유량 센서 제어의 경우, 수압이 낮은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할 때 목표 급수량보다 과급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 원인으로는, 수압이 낮아서 유량 센서의 임펠러를 돌리지 못하고 임펠러 주위로 통과하는 물이 발생하여, 감지된 펄스값 대비 공급 유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Second, in the case of the flow sensor control, when the flow sensor is used in a region where the water pressure is low,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supercharging is performed more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As a cause, the water pressure is low, so the impeller of the flow sensor cannot be turned, and water passing around the impeller occurs, causing a problem that the supply flow rate increases compared to the detected pulse value.

도 2는 저수압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급수 제어를 할 때 나타나는 과급수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2 is a graph showing a supercharged water phenomenon that occurs when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sing a flow sensor in a low water pressure region.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압 영역에서는 목표 급수량(A)보다 더 많은 물이 공급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t can be seen that a phenomenon in which more water is supplied than the target water supply amount A occurs in the low water pressure region.

본 발명은 정확한 급수량을 제어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controlling an accurate water supply amount.

특히, 구형 얼음을 제빙하는 상하판 폐쇄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제빙 장치에 대하여, 냉장고 설치 지역의 수압에 관계없이 정량 급수를 가능하게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quantitatively supplying water regardless of the water pressure in a refrigerator installation area, for an ice-mak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top and bottom plate closed tray for ice-making 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는,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An ice-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upper plate tray forming an upper shape; A lower tray forming a lower shape; A driving unit for driving any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cell formed by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that freezes ice from the cell; It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장착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판 트레이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다수의 함몰부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tray includes a tray case forming an outer shape, a tray body mounted on the tray case, and a plurality of hemisphere-shaped depressions forming a lower half of spherical ice, and a tray body fixing the tray body to the tray case It may include a tray cov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ssembly of the lower tray is completed,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exposed through the perforations formed in the tray cover.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저수압 지역에서도 제빙을 위한 정확한 급수량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trol the amount of water for deicing even in a low water pressure region.

특히,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기와 같이 정확한 급수량 제어가 요구되는 제빙 시스템에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it has a very advantageous effect on an ice making system that requires precise water supply control, such as an ice making machine for producing spherical ice.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저수압 지역에서 유량 센서를 사용하여 급수 제어를 할 때 나타나는 과급수 현상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제빙 장치의 급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도 6은 도 5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구조가 구비된 제빙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for defrosting a conventional refrigerator.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phenomenon of supercharged water when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using a flow sensor in a low-pressure area.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to which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state of the ice-making device.
5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II of Figure 5;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having a water supp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을 위한 급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water supply system for ice-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이 적용되는 제빙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빙 장치의 급수 모습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to which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feeding state of the ic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구형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 장치에 적용될 때 유리한 장점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를 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when applied to an ice-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spherical ice, so that the ice-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spherical ice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110)와,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120),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140), 상기 상판 트레이(110) 또는 하판 트레이(120)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16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tray 110 forming an upper shape as a whole, a lower plate tray 120 forming a lower shape, and the upper plate tray 110. And a driving unit 140 for driving any one of the lower tray 120 and an ejecting unit 160 that ices the ice from the upper tray 110 or the lower tray 120.

상세히,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내측에는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반구 형태의 함몰부(125)가 배열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detail, a hemisphere-shaped depression 125 forming a lower half of spherical ice is arranged inside the lower tray 120. The lower tray 12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if necessary,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tray 12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for example, that a part of the lower tray 12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121)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장착되어 상기 함몰부(125)를 구비하는 트레이 바디(123)와, 상기 트레이 바디(123)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126)를 포함한다.The lower tray 120 includes a tray body 121 forming an outer shape, a tray body 123 mounted on the tray case 121 and having the depression 125, and the tray body 123. It includes a tray cover 126 for fixing to the tray case 121.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는 사각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내측에는 상기 함몰부(125)가 통과하는 안착부(12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후방에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 및 상기 구동 유닛(140)과 결합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회전 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 장착부(121b)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121b)에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1)가 연결된다. The tray case 1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and is formed to extend further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rim. In addition, a seating portion 121a through which the recessed portion 125 passes is formed inside the tray case 121. In addition, a lower tray connecting portion 122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tray case 121. The lower plate tray connection part 122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tray 110 and the driving unit 140 and serves as a rotation center of the tray case 121.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121b is provid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tray case 121, and an elastic member providing elastic force to maintain the closed tray 120 closed in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121b ( 131) is connected.

상기 트레이 바디(1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 바디(123)는, 평면부(124)와, 상기 평면부(124)에서 함몰된 상기 함몰부(12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125)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의 안착부(121a)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125)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회전시 상기 이젝팅 유닛(160)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상기 함몰부(125) 내부의 얼음이 외부로 이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tray body 123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is formed to be seated above the tray case 121. The tray body 123 may include a flat part 124 and the recessed part 125 recessed in the flat part 124. Then, the depression 125 may penetrate the seating portion 121a of the tray case 121 and protrude downward. Therefore, the recess 125 is pressed by the ejecting unit 160 when the lower tray 120 is rotated, and the ice inside the recess 125 is configured to be iced out.

상기 트레이 커버(126)는 상기 트레이 바디(123)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 바디(123)가 상기 트레이 케이스(12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 커버(126)에는 상기 트레이 바디(123)에 형성된 상기 함몰부(125)의 개구된 상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천공부(126a)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126a)는 다수개의 원형이 서로 연속하여 겹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천공부(126a)를 통해서 상기 함몰부(125)가 노출된다.The tray cover 126 is provided above the tray body 123, and the tray body 123 is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tray case 121. Then, the tray cover 126 is formed with a perforated portion 126a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recess 125 formed in the tray body 123. The perforations 126a ar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circles overlap one another in succession. Therefore, when the assembling of the lower tray 120 is completed, the depression 125 is exposed through the perforation 126a.

한편,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상기 제빙 장치(100)의 상부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빙 장치(100)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11)와 얼음의 성형을 위한 트레이부(112)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tray 110 is to form the upper outer shape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and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11 for mounting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and a tray portion 112 for forming ice. do.

상세히,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제빙 장치(100)가 냉동실 또는 제빙실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트레이부(1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111)는 상기 냉동실 또는 제빙실의 측면부와 면접촉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부(112)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트레이부(112)에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방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3)는 다수개가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함몰부(125)와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는 서로 형합되어 구형 제빙 공간인 셀(150)을 형성한다. 상기 상판 트레이(110) 함몰부(113)의 형상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형상과 대응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mounting part 111 is such that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is fixed inside the freezer compartment or the ice making compartment, and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ray part 112. Therefore, the mounting portion 111 can be stably fixed by surfac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freezer or ice making room. In addition, the tray portion 11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tray 120, the tray portion 112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a plurality of depressions 113 that are recessed upward )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the depressions 113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line. In addition, when the upper tray 110 and the lower tray 120 are closed, the recess 125 of the lower tray 120 and the recess 113 of the upper tray 11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pherical ice-making space. In-cell 150 is formed. The shape of the depression portion 113 of the upper plate tray 110 may be formed in a hemisphe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wer plate tray 120.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전체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도에 의해 상기 셀(150) 내부의 물을 빠른 속도로 얼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는 얼음의 이빙을 위해 상기 상판 트레이(110)를 가열하는 히터(161) 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상방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급수부(114)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유닛(170)이 더 구비된다.The upper tray 110 may be formed entirely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configured to freeze water inside the cell 150 at high speed by heat conduction. In addition, a heater 161 for heating the top plate tray 110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top plate tray 110 for ice. In addition, a water supply unit 170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114 of the top tray 110 is further provided above the top tray 110.

상기 상판 트레이(110)는 상기 하판 트레이(120)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가 탄성소재로 형성되어 이빙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upper tray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late tray 120 has a recessed portion 113 of the upper tray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facilitate ice.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측방에는 로테이팅 암(130)과 상기 탄성부재(131)가 구비된다. 상기 로테이팅 암(130)은 상기 탄성부재(131)의 인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rotating arm 130 and the elastic member 131 are provided at a side of the lower tray 120. The rotating arm 130 is for tension of the elastic member 131 and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tray 120.

상기 로테이팅 암(130)의 일단은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122)에 축결합되며,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131)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팅 암(130)과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121b)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31)가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131)는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팅 암(130)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상기 탄성부재(131)가 인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3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판 트레이(120)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보다 밀착되어 제빙 중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rotating arm 130 is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tray connecting portion 122, it can be configured to be further rotated even when the lower tray 120 is closed to tension the elastic member 131. . In addition, an elastic member 131 is mounted between the rotating arm 130 and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121b. The elastic member 131 may be composed of a tension spring. Accordingly,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tray 120 is closed, the rotating arm 130 is further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plate tray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tray 110 so that the elastic member 131 is tensioned. do. In addition, the lower plate tray 1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tray 11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31 to prevent leakage during ice-making.

또한,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함몰부(113) 상면에는 다수의 에어홀(115)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115)은 상기 셀(150)의 내부에 물이 공급될 때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홀(115)은 상방으로 연장되는 원통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져,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이젝팅 핀(162)의 출입을 안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air holes 115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ssed portion 113 of the upper tray 110. The air hole 115 allows air to be discharg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cell 150. In addition, the air hole 11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sleeve extending upward, and may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ejecting pin 162 for ice.

한편, 상기 다수의 셀(150) 중 대략 중앙에 위치된 셀(150)에는 급수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부(114)는 원활한 급수를 위하여 상기 에어홀(115)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14)는 급수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다수의 셀(150) 중 좌우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부(114)는 급수의 기능 외에 급수시의 공기 배출 및 이빙을 위한 이젝팅 핀(162)의 출입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water supply unit 114 is formed in the cell 150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cells 150. The water supply unit 114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ir hole 115 for smooth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unit 114 may be located at either end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cells 150 for the convenience of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unit 114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jecting pin 162 for air discharge and ice during water suppl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water supply.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는 서로 밀착되어 저장된 물이 누설되지 않게 되며, 내측면은 구면을 형성하여 구형의 얼음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셀(1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의하여 완전한 구형 얼음이 제조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예컨대, 상기 셀(150)로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에 미달할 경우, 완성된 얼음의 상면이 평평하게 될 수 있다. 반대로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을 초과할 경우, 얼음 형성 과정에서 부피 팽창에 의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벌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에서는 급수량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upper tray 110 and the lower tray 12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stored water does not leak, and the inner surface forms a spherical surface so that spherical ice can be formed. Her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omplete spherical ice is produced by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150. For example, when the water supplied to the cell 150 does not reach the set flow rate, the top surface of the completed ice may be flat. Conversely, when the water to be supplied exceeds the set flow rate, the upper tray 110 and the lower tray 120 may be opened or damaged by volume expansion during the ice formation process. Therefore, in an ice making apparatus for producing spherical ice, i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the water supply amount is precisely controll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을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5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making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aken along I-I of FIG. 5.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시스템은, 급수원(6)과, 상기 급수원(6)에 연결되는 정량 급수 모듈(30)과,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제빙기(100)를 포함한다. 5 and 6, the water supply system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source 6,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30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6, and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It includes an ice maker 100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of (30).

상세히, 상기 급수원(6)과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 사이에는 유입측 밸브(8)가 장착되고, 상기 제빙기(100)와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 사이에는 출구측 밸브(9)가 장착되어,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로의 물공급 및 상기 제빙기(100)로의 물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측 밸브(8) 및 유출측 밸브(9)는 각각 제어부(7)에 연결되어 개폐가 제어된다. In detail, an inlet side valve 8 is mounted between the water supply source 6 and the fixed quantity water supply module 30, and an outlet side valve 9 is provided between the ice maker 100 and the fixed quantity water supply module 30. It is mounted, the water supply to the fixed water supply module 30 and the water supply to the ice maker 100 is controlled. Then, the inlet-side valve 8 and the outlet-side valve 9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또한,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은, 상기 급수원(6)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워터 탱크(31)와 상기 워터 탱크(3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는 상기 제어부(7)에 연결되어, 설정 수위에 도달 신호가 상기 제어부(7)로 전송된다.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30 includes a water tank 31 for stor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ource 6 and a flow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31. , The flow sensor includes a capacitive sensor 32. Then, the capacitive sensor 3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7, and a signal reaching the set water leve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7.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정량 급수 모듈(30)을 구성하는 상기 워터 탱크(31)는, 내부에 물저장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311)와, 상기 케이스(311)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는 입수부(312)와, 저면에 형성되는 출수부(313)와, 상기 케이스(311)의 상면 타측에 돌출되는 감지부(315)와, 상기 감지부(315)에 장착되는 정전 용량 센서(32)를 포함한다. The water tank 31 constituting the fixed water supply module 30 includes a case 311 form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therein, and an intake part 312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11. And a water outlet part 31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 sensing part 315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311, and a capacitive sensor 32 mounted on the sensing part 315.

상세히, 상기 케이스(311)의 저면부는 상기 출수부(313) 쪽으로 물이 모이도록 경사면(31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출수부(313)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제빙기(100)로 물을 공급하는 출수 과정에서 워터 탱크(311) 내에 잔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detail,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case 311 forms an inclined surface 314 so that water collects toward the water outlet portion 313. That is, it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let portion 313. This is to prevent residual water from being generated in the water tank 311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to the ice maker 100.

또한,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의 전극(312)은 상기 감지부(315) 내부로 연장된다. 상기 워터 탱크(31)에 설정 수량이 공급되었을 때 상기 전극(312)의 단부가 위치하는 높이까지 수위가 차도록 한다. 상기 전극(312)에 물이 닿으면, 공기와 물의 정전 용량의 차이에 의하여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에서 감지하는 저항값이 변하게 되고, 이러한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기 신호가 상기 제어부(7)로 전달되어 설정 수량에 도달하였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315)의 가로 단면적은 상기 워터 탱크(311)의 가로 단면적보다 작으며, 이는 수위 오차에 따른 유량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312 of the capacitive sensor 32 extends inside the sensing unit 315. When the set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31, the water level is filled up to the height at which the end of the electrode 312 is located. When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de 312, a resistance value sensed by the capacitive sensor 32 changes due to a difference in the electrostatic capacity between air and water, and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7 It is transmitted to and senses that the set quantity has been reached. The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nsing unit 315 is smaller than the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of the water tank 311, which is to minimize the flow rate error due to the water level error.

또한, 상기 입수부(312)는 상기 워터 탱크(31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로 이루어져, 물공급 방향, 즉 유동 방향이 중력 방향으로 되도록 한다. 이는, 급수 시 발생하는 탱크 내부 유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전극(312)의 수위 오감지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acquiring part 312 is formed in a tube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tank 311, so that the water supply direction, that is, the flow direction is the gravity direction. This is to minimize the water level mis-sensing of the electrode 312 by minimizing the flow inside the tank generated during water supply.

또한, 상기 감지부(315)의 상단에는 에어홀(316)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급수와 출수 과정에서 상기 워터 탱크(311) 내부가 항상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air hole 316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nsing unit 315, so that the inside of the water tank 311 is always maintained at atmospheric pressure in the process of water supply and discharge.

한편,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에 의하여 설정 수량 공급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유입측 밸브(8)를 폐쇄하고, 상기 유출측 밸브(9)를 개방한다. 그러면, 상기 워터 탱크(311)로 공급되어 저장된 물이 상기 제빙기(100)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upply of the set quantity is completed by the electrostatic capacity sensor 32, the control unit 7 closes the inlet valve 8 and opens the outlet valve 9. Then, the water supplied and stored in the water tank 311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100.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의 종단면도이다.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수 모듈(40)은 이전 실시예의 정량 급수 모듈(30)과 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되, 감지부(415)에 장착되는 수위 센서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in configuration as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30 of the previous embodiment, but differs only in the water level sensor mounted on the detector 415. have.

케이스(411), 입수부(412), 출수부(413), 경사면(414), 감지부(415) 및 에어홀(416)의 구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case 411, the acquiring part 412, the water outlet part 413, the inclined surface 414, the sensing part 415, and the air hole 416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so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 장착되는 센서로서 부유형 센서(floating sensor)(42)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embodiment, a floating sensor 42 is applied as a sensor mounted inside the sensing unit 415.

상세히, 상기 부유형 센서(42)는,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부표(buoy)(421)와, 상기 부표(421) 내부에 장착되는 마그넷(424)과, 상기 감지부(415)의 내주면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그넷(424)으로부터 발생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423)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floating sensor 42 includes a buoy 421 moving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side the sensing unit 415, a magnet 424 mounted inside the buoy 421, and the 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nsing unit 415, and includes a hall sensor 423 that senses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magnet 424.

상기 부표(421)는, 상기 워터 탱크(411) 내부에 물이 공급되어 수위가 상기 감지부(415) 하단에 도달한 시점부터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표(421) 내부의 마그넷(424)이 상기 홀센서(423) 높이에 위치하면, 상기 홀센서(423)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7)로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유입측 밸브(8)를 닫고 상기 유출측 밸브(9)를 열어서, 상기 워터 탱크(411) 내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제빙 장치기(100)로 공급되도록 한다. The buoy 421 rises as the water level increases from the time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411 and the water level reaches the lower end of the detection unit 415. Then, when the magnet 424 inside the buoy 421 is positioned at the height of the hall sensor 423, the hall sensor 423 detects this and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7. Then, the control unit 7 closes the inlet-side valve 8 and opens the outlet-side valve 9 so that water supplied into the water tank 411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100.

도 8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100)의 상판 트레이(110)에 정전 용량 센서(32a)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8, the capacitive sensor 32a is mounted on the top tray 110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for manufacturing spherical ice.

상세히,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상단부 근처에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물공급이 중단된 후에도 물관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계속하여 상기 제빙 장치(100)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를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최상단에 장착할 경우, 공급되는 물이 설정 유량을 초과하여 제빙 장치(100)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제빙 과정에서 트레이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물공급 중단 후에 계속해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안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최상단으로부터 약간 하측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를 장착하는 것이 좋다. In detail, the capacitive sensor 32a is moun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top tray 110. Here, since water existing in the water pipe may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even after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osition of the electrostatic capacity sensor 32a in consideration of this. If, when the capacitive sensor 32a is mounted on the uppermost end of the upper tray 110, the supplied water exceeds the set flow rate and flows out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or the tray is damaged in the ice making process. Symptoms may occur. Therefore, considering the amount of water continuously supplied after the water supply is stopped, it is preferable to mount the capacitive sensor 32a at a point corresponding to a slightly lower side from the top of the top tray 110.

또한, 상기 정전 용량 센서(32a)는 상기 급수 유닛(170)으로부터 최외측에 해당하는 상판 트레이에 장착되도록 하여, 급수 트레이의 전체에 물공급이 완료된 후 급수가 중단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apacitive sensor 32a is mounted on the upper tray corresponding to the outermost side from the water supply unit 170, so that water supply is stopped after water supply to the entire water supply tray is completed.

도 9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supply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구형 얼음 제조를 위한 제빙 장치(100)의 상판 트레이(110) 측면에 도 7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른 부유형 센서가 직접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ating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direct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top tray 110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for producing spherical ice.

상세히, 상기 감지부(415)와, 상기 감지부(415) 내부에 제공되는 부유형 센서(42)로 이루어지는 유량 감지(또는 수위 감지) 모듈이 상기 상판 트레이(110)의 어느 지점에 형성되는 연통홀(110a)에 의하여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 사이에 형성되는 셀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수위가 상기 연통홀(110a)까지 도달하면, 상기 셀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감지부(415)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셀 내부의 수위와 상기 감지부(415) 내부의 수위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넷(422)이 상기 홀센서(423)의 위치까지 떠오르면 물공급이 중단되도록 한다. In detail, a flow rate detection (or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consisting of the detection unit 415 and the floating sensor 42 provided inside the detection unit 415 is formed at any point of the upper tray 1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utual communication by the hole (110a). In more detail, when water is supplied into the cell formed between the upper tray 110 and the lower tray 120, and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communication hole 110a, the water supplied into the cell is the sensing unit. (415) flows into the interior. T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cell and the water level inside the sensing unit 415 remain the same, and then rise. Then, when the magnet 422 rises to the position of the hall sensor 423, water supply is stopped.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급수 구조가 구비된 제빙 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10 and 11 are side views showing an ice making apparatus having a water supply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빙 장치(100)의 하판 트레이(120) 외부 측면에 홀센서(50)가 장착되고, 상기 제빙 장치(100)가 수용되는 케이스 측면에 마그넷(미도시)이 장착된다. 그리고, 물공급에 따라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아래쪽으로 회전하는 정도를 감지하여 정량 급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0 and 11, the hall sensor 5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tray 120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and a magne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ase where the ice making apparatus 100 is accommodated. It is equipped.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amount of quantitative water supply by detec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ower tray 120 downward according to the water supply.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이 개시되기 전에는 상기 상판 트레이(110)와 하판 트레이(120)가 완전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유닛(170)을 통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120)로 물이 공급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물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기 구동 유닛(140)의 축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유량이 공급되었을 때, 엄밀하게는 설정 유량에 도달하기 직전에 상기 하판 트레이(120)의 회전이 멈추고, 이 순간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여 물공급 중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 상기 홀센서(50)가 위치하는 높이의 어느 지점에 장착된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제빙 장치(100)와 별개인 부품의 어느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별개의 부품은 상기 제빙 장치(100)를 수용하는 제빙실 측벽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 10, before the water supply is started, the upper tray 110 and the lower tray 120 are kept in full contact. Then,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lower tray 12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70, as shown in FIG. 11, the lower tray 120 is driven by the load of the supplied water. It rotates downward about the axis. Then, when the set flow rate is supplied, the rotation of the lower tray 120 stops immediately before reaching the set flow rate, and at this moment, the hall sensor 50 senses the magnet to generate a water supply stop signal. Is done. The magnet is mounted at any point of the height where the hall sensor 50 is located when the lower tray 120 is rotated to the maximum. The magnet is mounted at a point of a part separate from the ice making device 100, and the separate part may be a side wall of the ice making room that accommodates the ice making device 100.

여기서,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는 시점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기 직전으로 설정한 것은, 이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즉, 물공급이 중단된 이후에도, 상기 물공급 유닛(170)에 연결되는 물공급 관 또는 부재에 남아 있는 물이 상기 하판 트레이(120)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잔여 유량을 감안한 것이다.Here, the time when the hall sensor 50 detects the magnet is set immediately before reaching the set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that is, even after the water supply is stopped, the water supply unit 170 Since the remaining water in the connected water supply pipe or member can be supplied to the lower tray 120, this residual flow rate is taken into account.

한편, 상기 홀센서(50)와 상기 마그넷이 서로 반대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넷이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장착되고, 상기 홀센서(50)가 상기 마그넷에 마주보는 위치의 제빙실 측벽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hall sensor 50 and the magnet may be mounted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lower tray 120, and the hall sensor 50 is mounted on the sidewall of the ice-making chamber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

도 1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용 급수 메카니즘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이다.12 is a system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ater supply mechanism for ice mak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정량 급수를 위한 구성으로서, 급수원(6), 유입측 밸브(8), 정량 급수 모듈, 유출측 밸브(9)로 이루어지는 것은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다.Referring to Figure 12, as a configuration for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consisting of a water supply source (6), the inlet valve 8,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the outlet valve 9 is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s.

다만, 정량 급수 모듈이, 워터 탱크(61)와, 상기 워터 탱크(61)로 공급된 유량을 감지하는 로드 셀(60)을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탱크(61)의 상단 또는 저면에는 상기 워터 탱크(61)로 공급된 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6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 탱크(61)로 물공급이 시작되면 상기 로드셀(60)에서는 공급되는 물의 중량을 감지하여 정확한 급수 유량을 감지하게 된다.However,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module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it includes a water tank 61 and a load cell 60 that senses a flow rate supplied to the water tank 61. In detail, a load cell 60 for sensing the weight of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61 is mount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61. Then, when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tank 61 is started, the load cell 60 senses the weight of the water to be supplied to detect the correct water flow rate.

상세히, 급수가 시작되기 전에 상기 제어부(7)에서는 상기 로드셀(60)을 초기화화 한다. 그리고, 급수가 시작되면 상기 로드셀(60)에서 공급되는 물의 무게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중량값에 도달하면 정량 급수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로드셀(60)에서 제어부(7)로 물공급 중단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 트레이(120)가 상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판 트레이(110)에 완전히 밀착되록 한다. 그 이후, 제빙 과정 및 이빙 과정이 수행된다. In detail, the load cell 60 is initialized in the control unit 7 before the water supply starts. Then, when the water supply starts, the weight of the water supplied from the load cell 60 is measured. Then, when the set weight value is reached,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ative water supply is completed, and the water supply stop signal is sent from the load cell 60 to the control unit 7. Then, the lower plate tray 120 is rotated upward so that i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tray 110. Thereafter, an ice-making process and an ice-making process are performed.

한편, 상기 로드셀(60)은 상기 워터 탱크(61)에 장착되는 것 외에, 상기 하판 트레이(120)에 직접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load cell 60 may be mounted directly to the lower tray 120 in addition to being mounted on the water tank 61.

상기에 제시된 정량 급수 수단은,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정밀하게 제어되어야 하는 구형 얼음 제빙용 제빙 장치에 장착됨으로써, 완전한 구 형상에 가까운 얼음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quantitative water supply means is mounted on a spherical ice-making ic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must be precisely controlled, so that ice close to a perfect spherical shape can be easily produced.

Claims (22)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장착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다수의 함몰부는 상기 트레이 커버에 형성된 천공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n upper plate tray forming an upper shape;
A lower tray forming a lower shape;
A driving unit for driving any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cell formed by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that freezes ice from the cell;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nd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The lower tray,
The tray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tray body mounted on the tray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emisphere-shaped depressions forming the lower half of the spherical ice are arranged,
It includes a tray cover for fixing the tray body to the tray case,
When the assembly of the lower tray is completed, the ice-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exposed through the perforations formed in the tray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 부유형 센서, 홀 센서 및 로드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An ice making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capacitive sensor, a floating sensor, a hall sensor, and a load ce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센서는 상기 상판 트레이의 최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apacitive sensor is form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the top end of the upper tray tr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는,
금속 소재 또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tray,
An ice 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tal material or at least a part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함몰부가 상기 이젝팅 유닛에 의해 눌러져서, 상기 함몰부 내부에 형성된 얼음이 외부로 이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ower plate tray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plate tray by the driving unit, the depression portion is pressed by the ejecting unit, so that ice formed inside the depression portion is ic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의 측방에 구비되는 로테이팅 암을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ce-mak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arm provided on a side of the lower tra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의 측방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로테이팅 암에 연결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An ice-making apparatus provided on a side of the lower tray, and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tating ar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의 일 측면에는 탄성 부재 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탄성 부재 장착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tra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mak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팅 암은, 상기 하판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인장시키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하판 트레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rotating arm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ower tray, tensioning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an ice 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keep the lower tray clos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팅 암은, 상기 하판 트레이가 닫힌 상태에서도 더 회전하여 상기 탄성 부재를 인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rotating arm, the ice 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tray is configured to rotate further to tension the elastic member even in a clos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케이스는 사각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테두리를 따라서 상방과 하방으로 더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case is made of a rectangular frame sh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making device is formed to extend further upward and downward along the ri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내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함몰부는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seat is formed inside the tray case,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through the se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downward of the tray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하판 트레이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 ice 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tray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at an edge of the tray cas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는, 상기 상판 트레이 및 상기 구동 유닛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lower plate tray conn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late tray and the driving unit coupled to the ice making apparatus.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 트레이 연결부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회전 중심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lower plate tray conne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making apparatus a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ray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디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body, the ice-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디는, 상기 트레이 케이스의 상방에서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body, the ice-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seated above the tray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디는, 평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함몰부는 상기 평면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body further includes a flat portion,
The ice-mak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are recessed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from the fla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커버는 상기 트레이 바디의 상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y cover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body.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장착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n upper plate tray forming an upper shape;
A lower tray forming a lower shape;
A driving unit for driving any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cell formed by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that freezes ice from the cell;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nd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The lower tray,
The tray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tray body mounted on the tray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emisphere-shaped depressions forming the lower half of the spherical ice are arranged,
It includes a tray cover for fixing the tray body to the tray case,
The lower tray,
An ice-making apparatus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t least partial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상부 형상을 형성하는 상판 트레이;
하부 형상을 형성하는 하판 트레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위한 구동 유닛;
상기 구동 유닛의 작동에 의해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가 서로 밀착되어 형성되며, 제빙 공간으로 정의되는 셀;
상기 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셀에서 제빙된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팅 유닛;
상기 상판 트레이와 상기 하판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셀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 트레이는,
외형을 형성하는 트레이 케이스와,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장착되며, 구형 얼음의 하부 절반을 이루는 다수의 반구 형태의 함몰부가 배열되는 트레이 바디와,
상기 트레이 바디를 상기 트레이 케이스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 커버에는, 상기 다수의 함몰부의 개구된 상면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하는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 장치.
An upper plate tray forming an upper shape;
A lower tray forming a lower shape;
A driving unit for driving any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 cell formed by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and defined as an ice-making space;
A water supply unit supplying water to the cell;
An ejecting unit that freezes ice from the cell;
It is disposed on on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nd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ell,
The lower tray,
The tray case forming the appearance,
A tray body mounted on the tray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hemisphere-shaped depressions forming the lower half of the spherical ice are arranged,
It includes a tray cover for fixing the tray body to the tray case,
The tray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forat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shape of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depressions is formed.
KR1020190098973A 2019-08-13 2019-08-13 Ice making device KR1021359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73A KR102135938B1 (en) 2019-08-13 2019-08-13 Ice making device
KR1020200070863A KR102273101B1 (en) 2019-08-13 2020-06-11 Ice ma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973A KR102135938B1 (en) 2019-08-13 2019-08-13 Ice making devi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427A Division KR102023412B1 (en) 2012-06-12 2012-06-12 Refrigera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63A Division KR102273101B1 (en) 2019-08-13 2020-06-11 Ice mak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19A KR20190100119A (en) 2019-08-28
KR102135938B1 true KR102135938B1 (en) 2020-07-21

Family

ID=6777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973A KR102135938B1 (en) 2019-08-13 2019-08-13 Ice ma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9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8703A (en) * 2020-11-19 2022-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KR102456369B1 (en) * 2022-06-22 2022-10-18 서우석 round ice tr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035A (en) * 2004-05-12 2005-11-24 Japan Servo Co Ltd Automatic ice making device
US20110041542A1 (en) 2009-08-20 2011-02-24 Follett Corporation Dispenser Device for Ice and Water,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Clean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0974A (en) * 1988-01-29 1990-03-27 Hoshizaki Electric Company Limited Automatic ice making machine
US7082782B2 (en) * 2003-08-29 2006-08-01 Manitowoc Foodservice Companies, Inc. Low-volume ice making machine
KR101062350B1 (en) * 2008-11-14 2011-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Refrigerator and its control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6035A (en) * 2004-05-12 2005-11-24 Japan Servo Co Ltd Automatic ice making device
US20110041542A1 (en) 2009-08-20 2011-02-24 Follett Corporation Dispenser Device for Ice and Water, Components Thereof and Process of Clean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119A (en)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412B1 (en) Refrigerator
KR102009350B1 (en)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KR101688133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EP209638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KR102135938B1 (en) Ice making device
KR101456572B1 (en) Sensor heater controlling method of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KR101455392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EP2078907A2 (en) Refrigerator with an automatic compact fluid operated icemaker
KR101474439B1 (en) Sensor heater controlling method of full ice detecting apparatus of ice maker for refrigerator
US20100251733A1 (en) Ice making technology
US6405546B1 (en) Ice maker harvest control and method
KR20090092384A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sensing a water level thereof
KR20200074066A (en) Ice making device
KR102452971B1 (en) Ice making device
KR102668640B1 (en) Ice making device
KR20090099908A (en)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636553B1 (en) Water supplying control apparutus for a ice ma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372686A1 (en) Refrigerator
US20210372684A1 (en) Refrigerator
KR20220060734A (en) Ice mak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442838B1 (e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overflow therein
KR20210005798A (en) Refrigerator
KR20110101750A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supplying method thereof
KR100661831B1 (en) The water supply perception method of an ice-maker
KR20220058689A (en)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