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480B1 - 철근 연결용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연결용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480B1
KR102135480B1 KR1020190121353A KR20190121353A KR102135480B1 KR 102135480 B1 KR102135480 B1 KR 102135480B1 KR 1020190121353 A KR1020190121353 A KR 1020190121353A KR 20190121353 A KR20190121353 A KR 20190121353A KR 102135480 B1 KR102135480 B1 KR 102135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einforcing bar
pressurized
rota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섭
Original Assignee
황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섭 filed Critical 황성섭
Priority to KR1020190121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4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에는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에는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가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공;과, 상기 가압몸체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너트공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안내공;과, 일단은 상기 안내공의 직경보다 큰 헤드가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공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몸체를 상기 고정몸체 측으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철근의 마디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으로 인해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에 안치되는 철근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고정 및 가압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각각 배치한 후, 고정 및 가압몸체를 고정볼트로 가압 밀착시켜 고정 및 가압몸체의 안치홈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의 걸림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철근의 길이가 맞지 않아 철근이 절단되는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고정 및 가압몸체를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에 형성되는 좌·우측의 마디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안내공의 안내를 받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 가능한 가압몸체를 통해 마디의 높이를 보상하여 고정 및 가압몸체의 걸림돌기와 철근 마디의 안정적인 걸림을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 연결용 커플러{rebar connecting coupler}
본 발명은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 및 가압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각각 배치한 후, 고정 및 가압몸체를 고정볼트로 가압 밀착시켜 고정 및 가압몸체의 안치홈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의 걸림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철근의 길이가 맞지 않아 철근이 절단되는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고정 및 가압몸체를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구조물의 건축에 있어 철근 콘크리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철근 사용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철근은 운반 상의 이유로 통상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운반되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는 필연적으로 인접 철근을 잇는 공정이 수반되게 된다.
철근을 잇는 방법에는 겹친 이음, 가스압접 이음, 기계식 이음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이중 기계식 이음 방법의 하나로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이음 방법이 있다.
이러한 철근 커플러를 통한 이음 방법이라 함은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철근 커플러와 나사 체결을 통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지만, 철근 커플러와 체결하는 방식으로 철근을 연결하기 위해 철근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나사산을 형성하고자 하는 철근의 끝단에 형성되는 마디와 리브를 제거하는 성형을 최소 2회 이상 수행한 후, 그 끝단을 정밀하게 단면 면 가공을 수행하고, 그 수행된 철근의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성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 철근 커플러에 체결되는 나사산을 철근에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철근 커플러를 통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식은 상기와 같이 철근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방법에 너무 많은 불편함이 있어 건축 공기를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작업 현장에서 철근을 배치 사용하는 과정에 철근의 길이가 길어 일정 길이만큼 절단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철근 끝단에 다시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종래의 철근 커플러를 통해 철근을 연결하는 방법을 건축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적인 변화에 대해 적합하게 대응하지 못해 제품의 사용범용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 및 가압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각각 배치한 후, 고정 및 가압몸체를 고정볼트로 가압 밀착시켜 고정 및 가압몸체의 안치홈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의 걸림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철근의 길이가 맞지 않아 철근이 절단되는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고정 및 가압몸체를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철근에 형성되는 좌·우측의 마디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안내공의 안내를 받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 가능한 가압몸체를 통해 마디의 높이를 보상하여 고정 및 가압몸체의 걸림돌기와 철근 마디의 안정적인 걸림을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는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에는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에는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가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너트공;과, 상기 가압몸체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너트공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안내공;과, 일단은 상기 안내공의 직경보다 큰 헤드가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공과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몸체를 상기 고정몸체 측으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철근의 마디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으로 인해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에 안치되는 철근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내공은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몸체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상기 고정볼트를 통해 결속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 방지수단은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의 내측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회동 방지홈과, 상기 회동 방지홈에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가 회동되려면 상기 회동 방지홈과 마찰되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의 회동을 방지하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다각형의 회동 방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의하면, 고정 및 가압몸체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을 각각 배치한 후, 고정 및 가압몸체를 고정볼트로 가압 밀착시켜 고정 및 가압몸체의 안치홈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와 철근에 형성되는 마디의 걸림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철근의 길이가 맞지 않아 철근이 절단되는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고정 및 가압몸체를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에 형성되는 좌·우측의 마디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안내공의 안내를 받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 가능한 가압몸체를 통해 마디의 높이를 보상하여 고정 및 가압몸체의 걸림돌기와 철근 마디의 안정적인 걸림을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철근 연결용 커플러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는 고정몸체(10)와, 가압몸체(20)와, 너트공(30)과, 안내공(40)과, 고정볼트(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0)는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1)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11)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11)에는 철근(1)에 형성되는 마디(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1)의 마디(2)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2)가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0)는 후설될 상기 가압몸체(20)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몸체(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안치홈(11)에는 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이 안치되고, 상기 고정몸체(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기 안치홈(11)에는 상부 철근(1)이 안치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10)의 안치홈(1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가 철근(1)의 마디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특성상,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몸체(10)의 안치홈(11)에 배치되는 철근(1)의 마디(2)와 상기 걸림돌기(12)가 자연스럽게 서로 걸리도록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몸체(20)는 상기 고정몸체(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1)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21)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21)에는 철근(1)에 형성되는 마디(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1)의 마디(2)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2)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몸체(20)는 상기 고정몸체(10)와 마주보게 위치되어 후설될 상기 고정볼트(50)의 가압에 의해 상기 고정몸체(10)로 밀착되면, 상기 고정몸체(10)의 안치홈(1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와 함께 상기 가압몸체(20)의 안치홈(21)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와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의 마디(2)와의 견고한 걸림을 유도하여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매개체로 서로 대향되는 철근(1)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공(30)은 상기 고정몸체(1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너트공(30)은 체결되는 상기 고정볼트(50)가 전·후진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공(30)에 체결되는 상기 고정볼트(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너트공(30)을 타고 전진하면서 상기 고정볼트(50)에 의해 상기 가압몸체(20)가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가압 밀착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공(40)은 상기 가압몸체(2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너트공(30)과 마주보게 형성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안내공(40)은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50)의 끝단을 상기 너트공(30)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상기 너트공(30)과 고정볼트(50)의 용이한 체결을 유도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0)는 일단은 상기 안내공(40)의 직경보다 큰 헤드(51)가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공(30)과 체결되는 나사산(52)이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안내공(4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30)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몸체(20)를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10,2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의 마디와 상기 걸림돌기(12,22)의 걸림으로 인해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10,20)에 안치되는 철근(1)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한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0)가 상기 너트공(30)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전진하면 상기 고정볼트(50)에 가입되는 상기 가압몸체(20)가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10,20)의 걸림돌기(12,22)와 철근(1)의 마디(2)와의 견고한 걸림을 유도하여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를 매개체로 서로 대향하는 철근(1)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는 작업자의 사용편의성을 위해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상기 고정몸체(10)와 가압몸체(20)가 느슨하게 서로 조립(결속)된 상태에서 사용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공(40)은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50)가 상기 안내공(4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30)에 느슨하게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몸체(20)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통상적으로 철근(1)의 좌측에 형성되는 마디(2)와 우측에 형성되는 마디(2)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특성상,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상기 가압몸체(20)가 밀착 결속되면 상기 고정몸체(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와 철근(1) 좌측의 마디(2)가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면 상기 가압몸체(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와 철근(1) 우측의 마디(2)는 서로 마주보게(일직선으로) 위치되어 걸림을 통한 서로 결속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몸체(20)를 상기 안내공(40)을 통해 승강 또는 하강시켜 상기 가압몸체(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22)와 상기 철근(1) 우측의 마디(2)와의 견고한 걸림을 유도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밀착 결속함으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걸림돌기(12,22)와 철근(1)의 좌·우측 모든 마디(2)와의 안정적인 걸림을 유도하여 철근(1)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 결속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느슨하게 결속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 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 방지수단(60)은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내측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회동 방지홈(61)과, 상기 회동 방지홈(61)에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회동되려면 상기 회동 방지홈(61)과 마찰되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회동을 방지하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5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62a)이 형성되는 다각형의 회동 방지부재(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거나, 현장에서 사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회동하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하부의 안치홈(11,21)으로 철근(1)을 내입 배치시키는 작업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방지수단(60)을 통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회동을 원천 봉쇄함으로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를 통한 철근(1)의 연결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에서 회동 방지수단(60)의 회동 방지홈(61)은 사각 홈으로 형성하고, 그 회동 방지홈(61)에 내입되는 상기 회동 방지부재(62)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구현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하여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방지부재(62)는 철근(1)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에 접촉 의지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철근(1)을 접촉 지지할 수 있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에서 결속 지지하는 철근(1)의 하중을 절감시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통한 철근(1)의 안정적인 결속 고정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0) 상에 형성되되, 상기 고정몸체(10)와 상기 회동 방지부재(62)의 사이와 상기 가압몸체(20)와 회동 방지부재(62)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회동 방지부재(62)에 의지하여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바깥쪽으로 탄성 지지하는 폭 고정 스프링(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 고정 스프링(70)을 통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바깥쪽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느슨하게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폭 고정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 사이가 자연적으로 벌어져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하부 안치홈(11,21)으로 철근(1)의 용이한 내입(배치)을 유도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제품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치홈(11,21)과 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11,21)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게 한다.
통상적으로 건축물에서 아래층은 큰 하중을 지지하는 특성상 아래층의 보, 기둥 등에 사용되는 철근(1)은 직경이 크고, 위층은 아래층에 대비하여 지지하는 하중이 다소 낮으므로 위층의 보, 기둥 등에 사용되는 철근(1)의 직경은 아래층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철근(1)이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안치홈(11,21)의 직경(D1)은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안치홈(11,21)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대향되는 철근(1)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경우에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를 용이하게 적용 사용하도록 함으로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강화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는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안치홈(11,21)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1)을 각각 배치한 후,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고정볼트(50)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안치홈(11,21)에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12,22)와 철근(1)에 형성되는 마디(2)의 걸림을 통해 매우 간편하게 철근(1)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 현장에서 철근(1)의 길이가 맞지 않아 철근(1)이 절단되는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곧바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통한 철근의 견고한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근(1)에 형성되는 좌·우측의 마디(2)가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안내공(40)의 안내를 받아 상부 또는 하부로 이송 가능한 상기 가압몸체(20)를 통해 마디(2)의 높이를 보상하여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걸림돌기(12,22)와 철근(1) 마디(2)의 안정적인 걸림을 통한 철근(1)의 견고한 연결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는 다음과 같이 상·하부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철근(1)을 상호 연결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50)를 통해 느슨하게 결속된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의 상부에 위치시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하부에 위치된 안치홈(11,21)으로 철근(1)의 상부가 내입 배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느슨하게 결속된 상태라도 회동 방지수단(60)에 의해 회동이 방지되므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하부 안치홈(11,21)으로 철근(1)을 편리하게 내입 배치할 수 있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상부 안치홈(11,21)으로 하부의 철근(1)과 대향되는 상부에 위치되는 철근(1)을 내입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는 폭 고정 스프링(70)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진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안치홈(11,21)의 공간이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안치홈(11,21)으로 철근(1)의 편리한 내입 배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몸체(20)를 안내공(40)에 의지하여 승강 또는 하강시켜 철근(1)의 마디(2)와 상기 가압몸체(20)의 걸림돌기(22)가 안정적으로 걸릴 수 있는 적합한 위치로 설정 배치한다.
그런 후,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볼트(50)를 상기 고정몸체(10)의 너트공(30)에 체결 전진시켜 상기 고정볼트(50)에 가압되는 상기 가압몸체(20)가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밀착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2,22)와 철근(1) 마디(2)와의 견고한 걸림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여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를 통해 서로 대향되는 철근(1)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 방지수단(60)의 회동 방지부재(62)는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내부에 위치되어 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에 의지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철근(1)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에서 지지하는 철근(1)의 하중을 절감시 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철근 연결용 커플러(100)를 통한 철근(1)의 안정적인 연결 고정이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철근 2. 마디
10. 고정몸체 11, 21. 안치홈
12, 22. 걸림돌기 20. 가압몸체
30. 너트공 31, 52. 나사산
40. 안내공 50. 고정볼트
51. 헤드 60. 회동 방지수단
61. 회동 방지홈 62. 회동 방지부재
70. 폭 고정 스프링 D1, D2. 직경
100. 철근 연결용 커플러

Claims (5)

  1.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철근(1)을 연결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에 있어서,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1)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11)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11)에는 철근(1)에 형성되는 마디(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1)의 마디(2)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12)가 형성되는 고정몸체(10);
    상기 고정몸체(1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상·하부에는 각각 철근(1)이 내입 안치되는 반원 형상의 안치홈(21)이 형성되며, 그 안치홈(21)에는 철근(1)에 형성되는 마디(2)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철근(1)의 마디(2)와 걸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22)가 형성되는 가압몸체(20);
    상기 고정몸체(1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는 너트공(30);
    상기 가압몸체(20)의 중심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너트공(30)과 마주보게 형성되는 안내공(40); 및
    일단은 상기 안내공(40)의 직경보다 큰 헤드(51)가 형성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상기 너트공(30)과 체결되는 나사산(52)이 형성되는 것으로, 타단이 상기 안내공(4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30)에 체결되면 상기 가압몸체(20)를 상기 고정몸체(10) 측으로 가압 밀착시켜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10,20)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철근(1)의 마디와 상기 걸림돌기(12,22)의 걸림으로 인해 상기 가압 및 고정몸체(10,20)에 안치되는 철근(1)이 견고히 결속 고정되게 하는 고정볼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내공(40)은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볼트(50)가 상기 안내공(40)을 관통하여 상기 너트공(3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몸체(20)가 승강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상기 고정볼트(50)를 통해 결속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회동을 방지하는 회동 방지수단(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 방지수단(60)은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내측 중심에 각각 형성되는 회동 방지홈(61)과, 상기 회동 방지홈(61)에 내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가 회동되려면 상기 회동 방지홈(61)과 마찰되어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의 회동을 방지하되, 내부에는 상기 고정 및 가압몸체(10,20)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볼트(50)가 관통되도록 관통공(62a)이 형성되는 다각형의 회동 방지부재(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연결용 커플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1353A 2019-10-01 2019-10-01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135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53A KR102135480B1 (ko) 2019-10-01 2019-10-01 철근 연결용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353A KR102135480B1 (ko) 2019-10-01 2019-10-01 철근 연결용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480B1 true KR102135480B1 (ko) 2020-07-17

Family

ID=7183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353A KR102135480B1 (ko) 2019-10-01 2019-10-01 철근 연결용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4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61A (ko) * 2001-05-22 2001-07-25 조영준 이형 철근의 연결이음쇠
KR200356201Y1 (ko) * 2004-04-14 2004-07-14 임재혁 철근 연결구
KR20060052756A (ko) * 2006-04-25 2006-05-19 노현수 철근이음장치
KR200458428Y1 (ko) * 2011-08-10 2012-02-20 김찬수 철근 커플러
KR20120124910A (ko) * 2011-05-06 2012-1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이져 텐셔너 와이어용 보호파이프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61A (ko) * 2001-05-22 2001-07-25 조영준 이형 철근의 연결이음쇠
KR200356201Y1 (ko) * 2004-04-14 2004-07-14 임재혁 철근 연결구
KR20060052756A (ko) * 2006-04-25 2006-05-19 노현수 철근이음장치
KR20120124910A (ko) * 2011-05-06 2012-1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레이져 텐셔너 와이어용 보호파이프 설치구조
KR200458428Y1 (ko) * 2011-08-10 2012-02-20 김찬수 철근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1198B2 (en) Hold down system with distributed loading for building walls
KR101456825B1 (ko) 로킹편 쌍이 구비된 철근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철근망의 연결이음 공법
KR100993880B1 (ko) 단차보강재가 구비된 데크플레이트
KR100993879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JP5430497B2 (ja) 締結具
KR102135481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135480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JPH07150762A (ja) 支柱の長さ調整装置
KR10218801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EP0494585A2 (en) A concrete casting form tie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casting a concrete element
KR100979817B1 (ko) 건축용 서포터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JP2005155196A (ja) 受け金具,建築用接合金具及び建築用木部材の接合方法
CN210659270U (zh) 一种建筑工程施工模板支护结构
AU2015275334B2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for the reversible joining of elements for providing a formwork for floor castings
KR20190004575A (ko) 매직 철근 커플링 및 매직 철근 커플링 결합방법
JP5078023B2 (ja) 柱脚接合具及び柱脚接合構造
KR101397948B1 (ko) 락 볼트 가압 고정장치
KR101016057B1 (ko) 철골 콘크리트 건축물의 철근 배근 장치
JPH0329475Y2 (ko)
KR101450243B1 (ko) 건설공사용 파이프 비계
JP4080419B2 (ja) 柱梁接合部における接合金具の取付構造
JP6474575B2 (ja) 既存建物のブレース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方法
KR102640179B1 (ko) 철근 연결용 커플러
KR102439876B1 (ko) 건축물 하중지지용 서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