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351B1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351B1
KR102135351B1 KR1020130092215A KR20130092215A KR102135351B1 KR 102135351 B1 KR102135351 B1 KR 102135351B1 KR 1020130092215 A KR1020130092215 A KR 1020130092215A KR 20130092215 A KR20130092215 A KR 20130092215A KR 102135351 B1 KR102135351 B1 KR 102135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terminal
signal
alarm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021A (ko
Inventor
박용학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351B1/ko
Priority to US14/332,058 priority patent/US9606721B2/en
Publication of KR2015001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nesthesi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단말기 본체에 모닝 알람 시각이 설정되면,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인지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 모닝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중 알람(alarm) 기능은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에 알람음, 진동, 팝업 메시지를 출력하여서 해당 시간을 통보해주는 기능으로서, 특히 수면 상태에 있는 사용자를 설정된 시간에 각성시키기 위한 모닝콜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 이와 같은 알람 기능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설정된 알람 시간 전에 미리 깨더라도(즉, 각성 상태가 되더라도) 설정된 알람 기능을 스스로 해제시키거나 또는 설정된 알람 시간에 알람이 울리기를 기다렸다가 단말기를 조작하여 알람을 종료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알람 기능은 단순히 설정된 시간에 알람음을 출력할 뿐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전혀 고려하여 않아서 신체리듬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파악하여 알람 기능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 가전기기의 동작 또는 사용 여부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스마트 알람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시하여 적합한 알람 시각 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 본체에 모닝 알람 시각을 설정되면,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 모닝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이용한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이 감지되면 제1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아기 디바이스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제2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 전에 상기 본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금일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상기 잠금 화면상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적어도 하나의 홈 가전기기 또는 홈 설비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동작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동작 신호와 상기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인디케이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이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벤트의 수신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 알람 기능의 비활성화 여부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트레스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중요도가 낮은 알림 메시지의 팝업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현재 화면을 기등록된 컨텐츠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링크(link)의 착용을 감지하고, 상기 링크는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모닝 알람 구간이 설정되면, 현재 시각이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 진입하였는지를 감시하고, 상기 링크로부터 송신된 맥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주기 동안,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의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입력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각의 이력을 기초로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추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이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각의 이력에서 기준값 이상으로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가 이상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본체의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본체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본체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이상 수면 상태를 상담, 진단, 감시, 또는 치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소에 접근하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링크로부터 맥박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상기 링크를 슬립모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본체의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 목적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수신된 본체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고, 본체의 위치가 상기 경로를 벗어나거나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면 상기 링크에 진동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를 적어도 소리로 출력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단말기 본체에 모닝 알람 시각을 설정되면, 상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본체에 이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벤트의 수신 알람 기능은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알람 시간보다 일찍 깬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하여, 더 이상 사용자가 기상했음에도 정해진 알람 시간에 알람이 울림으로 인하여 사용자나 제3자를 방해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가 기상 후 단말의 설정에서 알람 기능을 해제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홈 가전기기의 동작 또는 사용 여부를 단말에서 감지하여 사용자가 각성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각성 중이면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수면 중이면 단말에의 푸쉬 알람을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스마트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일정 주기 동안 감시하여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의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이력을 토대로 사용자의 수면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본체가 이와 관련된 장소에 접근하면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수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흐름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사용자 조작이 인가된 경우 단말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단말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링크(link)의 착용 여부와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 수신된 이벤트에 따라 푸쉬 알람 기능의 활성 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 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서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에 모닝 알람 시각이 설정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상태, 즉 수면 상태인지 각성상태인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수신된 생체 신호값에 근거하여 수면 상태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의 경계값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각성(즉, 기상 또는 잠에서 깸)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란, 사용자가 쾌적하게 기상할 수 있는 최적의 순간으로서 예를 들어 수면 상태가 REM(Rapid Eye Movement) 수면 상태인 경우를 가리킨다. REM 수면 상태에서는, 수면중에 혈압, 심박동, 심박출량, 호흡수, 체온, 산소소비량 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서 각성하기에 가장 좋은 상태가 되므로 이때에 기상하게 되면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가 덜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금일 모닝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기설정된 알람 시각에 도달하기 전에 이미 잠에서 깬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이 되어도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알람 기능의 비활성화는 해당 일(즉, 금일)에 실행되는 것으로 제한된다. 또한, 알람 기능이 스누징(snoozing)기능을 수반하는 경우에는 스누징 기능의 종료가 함께 실행되거나 스눙징 기능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재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알람 시간보다 일찍 깬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기상했음에도 불필요하게 알람이 울림으로 인하여 사용자나 제3자를 방해하거나 사용자가 기상 후에 별도로 알람 기능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서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도 1)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된 디바이스와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착용된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소정의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두부, 어깨, 손목, 목, 팔, 다리, 허리 등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접촉하여 착용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입은 의류에 장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한다(S301).
여기서, 상기 생체신호란, 예를 들어 ECG(ElectroCardioGram) 신호, PPG(Photoplethymogram) 신호, 또는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면 단계의 측정을 위해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되어(이때,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착용되어야 함),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 신호를 이동 단말기(100)로 송출하거나 또는 직접 신호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디바이스는 필요한 경우 감지된 생체 신호의 일부나 전부를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송출하는 디바이스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측정 모듈(30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신호 측정 모듈(301)이 장착되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의류, 시계, 안경, 벨트, 신발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에 착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필요한 경우 수도꼭지, 전등 스위치 등과 같은 홈 가전기기에 장착되어 생체 신호가 아닌 홈 가전기기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홈 가전기기의 동작 또는 비동작 여부를 감시하여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만을 고려할 수도 있고,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종합 고려하여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생체 조직과 접촉되는 전극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전기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디바이스에 구비된 소정의 측정 모듈로부터 방출되는 광 또는 RF 신호를 사용자의 신체에 투과시켜서 반사 또는 산란되어 돌아오는 광 또는 RF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HPNA(Home Phoneline Networking Alliance), 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IEEE1394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송출해 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요청 신호의 전송은 기설정된 기준,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근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같이,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알람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가 반드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것이 전제되어야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감지부(140)는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부(140)는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어떠한 형태로는 생체 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디바이스가 착용된 것으로 감지한다. 반면, 제어부(180)의 신호 송신 요청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부(140)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한다. 다른 예에서는 디바이스와 일체로 결합된 연결장치가 '열린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신체에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닫힌 상태'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신체에 착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바이스의 착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를 나타내는 제1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제1아이콘은 기설정된 시간만 표시된 후에 디스플레이부(170)로부터 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아이콘과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제2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목에 감싸는 형태의 생체 신호 측정 모듈(301)(이때는 생체 신호 측정 모듈(301)과 디바이스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음)을 착용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상에 디바이스의 착용 및 생체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40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본체에 모닝 알람 시각이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한다(S302).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가 알람 모드 상태인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 알람 모드는 특정 시각(예, 오전 6시 30분) 또는 특정 시간대(예, 오전 6시 30분부터 7시 30분)에 알람 기능이 설정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스누징 기능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현재 시각이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근접한 경우에(예,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으로부터 30분 전이면), 상기 디바이스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그때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도록 하거나 또는 그때부터 생체신호를 송신해주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예, 맥박 신호, 심전도 신호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NREM(Non-REM) 상태인지 또는 각성하기에 용이한 수면상태인 REM 수면 상태인지, 또는 이미 기상한 상태(즉, 각성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수신된 생체 신호에는 각성 상태인 사용자의 동작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미 깬 상태인 경우에는 몸을 뒤척이거나 일어나는 동작을 취하기 때문에 생체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잡음이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50)는 생체 신호의 주파수 성분에 잡음이 감지되거나 또는 생체 신호의 파워(Power)가 갑자기 증가하였는지를 감시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면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성 상태인지 또는 수면 상태인지의 판단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른 원격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신된 생체 신호를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03).
여기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REM 상태인 수면 주간으로서, 사용자가 각성할 때 피로감을 덜 느끼고 보다 쾌적하게 각성할 수 있는 수면 상태를 가리킨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의 수면상태는 NREM수면과 REM수면으로 구별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NREM수면은 1,2,3,4기로 이루어져 있다. 수면 상태가 시작되면 NREM수면의 1기를 거쳐 2기로 들어가며 수면상태 시작 후 30분~45분 정도면 깊은 수면상태인 델타수면(NREM수면3,4기)에 도달한다. 이러한 상태는 대략 한 시간 정도 지속되고 그 후로는 다시 2기로 돌아가게 되며, 70분~90분 정도 지나면 첫 렘수면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NREM수면과 REM수면은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대략 90분 간격으로 REM수면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수면주기는 뇌파를 통해 정확히 측정될 수 있는데, 생리적 활동은 수면 시작 시 완만해져 NREM수면 시에 점차적으로 감소되고, REM수면 동안에는 증가하기 시작해서 거의 각성기 수준에 도달한다. 따라서, 인간이 REM수면 상태에 도달하면 혈압, 심박동, 심박출량, 호흡수, 체온, 산소소비량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각성하기에 가장 좋은 상태가 된다. 반면, NREM수면의 3,4기에는 대부분의 생리적 활동이 저하되어 각성이 어려우며, 이 수면 단계에서 잠이 깰 경우 휘청거리며, 혼돈 상태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신체리듬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각성시간은 REM수면이 끝나고 깊은 수면상태로 진입하기 이전인 NREM수면의 1,2단계이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현재 시각이 설정된 알람 시각에 도달하는 즉시 알람을 출력하기보다는,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에서 알람이 출력되도록, 미리 설정된 알람 시각보다 먼저 사용자의 생체신호의 변화 주기를 감시하여 최적의 순간에 알람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알람 신호가 발생되는 시각은 반드시 기설정된 알람 시각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기설정된 알람 시각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가 아닌 경우(예, NREM 수면 상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보다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기등록된 알람 신호의 출력 방식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알람 신호로 출력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음으로 '사이렌'이 설정된 경우, 기설정된 알람 시각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하지 않은 수면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음을 '파도소리'나 '자연의 소리'와 같이 감성효과가 높은 알람음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알람 시각이 '시간대'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설정된 시간대에서 사용자가 가장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을 결정하여, 결정된 시각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알람 시각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가 아닌 경우(예, NREM 수면 상태)로 판단되면, 알람의 정도, 횟수, 알람음의 세기나, 출력 수단의 갯수를 조절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알람 시각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가 아닌 경우(예, NREM 수면 상태),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의 정도를 기등록된 것보다 약하게 출력하다가 점점 세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상기 디바이스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제어부(180)로부터 전달된 알람 신호(예, 소리 또는 진동)의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디바이스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에 본체에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이벤트의 수신 알람 기능은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인스턴트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내용만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도록 하고 수신 알람 기능은 오프(off) 상태로 할 수 있다.
한편, 단계(S302)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금일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S304).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 기능의 '설정 모드'에 진입하여 금일의 알람 기능만 비활성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설정된 알람 시각 전에 기상한 경우에는 알람 기능을 '오프(off)' 상태로 변경해줌으로써, 사용자가 단말을 조작하여 알람을 해제시켜야하거나, 특히 정해진 시각에 알람음이 울려서 타인의 수면을 방해하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설정된 알람 시각보다 먼저 기상하였는지 여부의 판단은 매일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제어부(180)는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만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 기능에 복수의 알람 시각이 설정된 경우, 설정된 알람 시각의 이격 정도에 따라 비활성화시킬 알람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모닝 알람 시각과 다음 모닝 알람 시각이 30분내로 이격되어 설정된 경우에는 설정된 모든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닝 알람 시각이 2시간 간격으로 이격된 경우에는 처음의 모닝 알람 기능만 비활성화시키도록 하여 두번째 모닝 알람 기능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 기능에 복수의 알람 시각이 설정된 경우, 알람 시각을 토대로 판단된 시간대의 동일 여부에 따라 비활성화시킬 알람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정해진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만 비활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알람 설정시 해당 기능의 활성 여부를 미리 '체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알람 기능이 스누징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알람 기능의 비활성화시 스누징 기능도 함께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스누징 기능에 대응되는 시간 간격마다 사용자의 각성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누징 기능이 5분마다 알람이 다시 울리도록 설정된 경우, 기설정된 알람 시각에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스누징 기능에 대응되는 시각 간격, 5분마다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다시 수면 상태로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각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생체 신호외에 다른 외부기기의 센서값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아닌 다른 신호 감지에 의하여 사용자가 알람 시각 전에 각성한 경우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사용자 조작이 인가된 경우 단말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제어부(180)는, 상기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 전에 상기 본체에 인가되는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금일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부(170)의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에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각성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판단은 상술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함께 고려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판단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제어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인 경우에도 상기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전에 알람 설정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아이콘(501)을 조작하여, 매주 '일, 월, 화, 수, 목'의 오전 6시 30분에 모닝 알람(502)을 설정한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 전에 이동 단말기(100)를 조작한 것이 감지된 경우, 잠금 화면에서도 알람을 해제하도록 유도하는 팝업창(510)을 즉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에는 키조작을 통해 알람을 해제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화면을 예시로 하였으나, 필요한 경우 사용자의 음성 명령(예, '알람 종료!')을 입력하여 알람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본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흔들거나 기울이는 것과 같이 햅틱 신호를 입력하여 알람을 해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기기의 동작이 감지된 경우 단말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디바이스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홈 가전기기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감지된 상기 홈 가전기기의 동작 신호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 측정 모듈(301)이 홈 네트워크내에 있는 홈 가전기기나 홈 설비장치에 각각 장착되어, 해당 가전기기나 설비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술한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함께, 홈 가전기기나 홈 설비장치로부터 수신된 동작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에 오전 6시 30분으로 알람 시각이 설정되고(501), 홈 설비장치(예, 수도꼭지)(200)에 동작 신호 측정 모듈(301) 또는 그러한 기능을 포함하는 센서가 장착된 경우, 알람 시각에 도달하기 전에 홈 설비장치(예, 수도꼭지)(200)에 장착된 동작 신호 측정 모듈(301)로부터 동작 신호가 수신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시각(610)이 알람 시각 이전이라도 알람이 해제되고, 이러한 알람 해제를 나타내는 아이콘(602)을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시킬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장착된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동된 홈 가전기기나 홈 설비장치들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적합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생체 신호를 근거로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이면, 기설정된 알람 시간대에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좋은 수면 상태에서 모닝 알람음이 출력되도록 하면서, 이와 함께 전등을 소멸하거나 유선전화기를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연동된 홈 가전기기나 홈 설비장치의 제어정보(예, 제어되기 기기 및 제어 상태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술한 단계(S302)에서 수신된 생체 신호 등(이하, '생체 신호 등'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만이 단독 고려되는 경우와 사용자의 생체 신호와 함께 홈 가전기기 또는 홈 설비장치의 동작 신호가 함께 고려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을 미리 밝혀둔다)에 근거하여 확인된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링크(link)의 착용 여부와 사용자의 수면 상태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예시들을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link)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서,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측정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링크(link)는 사용자의 배, 팔뚝, 두부, 다리, 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지점이면 신체의 어느 위치에든 착용될 수 있다.
착용된 링크(link)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0는, 수신된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170)의 일 영역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의 형태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또한, 다른 예에서는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음성 안내를 통해 알려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링크(301)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이면, 디스플레이부(170)의 일 영역에 수면중임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포함한 인디케이터(70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알람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온(on)' 상태로 유지되지만, 이동 단말기(100)의 다른 기능은 변경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에는 메시지 수신의 푸쉬 알람 기능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에는 호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응답모드가 되도록 기능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인디케이터의 형상을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를 참조하면, 링크(301)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움직임 신호가 함께 고려될 수 있음)에 근거하여 판단된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상태이면, 디스플레이부(170)의 일 영역에 깬 상태임을 나타내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포함한 인디케이터(702)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설정된 알람 기능을 금일에만 비활성화시키고, 또한 사용자의 각성 상태가 감지되는 즉시 소정의 알림음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생체 신호를 송출하는 링크(link)가 동작하지 않거나 착용 해제된 경우에는, 링크(link)의 전력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링크(link)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거나 슬립모드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예, 1분 이상) 상기 링크로부터 맥박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상기 링크를 슬립모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링크(link)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체에 모닝 알람이 설정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 등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확인된 상태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이동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 수신된 이벤트에 따라 푸쉬 알람 기능의 활성 여부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이다.
여기서, '이벤트'는 단말기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발생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또는 데이터 파일)의 항목을 변경시키는 일이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전송 또는 송신하는 일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예로, '콜(call) 수신' 또는 '메시지(message) 수신' 또는 기능전환, 화면전화 등에 따라 수반되는 푸쉬 알람의 발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이벤트가 수신되면, 수신된 이벤트의 수신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면을 방해받지 않도록 수면 상태에 적합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발생된 또는 수신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수신 알람 기능의 비활성화 여부를 다르게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가 높은 것은 이벤트(예, 호(call) 신호 착신)가 수신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기 위해 수신 알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경우로 판단되면 알람의 정도(예, 소리의 크기, 알람 수단의 개수, 알람의 간격)를 강하게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중요도가 낮은 이벤트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이거나 또는 사용자 입력을 통해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이면, 사용자의 수면을 방해하지 않도록 수신 알람 기능을 오프(off) 상태로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도 8의 (a)에서 링크(link)(301)로부터 수신된 생체 신호에 근거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경우(701), 인스턴트 메시지(801)가 도착하면 중요 이벤트가 아닌 것으로 보고 수신 알람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메시지의 도착 여부와 메시지의 내용은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의 (b)에서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경우(701), 호(call) 신호가 수신되면 중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여 수신 알람을 '소리'(예,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안내 음성)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전에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사용자가 수면 상태이면 모든 이벤트 발생에 대해 수신 알람을 비활성화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는 형태의 링크(link)인 경우, 측정된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토대로 한 관련 기능들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링크(link)의 착용을 감지할 수 있다. 링크(link)는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로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링크(link)로부터 맥박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링크(link)가 착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링크(link)를 슬립모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유도하기 위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시켜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링크(link)로부터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수신한다(S901). 이때, 맥박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에 모닝 알람 구간이 설정되면, 현재 시각이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 진입하였는지를 감시한다(S902). 이때, 알람 구간의 설정은 사용자 입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상태의 알람 시각의 이력을 토대로 하여 자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모닝 알람 구간에 진입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링크로부터 송신된 맥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903).
여기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맥박 신호로부터 판단된 수면 상태가 REM 상태인 경우로, 보다 쾌적하게 기상할 수 있는 수면 상태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한, 알람 신호의 출력 방식은 빛, 소리, 진동, 및 이들의 복수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링크(link)의 착용 해제가 감지된 경우, 즉 생체 신호가 수신되었으나, 이후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도록 생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 또는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를 적어도 '소리'로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더 이상 '링크(link)'에서 알람 신호가 진동 형태로 출력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사용자가 각성하기 쉬운 알람 형태인 '소리'로 출력하도록 한다.
기설정된 주기 동안(예, 30일 또는 3달), 기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서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의 이력(history)이 메모리(160)에 저장된다(S904).
이와 같이 알람 시각의 이력(history)이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소정의 입력 신호가 인가된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저장된 알람 시각의 이력을 기초로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추천한다(S905).
여기서, 상기 소정의 입력 신호는 기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키를 터치하거나 기설정된 음성 신호나 동작 신호를 입력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80)는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추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추천 방식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으며, 상기 제어부(180)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출력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추천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최적의 추천 알람 시간대와 함께, '추천된 알람 시간대로 설정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문구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팝업시킬 수 있다.
한편, 특정일에 단계(S901) 에서 단계(903)의 수행 결과 출력된 알람 신호가 메모리(160)에 저장된 알람 시각의 이력에서 기준값 이상으로 벗어나거나 또는 추천된 최적의 알람 시간대를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이상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906).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상 수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러한 기록이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본체의 현재 위치가 사용자의 이상 수면 상태를 상담, 진단, 감시, 또는 치료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소(예, 병원, 약국, 마트 등)에 접근하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S907).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부(110)는 본체의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가 본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위치 측위 기술 중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WPS(Wi-Fi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본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현재 시각 정보(time information)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GPS는 지구를 도는 인공위성으로부터 본체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GPS로부터 수신된 위도 정보 및 경도 정보를 통해 본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WPS는 War-Driving을 통해서 구축된 가상의 AP(Access Point) DB(Database) 정보와 이동 단말기(100)로부터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AP Info를 이용하여 본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Wi-Fi의 AP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삼각측량을 통해 본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의 현재 위치가 병원이나 약국(특정 지점으로 한정 설정할 수 있음)을 지나는 경우, '근처에 OO병원이 있습니다. 요즘 수면 상태에 이상이 있으니 상단 받으시길 권장합니다'와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음성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100)가 생체 신호를 근거로 판단된 수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 상태를 관리받을 수 있게 되어 유용하다.
한편,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링크(link)를 통해서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활용이 가능하다.
제1실시예로, 이동 단말기 본체에 사용자 입력을 통해 특정 목적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본체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하거나 본체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표시해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체의 위치가 설정된 경로를 벗어나거나 또는 본체가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링크(link)에 진동 알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의 가방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를 꺼내보지 않더라도 경로의 이탈 또는 목적지에의 도착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180)는 링크(link)에 스피터 등이 추가된 경우 길 안내 음성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로, 링크(link)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스트레스 정도에 대응되는 레벨은 메모리(160)에 미리 저장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비교, 판단될 수 있다.
산출된 스트레스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 발생(예, 메시지 수신, 호(call) 신호 착신)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은 비활성화시키고, 중요도가 낮은 알림 메시지(예, 네트워크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의 팝업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산출된 스트레스 정도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70)에 표시되는 현재 화면을 기등록된 컨텐츠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대응되는 음향 효과(예, '자연의 소리')가 더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기설정된 알람 시간보다 일찍 깬 것으로 판단되면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그리하여, 더 이상 사용자가 기상했음에도 정해진 알람 시간에 알람이 울림으로 인하여 사용자나 제3자를 방해하는 일이 없고, 사용자가 기상 후 단말의 설정에서 알람 기능을 해제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홈 가전기기의 동작 또는 사용 여부를 단말에서 감지하여 사용자가 각성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각성 중이면 금일의 모닝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수면 중이면 단말에의 푸쉬 알람을 차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스마트 알람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일정 주기 동안 사용자의 맥박 신호에 근거하여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을 수집하여 이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이력을 토대로 사용자의 수면 이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본체가 이와 관련된 장소에 접근하면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수면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이동 단말기 본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본체에 모닝 알람 시각이 설정되면, 상기 생체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홈 가전기기 또는 홈 설비장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동작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 결과,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수면 상태인지를 고려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에 대응되는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태가 각성 중인 것으로 식별되면 금일 모닝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이 감지되면 제1 아이콘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착용 해제가 감지되면 제2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서 사라지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잠금 상태에 대응되는 잠금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시각 전에 상기 본체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금일 모닝 알람 시각의 알람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상기 잠금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홈 가전기기 또는 홈 설비장치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상기 동작 신호를 수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인디케이터의 형상을 대응되게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 상태가 수면 중인 것으로 식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이벤트의 수신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킴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또는 상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상기 수신 알람 기능의 비활성화 여부가 다르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 신호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식별하고,
    상기 스트레스 정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이벤트 발생에 대응되는 알람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중요도가 낮은 알림 메시지의 팝업을 차단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트레스 정도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현재 화면을 미리 등록된 컨텐츠 화면으로 변경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링크(link)의 착용을 감지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사용자의 맥박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에 모닝 알람 구간이 설정되면 현재 시각이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에 진입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링크로부터의 상기 맥박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설정된 모닝 알람 구간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각성하기 용이한 알람 시각에 알람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30092215A 2013-07-22 2013-08-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35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5A KR102135351B1 (ko) 2013-08-02 2013-08-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4/332,058 US9606721B2 (en) 2013-07-22 2014-07-15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215A KR102135351B1 (ko) 2013-08-02 2013-08-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021A KR20150016021A (ko) 2015-02-11
KR102135351B1 true KR102135351B1 (ko) 2020-07-17

Family

ID=5257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215A KR102135351B1 (ko) 2013-07-22 2013-08-02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59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상태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2126465B2 (en) 2022-02-07 202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based on sleep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453B1 (ko) * 2015-06-08 2016-10-27 유익수 수면무호흡증 관리장치
KR20180027070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티켓투라이드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수면 분석 방법 및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수면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11630490A (zh) * 2017-11-01 2020-09-04 福特全球技术公司 车辆模式和乘客界面
KR102171863B1 (ko) * 2019-06-24 2020-10-29 최은호 기상 알람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상 알람 제어 방법
CN114967897A (zh) * 2021-02-19 2022-08-30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功耗优化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20230059408A (ko) * 2021-10-26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모니터링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7511A (ko) * 2004-12-15 2006-06-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수면상태에 따른 알람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70000848A (ko) * 2005-06-28 2007-01-03 주식회사 팬택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 취침 모드를 제공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108679A (ko) * 2009-09-21 2009-10-16 김동환 이동 단말에서의 알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68249B1 (ko) * 2010-08-24 2016-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9659A1 (ko) * 2022-02-07 2023-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면 상태에 기반하여 홈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12126465B2 (en) 2022-02-07 202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rver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based on sleep stat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021A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3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606721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07113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427372B (zh) 可佩戴的手表式终端和装备有可佩戴的手表式终端的系统
CN105988708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22395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423573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9807694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323378B (zh) 移动终端
US946755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3101577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303406B (zh) 移动终端
KR1021294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20150348389A1 (en) Smart band and emergency stat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6471860B (zh) 移动终端和用于控制其的方法
US20190083034A1 (en) Watch-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182756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500394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US1079550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70373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80249056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60320839A1 (en) Wearable terminal and system including same
KR20180113115A (ko) 전자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KR201500112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6710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