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123B1 -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123B1
KR102135123B1 KR1020190032367A KR20190032367A KR102135123B1 KR 102135123 B1 KR102135123 B1 KR 102135123B1 KR 1020190032367 A KR1020190032367 A KR 1020190032367A KR 20190032367 A KR20190032367 A KR 20190032367A KR 102135123 B1 KR102135123 B1 KR 102135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eacon
contractor
smart term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90032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4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transmitted data signal containing a code which is ch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벙법은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관리 서버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키 관리 어플을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 어플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키 금고의 비콘 B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콘 B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금고에서 착탈될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의 계약처 키마다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임의의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임의의 계약처 키가 분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B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콘 B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 키 금고가 키 분출후 정상적으로 크로스(닫힘)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키 분출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저장하고 분출된 해당 계약처 키가 정상적인 분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계약처 키가 비정상적으로 분출된 경우, 해당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정상 분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Key Management System of Contracting Agency by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과 관련하여 여러곳에 산재한 계약처의 키를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비콘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계약처의 키에 대하여 승인없이 분출되거나 제한 거리를 벗어나서 불법 복제 여부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873929호(2018. 7. 3. 공고)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상기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도어락 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도어락 장치(200)는 상호 근거리 무선통신 및 초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BLE),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적용되는 단말기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 송신 거리는 1m에서 100m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의 송신 거리는 1m~10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1m~10m 이내의 영역을 도 1의 동기화 영역(1)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초 근거리 무선통신은 10cm 이내의 초 근거리에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무선통신의 하나인 엔에프씨(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무선통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상기 초 근거리 무선통신의 무선통신 거리인 10cm 이내의 영역을 인증영역(2)이라 한다.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및 초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거나 획득할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개인보조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0)의 구성 및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어락 장치(200)는 금고의 도어, 차량의 도어, 가정의 현관문 등과 같은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락/언락 수단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단말기(100)를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100)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및 초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동기화 영역(1)으로 진입하면 동기화 동작을 수행하여 동기화 성공 여부에 따른 1차 인증을 수행하고, 1차 인증 성공 시 상기 초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인증영역(2)으로 진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로 인증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인증정보와 획득한 인증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에 따른 2차 인증을 수행하고, 2차 인증 성공 시 도어 락/언락 수단을 제어하여 해당 도어의 잠김을 해제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2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인증영역(2)을 벗어나거나, 동기화 영역(1)을 벗어난 상태에서 닫히는 경우 도어를 자동 잠금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도어와의 통신 거리를 기초로 하여 인증하는 것으로 인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도어를 자동으로 잠금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기초로 계약처 키 관리를 하기 위하여는 키 관리를 위한 추가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무실 또는 가정의 보안 관리를 위하여 사무실 또는 가정과 같은 계약처 키를 보관하는 키 금고를 기초로 계약처의 키 분실을 방지하고 계약처 키의 금고에서의 인출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벙법은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관리 서버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키 관리 어플을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 어플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키 금고의 비콘 B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콘 B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금고에서 착탈될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다수의 계약처 키마다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임의의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임의의 계약처 키가 분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B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콘 B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 키 금고가 키 분출후 정상적으로 크로스(닫힘)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키 분출 관련 정보를 관리 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저장하고 분출된 해당 계약처 키가 정상적인 분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해당 계약처 키가 비정상적으로 분출된 경우, 해당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정상 분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비콘 신호의 수신이 중지되는 경우 경고를 보내도록 함으로써 계약처 키 관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계약처 키 관리를 시스템화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을 도 2 내지 도 7을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은 관리자를 포함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관리 서버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S11)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 등록하는 단계(S12)와, 키 관리 어플을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13)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키 관리 어플을 활성화하는 단계(S14)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키 금고의 비콘 B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와, 비콘 B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6)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의 키걸이에서 착탈될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계약처 키마다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와, 임의의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임의의 계약처 키가 분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8)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9)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A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 소지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0)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B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비콘 B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 키 금고의 키 분출 후 키 금고가 정상적으로 크로스(닫힘)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분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와, 관리 서버가 수신된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저장하고 분출된 해당 계약처 키가 정상적인 분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와, 해당 계약처 키가 비정상적으로 분출된 경우, 관리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정상 키 분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키 금고에 설치된 계약처 키는 다수의 계약처 키가 설치되는 것으로 계약처 담당자가 어느 한 계약처 키를 키 금고에서 탈착된 경우, 해당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고, 다수 계약처 키를 탈착한 경우 다수의 비콘C에 전원이 각각 인가되고 각 비콘 C의 각각의 고유 정보를 생성하고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11 단계에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제한시간까지 비콘 A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와, 비콘 A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 열림 시간 정보,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관리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S24 단계에서 비정상적인 반출은 예를 들어, 휴일에 대한 키 반출이거나, 야간에 대한 키 반출 또는 미리 정해진 계약처의 키 반출이 아닌 경우에도 불구하고 키가 반출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비콘 A 및 차량에 설치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으로 키 금고에서 반출된 계약처 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1)와, 계약처 담당자가 보안 점검 완료 후 계약처 키를 반납하기 위하여 키 금고를 오픈(열림)하여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키 금고가 열리면 비콘 B에 전원이 인가됨)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와,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3)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계약처 키가 키 걸이에 걸리는 경우에 비콘 C의 전원이 분리됨)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와, 비콘 C의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비콘 C가 부착된 계약처 키가 키 금고의 키 걸이에 걸려 정상적으로 계약처 키 반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5)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키 금고가 열리면 비콘 B에 전원이 인가 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것임)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와, 비콘 B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금고가 크로스(닫힘)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7)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8)와, 비콘 A의 비콘 신호만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 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S34 단계에서 비콘 C의 비콘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제한 시간 동안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중지를 대기하는 단계(S40)와, 제한 시간을 넘겨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키금고 열림정보와 계약처 키의 미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4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와,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고,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가 차량으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52)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A의 신호 미수신이 제한 시간(미리 설정하는 것으로 차량에서 해당 계약처 키 금고까지 도보로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제한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와, 제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제한 거리 초과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S52 단계에서 비콘 A의 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 S51 단계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S53 단계에서 제한 시간 이내에 비콘 A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S51 단계의 크로스 루프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에 대한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와, 비콘 A의 신호는 수신되고, 비콘 C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정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S62)와,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미수신 정보(계약처 키의 분실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계약처 담당자가 본사에서 해당 계약처로 이동하여 키 금고를 열 수 있는 시간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6에서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및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각 비콘 C의 고유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키 관리 어플이 설치되고 활성화하여 키금고가 열리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B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키 금고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며, 금고의 키 걸이에서 착탈된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키가 키 금고에서 분출된 것을 판단하고,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키 금고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며, 비콘 A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키를 소지한 계약처 담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계약처 키 분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10)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비콘신호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콘 A(20)와, 키 금고에 설치되고 키 금고가 열리는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비콘 신호를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콘 B(30)와, 키 금고가 열린 후에 키 금고 내부의 각각의 키 걸이에 걸어 놓는 것으로 키 걸이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비콘 C(40) 및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키 분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해당 계약처의 키 분출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 및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으로 키 금고에서 반출된 키를 모니터링하며, 키 금고에 설된 비콘 B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금고가 열린 것으로 판단고 계약처 키에 부차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해당 계약처 키가 키 걸이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비콘 B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키 금고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계약처 키 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10-1)와, 차량에 설치되어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A(20-1)와, 키 금고에 설치되는 것으로 키 금고가 열리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고 전송하며 키 금고가 닫히는 경우 전원이 차단되는 비콘 B(30-1)와, 키 금고 내부의 키 걸이에 걸려지는 것으로 키 걸이에서 이탈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키 걸이에 걸리는 경우 전원이 차단되는 계약처 키에 부착되는 비콘 C(40-1) 및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키 반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 서버(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10 :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 20 : 비콘 A,
30 : 비콘 B, 40 : 비콘 C,
50 : 관리 서버

Claims (14)

  1. 다수의 보안관리 대상 계약처가 여러 장소에 산재한 상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은,
    관리자를 포함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 고유 정보,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관리 서버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S11)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고유 정보들을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 등록하는 단계(S12)와;
    키 관리 어플을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S13)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키 관리 어플을 활성화하는 단계(S14)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키 금고의 비콘 B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와;
    비콘 B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6)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의 키걸이에서 착탈될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계약처 키마다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와;
    임의의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임의의 계약처 키가 분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8)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9)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A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 소지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0)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B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1)와;
    비콘 B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 키 금고의 키 분출 후 키 금고가 정상적으로 크로스(닫힘) 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22);
    및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분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은,
    상기 S11 단계에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제한시간까지 비콘 A의 신호 수신을 대기하는 단계;
    및 제한시간까지 비콘 A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 열림 시간 정보,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관리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수신된 해당 계약처 키의 분출 정보를 저장하고 분출된 해당 계약처 키가 정상적인 분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4);
    및 해당 계약처 키가 비정상적으로 분출된 경우, 관리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정상 키 분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시간은,
    차량에서 해당 계약처 키 금고까지 도보로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방법.
  5. 다수의 보안관리 대상 계약처가 여러 장소에 산재한 상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비콘 A 및 차량에 설치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으로 키 금고에서 반출된 계약처 키를 모니터링하는 단계(S31)와;
    계약처 담당자가 보안 점검 완료 후 계약처 키를 반납하기 위하여 키 금고를 오픈(열림)하여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2)와;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가 오픈(열림)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3)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와;
    비콘 C의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비콘 C가 부착된 계약처 키가 키 금고의 키 걸이에 걸려 정상적으로 계약처 키 반납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5)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와;
    비콘 B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키금고가 크로스(닫힘)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37)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8);
    및 비콘 A의 비콘 신호만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해당 계약처 키 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은,
    S34 단계에서 비콘 C의 비콘 신호의 수신이 있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제한 시간 동안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중지를 대기하는 단계(S40);
    및 제한 시간을 넘겨 비콘 C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키금고 열림정보와 계약처 키의 미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시간은,
    차량에서 해당 계약처 키 금고까지 도보로 왕복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방법.
  8.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와;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고,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가 차량으로부터 이탈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52)와;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비콘 A의 신호 미수신이 제한 시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3);
    및 제한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S52 단계에서 비콘 A의 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 S51 단계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S53 단계에서 제한 시간 이내에 비콘 A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S51 단계의 크로스 루프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약처 담장자가 계약처 키 소지 후 제한 거리 이동 초과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11. 다수의 보안관리 대상 계약처가 여러 장소에 산재한 상태에서의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은,
    계약처 담당자가 소지한 스마트 단말기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와;
    비콘 A의 신호는 수신되고, 비콘 C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설정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S62);
    및 설정 시간을 초과하여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가 계약처 키의 미수신 정보(계약처 키의 분실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시간은,
    계약처 담당자가 본사에서 해당 계약처로 이동하여 키 금고를 열 수 있는 시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거리 내에서 계약처 키의 비콘 신호가 없는 경우의 판단 방법.
  13. 다수의 보안관리 대상 계약처가 여러 장소에 산재한 상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고유 정보, 키 금고에 설치된 비콘 B의 고유 정보 및 각 계약처 키에 부착된 각 비콘 C의 고유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키 관리 어플이 설치되고 활성화하여 키금고가 열리는 경우 전원이 공급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B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키 금고가 열린 것으로 판단하며, 금고의 키 걸이에서 착탈된 경우 전원이 공급되는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계약처 키가 키 금고에서 분출된 것을 판단하고,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키 금고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며, 비콘 A로부터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계약처 키를 소지한 계약처 담당자가 차량에 탑승한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계약처 키 분출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10)와;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마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비콘신호를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콘 A(20)와;
    키 금고에 설치되고 키 금고가 열리는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며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하여 비콘 신호를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비콘 B(30)와;
    키 금고가 열린 후에 키 금고 내부의 각각의 키 걸이에 걸어 놓는 것으로 키 걸이에서 이탈하는 경우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비콘 C(40) ;
    및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키 분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해당 계약처의 키 분출이 정상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분출 관리 시스템.
  14. 다수의 보안관리 대상 계약처가 여러 장소에 산재한 상태의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은,
    계약처 키에 부착된 비콘 C 및 차량에 설치된 비콘 A의 비콘 신호 수신으로 키 금고에서 반출된 키를 모니터링하며, 키 금고에 설된 비콘 B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비콘 B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금고가 열린 것으로 판단고 계약처 키에 부차된 비콘 C의 비콘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하여 비콘 C의 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하면 해당 계약처 키가 키 걸이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고, 비콘 B의 비콘 신호 수신이 없는 경우 키 금고가 닫힌 것으로 판단하여 계약처 키 반납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10-1)와;
    차량에 설치되어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비콘 신호를 전송하는 비콘 A(20-1)와;
    키 금고에 설치되는 것으로 키 금고가 열리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고 전송하며 키 금고가 닫히는 경우 전원이 차단되는 비콘 B(30-1)와;
    키 금고 내부의 키 걸이에 걸려지는 것으로 키 걸이에서 이탈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어 비콘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콘 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계약처 담당자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며 키 걸이에 걸리는 경우 전원이 차단되는 계약처 키에 부착되는 비콘 C(40-1);
    및 계약처 담당자의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키 반납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관리 서버(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반납 관리 시스템.






KR1020190032367A 2019-03-21 2019-03-21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KR102135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67A KR102135123B1 (ko) 2019-03-21 2019-03-21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367A KR102135123B1 (ko) 2019-03-21 2019-03-21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123B1 true KR102135123B1 (ko) 2020-07-17

Family

ID=7183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367A KR102135123B1 (ko) 2019-03-21 2019-03-21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437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헤드 무인차량키출납기를 포함한 차량관리시스템
KR20150119100A (ko) * 2013-02-15 2015-10-23 키카페 인코퍼레이티드 키 교환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24848B1 (ko) * 2015-11-05 2016-05-30 (주)성광유니텍 스마트기반 보관함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19164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437A (ko) * 2009-04-03 2010-10-13 주식회사 헤드 무인차량키출납기를 포함한 차량관리시스템
KR20150119100A (ko) * 2013-02-15 2015-10-23 키카페 인코퍼레이티드 키 교환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624848B1 (ko) * 2015-11-05 2016-05-30 (주)성광유니텍 스마트기반 보관함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19164A (ko) * 2016-04-18 2017-10-26 주식회사 얍컴퍼니 무인 사물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0872B2 (en) Gateway-based anti-theft security system and method
US10181231B2 (en) Controlling access to a location
JP6281728B2 (ja) 携帯電話によって制御される電子セキュリティバッグセット
CN105593911B (zh) 访问控制方法和访问控制系统
KR101470747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장치
US20160086400A1 (en) Wireless access control system including distance based lock assembly and remote access device enrollment and related methods
KR101710065B1 (ko) 사용자 휴대 단말을 이용한 무인 물품 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101764650B1 (ko) 스마트 기기의 도난 방지 장치
CN104952128A (zh) 一种基于智能手持终端的电子解锁系统及其解锁方法
EP3130727B1 (en) Locking control device, locking control system, and locking control method
CN101690144A (zh) 无线设备监视方法、无线设备监视系统和制造品
CN110009867A (zh) 用于检测房间中紧急情况的方法和装置
JP2008524687A (ja) 無線技術による盗難防止方法及び装置
CN109102605A (zh) 一种基于权限开启的智能锁系统
CN107545619A (zh) 一种声波门禁系统和声波门禁控制方法
KR10126132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개인 도서 대출/반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2530B1 (ko) 보안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33031A (ko) 다수의 출입 기기에서 생성되는 출입 데이터의 분산 저장 및 유효성 검증방법
KR101976644B1 (ko) 인증키를 이용한 보관함 보안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35123B1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계약처의 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계약처 키 관리 방법
KR101620285B1 (ko) 서랍장 잠금수단 원격 관리 시스템
KR101847386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인보관함 관리방법
KR101733454B1 (ko) 등록된 스마트폰 키를 제공하는 락킹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08976B1 (ko) 일회용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 장치 및 잠금 시스템
KR101675439B1 (ko) 총기 관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