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901B1 -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901B1
KR102134901B1 KR1020200055269A KR20200055269A KR102134901B1 KR 102134901 B1 KR102134901 B1 KR 102134901B1 KR 1020200055269 A KR1020200055269 A KR 1020200055269A KR 20200055269 A KR20200055269 A KR 20200055269A KR 102134901 B1 KR102134901 B1 KR 10213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plate
flat plate
main
retroreflec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용
Original Assignee
김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용 filed Critical 김승용
Priority to KR102020005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7/00Methods preventing fouling
    • B08B17/02Preventing deposition of fouling or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08Coating a former, core or other substrate by spraying or fluidisation, e.g. spraying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2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073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non-flat surfaces, e.g. curved, prof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48Preparation of the surfaces
    • B29C63/481Preparation of the surfaces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29D11/0061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moulded by partially embedding reflective elements, e.g. glass beads, into the surface of a support, e.g. to make prefabricated road mark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36Reflex reflectors plural reflecting elements forming part of a unitary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2059/028Incorporating particles by impact in the surface, e.g. using fluid jets or explosive forces to implant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2063/006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of surfaces having irregularities or rough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나 벽면에 광고지의 부착을 방지하며 빛을 반사시켜 위험을 알리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은 유연하게 휘어지는 평판을 준비하는 평판준비단계, 상기 평판을 가압하여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형상의 메인돌기와 상기 메인돌기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돌기를 형성하는 돌기 형성단계, 상기 메인돌기와 보조돌기가 형성된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층 형성단계, 상기 무늬가 형성된 평판에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는 상기 메인돌기에 상기 재귀반사층이 견고하게 고착되도록 상기 평판의 일면에 복수 개의 비드공을 형성하는 비드공 형성단계, 상기 비드공이 확장되도록 상기 평판의 탄성변형 한도 내에서 상기 평판을 인장시키는 비드공 확장단계, 및 상기 비드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비드와 상기 비드를 부착하는 바인더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비드도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Advertising board with antireflect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신주나 벽면에 광고지의 부착을 방지하며 빛을 반사시켜 위험을 알리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나 담장과 같은 벽면에는 지나는 사람들에 눈에 띄기 쉽기 때문에 광고 홍보를 위해 광고지를 많이 부착한다.
광고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데, 여러 광고지를 부착함에 따라 주변 환경의 미감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72590호(2019.04.26.공고)의 "스티커 부착방지판"이 개시된 바가 있었다.
상기한 스티커 부착방지판은 메인돌기와 보조돌기의 형상에 따라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광고물의 부착이 어려워 광고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스티커 부착방지판은 야간의 시인성이 높지 않아 전신주에 부딪히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또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894호(2010.11.08.공개)의 "광고물 부착방지체 및 그 형성방법"에는 컬러 이미지나 도안이 형성됨에 따라 도시 미관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 코팅층과 2차 코팅층에 야과, 축광, 형광, 반사물질을 혼합 적용하는 경우에는 야간 식별성을 부여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또 다른 종래 기술은 단순히 도료에 의해 요철을 형성하기 때문에 광고물의 부착성방지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기둥과 같은 피부착물에 부착시 휘어 부착하기 때문에 코팅층이 쉽게 분리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요철에서 빛을 발광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가 미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각뿔의 나선형으로 비틀어진 형태로 메인돌기가 형성되고, 메인돌기보다 높은 높이로 보조돌기가 형성되어 광고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광고물의 부착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빛을 비드에 의해 재귀반사시켜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메인돌기에 비드공을 형성하고, 비드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비드를 도포하여 비드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된 메인돌기에도 비드를 용이하게 부착시켜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다른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은 유연하게 휘어지는 평판을 준비하는 평판준비단계, 상기 평판을 가압하여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형상의 메인돌기와 상기 메인돌기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돌기를 형성하는 돌기 형성단계, 상기 메인돌기와 보조돌기가 형성된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층 형성단계, 상기 무늬가 형성된 평판에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는 상기 메인돌기에 상기 재귀반사층이 견고하게 고착되도록 상기 평판의 일면에 복수 개의 비드공을 형성하는 비드공 형성단계, 상기 비드공이 확장되도록 상기 평판의 탄성변형 한도 내에서 상기 평판을 인장시키는 비드공 확장단계, 및 상기 비드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비드와 상기 비드를 부착하는 바인더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비드도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돌기의 미리 설정된 형상은 다각뿔이 꼭지점을 향해 갈수록 나선형태로 비틀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비드공 확장단계는 상기 비드공을 확장하는 확장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기구는 상기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 및 상기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돌기가 바닥을 향해 위치된 상태로 상기 평판이 상기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지나면서 강제적으로 인장시키는 하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확장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드도포단계는 상기 비드가 혼합된 바인더가 상기 메인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장지그의 하부에서 상기 비드가 혼합된 바인더를 상기 평판을 향해 상향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확장지그는 상기 평판이 용이하게 인장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평판의 일면에 나선형태로 비틀어진 형상 다각뿔의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메인돌기, 상기 복수 개의 메인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돌기, 상기 평판의 일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층, 상기 무늬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 및 상기 메인돌기에서 상기 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평판의 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가 도포되는 비드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돌기의 형상을 나선형태로 비틀어진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메인돌기보다 높은 높이로 보조돌기를 형성하여 광고물의 부착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이 형성되어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층을 형성할 때, 메인돌기에 비드공을 형성하고, 비드공을 확장시킨 상태로 비드를 도포하여 메인돌기에서 비드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돌기에 비드가 도포됨에 따라 다양한 각도에서 서로 다른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하여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공을 확장시킨 상태에서 비드를 도포하기 때문에 비드의 부착성을 향상시켜 부착방지판을 휘어 설치하더라도 재귀반사층에서 비드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에서 돌기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에서 비드공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에서 비드공 형성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에서 비드공 확장단계 및 비드도포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전신주, 기둥 벽체 등과 같은 피부착물에 설치되어 피부착물에 광고물 예컨대, 광고지, 전단지, 홍보지 등을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ㅇ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평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평판(110)은 미리 설정된 직사각 또는 정사각 또는 다각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롤 형태로 말린 평판(110)을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평판(110)은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판(110)은 일부 인장된 상태에서 인장력이 해제되면 초기 형상으로 변화되는 탄성변형될 수 있다.
평판(110)은 발포 PVC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판(110)을 발포 PVC로 형성할 경우,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화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평판(110)을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할 경우, 실리콘이 갖는 전하에 의한 정전기가 발생함에 따라 이물질이 흡착되면서, 평판(110)이 오염될 울려가 있지만, 평판(110)을 발포 PVC로 형성하면,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아 오염을 최소화하고, PVC의 물성 변화가 거의 없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평판(110)의 하기의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되는 일면은 피부착물의 외부에 위치되어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평판(110)의 타면은 피부착물에 볼트와 너트 또는 밴드클램프와 같은 체결부재, 접착제 등에 의해 피북착물에 부착될 수 있다.
평판(110)은 피부착물이 기둥의 형태일 경우, 기둥의 일정 높이에 기둥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평판(110)의 외면에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한 노화를 방지하기 위한 노화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노화방지층은 UV자외선을 차단하는 투명도료를 도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는 평판(110)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평판(110)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돌기(111)는 평판(110)에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돌기(111)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메인돌기(111)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나선형태로 비틀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돌기(111)는 상부로 갈수록 미리 설정된 각도로 비틀어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외면이 나선형태로 비틀어져 광고물을 부착 시 광고물과의 면접촉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보조돌기(113)는 메인돌기(111)들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돌기(113)는 메인돌기(111)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원뿔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돌기(113)는 메인돌기(111)보다 더 돌출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인돌기(111)들의 사이에 보조돌기(113)가 위치되기 때문에 광고물과의 접촉되는 부분을 최소화시켜 광고물의 부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는 평판(110)을 보조돌기(113)와 메인돌기(111)의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금형을 금형 프레스(200)에 의해 가압 압착화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금형은 회전하며 가압 압착하는 롤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금형을 롤 형상으로 형성할 경우, 롤이 회전하며 상대적으로 긴 길이의 평판(110)에 연속적으로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돌기(111)의 한변의 길이는 대략 3mm 내지 10mm 이내 일 수 있으며, 높이는 1mm 내지 10mm 내외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돌기(111)의 크기는 부착방지판을 설치할 피부착물의 크기 또는 부착이 예상되는 광고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조돌기(113)는 메인돌기(111)의 한변의 길이보다는 작고 높이는 메인돌기(11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무늬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무늬층(120)은 메인돌기(111) 및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평판(1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무늬층(120)은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무늬층(120)은 평판(110)의 일면에 인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무늬는 문사, 숫자, 도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늬층(120)은 평판(110)의 전체적 또는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은 재귀반사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재귀반사층(130)은 외부에서 유입된 빛을 반사시켜 야간의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재귀반사층(130)은 미세한 비드(131)를 바인더에 혼합하여 무늬층(120)의 상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귀반사층(130)은 평판(110)의 일부 또는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드(131)는 표면개질화된 구형태의 유리일 수 있으며, 바인더는 폴리우레탄계 또는 에폭시계 수지일 수 있다.
비드(131)는 굴절율이 1.2 내지 3을 가질 수 있으며, 98% 이상 투명도를 가질 수 있고, 외부에서 빛을 반사하도록 알루미늄 코팅된 비드(131)일 수 있다.
여기서, 비드(131)의 굴절율이 1.2 미만일 경우, 비드(131)의 투명도가 높아 제작비용이 높으며, 비드(131)의 굴절율이 3을 초과할 경우, 비드(131)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율이 낮아 비드(131)의 반사성이 하락된다.
그리고, 비드(131)는 수십 또는 수백 um의 입자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입경의 비드(131)를 혼합할 수 있고, 비드(131)는 플라즈마에 의해 표면개질화될 수 있다.
비드(131)를 플라즈마에 의해 표면개질할 때에는 진공챔버에서 방전출력을 1 내지 15kW의 출력으로 방전가스를 분사하여 비드(131)를 1초 내지 5초로 플라즈마에 노출시키는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비드(131)를 플라즈마에 의해 표면개질화를 수행하면, 커플링제에 의해 표면개질화를 수행하는 것보다는 유리의 표면이 열에 의해 조각나면서 비드(131)의 표면이 더 거친 면을 가져 부착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131)는 바인더 100 중량부 당 60 내지 90 중량부가 혼합될 수 있으며, 비드(131)기 6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될 경우, 재귀반사율이 낮아 야간 시인성이 낮아지며, 9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될 경우, 바인더에 의한 부착성이 하락되어 재귀반사층(130)에서 비드(131)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인더는 상온 경화성 또는 자외선 경화성일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이액형 또는 주제와 경화제가 혼합된 일액형 일 수도 있다.
바인더는 용매를 더 포함하여 용매에 따라 분사되는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재귀반사층(130)은 비드(131)가 혼합된 바인더를 평판(110)의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바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향 분사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재귀반사층(130)은 무늬층(120)의 일부 무늬에만 도포되어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비드(131)가 혼합된 바인더를 평판(110)을 향해 하향 분사할 경우, 미경화된 비드(131)가 메인돌기(111)에서 흘러내려 메인돌기(111)와 인접한 메인돌기(1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모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메인돌기(111)의 높이가 낮아져 광고물의 부착성이 높아진다.
이에 따라 비드(131)가 혼합된 바인더는 평판(110)의 하부에서 상향 분사하여 메인돌기(111)와 인접한 메인돌기(111)의 사이에 형성된 골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메인돌기(111)의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광고물의 부착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비드(131)는 메인돌기(111)에서 용이하게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평판(110)의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일면에 미세한 비드공(115)을 형성한 후, 비드(131)와 바인더를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110)은 금형 프레스(200)에 의해 열에 의해 가압되고, 무늬층(120)이 형성되면서 평판(110)의 외면의 매끈해지며, 메인돌기(111)는 다각 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메인돌기(111)의 외면에는 비드(131)가 쉽게 부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메인돌기(111)에 최대한 많은 비드(13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평판(110)에 비드공(115)을 형성한 상태에서 비드(131)와 바인더를 도포하여 비드(131)가 비드공(115)에 삽입됨으로써, 부착성 및 메인돌기(111)에서 비드(131)의 흘러내림을 최소화하여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공(115)은 미세한 크기로 평판(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비드공(115)을 단순히 천공을 수행한 상태에서는 평판(110)의 초기 형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에 따라 비드공(115)이 메워지기 때문에 비드공(115)을 형성한 후, 비드공(115)이 확장되도록 평판(110)을 인장시킨 상태에서 비드(131)와 바인더를 혼합하여 분사하는 형태로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하면, 비드공(115)에 비드(131)가 삽입되면서, 탄성변형에 의해 비드공(115)이 축소되더라도 비드공(115)에 삽입된 비드(131)에 의해 비드공(115)이 축소될 우려가 적으며, 비드공(115)에 비드(131)가 걸쳐지면서 메인돌기(111)에도 비드(131)에 의한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과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은 평판준비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준비단계(S10)는 롤 형태로 말린 평판(110)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준비하거나, 평판(110)이 롤 형태로 말린 상태로 준비할 수 있다.
평판(110)은 발포 PVC로 형성되어 유연하게 휘어질 뿐만 아니라, 탄성복원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롤 형태로 말아 준비될 수 있으며, 롤 형태의 평판(110)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형태로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110)이 준비가 완료되면, 평판(110)에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를 형성하는 돌기 형성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돌기 형성단계(S30)는 평판(110)에 형성할 메인돌기(111) 및 보조돌기(11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금형을 갖는 금형 프레스(200)로 평판(110)을 압착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금형은 롤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레에 메인돌기(111) 및 보조돌기(113)와 대응되는 형상의 금형홈이 형성되어 금형 프레스(200)가 지나는 평판(110)을 가압하는 형태로 평판(110)의 일면에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형 프레스(200)에는 히터가 설치되어 평판(110)을 금형에 의해 압착할 때, 금형을 가열하여 압착과 동시에 평판(110)이 열변형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돌기(111)는 다각뿔의 형상으로 상부 꼭지점을 향해 갈수록 비틀어지는 나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조돌기(113)는 메인돌기(111)보다 작은 둘레를 가지며 메인돌기(111)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10)에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되면 무늬층 형성단계(S50)를 수행할 수 있다.
무늬층 형성단계(S50)는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평판(110)의 일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무늬층(120)은 평판(110)의 일면에 인쇄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무늬층(120)은 잉크를 분사하여 인쇄하는 인쇄기구(300) 예컨대, 대형 플로터에 의해 잉크를 분사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무늬층(120)이 형성되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건조를 수행하여 무늬층(120)을 경화시킨 후,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는 피부착물에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외부의 빛을 반사시켜 빛의 반사에 따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는 비드공 형성단계(S71)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공 형성단계(S71)는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하는 비드(131)가 메인돌기(111)의 외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재귀반사층(130)의 비드(131)가 용이하게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판(110)에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일면에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110)은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를 형성시 가열하며 압착되기 때문에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외면에 공극이 매워져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이에 더해 무늬층(120)이 형성됨에 따라 더 매끄러운 표면을 가져 그 상태로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경우, 평판(110)에서 재귀반사층(130)이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는 비드공(115) 수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공 형성단계(S71)는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하는 비드(131)가 비드공(115)에 안착됨으로써, 비드(131)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다각뿔 형태의 메인돌기(111)에도 비드(131)를 용이하게 부착함으로써, 비드(131)에 의한 재귀반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비드공 형성단계(S71)는 평판(110)의 외면에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바늘이 구비된 펀칭 프레스(400)를 가압하는 형태로 수행하거나, 레이저에 의해 평판(110)의 외면에 형성할 수 있으며, 비드공(115)은 하나의 메인돌기(111)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바늘이 형성된 펀칭 프레스(400)로 평판(110)의 외면을 바늘이 평판(110)을 관통하면서 비드공(115)을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다.
복수 개의 바늘은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며, 바늘의 직경은 대략 1mm 내외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펀칭 프레스(400)는 평판(110)에 복수 개의 바늘을 설치하여 평판(110)의 상부에서 찍는 형태로 비드공(115)을 형성하거나, 롤에 복수 개의 바늘을 설치하여 평판(110)이 지남에 따라 롤이 회전하면서, 바늘에 의해 비드공(115)을 형성할 수 있다.
비드공(115)을 형성하는 바늘은 평판(110)을 완전히 관통하는 것보다는 미리 설정된 깊이만 삽입되는 형태로 비드공(115)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비드공(115)을 형성할 경우, 평판(110)에 재귀반사층(130)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판(110)의 강성을 약화시켜 피부착물에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이 평판(110)형태로 펼쳐지려는 복원성을 약화시켜 피부착물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는 비드공 확장단계(S73)를 포함할 수 있다.
비드공 확장단계(S73)는 비드공 형성단계(S71)에서 비드공(115)이 형성된 평판(110)에 비드공(115)이 확장되도록 평판(110)을 인장시키는 형태로 수행할 수 있다.
비드공 확장단계(S73)는 비드(131)와 바인더를 분사 시에 비드(131)가 비드공(115)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비드공(115)을 확장시킬 수 있다.
비드공 확장단계(S73)는 평판(110)을 인장시켜 비드공(115)을 확장시키는 확장기구(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확장기구(500)는 제1 지지롤러(510) 및 제2 지지롤러(520), 그리고, 확장지그(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는 평판(110)의 양측에 설치되며,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의 사이에 하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지지되도록 확장지그(530)가 설치되어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의 사이를 지나는 평판(110)이 확장지그(530)를 지나면서 인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확장지그(530)는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확장지그(530)의 볼록한 단부가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의 사이 중앙 부분이 확장지그(530)에 의해 평판(110)의 길이방향으로 평판(110)을 강제적으로 인장시켜 비드공(115)을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110)을 인장시키는 인장력은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에 대해 확장지그(5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며, 평판(110)이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의 사이를 연속적으로 지나면서 확장지그(530)를 지날 때 비드공(115)이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평판(110)이 확장지그(530)를 지나면서, 비드공(115)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를 지나면 평판(110)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평판(110)은 초기 형상으로 복귀되어 확장되었던 비드공(115)이 다시 축소될 수 있다.
한편, 비드공 확장단계(S73)에서 평판(110)이 제1 지지롤러(510)와 제2 지지롤러(520)를 지날 때, 메인돌기(111)와 보조돌기(113)가 형성된 평판(110)의 일면이 바닥을 향한 상태에서 확장지그(530)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확장지그(530)에는 히터(535)가 설치되어 평판(110)이 용이하게 인장되도록 평판(110)을 가열할 수 있으며, 평판(110)을 가열하는 온도는 평판(110)이 용이하게 인장될 뿐,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때, 평판(110)은 하기에 설명할 비드도포단계(S75)에서 도포되는 바인더를 열에 의해 경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반사층 형성단계(S70)는 비드도포단계(S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비드도포단계(S75)는 비드(131)를 혼합한 바인더를 도포하여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비드도포단계(S75)는 비드(131)를 바인더에 혼합한 상태에서 무늬층(120)의 외면에 압축시켜 도료를 분사하는 스프레이건과 같은 도장기구(600)에 의해 도포하는 형태로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수 있다.
비드(131)는 유리비드(131)일 수 있으며, 수십 u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입경을 갖는 비드(131)가 혼합될 수 있다.
바인더는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에폭시계 수지일 수 있다.
바인더는 용매에 의해 점도가 조절된 상태로 평판(110)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사되는 형태로 무늬층(120)의 특정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도포되어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수 있으며, 비드(131)가 도포된 상태에서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열을 가하거나, UV를 조사하는 형태로 경화시킨 후 재귀반사층(130)이 형성된 평판(110)을 배출하는 제1 지지롤러(510) 또는 제2 지지롤러(52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110)이 제1 지지롤러(510)에서 제2 지지롤러(520)를 향해 지난다고 가정할 때, 확장지그(530)에서 제1 지지롤러(510)의 사이 거리보다 확장지그(530)에서 제2 지지롤러(520)의 사이 거리가 더 길게 위치되어 평판(110)에 비드(131)가 분사된 상태에서 제2 지지롤러(520)를 지나기 전 바인더가 경화되면서 제2 지지롤러(520)를 지남으로써, 제2 지지롤러(520)에 미경화된 바인더에 의해 재귀반사층(13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드도포단계(S75)는 확장지그(530)의 하부에서 확장지그(530)를 지나는 평판(110)의 일면에 비드(131)를 도포하도록 비드(131)를 상향 분사하는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여기서, 비드(131)를 하향 분사하도록 구성할 경우, 메인돌기(111)에서 흘러내리는 비드(131)가 메인돌기(111)와 인접한 메인돌기(111)의 사이에 골에 모여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상대적으로 메인돌기(111)의 높이가 낮아져 광고물 부착방지성이 하락될 수 있다.
재귀반사층(130)이 형성된 평판(11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재귀반사층(130)을 더 경화시킨 후, 피부착물에 설치하여 광고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층(130)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은 다각뿔이 나선형태로 비틀어지는 메인돌기(111)와 메인돌기(11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돌기(113)에 의해 광고물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광고물의 부착방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늬층(120)의 외면에 외부의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130)이 형성되어 야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귀반사층(130)을 형성할 때, 비드공(115)을 형성하고, 비드공(115)을 인장시키는 형태로 비드(131)를 분사하여 미경화된 바인더에 의해 비드(131)가 메인돌기(111)에서 흘러내려 재귀반사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부착방지판(100)을 휘어 부착할 때, 재귀반사층(130)이 평판(1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돌기(111)의 비틀어진 형상에 따라 재귀반사층(130)이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켜 야간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인 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비드(131)를 분사시 상향 분사하여 메인돌기(111)들의 사이에 비드(131)가 쌓여 골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광고물의 부착방지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111: 메인돌기 113: 보조돌기
115: 비드공 120: 무늬층
130: 재귀반사층 131: 비드
200: 금형 프레스 300: 인쇄기구
400: 펀칭 프레스 500: 확장기구
510: 제1 지지롤러 520: 제2 지지롤러
530: 확장지그 535: 히터
600: 도장기구

Claims (6)

  1. 유연하게 휘어지는 평판을 준비하는 평판준비단계,
    상기 평판을 가압하여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형상의 메인돌기와 상기 메인돌기 사이마다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조돌기를 형성하는 돌기 형성단계,
    상기 메인돌기와 보조돌기가 형성된 상기 평판의 일면에 미리 설정된 무늬를 인쇄하여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층 형성단계,
    상기 무늬가 형성된 평판에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을 형성하는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귀반사층 형성단계는
    상기 메인돌기에 상기 재귀반사층이 견고하게 고착되도록 상기 평판의 일면에 복수 개의 비드공을 형성하는 비드공 형성단계,
    상기 비드공이 확장되도록 상기 평판의 탄성변형 한도 내에서 상기 평판을 인장시키는 비드공 확장단계, 및
    상기 비드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비드와 상기 비드를 부착하는 바인더를 혼합하여 도포하는 비드도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돌기의 미리 설정된 형상은
    다각뿔이 꼭지점을 향해 갈수록 나선형태로 비틀어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공 확장단계는
    상기 비드공을 확장하는 확장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기구는
    상기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에서 지지하는 제1 지지롤러와 제2 지지롤러, 및
    상기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돌기가 바닥을 향해 위치된 상태로 상기 평판이 상기 제1 지지롤러와 상기 제2 지지롤러의 높이보다 낮게 지나면서 강제적으로 인장시키는 하부로 볼록한 곡면을 갖는 확장지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도포단계는
    상기 비드가 혼합된 바인더가 상기 메인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골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확장지그의 하부에서 상기 비드가 혼합된 바인더를 상기 평판을 향해 상향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지그는
    상기 평판이 용이하게 인장되도록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기재된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으로서,
    상기 평판의 일면에 나선형태로 비틀어진 형상 다각뿔의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메인돌기,
    상기 복수 개의 메인돌기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돌기,
    상기 평판의 일면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층,
    상기 무늬층의 상면에 형성되어 빛을 반사시키는 재귀반사층, 및
    상기 메인돌기에서 상기 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평판의 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며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비드가 도포되는 비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KR1020200055269A 2020-05-08 2020-05-08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69A KR102134901B1 (ko) 2020-05-08 2020-05-08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69A KR102134901B1 (ko) 2020-05-08 2020-05-08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901B1 true KR102134901B1 (ko) 2020-07-17

Family

ID=7183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69A KR102134901B1 (ko) 2020-05-08 2020-05-08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604A (ja) * 2001-10-03 2003-04-18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標示体
KR20050051590A (ko) * 2005-02-17 2005-06-01 곽상운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1092843B1 (ko) * 2011-09-28 2011-12-14 (주)세진워커스 광고물 부착 방지 시트
KR101972590B1 (ko) * 2019-01-10 2019-04-26 주식회사 동화테크원 스티커 부착방지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3604A (ja) * 2001-10-03 2003-04-18 Sekisui Jushi Co Ltd 道路用標示体
KR20050051590A (ko) * 2005-02-17 2005-06-01 곽상운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1092843B1 (ko) * 2011-09-28 2011-12-14 (주)세진워커스 광고물 부착 방지 시트
KR101972590B1 (ko) * 2019-01-10 2019-04-26 주식회사 동화테크원 스티커 부착방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97865B (ko)
KR19990028471A (ko) 습식 역반사 표지 재료
JPWO2007026776A1 (ja) 光偏向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
CN1141451C (zh) 宽广入射角反射板及其制造方法
KR102134901B1 (ko) 재귀반사층을 갖는 광고물 부착방지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5490364B2 (ja) 繊維シート接着工法
TW201629535A (zh) 光重導向膜構造及其等之製造方法
US6303058B1 (en) Method of making profiled retroreflective marking material
AU605692B2 (en) Patterned pavement marking
JP3919364B2 (ja) 高視認性道路標識柱の塗装方法
JP4828866B2 (ja) 道路用標示体及び道路用標示体の製造方法
KR20050051534A (ko) 부착방지체 형성방법
KR101016072B1 (ko) 광고물 부착 방지용 금속판
KR100893942B1 (ko) 전방위적으로 균질한 시야각을 가지는 스크린
JP6089680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KR101941235B1 (ko) 노면표지용 시트를 이용한 매립형 노면표지 시공방법
JP2008502513A (ja) 付着防止体及びその形成方法
JP5545086B2 (ja) El素子
KR100941440B1 (ko) 칼라가 제공되는 큐브코너형 재귀반사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12030B1 (ko) 무늬가 형성된 신발갑피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215376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6037067B2 (ja) 採光シート、採光装置、及び建物
JP2013250413A (ja) 光学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シートを用いたel素子およびそのel素子を備えた照明装置
KR102512032B1 (ko) 무늬가 형성된 신발갑피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292849A (ja) 建材用装飾基板の表面透明膜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