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256B1 -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256B1
KR102134256B1 KR1020190051460A KR20190051460A KR102134256B1 KR 102134256 B1 KR102134256 B1 KR 102134256B1 KR 1020190051460 A KR1020190051460 A KR 1020190051460A KR 20190051460 A KR20190051460 A KR 20190051460A KR 102134256 B1 KR102134256 B1 KR 10213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terminal
fire
line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인순
김종래
오범석
Original Assignee
열두방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열두방재(주) filed Critical 열두방재(주)
Priority to KR102019005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2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2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9/00Checking or monitoring of signalling or alarm systems; 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e.g. preventing unauthorised operation
    • G08B29/18Prevention or correction of operating err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8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for dc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malfunction prevention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peater for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The repeater is in charge of delivering a signal of fire occurrence in a boundary district to a fire receiver and deliver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to a fire facility. For cases wherei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 district controlled by each repeater or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fter a connection point connected to another repeater, a means to automatically cut-off only parts after a part in which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s provided, thereby being capable of preventing, by the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all repeaters from malfunctioning at the same time due to one short circuit accident. To achieve the purpose, in regard to the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transmitting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e detector to a fire receiver 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ach firefighting facility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a first cut-off means is connected between an input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an internal circuit of the repeater.

Description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Fire-fighting equipment repeater with fault blocking function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자동 화재탐지설비 및 화재수신기와 연동되는 소방설비의 중계기에 관한 것인데, 중계기는 경계구역 내 화재발생 신호 등을 화재수신기로 전달해주고, 화재수신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화재설비에 전달해 주는 역할 등을 담당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중계기에서 각각의 중계기가 관할하는 구역 내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거나 다른 중계기로 연결되어 나가는 연결점 이후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사고가 발생된 부분 또는 그 이후에 대하여만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단락사고로 인하여 모든 중계기들이 한꺼번에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facility having a barrier function.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nd a repeater of a firefighting system interlocked with a fire receiver. The repeater transmits a fire occurrence signal in the boundary area to a fire receiver,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to the fire facility. It is responsible for the role of passing 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within a region controlled by each repeater in this repeater, o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fter a connection point connecting to another repeater,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utomatically only after or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hort circuit accident. It relates to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equipment that can prevent all the repeaters from falling into an inoperable state at one time by providing a means for blocking.

소방설비라 함은 화재의 조기발견, 확인, 소화작업, 피난 등 모든 방화활동에 사용되는 설비를 뜻하며,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등을 말한다. 그 중 경보설비는 화재발생을 신속하게 알리기 위한 설비로써 자동 화재탐지설비가 대표적인 경보설비라 할 것인데, 건축물이나 시설물 내에서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해당 건물, 시설물 내에 있는 사람들이나 재난예방 관계자 등에게 알려주는 설비로서, 화재발생 시 화재로 인하여 발생되는 열 또는 연기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화재발생 사실을 탐지하며, 경종, 사이렌, 벨, 표시등 등의 음향설비나 시각장비를 포함하는 경보장치와 연동하여 시설물 관계자에게 통보하고 시설물 내의 거주자 등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소화설비 및 피난설비와 연동하여 소화설비 및 피난설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소방설비에는 자동 화재탐지설비를 포함하며, 자동 화재탐지설비에는 화재수신기, 중계기, 화재감지기, 발신기, 표시등, 경종, 사이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Firefighting equipment means equipment used for all fire prevention activities such as early detection, identification, fire extinguishing, and evacuation of fire, and means firefighting equipment, warning equipment, and evacuation equipment. Among them, the alarm facility is a facility for promptly repor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will be called a typical alarm facility. It detects a fire in a building or facility and informs the people in the building, facility, or disaster prevention officials. Is a facility that automatically detects the heat or smoke generated by a fire in the event of a fire,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works in conjunction with sound equipment such as alarm bells, sirens, bells, indicators, or alarm devices including visual equipment.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person in charge of the facility and notify residents and others in the fac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tinguish the fire early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the evacuation facility in conjunction with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nd the evacuation facility. In general,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es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nd automatic fire-detecting equipment includes fire receivers, repeaters, fire detectors, transmitters, indicator lights, alarm bells, and sirens.

자동 화재탐지설비의 구성 중 화재수신기는 화재감지기와 발신기로부터 전송되는 화재신호, 가스누설경보기로부터 전송되는 가스누설신호 또는 그 외 각종 설비작동신호를 중계기를 통하여 수신하거나 직접 수신해서, 화재발생이나 가스누설발생 사실 또는 이에 따른 소화설비 작동상태 등을 방화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하는 장치로서,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수신기는 화재신호의 종류 및 기능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화재발생신호 전송방식에 따라 P형(Proprietary type)과 R형(Record type)으로 나누어지며, 가스누설 신호표시 유무에 따라서는 GP형(Gas Proprietary type), GR형(Gas- Record type)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기능에 따라서는 다신호식, 축적식 등으로 구분되고, P형 및 GP형의 경우에는 회로 수 등에 따라 1급 및 2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the fire receiver receives or directly receives the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and transmitter, the gas leak signal from the gas leak alarm, or other various operation signals through the repeater, or directly It is a device that notifies the person concerned of the fire prevention object or the fact that the leak occurred or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ccordingly, and plays a pivotal role of the automatic material detection facility. These fire receiver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type and function of the fire signal, and are classified into P type (Proprietary type) and R type (Record type) according to the fire signal transmission method. Is divided into GP type (Gas Proprietary type) and GR type (Gas- Record type). In addition, it is classified into multi-signal type, accumulation type, etc. depending on the function, and in the case of P-type and GP-type, it can be classified into first and second gra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rcuits.

그 중 R형 화재수신기는, 화재감지기 및 발신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중계기를 통하여 화재수신기에 전송하도록 하고 중계기에서 각 회선마다 고유한 신호를 시분할방식으로 보내는 방식의 화재수신기이기 때문에 회선수가 많거나 다수의 건물을 한 곳에서 집중 관리하고자 할 때 또는 가까운 장래에 회선수의 증설이 필요할 수도 있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으며, P형 화재수신기에 비해 고가이지만 자가진단기능, 소방기기 관리기능, 화재정보에 대한 화면표시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확장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원격 모니터링 또는 원격제어가 가능하고, 타 시스템과의 연계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다는 등의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화재시스템의 구축, 운영이 가능하다. Among them, the R-type fire receiver is a fire receiver in which the signals generated by the fire detector and the transmitter are transmitted through the repeater to the fire receiver, and the repeater sends a unique signal for each line in a time-division manner. 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centrally manage a building in one place or when you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lines in the near future. It is more expensive than a P-type fire receiver, but has a self-diagnosis function, fire-fighting device management function, and fire information.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screen display function, as well as easy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remote monitoring or remote control, easy connection with other systems, and high reliability. It is possible to build and operate the system.

그러나 이렇듯 높은 신뢰성과 많은 장점을 가진 R형 화재수신기이지만 중계기와 화재수신기 사이의 연결에 있어서는, 여러 대의 중계기에 대하여 화재수신기에서 나오는 하나의 회선으로 병렬 연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나거나, 중계기 선로 중 한 군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 단락사고로 인하여 중계기 선로 전체가 단락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든 중계기들이 한꺼번에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중계기 회선 중 어느 한 군데에서 단선이 발생하여 전원공급이 안되는 경우 단선발생장소 이후에 있는 중계기들은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있어왔다. 또한 이렇게 하나의 회선에 여러 대의 중계기가 병렬 연결되어 있다 보니 중계회로 내에서 AC상용전원과 접촉되는 사고가 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중계기에 대하여 AC상용전원으로 인한 이상전압이 인가되어 모든 중계기는 물론 화재수신기까지 고장위험에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However, although it is an R-type fire receiver with high reliability and many advantages,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fire receiver,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one repeater because it is a structure that connects multiple repeaters in parallel with one line from the fire receiver. O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peater lines, the short circuit accident causes the entire repeater line to be in a short-circuited state, and thus all the repeaters fall into an inoperative state at once.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when a disconnection occurs at any one of the repeater lines and power is not supplied, the repeaters located after the disconnection place cannot be operated. In addition, as several repeat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one line, when an accident occurs in contact with the AC commercial power source in the relay circuit, the abnormal voltage from the AC commercial power source is applied to all repeaters, causing fire to all relayer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even the receiver may be in danger of failure.

따라서 R형수신기에 있어서는 화재수신기와 각각의 중계기를 연결하는 감지회선 중 어느 한 군데에서라도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각각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전체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는 문제점, 중계기 회선 중 단선발생 시 그 이후에 배치된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는 문제점 및 중계회로 내에서 AC상용전원과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압 인가상태가 전체 중계기로 확산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n the R-type receive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sensing lines connecting the fire receiver and each repeater, o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repeaters, the entire repeater is inoperative. The problem of falling into the system, the problem that the relay placed after that occurs in the inoperable state when a disconnection occurs in the repeater line, and the problem that the overvoltage application state spreads to the entire repeater when an accident occurs in contact with the AC commercial power in the repeater circu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an solve back problem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는, 화재수신기에 연결된 각각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중계기 및 그 중계기가 담당하는 경계구역에 대한 화재탐지 등은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나머지 다른 중계기들의 작동 및 그 경계구역들에 대한 화재탐지 등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ny one of the repeater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the repeater and the repeater Although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fire in the boundary area in charge of the purpose of the other relays, the purpose of the fire detection in the boundary area is to provide a repeater for firefighting equipment that can be normally don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수신기와 각각의 중계기를 연결하는 회선 중 어느 한 곳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여 단선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중계기들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우회경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단선사고가 나는 경우에도 모든 중계기들에 대하여 전원공급이 가능한, 소방설비용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power through a bypass path even if the power supply to the repeaters after the point of disconnection occurs is interrupted because a disconnection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lines connecting the fire receiver and each repeat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peater for firefighting equipment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ll repeaters even in the event of a disconne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수신기와 각각의 중계기를 연결하는 회선 중 어느 한 곳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중계기는 작동불능하게 되더라도 단락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전에 있는 중계기들 및 그 중계기들의 경계구역에 대한 화재탐지 등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ny one of the lines connecting the fire receiver and each repeater, the repeater after the point whe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even befo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peat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that can be normally performed, such as fire detection of the repeaters and the boundary area of the repeat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계기가 연결되는 회선 상에 연결된 중계기 중 하나에서 또는 중계기 회선 상에서 비상전원이나 기타 다른 전원에 사용되는 상용 AC전원과의 접촉으로 혼촉이 발생하더라도 하위 단 중계기 및 화재수신기로 이상전압이나 과전압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contact occurs in contact with commercial AC power used for emergency power or other power on one of the repeaters connected on the line to which the repeater is connected or on the repeater line, the lower stage repeater and fire receiv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peat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that prevents abnormal voltage or overvoltage from flowing into the furna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전송해주고,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설비들 각각에 대한 작동을 제어해주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로, 중계기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소방설비들에 대한 제어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전원선로 또는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회로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1차단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of a fire detector to a fire receiver, and to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In accordance with the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facility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 repeater power line for supplying the repeater operating power, supplying the control power for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A first blocking circuit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for one or more of the control power line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to the operating power for the indicator or the internal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It is preferred that the mea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as a repeat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가 연결되는 입력단자 중 둘 이상의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 사이에 전압검출수단,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하되, -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입력단자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검출하며; -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며; - 상기 제2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상기 출력단자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or the indicator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each of two or more input terminals of the input terminal and the voltage detection means between the internal circuit,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respectively, wherein the voltage detection mean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to detect an input voltage;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and is normally turned on and then automatically c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mong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ide, which is normally cut off and then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It is also preferable to fe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2차단수단이 연결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eatures,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further includes a feature in which a second blocking means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connected. ,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repeater for firefighting equipment that has a barrier function.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전송해주고,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설비들 각각에 대한 작동을 제어해주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로, 중계기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소방설비들에 대한 제어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전원선로 또는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2차단수단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facility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is transmitted to the fire receiver, and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In the repeater for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 communication line for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a repeater power line for supplying the repeater operating power, a control power line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fire fighting facilities, or an operation for an indicator light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blocking means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for one or more of the indicator power lines for supplying power and the out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respectively. It is also desirable to use a repeater for fire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가 연결되는 입력단자 중 둘 이상의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회로 사이에 전압검출수단,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하되, -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입력단자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검출하며; -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2차단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며; - 상기 제2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상기 제2차단수단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제2차단수단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voltage detection means,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to which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is connected, and an internal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Each of the switches further includes:-the voltage detecting mean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to detect the input voltage;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and is normally turned on and then automatically c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means among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mong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means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it is normally cut off and then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facility having a barrier function.

그리고 상술한 특징들 모두에 더하여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중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각각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보호용 다이오드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특징을 더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자동 화재탐지용 중계기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all of the above-mentioned features, protection is provided between each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for one or more of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amo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an automatic fire detection repeater having a fault-blocking function, which adds a feature in which two diodes are connected in seri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는, 중계기 내에 제1차단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중계기 내부회로의 단락이나 또는 각각의 중계기가 담당하고 있는 경계구역에서 단락사고 등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중계기에 인입되는 회로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하나의 중계기에서 발생한 단락사고 장애가 전 중계기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수신기에 연결된 각각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단락사고가 발생한 중계기 및 그 중계기가 담당하는 경계구역에 대한 화재탐지나 소방설비 작동 등은 불가능하게 되더라도 나머지 다른 중계기 및 그들의 경계구역에 대한 화재탐지나 소방설비 작동 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peater for the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the obstacle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blocking means in the repeater,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 short circuit of each repeater's internal circuit or in a boundary area covered by each repeater. In the event of a back light,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ut off the circuit entering the corresponding repeater, thereby preventing short circuit faults from one repeater from spreading to all repeaters. That is,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repeaters connected to the fire receiver, the fire detection or operation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for the repeater whe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red and the boundary area in charge of the repeater becomes impossibl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detection of fires and the operation of firefighting equipment for repeaters and their boundary areas to be normally performed.

그리고 중계기 내에 제2차단수단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수신기와 각각의 중계기를 연결하는 회선 중 어느 한 곳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단락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중계기는 작동불능하게 되더라도 단락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전에 있는 중계기 및 그 경계구역에 대한 화재탐지 등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elay includes a second blocking means,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lines connecting the fire receiver and each repeater, the repeater after the point whe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becomes short circuit even if it becomes inoperative. There is an effect that a repeater in front of the point where the fire occurred and fire detection for the boundary area can be made normally.

또한 상기 중계기 내에 전압검출수단,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가지고 있고, 전압검출기에서 입력단자에 대한 전압검출이 안되는 경우 제1스위치를 작동시켜 입력단자로부터의 연결을 차단한 후 다른 전원회로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2스위치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서, 단선 뒨 부분 이후에 대한 전원공급은 타 전원으로부터 우회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계선로에 단선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중계기에 대한 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epeater has a voltage detection means,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and when the voltage is not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or, the first switch is operated to cut off the connection from the input terminal and then disconnect the power supply from another power circuit. By operating the second switch at the same time to supply power, the power supply after the disconnection 뒨 can be supplied by bypass from other power sources, so that even if a disconnection accident occurs in the relay line, all repeaters can be operated. It works.

뿐만 아니라 중계기전원회로, 제어전원회로 또는 표시등전원회로의 입출력 단자에 보호용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하기 때문에, 중계기전원회로, 제어전원회로 또는 표시등전원회로에서 타 선로와의 혼촉으로 인하여 상용 AC전원 등의 과전압 등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하위단 중계기 및 화재수신기로 과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on power diode is included in the input/output terminals of the repeater power circuit, control power circuit, or indicator power circuit, overvoltages such as commercial AC power due to contact with other lines in the repeater power circuit, control power circuit, or indicator power circuit Even when the lamp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overvoltage from being applied to the lower stage repeater and the fire receiver.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의 결선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에서 하나의 중계기에 단락사고 발생 시 모든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에서 중계선로 상에서 단선사고 발생 시 단선사고 발생지점 이후에 있는 모든 중계기가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서 중계기전원선로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여 입력전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작동되어 다른 회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에서 중계선로 상에서 단락사고 발생 시 모든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중계선로 상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단락사고 발생지점 이전에 있는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중계선로 또는 다음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단락사고 발생지점 이전에 있는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5실시예에서 제어전원선로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여 입력전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가 작동되어 다른 회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중계선로 또는 중계기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wiring diagram of a fire receiver and a repeater for explaining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ll repeaters are in an inoperative state when a short circuit occurs in one repeater in a fire receiver and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repeat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repeaters are in an operable state.
FIG. 5 is a view showing that all repeaters after a point of occurrence of a disconnection are inoperable when a disconnection occurs on a relay line in a fire receiver and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are operated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circuit when an input power is not detected due to a disconnection accident in the repeater power line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ll repeaters are in an inoperative state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on a relay line in a fire receiver and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n the case where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on a relay lin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rs located befo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rence point are in an operational state.
11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 relay line or a next repeat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eaters befo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rence point are operable.
13 is a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are operated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circuit when an input power is not detected due to a disconnection accident in the control power line in the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5 is a view showing a sixth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lay lines or the repeat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repeaters are in an operable state.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e above-described objects and features become clear, and accordingl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ready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determin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elected as a general terminology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but in certain cases, the term i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its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applicable invention.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rather than a name of.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have various additional embodiments, in which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described. However,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to a specific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changes or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제2”“첫째”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expressions such as “first”, “second”, “first”, or “second” may modify various elements of the embodiments, but do not limit the elements. For example, the above expressions do not limit the order and/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The above expressions can b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중계기를 설명하기 위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들 간의 결선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R형 화재수신기를 포함하는 자동 화재탐지설비는 화재수신기(100), 다수의 중계기(200) 및 상기 화재수신기(100)와 상기 다수의 중계기(200)를 연결하는 중계선로(300)을 포함하도록 하며, 이 외에도 상기 다수의 중계기(200) 및 표시등(미도시) 등의 작동과 소방설비들의 제어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수단(11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전원공급수단(110)은 상기 화재수신기(100) 내부에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중계기(200)는 그 내부회로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내부회로는 화재감지기(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상기 화재수신기(100)로 전송해주거나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는 통신회로, 상기 소방설비들 각각에 대한 제어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전원회로, 상기 중계기(200)에 대한 작동전원을 공급받는 중계기전원회로 및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표시등전원회로 등이 있으며, 이들 각각의 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통신단자(220), 제어전원단자(230), 중계기전원단자(240), 표시등전원단자(250) 및 자신의 경계구역 내 화재감지기에 연결되는 감지회로단자(260) 등이 상기 중계기(200)에 포함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wiring diagram between a fire receiver and repeaters for explaining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an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including an R-type fire receiver is a fire receiver 100, a plurality of repeaters 200, and a relay line connecting the fire receiver 100 and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0. (300), in addition to the plurality of repeaters 200 and the indicator (not shown), such as to provide pow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control of the firefighting equipment 110 to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Preferably, the power supply means 110 may be included in the fire receiver 100. In addition, the repeater 200 includes an internal circuit, which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a fire detector (not shown) to the fire receiver 100 or the fire receiver 100. Communication circuit receiving control signal,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each of the firefighting facilities,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repeater 200, and indicator light power supply for operating power supply for indicators There are circuits, etc., which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220, a control power terminal 230, a relay power terminal 240, an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and a fire detector in their boundary area to connect to each of these circuits. A sensing circuit terminal 260 and the like are included in the repeater 200.

그리고 상기 중계선로(300)에는 상기 통신단자(220)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200)가 자신의 경계구역 내 화재감지기들로 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를 상기 화재수신기(100)로 전송하거나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중계기(200)로 전송하는 통신선로(300a), 상기 제어전원단자(230)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200)를 통하여 제어되는 각종 소방설비들에 대한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전원선로(300b),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에 접속되어 상기 중계기(200)에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중계기전원선로(300c)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을 공급하는 표시등전원선로(300d) 등이 포함되어 있다. And the relay line 30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relay 20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fire detectors in its boundary area to the fire receiver 100 or the fire receiver Control power for various fire-fighting facilities that ar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300a and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at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100) to the repeater 200 and are controlled through the repeater 200.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the repeater power supply terminal (240)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to the repeater (200),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300c)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terminal 250 is connected to the indicator light It includes an indicator power supply line (300d) for supplying the operating power for.

한편 상기 중계기(200) 각각의 내부회로에 포함된 상기 통신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각각은 상기 통신선로(300a),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및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에 대하여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중계기전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전원공급수단(110)에서 2가닥의 선으로 인출된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의 +선과 -선 각각은 상기 중계기(200)의 중계기전원단자(240) 중 +선과 -선 각각의 입력단자(IN)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단자(IN)에 대응되는 각각의 출력단자(OUT)에서 인출되는 선은 다음 중계기(200)의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선과 -선 각각의 입력단자(IN)에 연결되는 구조이며, 상기 입력단자(IN)와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출력단자(OUT)는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직접 연결되어 있다(미도시). 그리고 상기 입력단자(IN)는 또한 상기 중계기(200) 내부에 있는 상기 중계기전원회로에 연결되어 있다(미도시). 따라서 각각의 중계기(200)들에 대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는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를 통하여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에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가 된다. 이와 같은 병렬 연결구조는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중계기(200) 중에는 제품종류에 따라서, 도 1에서 보는 것과는 달리, 상기 입력단자(IN)와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출력단자(OUT)를 따로따로 갖지 않고 하나의 단자에 입출력선이 동시에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들도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중계기 또한 마찬가지로 각각의 중계기(200)에 포함된 각각의 회로는 상기 중계선로(300)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Meanwhile, each of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control power circuit, the repeater power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circuit included in each of the internal circuits of the repeater 200 are the communication line 300a, the control power line 300b, and the repeater. The power lines 300c and the indicator light power lines 300d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f the repeater power is given as an example, each of the + and-lines of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drawn out from the power supply means 110 in two strands is one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s 240 of the repeater 200. Line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s IN of the + and-lines, and the lines drawn from the output terminals OUT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s IN are +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s 240 of the next repeater 200 It is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input terminal (IN) of the line and the -line, and the input terminal (IN) and each output terminal (OUT) corresponding thereto are directly connected inside or outside the repeater (200) (not shown) city). In addition, the input terminal IN is also connected to the repeater power circuit inside the repeater 200 (not shown). Therefore,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for each repeater 200 is structur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300c through the repeater power supply terminal 240. This parallel connection structure is the same not only in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but also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among the repeaters 200, unlike the one shown in FIG. 1,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OUT are not separately provided, and input/output lines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ne terminal. There are also structures, and repeaters having such a structure are similarly structured in that each circuit included in each repeater 200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line 300 in parallel.

이와 같이 R형 화재수신기(100)와 이에 연결되는 각각의 중계기(200)들은 모두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중계기(200) 또는 중계선로(300) 중에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모든 중계기(200)들이 작동불능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100)와 중계기(200)에서, 하나의 중계기(200)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모든 중계기(200)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중계기(200) 중 하나(200d)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모든 전류는 단락사고가 발생된 중계기(200d)로 집중되어 흐르고 이로 인하여 중계선로(300)의 두 선 양단에는 급격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나머지 중계기들(200a, 200b, 200c, 200e) 또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만일 중계기 200d 내부에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중계기전원회로가 단락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전체에 걸쳐서 급격한 전압강하가 발생되므로 단락사고가 발생한 중계기(200d)는 물론 나머지 중계기들(200a, 200b, 200c, 200e)에 대하여도 중계기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모든 중계기(200)들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또한 만일 중계기 200d 내부에서 상기 통신회로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통신회로를 단락시키는 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선로(300a) 전체가 단락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통신선로(300a)를 통하여 신호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다른 모든 중계기(200)들도 상기 화재수신기(100)와 신호를 주고받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R형 화재수신기에서는 하나의 중계기(200d)에서 발생된 장애가 전체 시설물에 설치된 모든 중계기(200a, 200b, 200c, 200e)까지로 파급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중계기(200) 내부 또는 경계구역 내 단락사고(표시등전원, 제어전원 등에 대한 단락)를 동반하는 재난사고 발생 시에는 자동 화재탐지설비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type fire receiver 100 and each of the repeaters 200 connected thereto are connected in parallel, all repeaters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repeater 200 or the relay line 300) 200) are forced to fall into an inoperable stat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in the fire receiver 100 and the repeater 2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all the repeaters 200 are put into an inoperative state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repeater 200. As shown in FIG. 2,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peaters 200 that are all connected in parallel, all currents are concentrated and flow to the repeater 200d whe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reby causing the relay line ( Since a rapid voltage drop occurs at both ends of 300), the remaining repeaters 200a, 200b, 200c, and 200e are also unable to operate. For example, if an accident in which the repeater power circuit is short-circuited due to a failure of the repeater power circuit inside the repeater 200d, a short-circuit accident occurs because a rapid voltage drop occurs across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Since the relay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generated relay 200d, as well as to the other relays 200a, 200b, 200c, and 200e, all the relays 200 fall into an inoperative state. In addition, if an accident occurs in the repeater 200d shorting the communication circuit due to the failure of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entire communication line 300a is in a short circuit, so signal transmission is not possible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300a. All other repeaters 200 are also u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fire receiver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R-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ailure generated by one repeater 200d is spread to all repeaters 200a, 200b, 200c, and 200e installed in all facilities, so that the inside of the repeater 200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does not operate proper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at accompanies a short circuit accident in the boundary area (short circuit for indicator power, control power, etc.).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서는 하나의 중계기 내에서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중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해당 중계기(200)는 작동이 불가능하더라도 나머지 중계기는 정상작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인데,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200)는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에는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각각은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계기(200)에는 자신의 경계구역 내에 배치되는 화재감지기(미도시)들이 감지하는 화재감지신호를 보내는 감지회선이 연결되는 감지회로단자(260) 등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in the repeater for a firefighting equipment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or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within one repeater, the repeater ( 200), even if it is impossible to operate, the remaining repeaters can enable normal operation. 3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shown in FIG. 3, the repeater 200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It includes an indicator light power circuit, each of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supply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supply terminal 240 And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indicator power supply terminal 250,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peater 200 also includes a detection circuit terminal 260 to which a detection line for transmitting a fir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fire detectors (not shown) disposed in its boundary area is connected.

또한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은 각 선마다 입력단자(IN)와 출력단자(OUT)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신단자(220)의 경우 Tx단자에 Tx 입력단자(Tx IN)와 T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Rx단자에도 Rx 입력단자(Tx IN)와 R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에는 각각의 +단자에는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 단자에도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에는 상기 중계선로(300)에 포함된 상기 통신선로(300a),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및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가 각각 연결되며, 입력단자(IN)에는 상기 화재수신기(100) 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10)쪽에서 오는 중계선로(300)가 연결되며, 출력단자(OUT)에는 다음 중계기(200)로 가는 중계선로(30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each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lay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includes an input terminal IN and an output terminal OUT for each line. It is desirable to do.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Tx terminal includes the T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Tx output terminal (Tx OUT), and the Rx terminal also includes the R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Rx output terminal (Tx OUT). Preferably,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each include a + input terminal (+ IN) and a + output terminal (+ IN), respectively. + OUT) is inclu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terminal also includes the-input terminal (-IN) and the-output terminal (-OUT). Each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source terminal 250 includes the communication line 300a and the control included in the relay line 300. The power line 300b,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and the indicator power line 300d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the input terminal IN has a relay line coming from the fire receiver 100 or the power supply means 110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300 is connected, and the relay line 300 going to the next relay 2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그리고 상기 통신단자(220)의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은 입력(IN)과 출력(OUT)이 직결되도록 하고(A부분 참조), 직결된 부분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210) 사이에는 제1차단수단(400)이 각각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수단(400)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210)가 연결된 부분에는, Tx측과 Rx측 사이에,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TVS(420), 서지업소버(440) 또는 바리스타(450) 등을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is such that the input (IN) and the output (OUT) are directly connected (refer to Part A), and the first blocking is performed between each of the directly connected parts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It is preferred that the means 400 are included respectively. And in the portion where each of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is connected, between the Tx side and the Rx side, the TVS 420 and the surge are protected to protect the communication circuit among the internal circuit 210. It is also preferable to connect the absorber 440 or the barista 450 in parallel as necessary.

그리고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의 경우, B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와 -단자 사이에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를 통하여 직렬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는 상기 중계선로(300) 상에 연결된 중계기(200) 중 하나에서 또는 상기 중계선로(300) 상에서 비상전원이나 기타 다른 설비의 전원에 사용되는 AC전원 등과 접촉하여 혼촉이 발생하더라도 해당 중계기(200) 또는 하위 단 중계기(200) 및 화재수신기(100)로 이상전압 또는 과전압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는, + 단자의 경우에는, 입력단자(IN)에서 출력단자(OUT)를 향해 순방향으로 두 개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두 개가 연결되는 연결점(C)과 상기 중계기 내부회로(210) 사이에는 과전류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갖는 제1차단수단(4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 단자의 경우에는 입력단자(IN)에서 출력단자(OUT)를 향해 역방향으로 보호용 다이오드(430) 두 개가 직렬 연결되도록 하고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연결되는 연결점과 상기 중계기 내부회로(210) 사이는 직접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C전원이 유입되더라도 교류성분 중 역방향 성분을 제거하게 되므로 상기 중계기(200) 및 화재수신기(100)에 교류성분의 과전압 또는 이상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호가 가능해 진다.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는 특히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등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마다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nd in the case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as shown in part B, in series through two protection diodes 430 between the + terminal and the-terminal. It is desirable to connect. Here, the protection diode 430 is in contact with the AC power used for power of emergency power or other facilities on one of the repeaters 200 connected to the relay line 300 or on the relay line 300. Even if it occurs, it serves to prevent the abnormal voltage or overvoltage from flowing into the corresponding relay 200 or the lower stage repeater 200 and the fire receiver 100. Therefore, the protection diode 430, in the case of the + terminal, so that the two are connected in series in the forward direction from the input terminal (IN)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 connection point (C) to which the two protection diodes 430 are connected (C ) And the repeater internal circuit 210,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in the case of a terminal, an output terminal (OUT) from an input terminal (IN) It is preferable that two protective diodes 430 are connected in seri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ward) and that the two protective diodes 430 are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connection point to which the relay diode 430 is connected and the repeater internal circuit 210.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rotection diode 43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the reverse voltage from being applied, but also removes the reverse component of the AC component even when AC power is introduced, so the repeater 200 and the fire receiver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voltage or abnormal voltage of the AC component from being applied to 100), thereby enabling protection. The protection diode 430 is mo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terminal to which power is applied, such as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lay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as shown in FIG. 3. Do.

여기서 상기 제1차단수단(400)은 상기 중계기(200)내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거나 상기 중계기(200)가 연결되는 경계구역 내에서 제어전원이나 표시등 전원 등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중계선로(300)가 연결된 단자(220, 230, 240, 260)들과 상기 중계기 내부회로(210) 사이를 차단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차단수단(400)은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에 따라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소자 중에 폴리스위치(Poly Switch)라고도 불리는 Resettable Fuse 인 PPTC(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수단(400)으로 상기 폴리스위치를 사용하게 되면,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하여 자체적인 열을 발생시켜 그 열에 의하여 회로를 차단시키며, 단락사고 원인을 제거하고 전원을 재투입하면 다시 복구시켜 회로를 소통시킬 수 있게 되므로 신뢰성 및 편의성은 물론 재사용으로 인한 경제성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the relay line in the event of a short circuit in the relay 200 or a short circuit accident in the control power or indicator power, etc. in the boundary area where the repeater 200 is connected. It is preferable to block between the terminals 220, 230, 240, 260 to which the 300 is connected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uses a 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 that generates heat due to overcurrent when the short circuit occurs and block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heat. Among these elements, the polyswitch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meri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PTC), which is a resettable fuse, also called (Poly Switch). When the polyswitch is used as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t generates its own heat due to overcurrent, cuts off the circuit by the heat, removes the cause of the short circuit accident, and reapplies power. Since the circuit can be communicated by restoring again, reliability and convenience as well as economical efficiency due to reuse can be promoted.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차단수단(400)이 작동되는 경우, 그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동표시수단(410)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작동표시수단(410)은 상기 제1차단수단(400)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는 LE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작동표시수단(410)의 일단에는 적정용량의 직렬저항(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이 투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표시수단(410)이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제1차단수단(400)이 개방된 상태에서만 작동되어 표시되되 상기 작동표시수단(410)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And, as shown in Figure 3, when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operat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is further included so that it can be easily confirmed whether the operation,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LED or the lik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ries resistor (not shown) of an appropriate capacity at one end of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which means that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is not operated when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input. This is to prevent the current from flowing through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while being operated and displayed only when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op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1실시예에서는 과전류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중계기(200)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중계기(200)들은 작동가능 상태가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나의 중계기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병렬 연결된 상기 중계기(200)들의 중계선로(300)에서, 상기 중계기(200) 중 하나인 200d 중계기의 내부회로(210d)에서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200d 중계기 내부에 있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d)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200d 중계기는 상기 중계선로(300)와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200d 중계기는 작동불능이 되지만 나머지 중계기(200a, 200b, 200c, 200e)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epeater for the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the obstacle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having the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the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included in one repeater 200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 remaining repeaters 200 are in an operational state.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repeat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ther repeaters are in an operable state. As shown in FIG. 4,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internal circuit 210d of the 200d repeater, which is one of the repeaters 200, in the relay line 300 of the repeaters 200 connected in parallel, the 200d repeater Sinc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d in the interior is blocked, the 200d repeater becomes separated from the relay line 300, so the 200d repeater becomes inoperative, but the remaining repeaters 200a, 200b, 200c, 200e Will be able to work normally.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는, 상기 중계선로(300)중 어느 한 곳에서 전원공급라인에 단선사고가 나는 경우, 단선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중계기들에 대하여 우회경로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단선사고 발생 시 중계기 내에서 우회경로를 형성하는 회로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서, 중계선로(300)에 포함된 전원선로의 단선 시에도 작동가능한 중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에서 중계선로 상에서 단선사고 발생 시 단선사고 발생지점 이후의 모든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계선로(300)에 포함된 전원선로 중 하나에서, 예를 들어 중계기 200b와 중계기 200c사이에서 중계기전원선로(300c)에 단선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중계기 200c를 포함하여 그 이후에 설치된 모든 중계기에는 중계기 작동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해당 중계기들(200c, 200d, 200e)은 모두 작동불능상태에 빠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계기 내에 전원공급의 우회라인을 형성하는 회로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는데, 도 6은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equipment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isconnection accident occurs in the power supply line at any one of the relay lines 300, bypasses the repeaters after the point where the disconnection occurred. By providing a circuit that forms a bypass path in the repeater in the event of a disconnection so that pow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path, a repeater operable even in the event of a disconnection of the power line included in the relay line 300 can be provided. There are advantages.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all repeaters after a disconnection accident occurrence point are inoperative when a disconnection accident occurs on a relay line in a fire receiver and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5, in one of the power lines included in the relay line 300, for example, when a disconnection occurs in the relay power line 300c between the repeater 200b and the repeater 200c, including the repeater 200c Afterwards, all the repeaters installed are not supplied with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 and as a result, all of the repeaters 200c, 200d, and 200e are in an inoperative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ircuit for forming a bypass line of power supply is included in the repeater, and FIG. 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function.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는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및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210) 사이 연결에 대하여만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의 경우에도 도 6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단지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및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에 포함된 특징들에 더하여 전압검출수단(601, 602), 제1스위치(611, 612) 및 제2스위치(621, 622)를 각각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압검출수단(601, 602), 상기 제1스위치(611, 612) 및 상기 제2스위치(621, 622)는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가 연결되는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에 포함된 입력단자(230, 240, 250의 IN)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210) 사이에 각각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n FIG. 6, only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and the relay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is shown. In the case of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the configuration is as shown in FIG. It is more preferable to do. In FIG. 6, only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and the relay power terminal 240 are partially illustrated for example. 6,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eatures includ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602, the first switches 611, 612, and the second switch 621,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622).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602), the first switch (611, 612) and the second switch (621, 622) is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300c),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or the indicator power line Each of the input terminals 230, 240, and 250 IN included in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to which (300d) is connected,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 Is preferably included.

여기서 상기 전압검출수단 각각(601, 602)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단자 및 -단자)에 연결되어 각각의 입력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압검출수단 각각(601, 602)이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된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다음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된 중계선로(300)의 단선은 물론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의 고장으로 인하여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까지도 적용이 가능해 지므로 더욱 효과적이다. Here, each of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602) is preferably connected to both ends (+ terminal and-terminal) of the input terminal (IN) as shown in Figure 6 to detect the respective input voltage. More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connect each of the voltage detecting means 601 and 602 after the protection diode 430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In this case, a relay lin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It is more effective because it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due to the breakdown of the protection diode 430 as well as the disconnection of 300.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611, 612)는, 상기 입력단자(IN)와 상기 입력단자(IN)에 대응되는 출력단자(OUT)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611, 612)의 양단은 직렬로 연결되는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스위치(611, 612)의 역할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압검출수단(601, 602)에 대하여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회로에서 분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621, 622)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611, 612)의 양단 중 상기 출력단자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OUT)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re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IN, so that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after being normally inpu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utomatically cut off, as shown in FIG. 6, it is more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re connected between two protective diodes 430 connected in series. The role of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is to separate from the circuit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can be maintained to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and 602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to be. 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621, 62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611, 612), the other end of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300c),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icator power supply line 300d is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UT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nd is automatically sh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after being normally blocked.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서 중계기전원선로(300c)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여 입력전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612) 및 제2스위치(622)가 동시에 작동되어, 상기 제어전원회로에 대한 공급전원을 같이 공급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만일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에서 단선이 발생하여 단선된 지점 이후에는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에 연결된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에도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전압검출수단(602)은 입력전압을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612a 및 612b)는 차단되어(개방되어)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을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쪽과 분리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스위치(622a 및 622b)를 투입하여 연결상태가 되게 하는데, 상기 제2스위치(622a 및 622b)는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에 연결된 상기 제어전원단자(230)의 출력단자(OUT)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는 단선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전원단자(230)의 출력단자(OUT)에는 제어전원의 입력전압이 인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회로(210)의 중계기전원회로 및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출력단자(OUT)에도 제어전원의 입력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 중 중계기전원회로는 물론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출력단자(OUT) 이후에 연결된 중계기들에 대하여도 중계기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612a 및 612b)는 차단됨으로써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은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쪽과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스위치(622a및 622b)를 통하여 제어전원이 공급된다 하더라도 상기 전압검출수단(602)에서는 여전히 입력전압이 없는 것으로 측정되게 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7 is the first switch 612 and the second switch 622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when an input power is not detected due to a disconnection accident in the repeater power supply line 300c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ly power to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is supplied together. If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after a disconnection occurs due to a disconnection in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input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connected to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Since voltage is not applied to both ends (+ and -) of the terminal IN, the voltage detecting means 602 cannot detect the input voltag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the first switches 612a and 612b are blocked (opened) so that both ends (+ and -) of the input terminal IN are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And the second switches 622a and 622b at the same time to be in a connected state, wherein the second switches 622a and 622b are the control power terminals 230 connected to the control power line 300b.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since the control power line 300b is not disconnected, the input voltage of the control power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refore, the input voltage of the control power is also applied to the repeater power circuit of the internal circuit 210 a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Therefore, the repeater power can be normally supplied to the repeater power circuit of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as well as to the repeaters connected after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Meanwhile, since the first switches 612a and 612b are blocked, both ends (+ and -) of the input terminal IN are separated from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so that the second switch 622a and Even if the control power is supplied through 622b),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2 is still measured as having no input voltage.

이와 같이 상기 전압검출수단(601, 602)의 입력전압 측정에 의하여 상기 제1스위치(611, 612) 및 상기 제2스위치(621, 622)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는, 릴레이를 이용하되 상기 입력전압을 릴레이 구동전원으로 하여 작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며, 반도체 등을 이용한 전압검출소자와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611, 612) 및 상기 제2스위치(621, 622)가 작동된 경우에는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단선표시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단선사고 발생사실을 관리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nd the second switches 621 and 622 by measuring the in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ing means 601 and 602, a relay is used, but the input voltage is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using a relay driving power sour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using a voltage detecting element and a switching element using a semiconductor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nd the second switches 621 and 622 are operated, managers are provided with a disconnection display means (not shown) capable of displaying them.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it easy to grasp.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서는 상기 중계선로(300)중 어느 한 곳에서 단락사고가 나는 경우, 단락사고가 발생한 지점 이후에 있는 중계기(200)들의 작동은 불가능하더라도 단락사고 발생지점 이전에 있는 중계기들은 작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단락사고로 인한 장애발생지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종래기술에 의한 화재수신기와 중계기에서 중계선로 상에서 단락사고 발생 시 모든 중계기가 작동불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계선로 중 어느 한 곳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모든 전류는 단락사고가 발생된 곳에 집중되어 흐르고 이로 인하여 중계선로(300)의 두 선 양단에는 급격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모든 중계기들(200)은 작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자면, 만일 중계기 200d와 200e사이에서 중계기전원선로(300c)의 합선으로 인하여 단락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전체에 걸쳐서 급격한 전압강하가 발생되어 모든 중계기(200)에 대한 중계기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모든 중계기(200)들은 작동불능 상태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만일 상기 통신선로(300a)에서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통신선로(300a) 전체가 단락상태에 있게 되므로 상기 통신선로(300a)를 통하여 신호전송이 불가능하게 되어 모든 중계기(200)들이 상기 화재수신기(100)와 신호를 주고받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R형 화재수신기에서는 중계선로(300)중에서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모든 중계기가 작동불능이 되므로 중계선로(300) 단락사고를 동반하는 재난사고 발생 시에도 자동 화재탐지설비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t any one of the relay lines 300, even if the operation of the repeaters 200 after the point at which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s short circuited The repeaters located before the accident occurrence point have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area of failure caused by a short circuit accident by enabling opera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that all repeaters are in an inoperative state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on a relay line in a fire receiver and a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8,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any one of the relay lines, all currents are concentrated and flows whe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nd as a result, a rapid voltage drop occurs at both ends of the two lines of the relay line 300. All repeaters 200 are disabled. For example,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due to a short circuit between the repeater power lines 300c between the repeaters 200d and 200e, a sudden voltage drop occurs across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and all repeaters 200 ), the relay power is not supplied, so all the relays 200 fall into an inoperative state. And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communication line 300a, since the entire communication line 300a is in a short-circuit state, signal transmiss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line 300a becomes impossible, and all repeaters 200 are It is not possible to exchange signals with the fire receiver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R-type fire recei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relay line 300, all relays become inoperable, so that even in the event of a disaster accompanied by a short circuit accident in the relay line 300,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facility is properly installe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does not work.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3실시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에는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를 포함도록 하고,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각각은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감지기들이 감지하는 화재감지신호를 보내는 감지회선이 연결되는 감지회로단자(260) 등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hird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is illustrated in FIG. 9. Hereinafter,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9,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includes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Each of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includes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supply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supply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terminal 250. It is desirable to be connected to each.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nsing circuit terminal 260 to which a sensing line for sending a fire detection signal sensed by fire detectors is connected.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은 각 선마다 입력단자(IN)와 출력단자(OUT)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신단자(220)의 경우 Tx단자에 Tx 입력단자(Tx IN)와 T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Rx단자에도 Rx 입력단자(Tx IN)와 R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에는 각각의 +단자에는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 단자에도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에는 상기 중계선로(300)에 포함된 상기 통신선로(300a),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및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가 각각 연결되며, 입력단자(IN)에는 상기 화재수신기(100) 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110)쪽에서 오는 중계선로(300)가 연결되며, 출력단자(OUT)에는 다음 중계기(200)로 가는 중계선로(300)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each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source terminal 250 is input for each lin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Tx terminal includes the T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Tx output terminal (Tx OUT), and the Rx terminal also includes the R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Rx output terminal (Tx OUT). Preferably,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each include a + input terminal (+ IN) and a + output terminal (+ IN), respectively. + OUT) is inclu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terminal also includes the-input terminal (-IN) and the-output terminal (-OUT). Each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source terminal 250 includes the communication line 300a and the control included in the relay line 300. The power line 300b,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and the indicator power line 300d are respectively connected, and the input terminal IN has a relay line coming from the fire receiver 100 or the power supply means 110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300 is connected, and the relay line 300 going to the next relay 20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그리고 상기 통신단자(220)의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입력단자(IN)와 출력단자(OUT) 사이에는 제2차단수단(5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출력단자(OUT)는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와 직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출력단자(OUT) 사이에는 상기 통신회로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TVS(420), 서지업소버(440) 또는 바리스타(450)를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put terminal OUT of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among the internal circuits 210.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connect the TVS 420, the surge absorber 440, or the barista 450 in parallel between the Tx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each of the Rx terminals to protect the communication circuit. Do.

한편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의 경우 각각의 +단자와 -단자 사이는,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에 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자에는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2차단수단(500)이 포함되어 직렬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차단수단(500)과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중 출력(OUT)단자 측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연결된 부분은(D 부분) 상기 내부회로(210)와 직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의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서로 연결된 부분(E 부분)이 상기 내부회로(210)와 직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lay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it is preferable to connect between each of the + terminal and the-terminal through two protection diodes 430. Do. The protection diode 43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ach + terminal includes a second blocking means 500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between two protective diodes 430 to b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nd the Among the protection diodes 430,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output (OUT) terminal side protection diode 430 to the direct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circuit 210 (part D), and in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two protection diodes ( It is preferable that the portions 430 connected to each other (E portion)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210.

여기서 상기 제2차단수단(500)은 상기 중계기(200) 내부회로나 상기 중계기(200)에 연결되는 경계구역 내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또는 상기 중계기(200) 다음에 있는 중계기까지 연결되는 중계선로(300)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중계선로(300)가 연결된 입력단자(IN)와 상기 중계기 내부회로(210) 및 출력(OUT)단자 사이를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차단수단(500) 또한 상기 제1차단수단(400)과 마찬가지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에 따라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PTC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TC소자에 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차단수단(500)이 작동되는 경우, 그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동표시수단(510)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상기 작동표시수단(510)은 상기 제2차단수단(500)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는 LED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a relay line that is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or the repeater 200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within the boundary circuit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or the repeater 200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300), it is preferable to act to cut off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to which the relay line (300) is connected,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and the output (OUT) terminal. Lik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uses a PTC element that generates heat due to overcurrent and block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heat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 PTC elemen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o it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operated,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displaying means 510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wheth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operation displaying means 510 is the second blocking It is also possible to use LEDs or the like that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means 5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계기(200)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거나 다음 중계기(200)와 연결되는 중계선로(300) 중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락사고가 발생한 중계기 이전에 있는 나머지 중계기(200)들은 작동가능 상태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중계선로 또는 중계기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전에 있는 나머지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병렬 연결된 상기 중계기(200)들의 중계선로(300)에서, 상기 중계기(200) 중 하나인 200d 중계기의 내부회로(210d) 또는 상기 200d 중계기와 200e 중계기 사이에 있는 중계선로(300)에서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200d 중계기 내부에 있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d)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200d 중계기 및 그 이후 단은 상기 중계선로(300)와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200d 이후 중계기는 작동불능이 되지만 나머지 중계기(200a, 200b, 200c)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을 설치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트립시간이 길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이 짧은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립시간을 달리해서 구성하는 경우 단락사고 발생 시 단락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기(200)의 제2차단수단(500)이 먼저 작동하게 되므로 단락사고로 인한 장애발생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repeater for the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the obstacle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included,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peaters 200 or the next repeater 200 ) In the case of a short circuit accident among the relay lines 300 connected to the other repeaters 200 before the repeater in which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red is in an operable stat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lay lines or the repeater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repeaters before it are in an operational state. As shown in FIG. 10, in the relay line 300 of the repeaters 200 all connected in parallel, an internal circuit 210d of the 200d repeater, which is one of the repeaters 200, or a relay line between the 200d repeater and the 200e repeate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furnace 300, sinc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d inside the 200d repeater is blocked, the 200d repeater and subsequent stages are separated from the relay line 300. After the 200d, the repeater becomes inoperative, but the remaining repeaters 200a, 200b, and 200c can operate normally. In order to appl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rip tim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but the trip time increases as it goes closer to the fire receiver 100.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horter trip tim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s it goes away from the fire receiver 100. When the trip time is configured different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of the repeater 200 closest to the shorting point is operated first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reby minimizing the range of failures due to the short circuit accident.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앞에서 살펴본 상기 제3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즉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출력단자(OUT)가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와 직결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입력단자(IN)가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와 직결되도록 하였고,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과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중 출력단자(OUT) 측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연결된 부분(D 부분)이 상기 내부회로(210)와 직결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과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중 입력단자(IN) 측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연결된 부분(F 부분)이 상기 내부회로(210)와 직결되도록 하였다는 점만 다를 뿐 나머지는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Figure 11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a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ilar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as shown in FIG. 11,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OUT of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among the internal circuits 210, bu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x The input terminal IN of each of the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among the internal circuits 210, and in the third embodiment,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nd the protection diode 430 The portion (D portion) to which the (OUT) side protection diode 430 is connect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210, bu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nd the protection diode 430 ), only the part (F part) to which the input terminal (IN) side protection diode 430 is connecte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210, but the rest is the same.

이와 같이 제4실시예처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제2차단수단(500)은 자신이 설치된 중계기는 보호하지 않고 그 이후 단에서 일어난 단락사고에 대하여 작동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중계선로 또는 중계기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그 직전에 있는 중계기에 포함된 상기 제2차단수단(500)이 작동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병렬 연결된 상기 중계기(200)들의 중계선로(300)에서, 상기 중계기(200) 중 하나인 200e 중계기의 내부회로(210e) 또는 상기 200d 중계기와 200e 중계기 사이에 있는 중계선로(300)에서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200d 중계기 내부에 있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d)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200d 중계기 이후 단은 상기 중계선로(300)와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200d 이후에 있는 중계기들은 작동불능이 되지만 200d 중계기를 포함하는 나머지 중계기(200a, 200b, 200c, 200d)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처럼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을 설치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트립시간이 길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먼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이 짧은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립시간을 달리해서 구성하는 경우 단락사고 발생 시 단락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기(200)의 제2차단수단(500)이 먼저 작동하게 되므로 단락사고로 인한 장애발생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configur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does not protect the repeater installed therein and operates against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ring in the subsequent stage.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ncluded in the repeater immediately before the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lay lines or the repeater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n the relay line 300 of the repeaters 200 all connected in parallel, an internal circuit 210e of the 200e repeater, which is one of the repeaters 200, or a relay line between the 200d repeater and the 200e repeater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furnace 300, sinc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d inside the 200d repeater is blocked, the stage after the 200d repeater becomes separated from the relay line 300, so the 200d Subsequent repeaters become inoperative, but the remaining repeaters 200a, 200b, 200c, 200d, including the 200d repeater, can operate normally. In order to apply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rip tim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as in the third embodiment, close to the fire receiver 100 It is preferable to use a longer trip time toward the side and a shorter trip tim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fire receiver 100. When the trip time is configured different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of the repeater 200 closest to the shorting point is operated first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reby minimizing the range of occurrence of a failure due to the short circuit accident.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5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와 상기 제3실시예를 결합시킨 실시예로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가 연결되는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5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40) 중 둘 이상에 대한 입력단자(IN)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IN)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회로(210) 사이에 전압검출수단(601, 602), 제1스위치(611, 612) 및 제2스위치(621, 622)를 각각 더 포함하되, 상기 전압검출수단(601, 602)은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검출하며, 상기 제1스위치(611, 612)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2차단수단(400)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며, 상기 제2스위치(621, 622)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611, 612)의 양단 중 상기 제2차단수단(400)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전원선로(300c),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300d)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611, 612)의 양단 중 제2차단수단(400)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 구체적인 연결관계는 상기 제2실시예와 상기 제3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5실시예를 적용하게 되면, 상기 중계선로(300)상에서 단락사고는 물론 단선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장애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Meanwhile, FIG. 13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fth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re combined, and as shown in FIG. 13, the relay power line 300c, the control power line 300b, or the indicator power line Corresponds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IN and the input terminals IN for two or more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5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or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40 to which 300d is connected. Between the internal circuit 210,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602), the first switch (611, 612) and the second switch (621, 622) further comprises, respectively,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602) is It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IN) to detect the input voltage, the first switch (611, 612)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400, it is normally input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it is automatically cut off, an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es 621 and 6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means 400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nd the other end Is a second blocking means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611, 612) which is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mong the relay power line (300c), the control power line (300b) or the indicator power line (300d) ( 400), it is desirable to automatically sh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after being normally blocked. The rest of the detailed connection relations are the same as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and thus will be omitted. When the fifth embodiment is applied,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range of failure even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s well as a short circuit accident on the relay line 300.

이하에서는 도 14을 참조하여 상기 제5실시예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제2실시예에서 제어전원선로(300b)에서 단선사고가 발생하여 입력전원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스위치(611) 및 제2스위치(621)가 작동되어, 상기 중계기전원회로에 대한 공급전원을 같이 공급받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만일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에서 단선이 발생하여 단선된 지점 이후에는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면, 상기 제어전원선로(300b)에 연결된 제어전원단자(230)의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에도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전압검출수단(601)은 입력전압을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611a 및 611b)는 차단되어(개방되어)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을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쪽과 분리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스위치(621a 및 621b)를 투입하여 연결상태가 되게 하는데, 상기 제2스위치(621a 및 621b)는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에 연결된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출력단자(OUT)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계기전원선로(300c)는 단선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의 출력단자(OUT)에는 중계기전원의 입력전압이 인가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내부회로(210)의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제어전원단자(230)의 출력단자(OUT)에도 중계기전원의 입력전압이 인가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 중 제어전원회로는 물론 상기 제어전원단자(230)의 출력단자(OUT) 이후에 연결된 중계기들에 대하여도 중계기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611a 및 611b)는 차단됨으로써 상기 입력단자(IN)의 양단 (+ 및 -)은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쪽과 분리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2스위치(621a및 621b)를 통하여 중계기전원이 공급된다 하더라도 상기 전압검출수단(601)에서는 여전히 입력전압이 없는 것으로 측정되게 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fif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14, the first switch 611 and the second switch 621 are operated when an input power is not detected due to a disconnection accident in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in the second embodiment,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supply power to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is supplied together. If a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after a disconnection occurs due to a disconnection in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input of the control power supply terminal 230 connected to the control power supply line 300b Since voltage is not applied to both ends (+ and -) of the terminal IN, the voltage detecting means 601 cannot detect the input voltag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4, the first switches 611a and 611b are blocked (opened) so that both ends (+ and -) of the input terminal IN are toward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And the second switches 621a and 621b at the same time to be in a connected state, wherein the second switches 621a and 621b are the relay power terminals 240 connected to the relay power lines 300c. )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since the repeater power line 300c is not disconnected, the input voltage of the repeater power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Therefore, the input voltage of the repeater power is also applied to the control power circuit of the internal circuit 210 and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refore, the repeater power can be normally supplied to the control power circuit of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as well as to the repeaters connected after the output terminal OUT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Meanwhile, since the first switches 611a and 611b are blocked, both ends (+ and -) of the input terminal IN are separated from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so the second switch 621a and Even if the repeater power is supplied through 621b), the voltage detection means 601 is still measured as having no input voltag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검출수단(601, 602)의 입력전압 측정에 의하여 상기 제1스위치(611, 612) 및 상기 제2스위치(621, 622)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는, 릴레이를 이용하되 상기 입력전압을 릴레이 구동전원으로 하여 작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며, 반도체 등을 이용한 전압검출소자와 스위칭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611, 612) 및 상기 제2스위치(621, 622)가 작동된 경우에는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단선표시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단선사고 발생사실을 관리자들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s described above, as a method of operating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nd the second switches 621 and 622 by measuring the input voltage of the voltage detecting means 601 and 602, a relay may be use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input voltage as a relay driving power sour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it using a voltage detection element and a switching element using a semiconductor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first switches 611 and 612 and the second switches 621 and 622 are operated, managers are provided with a disconnection display means (not shown) capable of displaying them.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it easy to grasp.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 및 상기 제2차단수단(500)을 동시에 포함하는 실시예를 제시하는데,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으로 하여금 중계기 내부회로 및 경계구역 내 단락사고에 대한 차단을 담당하게 하고, 상기 제2차단수단(500)은 해당 중계기 이후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200)는 제1실시예 내지 상기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중계기(200)의 내부회로(210)에는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를 포함도록 하고, 상기 통신회로, 상기 중계기전원회로, 상기 제어전원회로 및 상기 표시등전원회로 각각은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재감지기들이 감지하는 화재감지신호를 보내는 감지회선이 연결되는 감지회로단자(260) 등도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bodiment including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t the same time.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locking The means 400 is responsible for blocking the short circuit accident in the repeater internal circuit and the boundary area,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configured to block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after the repeater.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5, the repeater 200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ommunication circuit in the internal circuit 210 of the repeater 200 as in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 To include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repeater power supply circuit, the control power supply circuit, and the indicator power supply circuit, respectively, are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and the control power supply.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nsing circuit terminal 260 to which a sensing line for sending a fire detection signal sensed by fire detectors is connected.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상기 제4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단자(220),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은 각 선마다 입력단자(IN)와 출력단자(OUT)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통신단자(220)의 경우 Tx단자에 Tx 입력단자(Tx IN)와 T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Rx단자에도 Rx 입력단자(Tx IN)와 Rx 출력단자(Tx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 각각에는 각각의 +단자에는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고, - 단자에도 - 입력단자(- IN)와 - 출력단자(- OUT)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Preferably, each line includes an input terminal IN and an output terminal OUT. That is,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the Tx terminal includes the T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Tx output terminal (Tx OUT), and the Rx terminal also includes the Rx input terminal (Tx IN) and the Rx output terminal (Tx OUT). Preferably,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each include a + input terminal (+ IN) and a + output terminal (+ IN), respectively. + OUT) is inclu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terminal also includes the-input terminal (-IN) and the-output terminal (-OUT).

그리고 상기 통신단자(220)의 경우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은 입력(IN)과 출력(OUT) 사이에는 제2차단수단(5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Tx단자와 Rx단자 각각의 입력(IN)단자와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 사이에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차단수단(400과 상기 내부회로(210) 중 통신회로와 직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통신회로에 대한 보호를 위하여 TVS(420), 서지업소버(440) 또는 바리스타(450)를 병렬로 연결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22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IN) and the output (OUT) of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IN) terminal of each of the Tx terminal and the Rx terminal and the communication circuit among the internal circuits 210. In addition, in the portion of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circuit, in order to protect the communication circuit, the TVS 420, the surge absorber 440, or the barista 450 in parallel. It is also desirable to connect.

상기 제어전원단자(230), 상기 중계기전원단자(240) 및 상기 표시등전원단자(250)의 경우 각각의 +단자와 -단자 사이는,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를 통하여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에 대하여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단자에는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 사이에 제2차단수단(500)이 포함되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차단수단(500)과 상기 보호용 다이오드(430) 중 입력(IN)단자 측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연결된 부분과 상기 내부회로(210) 사이에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자의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보호용 다이오드(430)가 서로 연결된 부분이 상기 내부회로(210)와 직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control power terminal 230, the repeater power terminal 240 and the indicator power terminal 250, it is preferable to connect between each of the + terminal and the-terminal through two protection diodes 430. . The protection diode 43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 terminal includes a second blocking means 500 between the two protection diodes 430 to be connected, and is used to protect the input (IN) terminal sid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nd the protection diode 430.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is connected between the portion to which the diode 430 is connected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and in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two protective diodes 4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circuit 210.

상기 제1차단수단(400)은 상기 중계기(200)내에서 또는 상기 중계기(200)가 연결되는 경계구역 내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입력단자(IN)와 상기 내부회로(210) 사이를 차단하게 되며, 상기 제2차단수단(500)은 상기 중계기(200) 다음에 연결되는 중계선로(300)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상기 중계선로(300)가 연결된 입력(IN)단자와 상기 출력(OUT)단자 사이를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단수단(400) 및 상기 제2차단수단(5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 과전류로 인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그 열에 따라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는 PTC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PTC소자에 대하여는 상술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차단수단(400) 또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이 작동되는 경우, 그 작동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작동표시수단(410, 510)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blocks between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internal circuit 210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within the repeater 200 or within a boundary area to which the repeater 200 is connecte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the input (IN) terminal and the output (OUT) connected to the relay line 300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relay line 300 connected to the repeater 200 ) It is desirable to have a role to block between terminal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preferably use a PTC element that generates heat due to overcurrent and blocks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heat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However, the PTC devi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will be omitt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or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is operat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display means 410 and 510 are further includ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easily check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의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 및 상기 제2차단수단(500)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중계기(200)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거나 중계선로(300) 중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락사고가 발생한 중계기 또는 단락사고가 발생한 중계선로 이전에 있는 나머지 중계기(200)들은 작동가능 상태가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중계선로 또는 중계기 중 하나에서 단락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그 이전에 있는 나머지 중계기들은 작동가능 상태인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두가 병렬 연결된 상기 중계기(200)들의 중계선로(300)에서, 상기 중계기(200) 중 하나인 200d 중계기의 내부회로(210d)에서 단락사고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200d 중계기 내부에 있는 상기 제1차단수단(400d)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200d 중계기를 제외한 모든 중계기들은 정상으로 작동되며, 상기 200d 중계기 이후에 있는 중계선로(300)에서 단락사고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200d 중계기 내부에 있는 상기 제2차단수단(500d)이 차단되기 때문에 상기 200d 중계기 이후 단은 상기 중계선로(300)와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200e 중계기는 작동불능이 되지만 나머지 중계기(200a, 200b, 200c, 200d)는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3실시예 및 상기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을 설치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된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트립시간이 길은 것을 사용하고, 상기 화재수신기(100)에서 멀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차단수단(500)의 트립시간이 짧은 것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트립시간을 달리해서 구성하는 경우 단락사고 발생 시 단락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중계기(200)의 제2차단수단(500)이 먼저 작동하게 되므로 단락사고로 인한 장애발생 범위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repeater for a firefighting facility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re included in one of the repeaters 200,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or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relay line 300, the remaining repeaters 200 before the repeater having the short circuit accident or the relay line with the short circuit accident are in an operable state. 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even if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one of the relay lines or the repeater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ining repeaters before it are in an operational state. As shown in FIG. 16,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internal circuit 210d of the 200d repeater, which is one of the repeaters 200, in the relay line 300 of the repeaters 200 connected in parallel, the inside of the 200d repeater Since the first blocking means (400d) in the block is blocked, all the repeaters except the 200d repeater operate normally, and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in the relay line 300 after the 200d repeater, the inside of the 200d repeater Sinc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d in the block is blocked after the 200d repeater, the 200e repeater becomes inoperative, but the remaining repeaters 200a, 200b, 200c, 200d ) Will be able to operate normally. In order to apply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he trip time of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a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It is preferable to use a longer trip time from the fire receiver 100 toward the near side, and a shorter trip time from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fire receiver 100. When the trip time is configured differently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locking means 500 of the repeater 200 closest to the shorting point is operated first when a short circuit accident occurs, thereby minimizing the range of failures due to the short circuit accident.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various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ample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화재수신기
110 전원공급수단
200 중계기
210 내부회로 220 통신단자
230 제어전원단자 240 중계기전원단자
250 표시등전원단자
300 중계선로
400 제1차단수단
410 표시수단
430 보호용 다이오드
500 제2차단수단
510 표시수단
601, 602 전압검출수단
611, 612 제1스위치
612, 622 제2스위치
100 fire receiver
110 Power supply means
200 repeaters
210 Internal circuit 220 Communication terminal
230 Control power terminal 240 Repeater power terminal
250 Indicator Power Terminal
300 relay lines
400 first blocking means
410 Display means
430 Protective Diode
500 Second blocking means
510 display means
601, 602 voltage detection means
611, 612 1st switch
612, 622 2nd switch

Claims (6)

삭제delete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전송해주고,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설비들 각각에 대한 작동을 제어해주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로, 중계기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소방설비들에 대한 제어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전원선로 또는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회로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1차단수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가 연결되는 입력단자 중 둘 이상의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내부회로 사이에 전압검출수단,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하되,
-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입력단자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검출하며;
-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며;
- 상기 제2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상기 출력단자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출력단자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In the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to the fire receiv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Communication line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repeater power line for supplying repeater operating power, control power line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r indicator light power lin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indicators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for one or more and the internal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 first blocking means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respectively connected,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further comprises a voltage detection means,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respectively,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nd the internal circuit of the input terminal is connected,
-The voltage detecting mean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to detect the input voltage;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and is normally turned on and then automatically c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mong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ide, which is normally cut off and then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2차단수단이 연결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terminal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an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and a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fault blocking function is further included.
삭제delete 화재감지기의 감지신호를 화재수신기로 전송해주고, 상기 화재수신기에서 전송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설비들 각각에 대한 작동을 제어해주는 소방설비용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와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선로, 중계기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소방설비들에 대한 제어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전원선로 또는 표시등에 대한 작동전원 공급을 위한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사이에, 과전류 차단기능 및 자동복구기능을 가지는 제2차단수단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가 연결되는 입력단자 중 둘 이상의 입력단자 각각과 상기 입력단자 각각에 대응되는 내부회로 사이에 전압검출수단,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각각 더 포함하되,
- 상기 전압검출수단은 상기 입력단자의 양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검출하며;
-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제2차단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평상시 투입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차단되며;
- 상기 제2스위치의 일단은 상기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상기 제2차단수단 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자신의 선로가 아닌 선로에 연결되는 제1스위치의 양단 중 제2차단수단 쪽에 연결되어, 평상시 차단되어 있다가 상기 입력전압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In the repeater for a fire fighting equipment that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ire detector to the fire receiv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fire fighting equipmen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e receiver,
Communication line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and the control signal, repeater power line for supplying repeater operating power, control power line for supplying control power to the firefighting facilities, or indicator light power line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indicators A second blocking means having an overcurrent blocking function and an automatic recovery function is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input terminals for one or more and the out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 voltage detection means, a first switch, and a second switch are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wo or more input terminals among the input terminals to which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is connected, and an internal circu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input terminals. Including more,
-The voltage detecting means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put terminal to detect the input voltage;
-The first switch is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blocking means, and is normally turned on and then automatically cut off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One end of the second swit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means among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line other than its own line among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locking means of both ends of the first switch, it is normally cut off and then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input voltage is not det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er for fire 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및 상기 입력단자에 대응되는 출력단자 중 상기 중계기전원선로, 상기 제어전원선로 또는 상기 표시등전원선로 중 하나 이상에 대한 각각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보호용 다이오드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차단기능을 가지는 소방설비용 중계기
The method of claim 2 or 5,
Two protection diodes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each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for one or more of the repeater power line, the control power line, or the indicator power line amo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Features, repeater for firefighting equipment having a barrier function
KR1020190051460A 2019-05-02 2019-05-02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KR1021342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60A KR102134256B1 (en) 2019-05-02 2019-05-02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60A KR102134256B1 (en) 2019-05-02 2019-05-02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256B1 true KR102134256B1 (en) 2020-07-15

Family

ID=7160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60A KR102134256B1 (en) 2019-05-02 2019-05-02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2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201B1 (en) 2021-03-09 2021-08-27 (주)전원테크 Repeater capable of monitoring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KR102346148B1 (en) * 2021-02-01 2021-12-31 신동훈 Alarm Short circuit Protective gea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76U (en) * 1996-03-06 1997-10-13 주식회사삼진일렉트로닉 Fire alarm control device
KR20110003234U (en) * 2009-09-24 2011-03-30 삼지전자 주식회사 The Distributed Repeater System Applied Overvoltage And Overcurrent Block Circuit On Remote Equip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576U (en) * 1996-03-06 1997-10-13 주식회사삼진일렉트로닉 Fire alarm control device
KR20110003234U (en) * 2009-09-24 2011-03-30 삼지전자 주식회사 The Distributed Repeater System Applied Overvoltage And Overcurrent Block Circuit On Remote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148B1 (en) * 2021-02-01 2021-12-31 신동훈 Alarm Short circuit Protective gear
KR102294201B1 (en) 2021-03-09 2021-08-27 (주)전원테크 Repeater capable of monitoring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727B1 (en) Load short track inspection and operating systems, and methods of operation of the fire relay broadcasting equipment
CA2657740C (en) System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sensors
CA2714482C (en)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nd testing a notification appliance circuit
KR102134256B1 (en) Repeater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US5207276A (en) Wire-sensored fire extinguisher with fault-monitoring control system
KR100714998B1 (en) Protection system of electric fire using arc detection
KR1020739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the short of speaker lines and protecting the speaker lines, and the brosdcast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N109150979B (en) Fire control is synthesized and is arranged accuse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JP2020010359A (en) Tunnel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2031513B1 (en) The Amplifier Protection Apparatus of Broadcasting Line for Fire Hydrant
JP5469565B2 (en) Pre-acting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JP7462086B2 (en) Emergency Equipment
TWI695352B (en) Fire alarm loop failure and maintenance dual-use relay isolator
KR102294201B1 (en) Repeater capable of monitoring disconnection and short circuit
KR102143332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KR20200129975A (en) Public Address System IOT for protecting short/open circuit
JP2023002675A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102141990B1 (en) Emergency Broadcast Line Checker Circuit Blocker of Subway-Railway Broadcasting Equipment
JP3457229B2 (en) Signal transmission system for gas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JP7304325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7499374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JP5653708B2 (en) Dry sprinkler equipment
JP2733058B2 (en) Fire alarm system
JP2019106023A (en) Fire alarm facility and booster
JP7137599B2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