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100B1 -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100B1
KR102134100B1 KR1020190078716A KR20190078716A KR102134100B1 KR 102134100 B1 KR102134100 B1 KR 102134100B1 KR 1020190078716 A KR1020190078716 A KR 1020190078716A KR 20190078716 A KR20190078716 A KR 20190078716A KR 102134100 B1 KR102134100 B1 KR 10213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
king
centipede
insects
wangj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원준
Original Assignee
조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준 filed Critical 조원준
Priority to KR1020190078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100B1/ko
Priority to KR1020190159817A priority patent/KR102609933B1/ko
Priority to KR1020190159814A priority patent/KR1026099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도록 형성된 상부를 가지며,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는 하우스(H)와;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복수개의 왕지네(100)들과;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200)들과; 상기 하우스의 내부의 바닥면의 토지에서 자라는 것으로서, 상기 먹이곤충들이 먹이가 되는 식물(300)들과;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분해곤충(400)들과;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기거수단(110)(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1000)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Ecological cyclic system for raising king-centipede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생태순환적으로 자연스럽게 왕지네를 사육할 수 있어 인위적인 관리노력이 적게 들며, 건강하게 왕지네를 키울 수 있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과 이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왕지네는 절지동물문, 단지아문, 순각강, 전형아강, 왕지네목, 왕지네과에 속하는 것으로서, 한국에서 왕지네는 전통적으로 한약재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현재는 화장품이나 의약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애완용으로도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왕지네의 사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이들은 주로 실내에서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를 먹이로 주어서 사육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실내에서 고기를 먹이로 주는 방식은 작은 공간에서 많은 왕지네를 사육할 수 있고 겨울에 동면을 피할 수 있어 왕지네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이에 못지않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즉 실내에서 사육하다보니 환풍이나 통풍이 쉽지 않고, 습도를 맞추기가 어려우며, 돼지고기, 닭고기 등의 고기의 열량이 높고, 왕지네들의 운동량이 부족하여, 왕지네들에게 진균이 발생하거나 내장에 지방이 많이 껴서 폐사되는 경우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이와 같이 실내에서 고기를 먹이를 주어 사육하는 것은 근본적으로 인위적인 관리노력이 상당히 요구된다. 즉 환풍이나 통풍, 습도의 조절, 먹이의 준비와 공급 등은 상당한 관리노력의 투입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건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생태순환적인 방식으로 왕지네를 사육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를 해왔으며, 본건 발명을 이루게 되었다.
왕지네의 사육과 관련된 특허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859678호의 갈색거저리를 포함하는 왕지네 사욕용 사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왕지네 대량생산을 위한 인공사육방법이 발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한 관리노력의 투입이 요구되고 폐사율이 높은 실내에서 고기를 먹이를 주는 왕지네의 사육방법에 대하여,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를 사육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의 구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a)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는 하우스와;
(b)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복수개의 왕지네들과;
(c)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들과;
(d) 상기 하우스의 내부의 바닥면의 토지에서 자라는 것으로서, 상기 먹이곤충들이 먹이가 되는 식물들과;
(e)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분해곤충들과;
(f)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기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하우스의 상부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이곳을 통하여 상기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햇볕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우스의 상부의 개방부에 걸쳐서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이 덮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하우스는 측면들을 가지고 상기 측면들에는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우스의 측벽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경우, 상기 하우스의 측벽은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하우스의 측벽은 지하로 연장되어 상기 왕지네가 상기 하우스의 지하로 파고들어가도 상기 지하로 연장된 측벽부분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로부터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왕지네 기거수단은 나무토막 또는 나무껍질 또는 돌멩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먹이곤충은 겨울을 알 또는 유충의 형태로 나는 것이며, 상기 분해곤충은 겨울에 동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먹이곤충은 바퀴벌레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별히, 상기 먹이곤충은 먹바퀴 또는 집바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먹이곤충은 초식 메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별히, 섬서구 메뚜기, 방아깨비 또는 풀무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a)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는 하우스를 제공하는 하우스 제공단계와;
(b) 상기 하우스의 토지에 식물들이 살아나가도록 하는 식물생육단계와;
(c)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 기거수단을 배치하는 왕지네기거수단배치단계와;
(d)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왕지네들과,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물들을 먹고사는 복수개의 먹이곤충들과,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복수개의 분해곤충들을 풀어 놓는 왕지네와 먹이곤충및 분해곤충의 풀어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먹이곤충은 겨울을 알 또는 유충의 형태로 나는 것이며, 상기 분해곤충은 겨울에 동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a) 내부에서 왕지네가 사육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토지로 이루어진 하우스와;
(b)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복수개의 왕지네들과;
(c)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들과;
(d) 상기 하우스의 내부의 바닥면의 토지에서 자라는 것으로서, 상기 먹이곤충들이 먹이가 되는 식물들과;
(e)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분해곤충들과;
(f)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기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하우스의 내부로는 햇살이 비추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바람이 통하여 공기가 유통되는 것으로서, 비와 햇살을 받으면서 식물들이 자라고, 이렇게 자라는 식물은 아침에 이슬을 품어 하우스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습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통풍과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자연적으로 습도가 조절되는 환경에서 왕지네는 먹이곤충을 먹고, 먹이곤충은 식물을 먹으며, 분해곤충은 먹이곤충 또는 왕지네의 사체를 분해하게 되며, 인위적인 관리노력이 거의 없이 자연적으로 왕지네는 번식을 하면서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또한 먹이곤충으로 겨울을 알 또는 유충의 형태로 나는 것을 제공하고, 분해곤충으로서 겨울에 동면하는 것을 제공함으로써, 왕지네가 동면하고 식물의 먹이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겨울에 이들 왕지네, 먹이곤충, 분해곤충, 식물들의 생장주기가 어긋나지 않고 생태순환을 따라서 자연적으로 왕지네를 사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왕지네는 먹이곤충을 사냥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운동을 하게 되고 또한 먹이곤충의 섭취로 키틴질을 섭취할 수 있게 되며 종래 고기를 먹이를 주는 경우 키틴질의 부족으로 발생하던 동족포식 등의 문제등도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왕지네는 먹이곤충을 먹고, 먹이곤충은 식물을 먹으며, 분해곤충은 먹이곤충 또는 왕지네의 사체를 분해하게 되어, 인위적인 관리노력의 부담을 덜고 왕지네를 생태순환적으로 사육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를 사육하는 시스템과 이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왕지네 사육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하우스의 내부에 왕지네 기거수단이 배치되고, 먹이곤충들의 먹이가 되는 식물들이 자라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가 사육되는 것을 도식하여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를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왕지네 사육시스템(1000)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스(H)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파이프(P)를 조립하여 프레임(frame)을 이루며, 상부(800)의 파이프(P)의 사이는 개방되어 개방부를 형성하는데. 이들 파이프(P)를 걸쳐서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인 곤충망(880)이 설치되어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곤충망(880)이 설치된 상부의 개방부를 통하여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또한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를 참고로, 상기 하우스(H)의 바닥면(50)은 토지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바닥면(50)에 후술하는 먹이곤충의 먹이가 되는 식물(300)이 생육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바닥면(50)은 전체가 토지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식물이 생육되는 일부만이 토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스(H)의 내부로 햇볕이 들 수 있게 하는 것은 바닥면(50)의 토지의 식물(300)이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곤충망(880)이 설치된 상부(800)를 통하여 바닥면(50)의 토지의 식물(300)이 햇볕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를 맞아 자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H)은 상부(800)를 가지고 또한 4개의 측면(600a)(600b)(600c)(600d)을 가지는 것인데, 반드시 이러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통의 형태 등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측면들(600a)(600b)(600c)(600d)에는 측벽을 형성하여 왕지네가 도망갈 수 없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하우스(H)의 측면들(600a)(600b)(600c)(600d)은 비닐시트(660a)(660b)(660c)(660d)가 설치되어 측벽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이들을 통하여 식물(300)들이 햇볕을 받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들(600a)(600b)(600c)(600d)에는 비닐시트(660a)(660b)(660c)(660d)에 의하여 각각의 측벽이 형성되고 있는데, 다른 경우, 이들 측면(600a)(600b)(600c)(600d)은 곤충망에 의하여 측벽이 형성되어 왕지네가 도망갈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비닐시트를 대신하여 왕지네가 도망갈 수 없도록 촘촘한 망을 가지는 곤충망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측면(600a)(600b)(600c)(600d)에 형성되는 측벽은 또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600a)(600b)(600c)(600d)의 측벽이 비닐이나 유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이들은 미끄러워 왕지네가 타고 올라가기 용이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탈출의 가능성이 더욱 줄어들어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경제성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비닐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H)가 측면들을 가지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측면은 측벽에 의하여 폐쇄되어 왕지네가 외부로 탈출할 수 없게 한다.
전술한 비닐시트 또는 곤충망 등으로 측면을 폐쇄하여 측벽을 이루는데, 이들 측벽은 지하로 연장되어, 왕지네가 상기 하우스의 지하로 파고들어가도 상기 지하로 연장된 측벽부분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로부터 도망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특별히, 도 3을 참고로, 상기 측벽을 이루는 비닐시트(660a)(660b)(660c)(660d)는 상기 하우스(H)의 지면(10)의 하부로 높이(h)만큼 연장되어 설치되고 있으며, 이 지하로 연장된 부분은 도시부호 663a, 663b, 663c, 663d로 표시되고 있다.
통상 왕지네는 지하고 50cm이하로는 내려가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높이(h)는 50cm이상이 적합하다.
이들 지하로 연장된 비닐시트의 부분(663a)(663b)(663c)(663d)의 바깥측면에는 나무판 등의 보강재(20)가 설치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하우스(H)는 비닐하우스(영어로는 hoop house)를 짓는 방식으로 지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스(H)는 다른 형식으로 지어지는 것도 가능한데, 예를 들어 측벽이 벽돌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로 비를 맞고 바람이 통하며 햇볕이 드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상기 하우스(H)의 내부에 왕지네 기거수단(110)(120)이 배치되고, 먹이곤충들의 먹이가 되는 식물들(300)이 자라는 것을 보인다.
하우스(H) 내부의 바닥면(50)은 적어도 식물이 자라는 곳은 토지로 이루어지며, 왕지네 기거수단은 나무토막(110)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돌멩이(120)가 제공되고 있다.
나무토막(110)은 썩은 것일수록 왕지네가 선호하여 바람직한데, 썩은 나무토막의 밑에 왕지네들이 기거하거나 또는 썩은 나무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왕지네들이 기거하게 된다. 또한 돌멩이(120)의 밑에 왕지네들이 기거하게 된다.
나무껍질을 썩은 나무(110)와 더불어 또는 그 자체만으로 왕지네 기거수단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이들 왕지네 기거수단은 썩은 나무 또는 돌멩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4568호, 제10-2015-0076572호에서 공개되는 지네사육장치와 같은 것이 하우스(H)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물들(300)은 먹이곤충의 먹이가 되는 것이다. 즉 먹이곤충은 하우스(H)의 내부에서 식물(300)을 먹고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하우스(H)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왕지네들이 풀어지고, 또한,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들이 풀어지며, 또한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분해곤충들이 풀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가 사육되는 것을 도식하여 보이는 도면이다.
상기 하우스(H)의 내부에는 왕지네(100)가 풀어지고, 또한 먹이곤충(200)들이 풀어진다.
이에 따라 왕지네들(100)은 왕지네 기거수단(110)(120)에 기거하면서 야간에 나와서 먹이곤충들(200)을 사냥하여 먹고 살게 된다.
먹이곤충들(200)은 왕지네의 먹이가 되면서 동시에 식물을 먹고 살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것으로는 초식 메뚜기가 좋으며 초식 메꾸기 중에서도 섬서구 메뚜기와 방아깨비와 풀무치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초식 메뚜기들은 식물(300)들에 기거하면서 식물들(300)을 먹고 사는데, 방아깨비와 풀무치 등은 벼과식물을 먹고 살며, 섬서구 메뚜기는 벼과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들을 먹고 산다.
섬서구 메꾸기를 먹이곤충으로 제공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고사리, 벼과식물, 돌나물, 이끼, 민들레 등의 다양한 식물들이 먹이곤충인 섬서구메뚜기의 먹이가 되는 식물(30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먹이곤충으로는 섬서구 메뚜기를 풀어놓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으로, 먹이곤충(200)으로서 바퀴벌레가 제공 될 수 있으며, 이중 먹바퀴 또는 집바퀴를 풀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바퀴벌레들은 높은 번식력과 생존력을 가지는 것으로서 전술한 식물들을 먹고 살면서 번식을 이루어, 하우스(H)의 내부에서 번식하는 왕지네의 먹이수요를 적절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특별히 한국과 같이 겨울이 있는 지역에서 왕지네는 동면을 이루는데, 위 초식 메뚜기는 알의 형태로 겨울을 나게 되며, 먹바퀴와 집바퀴는 유체(幼體)형태로 겨울을 나게 되고 봄에 성체로 자라 동면에서 깨어난 왕지네의 먹이가 될 수 있다.
이것은 식물의 생장주기와 주기를 같이하는 것인데, 즉 겨울에 식물들은 먹이곤충의 먹이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데, 이때에 맞추어 먹이곤충도 알 또는 유체의 형태로 먹이가 거의 필요 없게 되며, 이 기간 동안 왕지네는 동면을 취하게 되는 것이다.
귀뚜라미, 여치, 배짱이 등은 이러한 식물과의 성장주기와 맞지 않거나 또는 왕지네가 탈피 시 공격하는 공격성이 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하우스(H)의 내부에 풀어지는 분해곤충들(400)은 예를 들어 공벌레, 쥐며느리 또는 노래기와 같은 것이다.
이들은 왕지네가 잡아먹은 먹이곤충의 날개, 다리 등의 사체와, 탈피 등에 실패하여 죽은 왕지네의 사체를 먹고 이들을 분해하게 된다.
이들 분해곤충(400)들도 겨울에는 동면을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경우, 겨울의 기간 동안 식물들은 먹이로서의 기능이 현저히 떨어지지만 왕지네와 분해곤충은 동면을 하고, 먹이곤충은 알이나 유충의 형태로 남아 겨울의 기간 동안 상호간에 생장주기가 맞게 된다.
전술한 공벌레, 쥐며느리 또는 노래기 등은 겨울에 동면을 하는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고로, 하우스(H)의 내부로는 비를 맞을 수 있으며 햇살이 비추고 바람이 통하여 공기가 유통되는 것으로서, 비와 햇살을 받으면서 식물들이 자라고, 식물은 아침에 이슬을 품어 하우스의 내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습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통풍과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자연적으로 습도가 조절되는 환경에서 왕지네는 먹이곤충을 먹고 먹이곤충은 식물을 먹으며, 분해곤충은 먹이곤충 또는 왕지네의 사체를 분해하게 되고, 이들의 생장주기는 어긋남이 없게 되어 인위적인 관리노력이 거의 없이 왕지네는 자연스럽게 번식을 이루면서 살아나가게 되는 것이고, 종래 실내에서 고기를 먹이로 주어 발생하는 왕지네 사육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별히, 왕지네는 먹이곤충을 사냥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필요한 운동을 하게 되고 또한 먹이곤충의 섭취로 키틴질을 섭취할 수 있게 되며 종래 고기를 먹이를 주는 경우 키틴질의 부족으로 발생하던 동족포식 등의 문제등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를 사육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하우스(H)가 제공되고(단계 S602), 다음, 상기 하우스(H)의 내부에 식물을 생육하고 (단계 S602), 다음 왕지네의 기거수단(110)(120)을 하우스(H)의 내부에 배치한다. (단계 S603) 이후 왕지네, 먹이곤충 그리고 분해곤충을 하우스(H)의 내부에 풀어놓는다.
이에 따라서 왕지네의 사육시스템(1000)이 이루어지고 최소한의 관리노력으로 생태순환적으로 왕지네가 사육되어지는 것이다.
단계 S602의 식물생육과 관련되어서, 초기에는 식물들을 상기 하우스(H)의 토지에 옮겨 심고 이들을 물을 주는 등 하여 식물(300)들이 살아나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하우스(H)는 비와 햇볕을 받으며 바람이 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지역적 특징이 식물(300)을 생육하기 적당하게 비가 내리고 햇볕이 드는 곳일 경우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그렇지 않을 경우는 모자란 부분을 인위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강수량이 적거나 없는 지역의 경우에는 내부에 스프링클러 등의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갖출 수 있을 것이다.
H: 하우스
P: 파이프
800: 하우스의 상부
880: 곤충망
600a, 600b, 600c, 600d: 하우스의 측면
660a, 660b, 660c, 660d: 하우스의 측벽
10: 지면
50: 바닥면
100: 왕지네
200: 먹이곤충
300: 식물
400: 분해곤충
110, 120: 왕지네 기거수단
663a, 663b, 663c, 663d: 지하로 연장된 비닐시트의 부분

Claims (16)

  1. (a)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는 하우스와;
    (b)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복수개의 왕지네들과;
    (c)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먹이곤충들과;
    (d) 상기 하우스의 내부의 바닥면의 토지에서 상기 햇볕을 받고 상기 비를 맞으며 자라는 것으로서, 상기 먹이곤충들이 먹이가 되는 식물들과;
    (e)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풀어지는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분해곤충들과;
    (f)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기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g) 상기 하우스의 측면들에는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측벽들이 설치되고, 이들 측벽은 지하로 연장되어 상기 왕지네가 상기 하우스의 지하로 파고들어가도 상기 지하로 연장된 측벽부분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로부터 도망가지 못하며,
    (h) 상기 하우스의 상부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이곳을 통하여 상기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햇볕을 받을 수 있게 되고,
    (i) 상기 먹이곤충은 겨울을 알 또는 유충의 형태로 나는 것이며, 상기 분해곤충은 겨울에 동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상부의 개방부에 걸쳐서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이 덮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측벽은 비닐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스의 측벽은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할 정도로 촘촘한 망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지네 기거수단은 나무토막 또는 나무껍질 또는 돌멩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곤충은 바퀴벌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곤충은 먹바퀴 또는 집바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곤충은 초식 메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곤충은 섬서구 메뚜기, 방아깨비 또는 풀무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
  14. (a)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바닥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토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로 햇볕을 받을 수 있는 하우스를 제공하는 하우스 제공단계와;
    (b) 상기 하우스의 바닥면의 토지에 식물들이 살아나가도록 하는 식물생육단계와;
    (c)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왕지네들이 기거하는 왕지네 기거수단을 배치하는 왕지네기거수단배치단계와;
    (d) 상기 하우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왕지네들과, 상기 왕지네의 먹이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 식물들을 먹고사는 복수개의 먹이곤충들과, 상기 먹이곤충의 사체를 분해하는 복수개의 분해곤충들을 풀어 놓는 왕지네와 먹이곤충 및 분해곤충의 풀어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여기서,
    (e) 상기 식물들은 상기 하우스의 내부의 바닥면의 토지에서 상기 햇볕을 받고 상기 비를 맞으며 자라는 것이고,
    (f) 상기 하우스의 측면들에는 상기 왕지네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측벽들이 설치되고, 이들 측벽은 지하로 연장되어 상기 왕지네가 상기 하우스의 지하로 파고들어가도 상기 지하로 연장된 측벽부분에 의하여 상기 하우스로부터 도망가지 못하고,
    (g) 상기 하우스의 상부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이곳을 통하여 상기 내부로 바람이 통하고 비를 맞을 수 있으며, 햇볕을 받을 수 있게 되고,
    (h) 상기 먹이곤충은 겨울을 알 또는 유충의 형태로 나는 것이며, 상기 분해곤충은 겨울에 동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태순환적인 왕지네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078716A 2019-07-01 2019-07-01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10213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16A KR102134100B1 (ko) 2019-07-01 2019-07-01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1020190159817A KR102609933B1 (ko) 2019-07-01 2019-12-04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KR1020190159814A KR102609931B1 (ko) 2019-07-01 2019-12-04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716A KR102134100B1 (ko) 2019-07-01 2019-07-01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817A Division KR102609933B1 (ko) 2019-07-01 2019-12-04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KR1020190159814A Division KR102609931B1 (ko) 2019-07-01 2019-12-04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100B1 true KR102134100B1 (ko) 2020-07-15

Family

ID=7160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16A KR102134100B1 (ko) 2019-07-01 2019-07-01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1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233A (ja) * 1995-10-25 1997-05-06 Fusouri:Kk 鳥類の飼育方法
KR20110003029U (ko) * 2009-09-18 2011-03-24 경기도 멀티 사육키트
KR101534581B1 (ko) * 2014-10-01 2015-07-09 김진수 곤충 사육장
KR20170000656A (ko) * 2015-06-24 2017-01-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누리관총채벌레의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7233A (ja) * 1995-10-25 1997-05-06 Fusouri:Kk 鳥類の飼育方法
KR20110003029U (ko) * 2009-09-18 2011-03-24 경기도 멀티 사육키트
KR101534581B1 (ko) * 2014-10-01 2015-07-09 김진수 곤충 사육장
KR20170000656A (ko) * 2015-06-24 2017-01-0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누리관총채벌레의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VASS with creature’, 포스트명 : 왕지네 사육자료 ver.2018(웹주소:https://blog.naver.com/ghddlr9277/221355476633, 2018.09.09. 공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0350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US8082884B2 (en) Swiftlets farming for production of edible bird's nests
CN107484720B (zh) 仿野生生态蜈蚣养殖系统及养殖方法
CN105794722A (zh) 一种黄缘闭壳龟的苗种工厂化繁育方法
CN109997790A (zh) 基于固废处理的黑水虻绿色养殖工艺
CN110692598B (zh) 一种同一土地禽类、蔬菜与鱼类同步生态生产的方法
CN105746442B (zh) 爬沙虫成虫的规模化养殖和卵的孵化方法
CN205922224U (zh) 一种黑水虻成虫和有机蔬菜的共生种养殖的蔬菜大棚
CN105724322B (zh) 爬沙虫幼虫和蛹的室内规模化养殖方法
KR102134100B1 (ko)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102206189B1 (ko) 동애등에의 산란장치
CN108377981A (zh) 一种黑水虻养殖方法
KR102609931B1 (ko)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및 그러한 사육시스템의 구축방법
KR102609933B1 (ko) 생태순환적인 왕지네의 사육시스템
CN212520488U (zh) 一种蟾蜍露天生态养殖场
US6342085B1 (en) Composting method for agricultural animal manure
CN110115247B (zh) 一种自持式禽类养殖方法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CN109526876B (zh) 马六甲肉食螨的饲养方法及应用
CN113016723A (zh) 一种提高黑水虻产卵率的养殖方法
CN113142144B (zh) 一种黑水虻养殖方法
CN2404336Y (zh) 生态养蝎装置
CN114680002A (zh) 一种淘汰农药化肥无害有机绿色种植的方式方法
Srivastava et al. Sociobiology and natural adaption of termite and Termitomyces in different forest division of Gorakhpur region
CN112154975A (zh) 山大齿猛蚁巢穴的构建及饲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