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717B1 -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 Google Patents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717B1
KR102133717B1 KR1020180074849A KR20180074849A KR102133717B1 KR 102133717 B1 KR102133717 B1 KR 102133717B1 KR 1020180074849 A KR1020180074849 A KR 1020180074849A KR 20180074849 A KR20180074849 A KR 20180074849A KR 102133717 B1 KR102133717 B1 KR 10213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gps
path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01835A (en
Inventor
김정현
모영광
이춘식
정현우
송민수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4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717B1/en
Publication of KR2020000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7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7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satellite positioning signals, e.g. GP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9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using mapping information stored in a memory device
    • G05D2201/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은,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지피에스부, 및 주행부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및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지도의 도로상에서 제1경로를 설정하고, 주행부를 제1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며, 주행 중에 센서부가 지도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미리 설치된 가이드유닛을 감지하면, 가이드유닛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제2경로를 설정하여, 주행부가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a sensor unit for sensing a driving environment, a GPS unit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driving It includes a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ealth, and a guide unit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first path on the road of the map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unit is the first. When driving along the path, and the sensor unit detects a guide unit pre-installed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the map while driving, a new second path is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driving unit follows the second pa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that controls driving.

Description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은 화물을 운반하는 운반차량의 자율 주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of a transport vehicle that transports cargo.

일반적으로, 운반차량은 농촌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농작물이나 작업 도구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현재 농촌은 노동력 부족의 문제가 지속되고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운전하지 않아도 되는 운반차량에 대한 개발이 수행되고 있다.Generally, a transport vehicle can be used to transport crops or work tools when used in rural areas. Currently, the problem of labor shortage continues in rural areas,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development of a transport vehicle that does not require a person to drive directly is being carried out.

한편, 자율 주행 기술은 보통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기반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와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s a system that sets a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based on a GPS (GPS).

그러나, 농촌에서는 협소한 농로에서도 화물의 운반을 위해 운반차량의 주행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농로는 지피에스 기반으로 제작된 지도 상에서 차량의 도로로 인식되지 않아서 자율 주행 운반차량의 주행 경로로 설정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a rural area, the transportation of a transport vehicle is required for the transportation of cargo even on a narrow farm road, and such a farm road is not recognized as a road of a vehicle on a map produced based on GPS, so it cannot be set as a driving path of an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There 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41932(2010.04.23.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1932 (published on April 23, 20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피에스 기반의 지도 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자율 주행이 가능한 운반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even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a GPS-based m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은,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지피에스부, 및 주행부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및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제어부는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지도의 도로상에서 제1경로를 설정하고, 주행부를 제1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며, 주행 중에 센서부가 지도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미리 설치된 가이드유닛을 감지하면, 가이드유닛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제2경로를 설정하여, 주행부가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a sensor unit for sensing a driving environment, a GPS unit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driving It includes a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ealth, and a guide unit sens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sets the first path on the road of the map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driving unit is the first. When driving along the path, and the sensor unit detects a guide unit pre-installed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the map while driving, a new second path is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driving unit follows the second path.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that controls driv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적재부는 적재부의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부, 측벽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연장부, 및 적재부의 상방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덮개부는 연장부의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측벽부와 연장부의 사이에 수용되며, 연장부가 측벽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된 상태에서, 힌지의 회동에 따라 적재부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includes a loading unit capable of loading cargo, and the loading unit includes a side wall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edge of the load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that can sli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and a loading portion It includes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the cover portion is hing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sli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part can be opened and clos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부는, 측벽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라이드 홈 및 슬라이드 홈의 상부에 측벽부의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연장부는 그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슬라이드 홈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돌기가 수용되고, 슬라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되면서 연장부가 측벽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연장부가 측벽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드 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돌기가 고정홈에 수용되어 연장부가 측벽부에 대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de wall portion is located adjacent to an ed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includes a slide groov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ing groove concavely form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on the top of the slide groove. , The extension portion includes a slide protrusion formed adjacent to an edg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side thereof, the slide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slide groove, and the slide protrusion slides along the slide groove,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moves upwards to the side wall portion. It is slidable,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nded portion is slid upward, the slide projec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groove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traveling system in which the extende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side wall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덮개부는 적재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덮개부 각각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각각의 단부는 적재부의 상방을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며, 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접촉이 유지되어 덮개부의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ortions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ing portion, and provided as a pair. A magnet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cover portions, and a magnet or a magnetic body is provided at the other. The ends of the contact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is closed, and the contact is maintained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so that arbitrary opening of the cover portion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유닛은 수치지도 상의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지피에스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유닛 및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 중에 제1가이드유닛의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지피에스를 구비하지 않는 제2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지피에스 위치 정보는 제1가이드유닛의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un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oad on the digital map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unit in a region not recognized as a first guide unit having a GPS and a location that can be detected by the sensor unit It is installed in, and includes a second guide unit that does not have a GP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guide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운반차량은 가이드유닛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제2경로를 저장하는 경로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가이드유닛이 제거된 환경에서도 주행부가 경로저장부에 저장된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port vehicle further includes a path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cond path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tore the driving unit in the path storage unit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guide unit is removed. It can be controlled to travel along two path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부는 마그네틱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가이드유닛은 마그네틱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nsor unit includes a magnetic sensing sensor, and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magnetic rail.

본 발명은 지피에스 기반의 지도 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서도 자율 주행이 가능한 운반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even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a GPS-based map.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변형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측벽부와 연장부의 슬라이드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적재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의 주행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의 차고지 내에서의 주행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lide coupling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loading part of a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rout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riving route in a garag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abov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 not exclude addition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11) 주행 시스템(1)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수치지도 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가이드유닛(12)을 설치하여 운반차량(11)의 주행 경로를 가이드하는 운반차량(11) 주행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수치지도란, ‘수치 지도 작성 작업 규칙’에 따라, 지표면,지하,수중 및 공간의 위치와 지형,지물 및 지명 등의 각종 지형 공간 정보를 전산 시스템을 이용하여 일정한 축척에 의하여 디지털 형태로 나타낸 지도를 의미한다.The transport vehicle 11 driv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guide unit 12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a digital map based on GPS (GPS) to provide a transport vehicle ( It relates to a transport vehicle (11) driving system (1) for guiding the travel path of 11). In this case, the digital map is a digital form of digital maps of various geospatial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of the surface, underground, underwater, and space, and topographical, geographical, and geographical names, according to the'Numerical Mapping Operation Rules'. Means map.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운반차량(11) 주행 시스템(1)은 운반차량(11) 및 가이드유닛(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vehicle 11 traveling system 1 may include a transport vehicle 11 and a guide unit 12.

운반차량(11)은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일 수 있다. 운반차량(11)은 본체(미도시),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112),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113),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지피에스부 및 주행부(112)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vehicle 11 may be a vehicle for transporting cargo. The transport vehicle 11 includes a main body (not shown), a driving unit 112 for moving the main body, a sensor unit 113 for sensing a driving environment, a GPS unit and a driving unit 112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4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운반차량(11)의 본체는 적재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부(111)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적재부(111)는 주행부(112)에 탑재되며 주행부(112)의 프레임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적재부(111)는 측벽부(1111), 연장부(1112), 덮개부(11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of the transport vehicle 11 may include a loading part 111. The loading unit 111 may be a portion capable of loading cargo. The loading unit 111 is mounted on the traveling unit 112 and may be fixed to the frame of the traveling unit 112. The loading part 111 may include a side wall part 1111, an extension part 1112, and a cover part 1113.

측벽부(1111)는 적재부(111)에 화물을 적재한 경우에 화물이 적재부(111)의 외측으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적재부(111)의 바닥에는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측벽부(1111)는 적재부(111)의 바닥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part 1111 is to prevent the cargo from falling out of the loading part 111 when loading the cargo into the loading part 111. Cargo may be loaded on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111. The side wall portion 1111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bottom edge of the loading portion 11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변형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의 측벽부와 연장부의 슬라이드 결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state of the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lide coupling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장부(1112)는 측벽부(1111)의 상방으로 슬라이드 되어 연장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연장부(1112)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측벽의 높이가 상승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적재부(111)에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해도 화물이 외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연장부(1112)는 측벽부(1111)의 내측에 배치되어 서로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드 결합을 위해 측벽부(1111)의 양측 단부에는 슬라이드 돌기(1112a) 또는 슬라이드 홈(1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연장부(1112)의 양측 단부에는 슬라이드 홈(1111a) 또는 슬라이드 돌기(1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벽부(1111)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라이드 홈(1111a)과 연장부(1112)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1112a)가 결합되고, 슬라이드 돌기(1112a)가 슬라이드 홈(1111a)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측벽부(1111)에 대하여 연장부(1112)가 상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홈(1111a)의 상부에는 측벽부(1111)의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며, 슬라이드 돌기(1112a)가 수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11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장부(1112)는 측벽부(111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2 and 3, the extension portion 1112 is a portion that can be extended by sliding upwards of the side wall portion 1111. Due to the extension portion 1112, a height of the sidewall may be substantially increased. Accordingly, even if more cargo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111,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go from falling outward. The extension portion 1112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portion 1111 and slide-coupled to each other. A slide protrusion 1112a or a slide groove 1111a may be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1111 for sliding engagement. Correspondingly, a slide groove 1111a or a slide protrusion 1112a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portion 1112. For example,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111 is located adjacent to the ed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tended to the slide groove 1111a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dg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utside the extension portion 1112. The slide protrusion 1112a formed is coupled, and while the slide protrusion 1112a slide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lide groove 1111a, the extension portion 1112 may sli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1111.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 groove (1111a) is formed concave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1111, the slide protrusion 1112a is accommodated can be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111b) that can be fixed in position. Through this, the extension portion 1112 may be fixed in a posi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side wall portion 1111.

덮개부(1113)는 적재부(111)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는 부분이다. 덮개부(1113)는 연장부(1112)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힌지(1112b)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113)는 연장부(1112)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접힌 상태에서 연장부(1112)와 측벽부(1111)의 사이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연장부(1112)가 측벽부(11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덮개부(1113)는 힌지(1112b)의 회동에 따라 적재부(111)의 상방을 덮을 수 있다. 힌지(1112b)축의 일단에는 손잡이(1112c)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를 돌리면 힌지(1112b)축도 회동되어 덮개부(1113)가 적재부(111)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부(1113)는 적재부(111)의 좌측과 우측 연장부(1112)에 각각 설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 힌지(1112b)의 회동에 따라 적재부(111)의 중앙부분에서 서로 만나게 될 수 있다. 덮개부(1113)가 서로 만나는 부분과 인접한 부분에 각각 구멍(1113a)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잠금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운반차량(11)이 무인 자율 주행될 때에 화물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cover portion 1113 is a portion that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11). The cover portion 1113 may be hinged 1112b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1112. 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1113 may be accommodated in a space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1112 and the side wall portion 1111 in a state fold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1112. With the extension portion 1112 slid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1111, the cover portion 1113 may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1112b. The handle 1112c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inge 1112b axis, so that the hinge 1112b axis is rotated when turned, so that the cover portion 1113 can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11. The cover portion 1113 is install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portions 1112 of the loading portion 111 to be provided in a pair, and meets each oth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1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1112b, respectively. Can be. A hole 1113a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cover portion 1113 meets an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a locking device can be installed therethrough.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sk of cargo theft can be prevented when the transport vehicle 11 is unmanned and autonomous.

또한, 한 쌍의 덮개부(1113) 각각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1113b)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1113b) 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각각의 단부는 적재부(111)의 상방을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며, 자석(1113b)의 자력으로 인하여 접촉이 유지되어 덮개부(1113)의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되고, 한 쌍의 덮개부(1113)가 덮힌 상태에서 서로 자력을 통해 고정되므로, 장애물 등에 의해 운반차량(11)이 덜컹거려도 덮개부(1113)가 개방되서 적재부(111) 내측에 적재된 화물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magnet 1113b is provided at one of the ends of each of the pair of cover parts 1113, and a magnet 1113b or a magnetic body is provided at the other, and each end is provided above the loading part 111.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closed state, the contact is maintained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1113b to prevent the arbitrary opening of the cover portion 1113, and fixed through the magnetic force of each other while the pair of cover portions 1113 are covered. Therefore, even if the transport vehicle 11 rattles due to an obstacle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argo loaded on the inside of the loading part 111 from being dropped because the cover part 1113 is opened.

도 4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적재부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loading part of a transport vehicle according to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변형된 실시예로서, 한 쌍의 덮개부(1113')의 좌우 폭의 합이 적재부(111)의 좌우 폭의 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한 쌍의 덮개부(1113)가 적재부(111)의 중앙부분에서 위로 솟아 있는 형상으로 서로 접하게 되며, 그의 좌우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우천시에 빗물이 좌우측으로 흘러내려서, 적재부(111)의 내측으로 스며들지 않으므로 화물을 젖지 않게 할 수 있다. 연장부(1112')는 한 쌍의 덮개부(1113')가 서로 접하고 있는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 그 앞측과 뒷측이 오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 modified embodiment,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ir of cover portions 1113 ′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ading portion 111. Due to this, a pair of cover portions 1113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hape that rises up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111, and downward slopes may be formed toward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refore, the rainwater flows to the left and right when it rains, so it does not seep into the inside of the loading part 111, so that the cargo can be prevented from getting wet. The extension portion 111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shape in which a pair of cover portions 1113'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may be formed in a pentagonal shape.

주행부(112)는 전기 구동모터 또는 엔진 등의 동력을 생산하는 동력부(미도시)와, 생산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주행 바퀴(미도시) 및 이들을 지지하고 서로 연결하는 프레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112 includes a power unit (not shown) that generates power such as an electric drive motor or an engine,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not shown) rotated by the produced power, and a frame that supports them and connects them to each other (not shown) City).

센서부(113)는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운반차량(11)의 주행 중에 주행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13)는 카메라 센서(미도시), 초음파 센서(미도시), 라이더센서(미도시), 레이더센서(미도시), 마그네틱 감지 센서(미도시) 및 자이로스코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3)는 운반차량(11)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센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성되어, 운반차량(11)의 전단부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주변 환경을 3D로 생성하여 장애물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근거리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라이더 센서는 빛을 이용하여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 센서는 전자파를 이용하여 운반차량(11)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자이로스코프는 수레의 기울기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마그네틱 감지센서는 자성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후술할 가이드유닛(12)이 마그네틱 레일(122')로 구성되는 경우 이를 인식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sensor unit 113 may be composed of various sensors, and may sense a driving environment while the vehicle 11 is running. The sensor unit 113 includes a camera sensor (not shown), an ultrasonic sensor (not shown), a rider sensor (not shown), a radar sensor (not shown), a magnetic detection sensor (not shown), and a gyroscope sensor (not shown). It can contain. The sensor unit 113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transport vehicle 11. In particular, the camera sensor is composed of a stereo camera,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vehicle 11, it is possible to perform obstacle detection by generating a surrounding environment in 3D. The ultrasonic sensor can detect obstacles at a short distance. The rider sensor can detect the distance using light. The radar sensor can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ransport vehicle 11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he gyroscope can detect the tilt condition of the wagon. The magnetic sensor is a sensor that senses magnetism, and may be for recognizing when the guide unit 12 to be described later is composed of a magnetic rail 122'.

지피에스부는 지피에스를 이용하여 운반차량(11)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이하 지피에스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GPS unit may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1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stination using the GPS. Hereinafter, the GPS itself is a well-known technology,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어부(114)는 주행부(112)의 주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부(114) 내부의 입출력 제어 및 연산 그리고 통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4)는 입력된 센서들의 해당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연산하고 각 구성요소를 위한 적절한 명령을 출력하여,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운반차량(11)의 출발지 및 목적지의 위치 등을 입력 및 표시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수동으로 주행부(112)를 제어할 수 있는 핸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또한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제어부(114)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4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112,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microprocessor,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the like, and performs input/output control, calcul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inside the control unit 114. . 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the entire system by calculating according to a preset algorithm based on the corresponding data of the input sensors and outputting an appropriate command for each component. The control unit 114 includes a display (not shown) capable of inputting and displaying the location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1 and a handle (not shown) capable of manuall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12. Can. The control unit 114 may also b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to enable remote control. For exampl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4 may be performed using a smartphon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의 주행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driving rout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14)는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수치지도의 도로상에서 제1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현재 차량의 지피에스 위치와 목적지의 위치를 수치지도 상에 적용시켜서, 수치지도 상의 도로를 기초로 하여 차량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거리 또는 최단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찾고, 이를 제1경로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주행부(112)를 상기 제1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14 may set a first route on a road of a digital map stored in advance based on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ler 114 applies the current vehicle's GPS loc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on the digital map, finds a route that takes the shortest distance or the shortest time from the vehicle's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road on the digital map. It can be set as the first path. The control unit 114 may cause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first path.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제1경로”는 미리 저장된 수치지도에서 차량의 도로로 인식되는 도로만을 이용하여 산출된 경로를 의미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first path” means a path calculated using only a road recognized as a road of a vehicle in a pre-stored digital map.

한편, 목적지의 위치가 수치지도 상에 차량의 도로로 연결되지 않은 지점인 경우에, 제어부(114)는 운반차량(11)이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한 제1경로를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농촌의 농로의 경우 폭이 협소하고, 지도 상에 다른 농지와 구별하기 어렵게 표시되어서, 제어부(114)의 프로그램 상에서 이를 운반차량(11)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로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s a point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road of the vehicle on the digital map, the control unit 114 may have a problem that the transport vehicle 11 cannot set the first path to reach the destina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rural farm road, the width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farmland on the map, so it may not be recognized in the program of the control unit 114 as a road through which the transport vehicle 11 can travel.

가이드유닛(12)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치지도상에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설치되어, 차량의 경로 설정을 가이드하는 것일 수 있다.The guide unit 12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ay be installed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a numeric map to guide the vehicle route setting.

예를 들어, 도로와 농로가 연결되는 연결지점으로부터 목적지까지 농로를 따라 가이드유닛(12)을 설치하고, 운반차량(11)이 주행 중에 상기 센서부(113)가 상기 지도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미리 설치된 가이드유닛(12)을 감지하면, 가이드유닛(12)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제2경로를 설정하여, 주행부(112)가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경로는 수치지도 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설정되는 경로일 수 있다.For example, an area in which the sensor unit 113 is not recognized as a road on the map while the guide unit 12 is installed along the farm road from the connection point where the road is connected to the farm road to the destination, and the transport vehicle 11 is traveling. When the guide unit 12 installed in advance is sensed, a new second path may be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12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second path. The second route may be a route set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on the digital map.

이하에서는, 목적지의 위치가 수치지도 상에 차량의 도로로 연결되지 않은 지점인 경우 제1경로와 제2경로의 설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setting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is a point not connected to the road of the vehicle on the digital ma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1)은, 운반차량(11)의 주행 전에 수치지도 상의 도로와 농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가이드유닛(12)이 미리 설치되며, 이를 시작으로 농로를 따라 복수 개의 가이드유닛(12)이 센서부(113)에 의해 센싱가능한 간격으로 나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로와 농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의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제어부(114)가 현재 차량의 위치로부터 경유지까지 갈 수 있는 제1경로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주행부(112)는 제1경로를 따라 주행을 하다가 도로와 농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 가이드유닛(12)을 센서부(113)가 감지하면 그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다른 가이드유닛(12)을 감지하고,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여 농로상에 제2경로를 설정하여 주행부(112)가 이를 따라서 주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e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unit 12 is previously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road and a farm road on a numerical map are connected before driving of the transport vehicle 11, and starting from this, the farm road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guide units 12 may be installed to be arranged at a sensing interval by the sensor unit 113. The user can set the position of the guide unit 12 installed at the point where the road and the farm road are connected as a waypoint, so that the control unit 114 can set a first route that can go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o the waypoint. When the sensor unit 113 detects the guide unit 12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road and the farm road are connected while driving along the first path, the driving unit 112 det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detects the other guide unit 12. By detecting and analyz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a second path may be set on the farm road to control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it.

한편으로, 지피에스가 구비된 가이드유닛(12)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피에스가 구비된 가이드유닛(12)은 제1가이드유닛(121)으로 명명하고 지피에스가 구비되지 않은 가이드유닛(12)은 제2가이드유닛(122)으로 명명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 guide unit 12 equipped with GPS may be us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guide unit 12 provided with the GPS is referred to as a first guide unit 121, and the guide unit 12 provided without GPS is referred to as a second guide unit 122. Shall be

가이드유닛(12)은 수치지도 상의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지피에스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유닛(121) 및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 중에 제1가이드유닛(121)의 위치에서 센서부(11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며, 지피에스를 구비하지 않는 제2가이드유닛(122)을 포함하며, 제어부(114)가 제1경로를 설정하기 위해 기초로하는 지피에스 위치 정보는 상기 제1가이드유닛(121)의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unit 12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oad on the digital map, the first guide unit 121 having a GPS and the sensor unit 113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unit 121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a road It is installed in a position that can be detected by, and includes a second guide unit 122 that does not have a GP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control unit 114 to set the first path is the first guide unit It may includ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121).

먼저, 도로와 농로가 연결되는 지점에 지피에스를 구비한 제1가이드유닛(121)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14)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의 위치를 입력 받아서 현재의 운반차량(11)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경로를 산출 및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운반차량(11)의 지피에스부가 제1가이드유닛(121)의 지피에스 위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14)는 이를 기초로 하여 제1가이드유닛(121)의 위치를 경유지로 설정하여, 도로 상의 제1경로를 설정하고 주행부(112)가 제1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운반차량(11)은 제1가이드유닛(121)의 위치까지 자율 주행이 수행되며, 센서부(113)가 제1가이드유닛(121)을 탐지하고 그 주변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유닛(122) 및 주변 환경을 감지하여 농로 상의 제2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제2경로를 따라 주행부(112)가 주행하도록 제어하여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다.First, a first guide unit 121 having a GPS may be installed at a point where the road and the farm road are connected. The control unit 114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calculate and set the first rout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1. In this case, the GPS unit of the transport vehicle 11 detects the GPS location of the first guide unit 121, and the control unit 114 sets the location of the first guide unit 121 as a stopover on the basis of this, on the road It is possible to set the first path of the top and control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first path. Subsequently, the vehicle 11 is autonomously driven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unit 121, and the sensor unit 113 detects the first guide unit 121 and installs a second guide around it. The second path on the farm road may be set by sensing the unit 122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the travel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second path to reach the destination.

운반차량(11)은 가이드유닛(12)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제2경로를 저장하는 경로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vehicle 11 may further include a path storage unit (not shown) for storing a second path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12.

경로저장부는 제1경로와 제2경로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어부(114)는 운반차량(11)이 한 번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동이 수행되면, 그 이동 경로를 경로저장부가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경로를 바탕으로 제어부(114)는 가이드유닛(12)이 제거된 환경에서도 주행부(112)가 동일한 목적지 또는 제2경로상에 설정되는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주행이 수행되는 경우에, 경로저장부에 저장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ath storage unit may be a portion that serves a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When the transport vehicle 11 is moved from the origin to the destination once, the control unit 114 may store the movement route in the route storage unit. Based on the stored route, the control unit 114 stores the route even when the driving unit 112 is traveling to reach the same destination or a destination set on the second route even in the environment where the guide unit 12 is removed. It can be controlled to travel along a path stored in the unit.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의 차고지 내에서의 주행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driving route in a garage of a transportation vehicle driv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유닛(12)은 마그네틱 레일(122')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센서부(113)의 마그네틱 센서는 가이드유닛(12)의 자성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4)는, 마그네틱 센서의 감지를 기초로 하여 주행부(112)가 마그네틱 레일(122')을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반차량(11)이 농로뿐만 아니라 수치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는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바닥에 마그네틱 레일(122') 형태의 가이드유닛(12)을 미리 설치할 수 있고, 운반차량(11)의 마그네틱 센서가 이를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하여 제어부(114)가 주행부(112)가 마그네틱 레일(122')을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6, the guide unit 12 may be a magnetic rail (122'). In this case, the magnetic sensor of the sensor unit 113 can detect the magnetism of the guide unit 12. 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magnetic rail 122 ′ based on the detection of the magnetic sensor. For example, when the transport vehicle 11 is used in an indoor space that is not displayed on a numerical map as well as a farm road, a guide unit 12 in the form of a magnetic rail 122' may be installed in advance on the flo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magnetic sensor of the transport vehicle 11 detecting this, the control unit 114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112 to travel along the magnetic rail 12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them,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spirit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11: 운반차량
12: 가이드유닛 111: 적재부
112: 주행부 113: 센서부
114: 제어부 121: 제1가이드유닛
122, 122': 제2가이드유닛 1111: 측벽부
1111a: 슬라이드 홈 1111b: 고정홈
1112, 1112': 연장부 1112a: 슬라이드 돌기
1112b: 힌지 1112c: 손잡이
1113, 1113': 덮개부 1113a: 구멍
1113b: 자석
1: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11: Transport vehicle
12: guide unit 111: loading unit
112: driving unit 113: sensor unit
114: control unit 121: first guide unit
122, 122': 2nd guide unit 1111: side wall part
1111a: Slide groove 1111b: Fixed groove
1112, 1112': extension 1112a: slide projection
1112b: hinge 1112c: handle
1113, 1113': cover 1113a: hole
1113b: magnet

Claims (7)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주행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부;
지피에스(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지피에스부; 및
상기 주행부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된 수치지도의 도로상에서 제1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주행부를 상기 제1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하며, 주행 중에 상기 센서부가 상기 수치지도상에서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에 미리 설치된 상기 가이드유닛을 감지하면, 상기 가이드유닛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새로운 제2경로를 설정하여, 상기 주행부가 상기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본체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의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 연장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방을 개폐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연장부 상단의 적어도 일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측벽부와 상기 연장부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연장부가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된 상태에서, 상기 힌지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적재부의 상방을 개폐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적재부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덮개부의 좌우 폭의 합은 상기 적재부의 좌우 폭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덮개부 각각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단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방을 폐쇄한 상태에서 서로 접촉되며, 자석의 자력으로 인하여 접촉이 유지되어 상기 덮개부의 임의적인 개방이 방지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A driving unit for moving the main body;
Sensor unit for sensing the driving environment;
A GPS unit for calculat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a GP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A transport vehicle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And
It includes a guide unit sensed by the sensor unit,
The controller sets a first path on a road of a digital map stored in advance based on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causes the driving unit to travel along the first path, and the sensor unit is not recognized as a road on the digital map during driving. When the guide unit pre-installed in an area is detected, a new second path is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and the driving unit is controlled to travel along the second path,
The main body,
It includes a loading unit capable of loading cargo,
The loading unit,
A side wall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edge of the loading portion;
An extension portion that can slide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And
Includes; a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The cover portion is hing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of the extension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extension portion sli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The cover portion is dispos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loading portion is provided in a pair,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ir of lid portions is formed longer than the sum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tacking portion, and a magnet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lid portions, and a magnet or a magnetic body is provided at the other. ,
The respective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portion is closed, and contact is maintained due to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to prevent arbitrary opening of the lid portion,
Transport vehicle driv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슬라이드 홈; 및
상기 슬라이드 홈의 상부에 상기 측벽부의 외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모서리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홈의 내측으로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수용되고,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연장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상기 연장부가 상기 측벽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드 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돌기가 상기 고정홈에 수용되어 상기 연장부가 상기 측벽부에 대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portion,
A slide groove positioned adjacent to an edg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fixed groove formed concave toward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ide groove,
The extension,
It includes a slide protrusion formed adjacent to the edge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extension,
While the slide protrusion is accommodated inside the slide groove, and the slide protrusion slides along the slide groove, the extension part is slidable upwards of the side wall part, and the extension part slides upwards of the side wall part. A slide vehicle projection system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groove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can be fixed to the side wall por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수치지도 상의 도로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지피에스를 구비하는 제1가이드유닛; 및
상기 도로로 인식되지 않는 지역 중에 상기 제1가이드유닛의 위치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지피에스를 구비하지 않는 제2가이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피에스 위치 정보는 상기 제1가이드유닛의 지피에스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unit,
A first guide unit installed adjacent to the road on the digital map and having GPS; And
Includes a second guide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of the first guide unit in an area not recognized as the road, is installed at a position detectable by the sensor unit, and has no GP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GP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guide unit, the vehicle transpor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차량은 상기 가이드유닛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설정된 제2경로를 저장하는 경로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유닛이 제거된 환경에서도 상기 주행부가 상기 경로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2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ort vehicle further includes a path storage unit for storing a second path se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uide uni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travel along the second path stored in the path storage unit even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guide unit is remov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마그네틱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마그네틱 레일을 포함하는,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includes a magnetic detection sensor,
The guide unit includes a magnetic rail, a transport vehicle running system.
KR1020180074849A 2018-06-28 2018-06-28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KR102133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49A KR102133717B1 (en) 2018-06-28 2018-06-28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49A KR102133717B1 (en) 2018-06-28 2018-06-28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35A KR20200001835A (en) 2020-01-07
KR102133717B1 true KR102133717B1 (en) 2020-07-16

Family

ID=6915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49A KR102133717B1 (en) 2018-06-28 2018-06-28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7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218B1 (en) * 2020-10-06 2022-01-07 대한민국 Transport unit for multi-purpose
CN115504136B (en) * 2022-10-21 2023-11-21 安徽宇锋智能科技有限公司 Cold storage transfer robot fork positioning sensing device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03Y1 (en) * 2005-11-07 2006-01-23 정선모 loading case for truck
JP2007148583A (en)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rans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0798B2 (en) * 1994-12-01 2002-11-25 東急建設株式会社 Golf cart guidance device
KR101004608B1 (en) 2008-10-15 2010-12-28 주식회사 미래인도 Unmanned Automatic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3974B1 (en) * 2012-10-09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Vehicle having active following abilit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03Y1 (en) * 2005-11-07 2006-01-23 정선모 loading case for truck
JP2007148583A (en)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rans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35A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676B1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KR102090649B1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AU2019200667B2 (en) Moving robot
KR102133717B1 (en) Driving system of transportation vehicle
KR102306030B1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23958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ptimized parking path
JP6104715B2 (en) Route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90123678A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JP2014186695A (en) Autonomously mobile apparatus
JP7043847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US20210165416A1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of moving robot
KR102296694B1 (en) Moving robot
JP7081560B2 (en) Forklift and container attitude detection method
JP2022028342A (en) Unmanned conveyance vehicle system
US11625040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KR20190123676A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JP2020140594A (en) Unmanned work vehicle of slam induction system and unmanned work vehicle system
KR1023584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optimized parking path
JP7290091B2 (en) Automatic guid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KR20190123675A (en) Moving robot and Moving robot system
EP3778149A1 (en)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system
JP6784138B2 (en) Parking support method and parking support device
JP2793894B2 (en) Branch traveling control equipment for mobile vehicles
KR20240074137A (en) Moving robot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240168483A1 (en)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