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30B1 -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30B1
KR102133130B1 KR1020190097916A KR20190097916A KR102133130B1 KR 102133130 B1 KR102133130 B1 KR 102133130B1 KR 1020190097916 A KR1020190097916 A KR 1020190097916A KR 20190097916 A KR20190097916 A KR 20190097916A KR 102133130 B1 KR102133130 B1 KR 10213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wing portion
dual blade
pulle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환
Original Assignee
신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환 filed Critical 신영환
Priority to KR102019009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130B1/ko
Priority to US17/422,751 priority patent/US20220128063A1/en
Priority to PCT/KR2020/005606 priority patent/WO202102951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7Axial-flow pumps multistag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5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056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D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D2260/402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belt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D2260/403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 F05D2260/4031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the shape of the drive components as in toothed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는, 제1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복수의 제1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내측으로 복수의 제2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 날개부와,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날개부가 삽입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다양한 유체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DUAL BLADE BLOWER}
본 발명은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방향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다양한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선풍기는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더위를 식힐 때 사용한다. 일반적인 선풍기 구조는, 본체에 구비된 조작버튼을 사용자가 선택적 조작하면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된 송풍팬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기존 선풍기의 송풍팬은 그 구조가 회전체의 외주면에 구비된 회전날개의 형상이 회전체와 이웃하는 부분은 좁은 폭을 갖고 바깥쪽으로 가면서 넓은 면을 가지면서 바람을 일으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반적인 송풍팬의 특성상 바람이 회전날개의 바깥쪽에서 발생되게 되고 회전날개의 바깥쪽에서 바람이 발생함에 따라 선풍기에서 발생하는 바람은 회오리바람과 같이 송풍되고 그로 인하여 사용자가 균일하게 바람을 접할 수 없어 시원함을 덜 느낄 수밖에 없다, 사용자들은 선풍기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서 사용하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송풍팬을 빠른 속도로 회전 사용할 경우 전력사용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5430호(2007년01월22일 공고)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송풍팬을 이루는 회전체에 주날개와 보조날개를 구비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으로부터 균일한 바람이 발생되어지게 함과 동시에 보호망 전면에 결합되어지는 보호망마개에 코팅된 원적외선 물질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과 혼입되어 송풍될 수 있도록 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주날개와 보조날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방향이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날개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다양한 유체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날개를 회전시키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를 추종하면서 송풍할 수 있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는, 제1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복수의 제1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내측으로 복수의 제2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 날개부와,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날개부가 삽입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또는 상기 제2 몸체의 외주면에 벨트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1 날개부와 결합하여 지지하고, 중심축이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벨트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에 모터를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기어 결합으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다양한 유체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날개를 회전시키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를 감지하여 사용자를 추종하면서 송풍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 연결기어를 추가한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구동부의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역방향의 유체 흐름을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흐름도이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보조송풍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이동부와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를 추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 제2 풀리 및 연결기어를 추가한 경우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구동부의 베벨기어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역방향의 유체 흐름을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유체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제1 날개부(110), 제2 날개부(120) 및 베어링(130)을 포함한다.
제1 날개부(110)는 개구된 원통형의 제1 몸체(110-1) 외측에 복수의 제1 블레이드(111)가 형성된다. 제1 날개부(110)는 원통형의 제1 몸체(110-1)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제2 날개부(120)가 수용된다. 이 경우, 제1 몸체(110-1)의 일측에는 날개커버(110-2)가 형성되어 제2 날개부(12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날개부(1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블레이드(111)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제2 날개부(120)는 제1 날개부(110)의 내측에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날개부(120)는 제1 몸체(110-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회전한다. 제2 날개부(120)는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날개부(120)는 원통형의 제2 몸체(120-1)의 가운데에 중심부(120-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몸체(120-1)의 내측에는 복수의 제2 블레이드(121)가 형성되어 회전한다. 이 경우 제2 블레이드(121)의 형상, 크기 및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제2 블레이드(121)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의 흐름을 다양하게 설정하기 위함이다.
베어링(130)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베어링(130)은 제1 날개부(110)의 제1 몸체(110-1)의 내측에 삽입된다. 베어링(130)의 내측에는 제2 날개부(120)가 삽입된다. 다시 말해, 베어링(130)의 외측에는 제1 날개부(110)가 회전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하고, 베어링(130)의 내측에는 제2 날개부(120)가 회전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베어링(130)의 크기 및 형상은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130)의 내외측으로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가 자유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날개부(120)는 제1 날개부(110)와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구동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40)는 제1 날개부(110) 또는 제2 날개부(120)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141)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모터(141)는 벨트(141-1)를 이용하여 제1 날개부(110) 또는 제2 날개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날개부(110) 중 제1 몸체(110-1)의 타측에는 제1 풀리(112)가 결합된다. 제1 풀리(112)는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풀리(112)는 일측이 제1 날개부(110)의 제1 몸체(110-1)와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구동부(14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140)는 제1 풀리(112)의 외주면과 제1 모터(141-1)의 출력측에 벨트(141-1)로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풀리(112)는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풀리(112)의 외주면에는 벨트(141-1)와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요철형상의 마찰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날개부(110)와 제1 풀리(112)가 결합시 내측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제2 날개부(120)가 수용된다. 이 경우, 제2 날개부(120)는 제1 날개부(110)나 제1 풀리(112)와 접촉하지 않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0)의 제1 몸체(110-1)는 제1 풀리(112)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제1 풀리(112)가 회전하면서 제1 날개부(110)가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벨트(141-1)의 길이나 회전속도,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날개부(110)의 회전조건이 변경된다. 제1 모터(141)는 외부전원 또는 내부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의 제1 모터(141)의 출력측과 제2 날개부(120)의 제2 몸체(120-1)의 외주면에 벨트(141-1)를 연결하여 제2 날개부(12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제2 날개부(120)만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1 모터(141)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제1 날개부(110) 및 제2 날개부(120)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복수의 제1 모터(141)는 각가 연결된 벨트(141-1)의 길이가 다르며, 회전속도, 회전방향이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를 서로 다르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부(140)의 제1 모터(141)의 출력측에 직각 베벨기어(141-2)를 이용하여 제1 풀리(112)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3 풀리(143)의 일측과 제1 모터(141)의 출력측에 직각 베벨기어(141-2)의 암수기어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풀리(112)와 제3 풀리(143)은 동일 평면 상에 벨트(14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모터(141)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140)는 제2 모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142)는 제1 모터(141)와는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제2 모터(142)는 출력측이 제2 날개부(120)의 중심부(120-2)와 연결되어 회전시킨다. 제2 모터(142)는 외부전원 또는 내부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2 모터(142)의 회전속도, 회전방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날개부(120)는 제2 날개프레임(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프레임(122)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날개부(120)는 중심에 형성된 관통된 중심부(120-2)에 구동부(140)의 제2 모터(142)의 구동축이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20)는 제1 날개부(110)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를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시키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유체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연결기어(150) 및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어(150)는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를 기어 결합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50)는 제1 날개부(110)의 제1 풀리(112)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1 기어치와 제2 날개부(120)의 제2 풀리(123)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기어치와 맞물리면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연결기어(150)는 제1 풀리(112)와 제2 풀리(123)가 서로 연동하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기어(1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어 제1 풀리(112)의 동력을 제2 풀리(123)로 전달할 수 있다. 연결기어(150)는 제1 풀리(112)에서 제2 풀리(123)로, 제2 풀리(123)에서 제1 풀리(112)로 동력을 전단할 수 있다. 연결기어(150)는 제1 풀리(112)와 제2 풀리(123)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도 한다.
이 경우, 제2 날개부(120)의 제2 풀리(12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제2 풀리(123)는 제1 날개부(110) 또는 제1 풀리(112)의 내측에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풀리(123)의 내측에는 제2 날개부(120)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2 풀리(123)의 내측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 날개부(120)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삽입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풀리(123)는 제2 날개부(120)와 연동하여 회전한다. 제2 풀리(123)는 제1 풀리(112)와 후술하는 연결기어(150)를 통해 기어결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풀리(123)의 외주면 일측에는 제2 기어치가 형성된다. 또한, 제2 풀리(123) 또는 날개프레임(122)의 외주면 타측과 제1 날개부(110)의 내측면 사이에는 베어링(130)이 위치하여 마찰을 줄일 수 있다.
지지부(160)는 제1 날개부(110) 및 제2 날개부(120)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60)는 일측이 제1 몸체(110-1) 및 제1 풀리(112)를 고정하고, 타측이 제1 모터(141)를 고정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60)에는 복수의 고정축(161)이 형성되고, 고정축(161)이 연결기어(150)에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다. 날개프레임(122)의 개구된 측면으로 연결기어(150)가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날개부(120)는 제1 날개부(110)가 회전하면 연동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풀리(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와 연동하여 제1 날개부(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풀리(112)에 의해 연결기어(1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연결기어(150)에 연결된 제2 풀리(123)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 날개부(12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제2 날개부(1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풀리(123)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와 연결된 연결기어(15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제1 풀리(11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 풀리(112)와 연동하는 제1 날개부(11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구동부(140)는 제1 모터(141) 또는 제2 모터(142)만으로도 동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0) 또는 제2 날개부(120)가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서로 동력이 전달되어 역방향의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유체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모터(141)와 제2 모터(14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동부(140)를 제어하며, 제1 모터(141)와 제2 모터(142)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가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터(14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모터(142)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양한 유체의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의 경우 제1 날개부(110)와 제2 날개부(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에 나타나는 유체역학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보조송풍부가 추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보조송풍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송풍부(180)는 제1 날개부(110)의 외측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송풍부(180)는 고리의 단면이 에어포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조송풍부(180)는 일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8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송풍부(180)의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일측의 토출구(181)를 따라 공기가 토출되면서 주변의 공기와의 기압차이를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10)나 제2 날개부(120)의 회전없이도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보조송풍부(180)와 함께 제1 날개부(110) 또는 제2 날개부(1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날개부(110), 제2 날개부(120) 및 보조송풍부(180)에 따라 각각 다른 송풍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조송풍부(180)의 개구된 면에는 안전망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제1 날개부(110)나 제2 날개부(120)의 회전시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도 1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에서 이동부와 감지부를 통해 사용자를 추종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이동부(190) 및 감지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90)는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바퀴로 구동된다. 이동부(190)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하부에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부(19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람을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이동부(190)의 이동속도, 이동방햐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실내의 위치를 좌표화하여 이동부(190)를 통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를 추종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감지부(200)는 주변의 소음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지부(200)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 주변의 4방위 이상의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00)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측면에 동서남북 방위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200)는 아날로그 사운드 센서를 이용하여 소리를 감지한다. 감지부(200)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전후좌우면의 소리를 감지하고, 일정한 세기 이상의 소리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70)로 출력한다.
또한, 감지부(200)는 소리를 증폭하여 연속되는 시간구간 중 제1 구간에서는 출력신호의 전압을 기 설정된 비율로 증가시키고, 제1 구간에 연속되는 제2 구간에서는 출력신호의 전압을 기 설정된 비율로 감소시키는 포락선을 이용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이는 소리가 사용자의 음성신호인 경우 이를 증폭하고 사용자 음성에 최적화된 포락선을 이용하여 음성신호를 정확히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소리의 세기를 누적하여 최대값을 가지는 방향으로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이 경우, 소리의 세기는 데시벨(dB)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를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제어부(170)는 실내의 좌표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실내에서 이동시 장애물을 회피하는 경로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제어부(170)는 일정한 시간주기로 각 방향에 대한 소리의 세기를 누적하고 최대값을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부(200)로부터 소리 중 음성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음성이 인식되는 경우 기 설정된 명령어를 추출하여 이동경로를 설정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70)는 1차적으로 소리가 사람의 음성인지, 기계음인지 판단하고, 2차적으로 소리가 사람의 음성이면 명령어가 포함되는 것인지 판단한다. 이는 텔레비전 등의 소리 등을 구별하여 실제로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이동을 지시하는 명령어가 표출된 경우에만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가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이동을 명령하는 명령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는 사람의 음성 명령어를 분석하여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를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제1 방향에 위치한 제1 소리센서의 소리세기(D1)와 제2 방향에 위치한 제2 소리센서의 소리세기(D2)의 차이를 이용하여 소리발생지와의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방향의 소리세기에 따른 거리를 나타내는 특성테이블가 미리 설정된다. 제1 방향의 소리세기(D1)와 제2 방향의 소리세기(D2)를 특성테이블에 적용한 후, 이를 거리로 환산하여 삼각측량법 등에 의해 소리발생지의 위치를 판단한다. 제어부(170)는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부터 소리발생지와의 각도를 계산하여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를 이동시키면서 사용자를 찾거나, 이동하는 사용자를 추종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의 위치를 가변시키지 않으면서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송풍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감지부(200)는 사용자의 체온, 기온, 습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00)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지부(200)는 조도센서를 이용하여 전방에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체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00)는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주변의 기온이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100) 주변의 사용자를 감지하면, 일정한 거리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거나 사용자의 거리를 감지하여 송풍세기나 송풍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기 설정된 온도범위에 도달하는 경우 송풍세기를 가변시키거나, 송풍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체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송풍세기나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송풍장치
110 : 제1 날개부
110-1 : 제1 몸체
110-2 : 날개커버
111 : 제1 블레이드
112 : 제1 풀리
120 : 제2 날개부
120-1 : 제2 몸체
120-2 : 중심부
121 : 제2 블레이드
122 : 날개프레임
123 : 제2 풀리
130 : 베어링
140 : 구동부
141 : 제1 모터
141-1 : 벨트
141-2 : 베벨기어
142 : 제2 모터
143 : 제3 풀리
150 : 연결기어
160 : 지지부
161 : 고정축
170 : 제어부
180 : 보조송풍부
181 : 토출구
190 : 이동부
200 : 감지부

Claims (5)

  1. 제1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복수의 제1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1 날개부;
    제2 몸체가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어 자유회전이 가능하고, 내측으로 복수의 제2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제2 날개부;
    원형의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날개부가 삽입되는 베어링; 및
    상기 제1 몸체의 외주면에 벨트를 연결하여 회전시키고,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에 모터를 연결하여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1 날개부와 결합하여 지지하고, 중심축이 상기 제2 몸체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날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에 기어 결합으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동시키는 연결기어를 더 포함하는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7916A 2019-08-12 2019-08-12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KR10213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16A KR102133130B1 (ko) 2019-08-12 2019-08-12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US17/422,751 US20220128063A1 (en) 2019-08-12 2020-04-28 Dual blade blower
PCT/KR2020/005606 WO2021029514A1 (ko) 2019-08-12 2020-04-28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916A KR102133130B1 (ko) 2019-08-12 2019-08-12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130B1 true KR102133130B1 (ko) 2020-07-10

Family

ID=71603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916A KR102133130B1 (ko) 2019-08-12 2019-08-12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28063A1 (ko)
KR (1) KR102133130B1 (ko)
WO (1) WO202102951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95B1 (ko) * 1993-07-09 1996-02-09 홍성남 선풍기의 선풍장치
KR200303976Y1 (ko) * 2002-11-18 2003-02-14 우동배 선풍기
KR20140125572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복층형 송풍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1142B1 (fr) * 1990-12-31 1993-04-23 Europ Propulsion Turbopompe a gavage integre en flux derive.
KR970002400B1 (ko) * 1994-06-07 1997-03-05 양승택 다중프로세서 인터럽트 요청기에서의 인터럽트 송신 및 완료 제어방법(Control scheme of interrupt go and done in a multiprocessor interrupt requester)
US6474956B2 (en) * 2001-02-02 2002-11-05 Airmaster Fan Company Barrel fan with enclosed motor
TWI468589B (zh) * 2010-03-10 2015-01-11 Delta Electronics Inc 風機
US9410430B2 (en) * 2014-06-19 2016-08-09 Jay HASKIN Turbine apparatus with counter-rotating blades
CN108302053A (zh) * 2017-01-12 2018-07-20 日本电产株式会社 直列式轴流风扇
KR101881247B1 (ko) * 2017-01-16 2018-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EP3376043B1 (en) * 2017-03-16 2020-12-09 LG Electronics Inc. Motor fan
US10605262B2 (en) * 2017-06-19 2020-03-31 Dekalb Blower Inc. Axial blade impeller for an industrial fan assembly
DE112018003283T5 (de) * 2017-08-01 2020-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rehantriebsvorrichtung,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drehantriebsvorrichtung, axialgebläse,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axialgebläses und laseroszillator
US11261871B2 (en) * 2018-12-13 2022-03-01 Regal Beloit America, Inc. Dual stage blower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95B1 (ko) * 1993-07-09 1996-02-09 홍성남 선풍기의 선풍장치
KR200303976Y1 (ko) * 2002-11-18 2003-02-14 우동배 선풍기
KR20140125572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우리프로테크 복층형 송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28063A1 (en) 2022-04-28
WO2021029514A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0877B2 (ja) 調整可能なノズルを備えたインダクションジェットファン
AU2016203208B2 (en) A fan assembly
KR102500709B1 (ko) 선풍기
GB2568979A (en) A fan assembly
AU2011346902B2 (en) Bladeless ceiling fan
KR101616684B1 (ko) 인체 추종기능을 갖는 선풍기
EP3717781A1 (en) A fan assembly
CN202267207U (zh) 风扇组件
AU2013205422B2 (en) Controller circuit for air condition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program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CA2795670C (en) Fc fan flow measurement system
CA2824649C (en) Fan assembly comprising annular nozzle and ceiling mount
US9797411B2 (en) Fan
EP2664862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N104047908A (zh) 风扇组件
WO2012085527A1 (en) A bladeless ceiling fan
EP2664863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102133130B1 (ko) 듀얼 블레이드 송풍장치
CN104500430A (zh) 多功能无叶风扇
CN210127954U (zh) 吊扇
KR101479059B1 (ko) 복층형 송풍장치
KR20130045436A (ko) 풍향 조절이 가능하면서 양방향 열풍 공급이 가능한 농업용 열풍 공급장치
JPH01147244A (ja) 空気調和機
KR20150097908A (ko) 선풍기 및 선풍기 제어방법
KR101407235B1 (ko) 바람을 발생시키는 블라인드
CN109268933A (zh) 横摆叶及具有该横摆叶的柜式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