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711B1 -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 Google Patents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711B1
KR102132711B1 KR1020200047362A KR20200047362A KR102132711B1 KR 102132711 B1 KR102132711 B1 KR 102132711B1 KR 1020200047362 A KR1020200047362 A KR 1020200047362A KR 20200047362 A KR20200047362 A KR 20200047362A KR 102132711 B1 KR102132711 B1 KR 102132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ed
operator
module
combat
a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1/00Arrangements of guns or missile launchers;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가 개시된다. 센서 체계의 연동하여 표적 전시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가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는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기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상기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을 구성한다. 상술한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하면, 기존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을 없애고, 기존의 전투 체계 기능과 무장 체계 통제 기능을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에 가상화하여 기능을 각각 탑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에서 다수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무장 통제 콘솔이 구비되는 격실 부족의 문제가 해결되고, 각 무장 체계의 운용자 부족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INTEGRATED COMBAT SYSTEM FOR NEXT GENERATION NAVAL VESSELS BY ARMED SYSTEM VIRTUALIZATION}
본 발명은 함정용 전투 체계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과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의 정면 형상과 기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는 표적 관리, 위협 평가, 교전 계획 수립 등의 주요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무장 체계 통제 콘솔에서는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의 발사 명령을 수신하여 각각의 무장 체계 별로 구비되어 발사 허가 키(key)를 입력하고 발사 버튼을 눌러 무장 체계 발사를 수행한다.
그런데, 차세대 함정의 수많은 무장 체계에 대해 무장 체계 통제 콘솔과 각각의 운용자를 지정하는 것은 수많은 인력을 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무장 체계 통제 콘솔들이 각 무장 체계 격실에 구비되어야 하므로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또한, 발사 허가 키는 각 무장 체계 별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발사 허가 키를 분실할 경우 무장 체계 발사를 할 수 없고, 한 명의 운용자가 여러 개의 발사 허가 키를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적시에 찾아 대응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차세대 함정에서는 수많은 무장 체계와 그 운용자, 그리고 발사 허가 키의 관리가 중요 문제가 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981063 등록특허공보 10-2073014
본 발명의 목적은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는, 센서 체계의 연동하여 표적 전시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가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는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기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상기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 처리 캐비닛이 상기 무장 체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전투 체계 보안 연동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은, 함정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는, 센서 체계의 연동하여 표적 전시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가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는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기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상기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cabinet); 상기 정보 처리 캐비닛이 상기 무장 체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보안 연동 처리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은,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는 전투 체계 기능을 가상화(virtualization)화여 실행하는 전투 체계 가상화 모듈; 함정의 각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이 갖는 무장 체계 통제 기능을 가상화하여 실행하는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은, 전투 체계의 운용자 별 지문이 미리 저장되는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인식되는 지문을 상기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로 제공하는 운용자 지문 실시간 확인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갱신시키는 운용자 현황이 갱신 저장되는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 무장 체계 별로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상기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에 갱신 저장되는 운용자 현황 및 상기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을 참조하여 해당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는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실시간 확인 모듈; 무장 체계 별로 무장 체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무장 체계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해당 무장 체계가 발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무장 통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 상기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무장 통제 메시지를 해당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무장 통제 메시지 송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하면, 기존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을 없애고, 기존의 전투 체계 기능과 무장 체계 통제 기능을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에 가상화하여 기능을 각각 탑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에서 다수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무장 통제 콘솔이 구비되는 격실 부족의 문제가 해결되고, 각 무장 체계의 운용자 부족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
아울러, 이를 위해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의 운용자의 지문 인식을 통해 각 무장 체계에 대한 무장 통제 권한을 확인하고 직접 무장 체계 발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용자가 무장 체계 별로 수많은 발사 허가 키를 소지할 필요없이 보안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많은 무장 체계에 대해 각각의 무장 통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용자 부재나 운용자 사망 등의 긴급 상황에서도 보조 권한을 미리 갖도록 설정된 다른 운용자를 얼굴 인식과 권한 참조 또는 지문 인식을 통한 인계 등의 수단을 통해 임무 효율성과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과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의 정면 형상과 기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한 무장 통제를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한 무장 통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영역 지정의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한 무장 통제를 수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의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을 없애고 해당 기능을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200)에 탑재함에 따라 운용자의 무장 체계 통제 권한이 운용자의 지문 인식과 터치 패널(205)의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의 자동 생성을 통해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이에, 무장 체계 별로 존재하는 수많은 발사 허가 키가 필요하지 않고, 무장 체계 통제를 위한 운용자도 대폭 줄어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의 블록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전투 체계에 의한 무장 통제 화면의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영역 지정의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는 운용자 심박 센서(100),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200),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cabinet)(300), 전투 체계 보안 연동 처리 모듈(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용자 심박 센서(100)는 운용자에 부착되어 운용자의 심박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200)는 센서 체계(미도시)의 연동하여 표적 전시를 수행하고, 운용자가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1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200)은 전투 체계 운용 화면 주전시 모듈(201), 전투 체계 운용 화면 보조전시 모듈(202), 무장 체계 운용 화면 전시 모듈(203),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 터치 패널(205), 운용자 심박 수신 모듈(206), 카메라 모듈(207), 얼굴 인식 모듈(208), 운용자 현황 확인/갱신 모듈(209), 무장 통제 권한 자동 지정 모듈(210), 무장 통제 권한 인계 모듈(211), 전시 영역 지정 모듈(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투 체계 운용 화면 주전시 모듈(201)는 소정의 전투 체계 운용 화면을 주전시하는 구성이다.
전투 체계 운용 화면 보조전시 모듈(202) 소정의 전투 체계 운용 화면을 보조전시하는 구성이다.
무장 체계 운용 화면 전시 모듈(203)는 소정의 무장 체계 운용 화면을 전시하는 구성이다.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은 운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205)은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생성 모듈(205a),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표시/입력 모듈(205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생성 모듈(205a)은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에서 인식된 지문이 소정의 무장 체계(10)에 대한 무장 통제 권한을 가진 운용자의 지문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무장 체계(10)에 대한 발사 운용 화면을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표시/입력 모듈(205b)은 앞서 생성된 발사 운용 화면 상에서 해당 운용자로부터 무장 체계(10)의 발사를 위한 터치를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자 심박 수신 모듈(206)은 운용자 심박 센서(100)에서 측정된 운용자의 심박을 무선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7)은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200)에 착석한 운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얼굴 인식 모듈(208)은 카메라 모듈(207)에 의해 촬영된 얼굴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자 현황 확인/갱신 모듈(209)은 운용자 심박 수신 모듈(206)에서 수신된 운용자의 심박과 얼굴 인식 모듈(208)에서 인식된 얼굴을 확인하고, 심박이 정지된 경우 심박이 정지된 운용자의 운용자 현황을 갱신시키고 얼굴이 확인된 운용자가 심박이 정지된 운용자가 갖는 무장 통제 권한에 대한 보조 권한을 갖는지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권한 자동 지정 모듈(210)은 운용자 현황 확인/갱신 모듈(209)에서 보조 권한을 갖는 것으로 확인된 운용자에 대하여 심박이 정지된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을 자동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권한 인계 모듈(211)은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의 지문 인식을 통해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을 보조 권한을 갖는 운용자에게 인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시 영역 지정 모듈(212)은 전투 체계 운용 화면 주전시 모듈(201), 전투 체계 운용 화면 보조 전시 모듈, 무장 체계 운용 화면 전시 모듈(203)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정 영역이 깨지거나 터치 패널(205)의 소정 영역이 깨진 경우, 해당 영역을 제외하고 전시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을 제외하고 최대로 생성 가능한 사각형의 전시 영역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오른쪽 상단 모서리 부분의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터치 패널(205)이 깨진 경우, 사용자는 터치 입력이나 마우스 등을 통해 전시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전시에는 큰 충격 등으로 인해 패널이 깨질 수 있으며 깨진 영역에서는 표적을 제대로 확인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전시 영역을 지정하여 전술 운용 능력을 높일 수 있다.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300)은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300)은 전투 체계 가상화 모듈(300a) 및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300b)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투 체계 가상화 모듈(300a)은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는 전투 체계 기능을 가상화(virtualization)화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300b)은 함정의 각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이 갖는 무장 체계 통제 기능을 가상화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300b)은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301), 운용자 지문 실시간 확인 모듈(302),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303),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304),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실시간 확인 모듈(305), 무장 체계 정보 저장 모듈(306),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307), 무장 통제 메시지 송신 모듈(308)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301)은 전투 체계의 운용자 별 지문이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자 지문 실시간 확인 모듈(302)은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에서 인식되는 지문을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301)에서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지문 인식 센서 모듈(204)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303)은 운용자 현황 확인/갱신 모듈(209)에서 갱신시키는 운용자 현황이 갱신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304)은 무장 체계 별로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실시간 확인 모듈(305)은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표시/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10)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303)에 갱신 저장되는 운용자 현황 및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304)을 참조하여 해당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 정보 저장 모듈(306)은 무장 체계 별로 무장 체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307)은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표시/입력 모듈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10)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해당 무장 체계(10)가 발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무장 통제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통제 메시지 송신 모듈(308)은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307)에서 생성된 무장 통제 메시지를 해당 무장 체계(1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투 체계 보안 연동 처리 모듈(400)은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300)이 무장 체계(10)와 연동할 수 있도록 연동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장 체계(10)는 전투 체계 보안 연동 처리 모듈(400)을 통해 무장 통제 메시지 수신 모듈(11)에서 수신하면, 바로 제어기(12)가 자동 제어에 의해 탄 연동기(13)와 발사 제어기(14)를 제어하여 탄 연동과 발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운용자 심박 센서
200: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201: 전투 체계 운용 화면 주전시 모듈
202: 전투 체계 운용 화면 보조전시 모듈
203: 무장 체계 운용 화면 전시 모듈
204: 지문 인식 센서 모듈
205: 터치 패널
205a: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생성 모듈
205b: 무장 체계별 발사 운용 화면 자동 표시/입력 모듈
206: 운용자 심박 수신 모듈
207: 카메라 모듈
208: 얼굴 인식 모듈
209: 운용자 현황 확인/갱신 모듈
210: 무장 통제 권한 자동 지정 모듈
211: 무장 통제 권한 인계 모듈
212: 전시 영역 지정 모듈
300: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cabinet)
300a: 전투 체계 가상화 모듈
300b: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
301: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
302: 운용자 지문 실시간 확인 모듈
303: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
304: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
305: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실시간 확인 모듈
306: 무장 체계 정보 저장 모듈
307: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
308: 무장 통제 메시지 송신 모듈
400: 전투 체계 보안 연동 처리 모듈
10: 무장 체계
11: 무장 통제 메시지 수신 모듈
12: 제어기
13: 탄 연동기
14: 발사 제어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전시를 수행하고, 운용자가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무장 체계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을 제공하는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
    상기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고 교전 명령을 상기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cabinet);
    상기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이 상기 무장 체계와 연동할 수 있도록 연동 처리를 수행하는 보안 연동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투 체계 정보 처리 캐비닛은,
    상기 센서 체계와 연동하여 표적 관리 및 위협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운용자의 명령에 따라 교전 계획을 수립하는 전투 체계 기능을 가상화(virtualization)하여 실행하는 전투 체계 가상화 모듈;
    함정의 각 무장 체계 통제 콘솔이 갖는 무장 체계 통제 기능을 가상화하여 실행하는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장 체계 가상화 모듈은,
    전투 체계의 운용자 별 지문이 미리 저장되는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인식되는 지문을 상기 운용자 지문 저장 모듈에서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로 제공하는 운용자 지문 실시간 확인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갱신시키는 운용자 현황이 갱신 저장되는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
    무장 체계 별로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상기 운용자 현황 저장 모듈에 갱신 저장되는 운용자 현황 및 상기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저장 모듈을 참조하여 해당 운용자의 무장 통제 권한 정보를 실시간 확인하는 무장 통제 권한 정보 실시간 확인 모듈;
    무장 체계 별로 무장 체계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무장 체계 정보 저장 모듈;
    상기 전투 체계 다기능 콘솔에서 입력된 무장 체계의 발사를 위한 터치가 있는 경우, 해당 무장 체계가 발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무장 통제 메시지를 생성하는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
    상기 무장 통제 메시지 생성 모듈에서 생성된 무장 통제 메시지를 해당 무장 체계로 송신하는 무장 통제 메시지 송신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KR1020200047362A 2020-04-20 2020-04-20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KR102132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62A KR102132711B1 (ko) 2020-04-20 2020-04-20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362A KR102132711B1 (ko) 2020-04-20 2020-04-20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711B1 true KR102132711B1 (ko) 2020-07-10

Family

ID=71603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362A KR102132711B1 (ko) 2020-04-20 2020-04-20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752B1 (ko) * 2021-09-28 2022-04-08 한화시스템(주) 함정 전투체계용 다기능 콘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474A (ja) * 2002-02-26 2003-09-05 Keyence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に接続可能な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像処理装置操作画面作成装置、表示装置の画像処理装置操作画面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10049947A (ko) * 2009-11-06 2011-05-13 국방과학연구소 네트워크 기반 훈련을 위한 함정전투체계의 훈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5141014A (ja) * 2014-01-30 201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61515A (ko) * 2015-11-26 2017-06-05 국방과학연구소 다기능 통제 콘솔을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4689B1 (ko) * 2016-03-02 2017-06-20 국방과학연구소 가상화 기능을 이용한 전투관리체계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59024A (ko) * 2016-11-25 2018-06-04 국방과학연구소 단일 장비로 복수의 장비를 모의하는 유도 무기 체계 훈련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81063B1 (ko) 2019-01-04 2019-05-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전투체계 다기능 콘솔 전시기의 hci 전시 방법
KR102073014B1 (ko) 2019-03-28 2020-02-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전투체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474A (ja) * 2002-02-26 2003-09-05 Keyence Corp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に接続可能な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像処理装置操作画面作成装置、表示装置の画像処理装置操作画面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10049947A (ko) * 2009-11-06 2011-05-13 국방과학연구소 네트워크 기반 훈련을 위한 함정전투체계의 훈련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2015141014A (ja) * 2014-01-30 2015-08-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70061515A (ko) * 2015-11-26 2017-06-05 국방과학연구소 다기능 통제 콘솔을 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44689B1 (ko) * 2016-03-02 2017-06-20 국방과학연구소 가상화 기능을 이용한 전투관리체계 및 그 운용방법
KR20180059024A (ko) * 2016-11-25 2018-06-04 국방과학연구소 단일 장비로 복수의 장비를 모의하는 유도 무기 체계 훈련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81063B1 (ko) 2019-01-04 2019-05-2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전투체계 다기능 콘솔 전시기의 hci 전시 방법
KR102073014B1 (ko) 2019-03-28 2020-02-0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함정 전투체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752B1 (ko) * 2021-09-28 2022-04-08 한화시스템(주) 함정 전투체계용 다기능 콘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ska The sixth RMA wave: Disruption in military affairs?
Parasuraman et al. Adaptive automation for human-robot teaming in future command and control systems
KR102132711B1 (ko) 무장 체계 가상화에 의한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KR102132710B1 (ko) 무장 체계 통합에 의해 무장 통제를 수행하는 차세대 함정용 통합형 전투 체계
KR20150022762A (ko) 위협 평가 및 센서/무기 할당 알고리즘 테스트 및 분석 시스템
CN113117330B (zh) 虚拟对象的技能释放方法、装置、设备及介质
Nakashima et al. China hacked a Navy contractor and secured a trove of highly sensitive data on submarine warfare
WO2018109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on among a plurality of vehicles
Ford Autonomous weapons and international law
CN103863909A (zh) 一种人脸识别专用电梯操控系统及方法
KR102384752B1 (ko) 함정 전투체계용 다기능 콘솔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10158643A1 (en) Power plant operation history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operation history of power plant using wearable device
JP4943127B2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個人認証システム
KR101268969B1 (ko) 이기종 전술데이터통신을 위한 함정전투체계 전술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McFarland et al. Understanding AI and Autonomy: Problematizing the Meaningful Human Control Argument against Killer Robots
KR102222203B1 (ko) 하이브리드 키 패널 모듈
Caslen The way the Army fights today
KR20140090478A (ko) 항공기용 통합형 생존 시현 장치
KR102135547B1 (ko) 차세대 함정용 실시간 상태 감시 시스템
Jacobsen et al. Optimizing coalition air warfare: the emergence and ethical dilemmas of Red Card Holder Teams
KR102638212B1 (ko) 전투체계용 제어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Brown et al. Real-time decision support for the anti-air warfare commander
Payne Lethal Autonomy: What It Tells Us about Modern Warfare.
Wilcox et al. Unmanned Tactical Autonomous Control and Collaboration (UTAC) Immediate Actions
US11885595B2 (en) Adaptive armor implemented with electromagnetic fie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