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609B1 -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 Google Patents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609B1
KR102132609B1 KR1020190155871A KR20190155871A KR102132609B1 KR 102132609 B1 KR102132609 B1 KR 102132609B1 KR 1020190155871 A KR1020190155871 A KR 1020190155871A KR 20190155871 A KR20190155871 A KR 20190155871A KR 102132609 B1 KR102132609 B1 KR 102132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ablet
support leg
card termin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준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디자인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디자인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디자인컴퍼니
Priority to KR1020190155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태블릿 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대로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한쪽 끝은 태블릿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로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한쪽 끝에는 태블릿의 거치를 위한 지지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2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에 의하여 상기 태블릿이 지지되며,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몸체에 삽입된 정도에 의하여 태블릿의 거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태블릿 거치대를 이용하면, 서로 상이한 방향에서 몸체에 삽입된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몸체에 거치되는 태블릿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 TABLET STAND WITH ADJUSTABLE ANGLE }
실시예들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몸체에 삽입되는 복수의 종류의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몸체에 거치되는 태블릿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태블릿 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태블릿 또는 태블릿 컴퓨터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단말장치이다. 태블릿은 휴대성을 위해 작고 얇게 제작되고 있으며, 통신 기능을 통하여 전면 카메라를 이용한 화상통신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다양한 앱(app)과 잡지, 책 등 미디어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점차 많은 사용자들이 태블릿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이 태블릿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태블릿 거치 장치(또는, 거치대)도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태블릿 거치대들은 부피가 커서 가지고 다니기 어렵고 사용 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부피가 작아 휴대하기 쉬운 거치대의 경우에는 태블릿을 거치할 수 있는 수평, 수직 세우기와 뉘어서 거치하는 방식 중 일부 방식으로만 거치가 가능하여 태블릿의 방향을 전환하면서 사용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레스토랑 등 요식업소에서 태블릿을 이용하여 고객들의 주문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 경우 업소의 점주는 주문 관리를 위하여 태블릿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고객들이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별도의 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두 개의 장비를 동시에 사용하거나 수납해둘 필요가 있는데, 현재까지 카드 단말기와 태블릿을 동시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는 존재하지 않는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055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종류의 지지대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몸체에 삽입되며, 각각의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몸체에 거치되는 태블릿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태블릿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대로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한쪽 끝은 태블릿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로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한쪽 끝에는 태블릿의 거치를 위한 지지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때, 태블릿 거치대는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에 의하여 상기 태블릿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몸체에 삽입된 정도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태블릿의 각도가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한 쌍의 제1 지지다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지지대는 한 쌍의 제2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다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2 지지다리의 끝에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다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다리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며, 내부에 카드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드 단말기 수납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카드 단말기 수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단말기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원,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바닥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실린더 형상의 바닥면 또는 상부면을 덮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복수의 종류의 지지대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몸체에 삽입되며 각각의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방향에서 몸체에 삽입된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몸체에 거치되는 태블릿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태블릿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지지대를 몸체로부터 분리하여 몸체 내부의 수납 공간에 보관할 수 있어, 이동 시 등에 태블릿 거치대를 휴대하는 것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매장 등에서 대금 결제를 위해 사용하는 카드 단말기를 추가로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주문 관리를 위한 태블릿과 결제를 위한 카드 단말기를 동시에 사용하는 요식업소의 매장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에서 몸체의 덮개부를 개방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의 카드 단말기 수납부에 카드 단말기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에서 몸체에 대한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변경하여 태블릿의 거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 명세서에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section)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1)와,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1)에 삽입되는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는 한 쌍의 제1 지지다리(10)를 포함하며, 마찬가지로, 제2 지지대는 한 쌍의 제2 지지다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다리(10)와 제2 지지다리(20)는 각각 몸체(1)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몸체(1)를 관통하도록 몸체(1)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를 관통하는 제1 지지다리(10)와 제2 지지다리(20)는 서로 직각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몸체(1)는 제1 및 제2 지지대가 몸체에 삽입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태블릿을 거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부분이다. 몸체(1)는 원, 타원, 다각형 또는 다른 상이한 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는 실린더(cylinder) 형태일 수 있으며, 실린더의 길이는 몸체(1)를 이용하여 거치하고자 하는 태블릿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몸체(1) 및 이에 삽입되는 각 지지다리(10, 20)는 금속, 합성수지 또는 다른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몸체(1)의 내부는 비어 있으며 몸체(1)는 그 바닥면 및/또는 상부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제2 지지대에는 태블릿을 거치하기 위한 지지판(30)이 결합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2 지지다리(20)의 한쪽 끝은 각각 지면에 닿아 있으며, 한 쌍의 제2 지지대리(20)의 다른 쪽 끝은 각각 몸체(1)를 관통하여 위를 향하며 그 끝에 지지판(30)이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1 지지다리(10)의 한쪽 끝은 각각 지면에 닿아 있으며 그 다른 쪽 끝은 각각 몸체(1)를 관통하여 위를 향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다리(10)의 위쪽 끝과 지지판(30)을 이용하여 태블릿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서, 제1 지지다리(10) 및 제2 지지다리(20)의 아래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지면이란 실시예들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를 올려두고 사용하는 작업 공간의 표면을 지칭하는 것일 뿐, 실제 땅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지면은 태블릿 거치대를 올려두고 사용하는 테이블, 책상, 식탁, 작업대 등의 표면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지지판(30)은 제1 및 제2 지지대를 이용하여 세워지는 태블릿이 아래로 미끄러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 지지대의 끝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금속, 합성수지, 실리콘 또는 다른 적절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30)은 한 쌍의 제2 지지다리(20)에 걸쳐 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지지판(30)의 양단이 각 제2 지지다리(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30)은 제2 지지다리(20)의 끝에 부착되거나, 제2 지지다리(20)가 지지판(3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나사 등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제2 지지다리(2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에는 카드 단말기를 결합하기 위한 카드 단말기 수납부(45)가 결합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 지지다리(10)의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결합판(40)을 결합하며, 결합판(40)의 일 영역에 카드 단말기 수납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카드 단말기 수납부(45)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몸체(1)에는 각 지지다리(10, 20)가 몸체(1)에 삽입되어 몸체(1)의 다른 쪽까지 연장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즉, 몸체(1)에 삽입된 제1 지지다리(10)의 양 끝 사이에 몸체(1)가 위치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몸체(1)에 삽입된 제2 지지다리(20)의 양 끝 사이에 몸체(1)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다리(10)가 삽입되기 위한 몸체의 홀에는 제1 지지다리(10)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판(15)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지지다리(20)가 삽입되기 위한 몸체의 홀에는 제2 탄성판(25)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탄성판(15, 25)은 각 지지다리(10, 20)가 몸체(1)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지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각 지지다리(10, 20)는 몸체(1)에 부착된 탄성판(15, 25)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몸체(1) 내외로 출입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판(15, 25)은 고무 등 유연하며 마찰계수가 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에서 몸체의 덮개부를 개방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몸체(1)의 한쪽 또는 양쪽 끝은 덮개부(100)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20) 등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몸체(1)에 덮개부(100)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홈(120)은 몸체(1)의 외주부가 부분적으로 제거된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힌지 수단 등을 이용하여 몸체(1)에 연결된 덮개부(100)를 여닫음으로써, 몸체(1)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110)을 노출시키거나 또는 몸체(1)를 닫을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태블릿 거치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및 제2 지지대를 몸체(1)로부터 분리하여 몸체(1) 내부의 수납 공간(110)에 수납함으로써 태블릿 거치대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제2 지지다리(20)의 끝에 결합된 지지판(30)을 분리하고 각 제2 지지다리(20)를 몸체(1)로부터 완전히 빼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각 제1 지지다리(10)를 몸체(1)로부터 완전히 빼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몸체(1)로부터 빼낸 제1 지지다리(10), 제2 지지다리(20), 지지판(30) 등을 몸체(1) 내부의 공간(110)에 삽입하고 덮개부(100)를 닫음으로써, 태블릿 거치대를 휴대하기 쉬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실린더 형상의 몸체(1)의 길이는 각 지지다리(10, 20) 및 지지판(30)의 길이에 비하여 길 수 있다. 또한, 몸체(1)의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몸체(1)의 단면 직경은 각 지지다리(10, 20) 및 지지판(30)이 몸체(1) 내로 수용될 수 있도록 각 지지다리(10, 20) 및 지지판(30)의 크기에 비해 클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의 카드 단말기 수납부에 카드 단말기가 결합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카드 단말기 수납부(45)는 결합판(40)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카드 단말기(50)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또한, 카드 단말기 수납부(45)는 수용된 카드 단말기(50)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구부의 주위에 형성된 돌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카드 단말기(50)는 요식업소의 매장 등에서 결제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카드 삽입홈(500), 표시부(510) 및 하나 이상의 버튼(5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드 단말기(50)는 이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 돌기(55)를 포함하며, 카드 단말기 수납부(45)는 결합 돌기(55)의 형상에 상응하여 형성된 삽입홈(450)을 포함한다. 카드 단말기(50)의 결합 돌기(55)를 카드 단말기 수납부(45)의 삽입홈(450) 내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하는 것에 의하여, 카드 단말기 수납부(45)에 카드 단말기(50)가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더 참조하면, 카드 단말기 수납부(45)가 제1 지지다리(10)에 결합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는 태블릿을 거치하는 동시에 카드 단말기(50)를 수납할 수 있으므로, 주문 관리를 위하여 태블릿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고객들이 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별도의 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여야 하는 요식업소의 매장 등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카드 단말기(50)를 이용하려면 카드 단말기(50)를 제1 지지다리(10)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카드 단말기(50)의 카드 삽입홈(500) 내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을 삽입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결합판(40)은 지면에 닿아 있는 제1 지지다리(10)의 한쪽 끝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1 지지다리(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판(40)은 지면에 닿아 있는 제1 지지다리(10)의 한쪽 끝으로부터 카드 단말기(50)의 길이의 1/2 이상만큼 이격되도록 제1 지지다리(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에서 몸체에 대한 지지대의 삽입 정도를 변경하여 태블릿의 거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몸체(1)에 삽입된 제1 지지다리(10)는 지면(S)에 닿아 있는 제1 부분(11)과, 몸체(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분(11)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몸체(1)를 관통하여 위를 향하는 제2 부분(1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다리(20)는 지면(S)에 닿아 있는 제1 부분(21)과, 몸체(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부분(21)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몸체(1)를 관통하여 위를 향하는 제2 부분(22)을 포함한다.
이때, 태블릿(5)은 지지판(30)과 제1 지지다리(10)의 위쪽 끝에 의해 지지되며, 태블릿(5)의 거치 각도는 제1 지지다리(10)의 제2 부분(12)의 길이와 제2 지지다리(20)의 제2 부분(22)의 길이의 비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 몸체(1)의 중심으로부터 각 지지다리(10, 20)의 끝까지의 길이를 재는 방식으로 각 부분(11, 12, 21, 22)의 길이를 정의하며, 제1 지지다리(10)의 제2 부분(12)의 길이를 L12, 제2 지지다리(20)의 제2 부분(22)의 길이를 L22라 할 경우, 제2 지지다리(20)에 대한 태블릿(5)의 각도(θ1)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된다.
[수학식 1]
θ1 = tan-1(L12/L22)
따라서, 각 지지다리(10, 20)가 몸체(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지지다리(10)의 제2 부분(12)의 길이와 제2 지지다리(20)의 제2 부분(22)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고, 그 결과 수학식 1에 의하여 정의되는 제2 지지다리(20)에 대한 태블릿(5)의 거치 각도(θ1)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제2 지지다리(20)를 몸체(1) 내로 더 삽입함으로써 제2 지지다리(20)의 제2 부분(22)의 길이를 도 4에 비해 증가시킨 거치 형태를 나타낸다. 제2 부분(22)의 길이를 증가시킨 결과, 수학식 1에 의하여 제2 지지다리(20)에 대한 태블릿(5)의 거치 각도(θ1)가 감소하였고, 따라서 태블릿(5)이 도 4에 비해 더 눕혀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에서 몸체(1)에 대한 제2 지지다리(20)의 삽입 정도 한 가지만을 변경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사용자는 제1 지지다리(10) 및 제2 지지다리(20) 모두의 몸체(1)에 대한 삽입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태블릿(5)이 거치되는 각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에서 제2 지지다리(20)가 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2)는 제1 지지다리(10)의 제1 부분(11)의 길이와 제2 지지다리(20)의 제1 부분(21)의 길이의 비율에 의하여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결정된다.
[수학식 2]
θ2 = tan-1(L11/L21)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태블릿 거치대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각 지지다리(10, 20)가 몸체(1)에 삽입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지지다리(20)가 지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2) 및/또는 제2 지지다리(20)에 대한 태블릿(5)의 거치 각도(θ1)의 두 가지 각도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태블릿이 수직에 가깝게 서 있도록 거치하거나 또는 태블릿을 수평에 가깝게 뉘여 놓는 등 원하는 임의의 거치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체;
    제1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1 지지대로서, 상기 제1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지지대의 한쪽 끝은 태블릿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제2 지지대로서, 상기 제2 지지대의 양쪽 끝 사이에 상기 몸체가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몸체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지지대의 한쪽 끝에는 태블릿의 거치를 위한 지지판이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대의 다른 쪽 끝은 지면에 닿도록 구성된, 상기 제2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에 의하여 상기 태블릿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가 상기 몸체에 삽입된 정도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제1 지지대의 다른 쪽 끝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태블릿의 각도가 결정되고,
    상기 제2 지지대는 한 쌍의 제2 지지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다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2 지지다리의 끝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다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지지다리에 결합되는 결합판; 및
    상기 결합판에 형성되며, 내부에 카드 단말기가 수용될 수 있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카드 단말기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는 한 쌍의 제1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단말기 수납부는, 상기 개구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카드 단말기에 형성된 결합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한쪽 또는 양쪽 끝에 결합되어 상기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태블릿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원, 타원 또는 다각형 형상의 바닥면을 가진 실린더 형상이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실린더 형상의 바닥면 또는 상부면을 덮도록 구성된 태블릿 거치대.
KR1020190155871A 2019-11-28 2019-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KR10213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71A KR102132609B1 (ko) 2019-11-28 2019-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871A KR102132609B1 (ko) 2019-11-28 2019-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609B1 true KR102132609B1 (ko) 2020-07-10

Family

ID=7160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871A KR102132609B1 (ko) 2019-11-28 2019-11-28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609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64A (ja) * 2004-07-30 2006-03-09 Nishimura:Kk 陳列台
KR200427487Y1 (ko) * 2006-05-01 2006-09-27 김계수 배너광고대
JP2007034665A (ja) * 2005-07-27 2007-02-08 Showa O 支持装置
US7712719B2 (en) * 2007-04-25 2010-05-1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Folding support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10004803U (ko) * 2009-11-09 2011-05-17 백두산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CN102330880A (zh) * 2011-06-23 2012-01-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
KR20130115055A (ko) 2012-04-11 2013-10-21 홍규택 접이식 태블릿 거치대
KR101349706B1 (ko) * 2011-04-29 2014-01-10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140002074U (ko) * 2011-01-04 2014-04-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61225B1 (ko) * 2014-08-05 2014-11-18 이정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20170336827A1 (en) * 2016-05-17 2017-11-23 Asustek Computer Inc. Tablet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1664A (ja) * 2004-07-30 2006-03-09 Nishimura:Kk 陳列台
JP2007034665A (ja) * 2005-07-27 2007-02-08 Showa O 支持装置
KR200427487Y1 (ko) * 2006-05-01 2006-09-27 김계수 배너광고대
US7712719B2 (en) * 2007-04-25 2010-05-11 Innovative Office Products, Inc. Folding support stand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20110004803U (ko) * 2009-11-09 2011-05-17 백두산 노트북 거치대 겸용 독서대
KR20140002074U (ko) * 2011-01-04 2014-04-08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액세서리 디바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349706B1 (ko) * 2011-04-29 2014-01-10 구하경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CN102330880A (zh) * 2011-06-23 2012-01-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
KR20130115055A (ko) 2012-04-11 2013-10-21 홍규택 접이식 태블릿 거치대
KR101461225B1 (ko) * 2014-08-05 2014-11-18 이정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US20170336827A1 (en) * 2016-05-17 2017-11-23 Asustek Computer Inc. Tab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2105B2 (en) Collapsible multi-position modular easel stand
US9027747B2 (en) Protection cover support seat structure for tablet display apparatus
US20100320349A1 (en) Display device stand
US20120224323A1 (en) Tablet pc supplementary device
US9107488B1 (en) Holder for tablet device
TW201342729A (zh) 晶片卡卡持裝置及應用其電子裝置
US10424949B2 (en) Charge cabinet and storage device thereof
KR20150059372A (ko) 보조 독서판이 구비된 독서대
US20230179250A1 (en) Mobile phone holder with storage compartment
KR102132609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태블릿 거치대
TW201332355A (zh) 平板式顯示裝置之支撐架結構
US20130168275A1 (en) Electronic tablet transport and retaining apparatus
US10750855B2 (en) Notebook computer lap table
CN210319210U (zh) 移动终端支架
KR20120035810A (ko)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US8474775B2 (en) Foldable and adjustable supporting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s
KR101461225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TWM422281U (en) Flappable electric device
KR102371463B1 (ko)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KR20140082546A (ko) 모바일 기기 거치대를 구비한 책상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2298206B1 (ko) 태블릿 거치대
CN221486027U (zh) 一种用于物理实验箱的成像实验装置
US20170295656A1 (en) Electronic device
KR200485571Y1 (ko) 사물 거치홈이 형성된 협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