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796B1 -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796B1
KR102131796B1 KR1020180111418A KR20180111418A KR102131796B1 KR 102131796 B1 KR102131796 B1 KR 102131796B1 KR 1020180111418 A KR1020180111418 A KR 1020180111418A KR 20180111418 A KR20180111418 A KR 20180111418A KR 102131796 B1 KR102131796 B1 KR 102131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signal
transmission step
ics
identification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2415A (ko
Inventor
여영근
김슬기롬
박재민
박재성
이상호
최종원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796B1/ko
Priority to CN201910872853.7A priority patent/CN110912790B/zh
Priority to DE102019214128.5A priority patent/DE102019214128A1/de
Priority to US16/573,766 priority patent/US11184190B2/en
Publication of KR2020003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36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 G06F13/36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 G06F13/37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common bus or bus system with decentralised access control using a physical-position-dependent priority, e.g. daisy chain, round robin or token pa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47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daisy chain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43Power saving in microcontroller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3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 H04L67/145Termination or inactivation of sessions, e.g. event-controlled end of session avoiding end of session, e.g. keep-alive, heartbeats, resumption message or wake-up for inactive or interrupted s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는, 인접하여 배치된 제1 센싱 IC 내지 제N 센싱 IC(N은 2이상의 정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센싱 IC 및 상기 제1 센싱 IC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상기 제어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센싱 IC에 송신하면, 상기 제1 센싱 IC 내지 제N 센싱 IC까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센싱 IC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한다.

Description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IC ID AUTO INCREMENT COMMUNICATION METHOD WITH DAISY CHAIN CONNECTION STRUCTURE AND IC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양방향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IC들이 소모하는 통신용 전류를 줄일 수 있는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의 차량에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고, 차량에 탑재되는 전자 제품의 수가 무수히 많아지면서 차량 내외의 많은 변수들을 고려하여 차량 시스템을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엔진의 기능뿐만 아니라 구동 계통 및 조향 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가 이용된다.
이러한 차량용 전자 제어 장치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가 구비되어 차량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예.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그러나 전자 제어 장치 내에 복수의 IC가 구비된 경우, 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당한 전류가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IC가 소모하는 전류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복수의 IC를 슬립(SLEEP) 모드로 전환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나, 슬립(SLEEP) 모드의 IC를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 십 개에 이르는 IC를 웨이크업(Wake-up)시키고, 각각의 IC에 식별 번호를 부여하여야 하는 바, 보다 많은 배터리 전류가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 십 개에 이르는 IC의 통신 활성화 과정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0136호 (2009.03.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립(SLEEP) 모드인 복수의 IC들을 통신 가능한 노멀(NORMAL) 모드로 빠르게 전환시킬 수 있는 IC 통신 방법 및 IC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는 인접하여 배치된 제1 IC 내지 제N IC(N은 2이상의 정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IC 및 상기 제1 IC와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상기 제어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IC에 송신하면,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까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IC는, 상기 제어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의 초기 ID 식별 번호가 0으로 설정되어,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ID 식별 번호가 1만큼 증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I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가, ID 식별 번호가 1 이상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IC가 아닌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IC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접하여 배치된 제1 IC 내지 제N IC(N은 2 이상의 정수)를 포함하는 IC 통신 장치가 IC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1 IC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단계, 상기 제1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1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어기 및 제2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제2 송신 단계, 상기 제2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2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 IC 및 제3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제3 송신 단계 및 상기 IC 통신 장치가,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3 IC 내지 제N IC까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송신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1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단계는, 상기 제2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2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송신 단계는,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3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송신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IC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IC가 하나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3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2 IC 로 송신하고, 상기 제1 IC와 연결된 상기 제어기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는 제4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송신 단계는, 상기 제4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4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송신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IC와 연결된 상기 제1 IC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는 제5 송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송신 단계는, 상기 제5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5 식별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5 식별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기가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와 전체 IC 개수를 비교하여, ID 식별 번호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SLEEP) 모드인 복수의 IC 들이 양방향으로 통신하여, 노멀(NORMAL) 모드 전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IC들의 ID 식별 번호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 방향을 다르게 설정하여, 복수의 IC 간의 통신 과정에서 소모되는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복수의 IC 가 동작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IC가 동작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a는 종래 복수의 IC의 네트워크 상태 전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IC의 네트워크 상태 전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복수의 IC 가 동작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제어기(50)는 외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에 순차적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한다(S101, S102, S103).
그에 따라,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웨이크업은 되었으나,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ID 식별 번호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가 되며, ID 식별 번호를 설정하기 위해, 제어기(50)는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로 ID 식별 번호 설정을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즉, 제어기(50)는 제1 IC(10)로 ID 식별 번호 설정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고(S104), ID 식별 번호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제1 응답 신호를 제1 IC(10)로부터 수신하며(S105), 제1 IC(10)와 동일하게 제2 IC(20)로 ID 식별 번호 설정을 위한 신호를 제1 IC(10)를 걸쳐 송신하고(S106, S107), 이에 대한 제2 응답 신호를 제2 IC(20)로부터 수신하며(S108, S109), 제2 IC(20)에 대한 식별 번호 설정이 완료된 후, 제3 IC(30)에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각각의 IC에 ID 식별 번호를 설정하게 된다(S110~S115).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는 ID 식별 번호 설정이 완료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된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슬립(SLEEP) 모드인 복수의 IC들의 네트워크 상태를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시키는 방법은, IC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어기(50)와 복수의 IC간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양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100)는 복수의 IC(제1 IC(20), 제2 IC(20), 제3 IC(30) 내지 제N IC(N은 2 이상의 정수)) 및 제어기(5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IC는 차량 내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복수의 IC는 배터리 관리 장치(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내에 구비된 센싱 IC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IC 각각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미도시)에 연결되어, 복수의 배터리 모듈 각각에 포함된 배터리 셀의 전압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IC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IC(10)는 제어기(50) 및 제2 IC(20)와 연결되고, 제2 IC(20)는 제1 IC(10) 및 제3 IC(30)와 연결되며, 제3 IC(30)는 제2 IC(20) 및 제4 IC(미도시)에 연결됨에 따라, 각각의 IC는 인접 배치된 2개의 I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C는 각각에 인접 배치된 2개의 IC를 포함함에 따라, IC는 웨이크업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양방향 통신을 통해 보다 빠른 네트워크 상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상태 전환은 슬립(SLEEP) 모드에서 각각의 IC에 ID 식별 번호가 설정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외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가장 먼저 수신하고, 이를 복수의 IC로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50)는 제1 IC(10)와 연결되어 웨이크업 신호를 제1 IC(1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웨이크업 신호는 제1 IC(10)내지 제N IC까지 차례대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1 IC(10)에 송신한 이후에, 제1 IC(10)로부터 제1 IC(10) 내지 제N IC에 대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IC가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IC 통신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된 복수의 IC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상태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져, IC 통신 전환에 소모되는 전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복수의 IC가 ID 식별 번호가 부여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IC가 동작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 전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삭제 또는 추가되거나,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3의 IC가 3개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IC의 개수는 이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IC가 배터리 모듈 전압을 센싱하는 센싱 IC일 경우, 배터리 모듈의 개수에 따라 IC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센싱 IC의 개수는 배터리 모듈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C가 3개인 것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IC 통신 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IC의 신호(데이터) 양방향 송신은 S20#-1 로, IC의 ID 식별 번호 증가는 S20#-2 로, IC의 신호(데이터) 단방향 송신은 S20#-3로 도시하기로 한다.
우선,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제어기(50)가 외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면, 제1 IC(10)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다(S201-1). 이와 동시에, 제1 IC(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ID 식별 번호를 0에서 1로 증가시킨다(S201-2). 즉, IC 통신 장치(100) 내에서 웨이크업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IC로 송신됨에 따라,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IC의 식별 번호가 1만큼 증가하는 하나의 단계(S201)가 수행될 수 있다.
S202 단계 이후, ID 식별 번호가 0에서 1로 증가한 제1 IC(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1 IC(10)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어기(50) 및 제2 IC(20)에 동시에 양방향 송신한다(S202-1). 이와 동시에, 제2 IC(20)는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ID 식별 번호를 0에서 1로 증가시킨다(S202-2).
한편, 제어기(50)는 해당 웨이크업 신호를 카운팅(counting)할 수 있으며, 제어기(50)가 카운팅한 웨이크업 신호가 '1'인 경우, 제어기(50)는 제1 IC(10)가 웨이크업이 완료되고, ID 식별 번호가 1로 설정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S202(S202-1, S202-2) 단계 이후, ID 식별 번호가 0에서 1로 증가한 제2 IC(20)는 웨이크업 신호를 제2 IC(20)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1 IC(10) 및 제3 IC(30)에 동시에 양방향 송신한다(S203-1). 이와 동시에,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3 IC(30)는 ID 식별 번호를 0에서 1로 증가시키고, 제1 IC(10)는 ID 식별 번호를 1에서 2로 증가시킨다(S203-2).
S203(S203-1, S203-2) 단계 이후, 제3 IC(30)의 ID 식별 번호가 0에서 1로, 제1 IC(10)의 ID 식별 번호가 1에서 2로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IC는 상이한 통신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IC(10)의 경우, 제3 IC(30)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가 존재하는 경우, 2개의 IC에 웨이크업 신호를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고(S204-1), 제1 IC(10)의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2 IC(20)가 아닌, 제1 IC(10)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어기(50)로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며(S204-3), 이와 동시에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2 IC(20)는 ID 식별 번호를 1에서 2로 증가시킨다(S204-2).
다시 말해서, IC 통신 장치(100) 내 IC는 ID 식별 번호가 0인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에 웨이크업 신호를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며, ID 식별 번호가 1 이상인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IC가 아닌 인접 배치된 다른 IC로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게 된다.
S204(S204-1, S204-2, S204-3) 단계 이후, 제2 IC(20)도 앞선 제1 IC(10)와 동일하게 ID 식별 번호가 0이 아닌 상태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제3 IC(30)로부터 수신한 바, 인접 배치된 제1 IC(10)로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고(S205-3), 이와 동시에,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제1 IC(10)는 ID 식별 번호를 2에서 3으로 증가시킨다(S205-2).
S205(S205-2, S205-3) 단계 이후, ID 식별 번호가 2에서 3으로 증가한 제1 IC(10)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제2 IC(20)가 아닌 인접 배치된 제어기(50)로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한다(S206-3).
마지막으로, 제어기(50)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시점부터, 제1 IC(10)로부터 수신하는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와 전체 IC 개수를 비교하여, 전체 IC가 웨이크업 되고, IC에 ID 식별 번호가 부여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총 3개의 IC가 존재하고, 제1 IC(10)로부터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가 3개인 경우, 제어기(50)는 복수의 IC가 정상적으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보다 적은 경우, IC 통신이 비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에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IC가 동작하기 위한 네트워크 상태 전환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가 슬립(SLEEP) 모드, 아이들(IDLE) 모드, 노멀(NORMAL) 모드의 세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치 않고,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ID 식별 번호가 설정될 수 있는 바, 네트워크 통신을 전환하기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IC 통신 장치(100)의 통신 개시 과정에서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IC 통신 방법은 종래의 통신 방법보다 빠르고 간단하게 수행될 수 있는 바, 전체 IC의 네트워크 상태 전환을 위한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이는 도 4a 및 도 4b에 대한 내용이다.
도 4a는 종래 복수의 IC의 네트워크 상태 전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IC의 네트워크 상태 전환에 따른 소요 시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IC 통신 장치는 1ms 동안 제어기(50)에서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가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에 도달할 수 있으며(S101, S102, S103), 웨이크업 신호의 송신이 완료된 후, 제어기(50)는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 각각과 1ms 동안 ID 식별 번호 설정 및 ID 식별 번호 설정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S104~S115). 그에 따라, 제어기(50)가 3개의 IC를 슬립(SLEEP) 모드에서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하기까지 총 4ms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IC 통신 장치(100)는 1ms 동안 제어기(50)에서 송신한 웨이크업 신호가 제1 IC(10), 제2 IC(20), 제3 IC(30)에 도달하여 ID 식별 번호를 증가시키고, 각각의 IC가 인접 배치된 IC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함에 따라, ID 식별 번호 설정이 완료될 수 있으며, 제어기(50)가 최종적으로 수신한 웨이크업 개수를 카운팅함으로써, ID 식별 번호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IC 통신 장치(100)는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1ms) 내에서 노멀(NORMAL) 모드의 전환이 완료되어,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IC 통신 장치
10: 제1 IC
20: 제2 IC
30: 제3 IC
50: 제어기

Claims (12)

  1. 인접하여 배치된 제1 IC 내지 제N IC(N은 2이상의 정수)를 포함하는 복수의 IC; 및
    상기 제1 IC와 연결되는 제어기;
    를 포함하고,
    슬립(SLEEP) 모드에 있던 상기 제어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IC에 송신하면,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까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신하여, 슬립 모드에 있던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를 노멀(NORMAL) 모드로 전환하는,
    IC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IC는,
    상기 제어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의 초기 ID 식별 번호가 0으로 설정되어,
    하나의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ID 식별 번호가 1만큼 증가되도록 설정된,
    IC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I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IC가,
    ID 식별 번호가 1 이상으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한 IC가 아닌 인접하여 배치된 다른 IC에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으로 송신하는,
    IC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는,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연결되는,
    IC 통신 장치.
  5. 인접하여 배치된 제1 IC 내지 제N IC(N은 2 이상의 정수)를 포함하는 IC 통신 장치가 IC 통신을 수행하여 슬립 모드에 있던 상기 제1 IC 내지 제N IC를 노멀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C 통신 장치가, 제1 IC로 웨이크업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 단계;
    상기 IC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1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제어기 및 제2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제2 송신 단계;
    상기 IC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2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1 IC 및 제3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제3 송신 단계; 및
    상기 IC 통신 장치가,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3 IC 내지 제N IC까지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IC로 동시에 양방향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단계는,
    상기 제1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1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송신 단계는,
    상기 제2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는 제2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송신 단계는,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3 IC의 ID 식별 번호를 1만큼 증가시키고,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3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송신 단계 이후에,
    상기 제3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IC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인접하여 배치된 IC가 하나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제3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상기 제3 IC와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제2 IC 로 송신하고,
    상기 제1 IC와 연결된 상기 제어기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는 제4 송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송신 단계는,
    상기 제4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2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4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송신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IC와 연결된 상기 제1 IC로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단방향 송신하는 제5 송신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송신 단계는,
    상기 제5 송신 단계에서 송신한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IC의 ID 식별 번호를 추가로 1만큼 증가시키는 제5 식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식별 단계 이후에,
    상기 제어기가 수신한 웨이크업 신호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개수와 전체 IC 개수를 비교하여, ID 식별 번호 설정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KR1020180111418A 2018-09-18 2018-09-18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KR10213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8A KR102131796B1 (ko) 2018-09-18 2018-09-18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CN201910872853.7A CN110912790B (zh) 2018-09-18 2019-09-16 Ic通信装置及ic id自动增加通信方法
DE102019214128.5A DE102019214128A1 (de) 2018-09-18 2019-09-17 Verfahren zur selbstinkrementierenden Kommunikation mit einer eine Verkettungsverbindungsstruktur aufweisenden, integrierten Schaltkreiskennung und integrierte Schaltkreiskommunikations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16/573,766 US11184190B2 (en) 2018-09-18 2019-09-17 Communication method automatically incrementing IDs of ICs having daisy chain connection structure, and IC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418A KR102131796B1 (ko) 2018-09-18 2018-09-18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415A KR20200032415A (ko) 2020-03-26
KR102131796B1 true KR102131796B1 (ko) 2020-07-08

Family

ID=69646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418A KR102131796B1 (ko) 2018-09-18 2018-09-18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84190B2 (ko)
KR (1) KR102131796B1 (ko)
CN (1) CN110912790B (ko)
DE (1) DE1020192141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6115B2 (en) * 2001-12-13 2008-04-29 Ami Semiconductor Belgium Bvba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with in-circuit addressing
KR20070117147A (ko) * 2006-06-07 2007-12-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아이디 트래킹 회로
KR100794764B1 (ko) * 2006-07-19 2008-02-04 양재우 패시브 엔트리 시스템과 그의 웨이크 업 및 트리거 방법
KR20090030136A (ko) 2007-09-19 2009-03-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용 반도체 소자
US8023557B2 (en) * 2007-12-31 2011-09-20 Silicon Laboratories Inc. Hardware synchronizer for 802.15.4 radio to minimize processing power consumption
CN102087144A (zh) * 2009-12-03 2011-06-08 北京华控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ff h1现场总线温度测量装置
WO2011121690A1 (ja) * 2010-03-31 2011-10-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集積回路
US10123268B2 (en) * 2010-06-04 2018-11-0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CN101923630A (zh) * 2010-09-07 2010-12-22 杭州中瑞思创科技股份有限公司 物品的双向通讯保护方法及系统
KR101539689B1 (ko) * 2012-02-20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bms에 대한 식별자 할당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23048A1 (en) * 2013-02-06 2014-08-07 Infineon Technologies Ag Communication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963627B2 (en) * 2013-06-05 2015-02-24 Via Technologies, Inc. Digital power gating with controlled resume
KR101844809B1 (ko) * 2013-09-30 2018-04-03 인텔 코포레이션 클록 게이팅 제어를 위한 조기의 웨이크-경고
CN104483944A (zh) * 2014-12-13 2015-04-01 重庆市山城燃气设备有限公司 分离式物联网膜式燃气表远程控制系统
US9755631B2 (en) * 2015-11-24 2017-09-0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di/dt during power wake-up
KR20180045954A (ko) 2016-10-26 2018-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16791B1 (ko) * 2016-11-11 2018-11-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통신 방법
US10411984B2 (en) * 2016-12-12 2019-09-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related to diagnostics for ethernet rings based on media redundancy protocol
CN108108683B (zh) * 2017-12-14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触控响应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2135A1 (en) 2020-03-19
CN110912790B (zh) 2021-11-16
KR20200032415A (ko) 2020-03-26
DE102019214128A1 (de) 2020-03-19
US11184190B2 (en) 2021-11-23
CN110912790A (zh) 202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06168B (zh) 电池组的管理装置
US8078331B2 (en) Power supply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KR101439050B1 (ko) 차량 암전류 검사 방법
CN111605437B (zh) 电池管理系统及电池管理方法
US9588562B2 (en) Method for waking up a distant device from a local device without waking up a physical layer unit in the distant device
KR101526413B1 (ko) 트랜시버 ic 및 그 동작 방법
CN209765306U (zh) 整车控制器和车辆
US10497189B2 (en) Vehicular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control device
JP2008131670A (ja) 電池電圧監視装置
US9162540B2 (en) Apparatus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information transmissing method thereof and integrated receiver system
KR102131796B1 (ko) Daisy chain 연결 구조를 가진 ic id 자동 증가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ic 통신 장치
CN111324104A (zh) 网关处理器、网关处理器的控制逻辑、程序和记录介质
CN100504681C (zh) 轮胎压力监测系统用的电源管理装置
KR20070121332A (ko) 차량의 대기 전류 관리 장치
US9434331B2 (en) Automotive electronic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US11650258B2 (en) System for identifying controller causing electrical discharge of vehicle
US20230333626A1 (en) Hierarchica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device
CN113126586B (zh) 唤醒诊断装置及唤醒诊断方法
KR20150121591A (ko) Obd 단말기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US8880753B2 (en) Vehicle electronic controller for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a port being suspended based on a mode of an internal oscillation circuit
WO2017099006A1 (ja) 電子制御装置
WO2022137984A1 (ja) キーマトリクス回路装置、及び、入力装置
KR20180134250A (ko) 배터리 팩 진단 장치 및 방법
EP4299387A1 (en) Power system
EP4299386A1 (en) Pow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